[go: up one dir, main page]

KR0109436Y1 - 이중으로 된 배수관의 강관축관장치 - Google Patents

이중으로 된 배수관의 강관축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09436Y1
KR0109436Y1 KR2019940027175U KR19940027175U KR0109436Y1 KR 0109436 Y1 KR0109436 Y1 KR 0109436Y1 KR 2019940027175 U KR2019940027175 U KR 2019940027175U KR 19940027175 U KR19940027175 U KR 19940027175U KR 0109436 Y1 KR0109436 Y1 KR 0109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pe
shaft
forming rollers
l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7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006U (ko
Inventor
이동락
Original Assignee
유기호
주식회사 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호, 주식회사 대일 filed Critical 유기호
Priority to KR2019940027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09436Y1/ko
Publication of KR9600150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0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09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094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4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rolling m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V.C관을 확관하여 강관의 내측면으로 부착시키었던 종래 이중배수관의 제작상 그리고 사용상 등에서 나타났던 여러 가지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P.V.C관을 결합하고 있는 강관의 외주면을 회전되는 여러개의 상, 하측 성형로울러에 의해 강제로 압착하여 강관을 축관시킴으로서 강관이 P.V.C관의 외주면으로 견고하게 압착될 수 있도록 이중으로 된 배수관의 강관축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으로 된 배수관의 강관축관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성형로울러들에 의해 배수관이 축관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성형로울러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기체내에 결합되어 있는 전동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성형로울러와 전동기어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성형로울러의 축관작용을 상세하게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2 : 모우터
3 : 주동스플로킷 4 : 체인
5 : 연결축 6 : 연동스플로킷
7, 9 : 피니언 8 : 보조축
10, 12 : 상, 하 전동축 11, 13 : 상, 하 전동기어
14, 16 : 상, 하 성형로울러 15 : 성형홈
17 : 강관 18 : P.V.C관
19 : 접착제 20 : 베어링
본 고안은 P.V.C관을 내관으로 하여 사이의 접착제층으로 접속되어 있는 외부의 강관을 회전하는 여러 개의 상, 하측 성형로울러에 의해 강제로 압착하여 강관을 축관시킴으로서 강관이 P.V.C관의 외주에 견고하게 압착될수 있도록 한 이중으로 된 배수관의 강관축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의 배수관이나 드레인배수구 또는 일반배수구에는 대부분이 강관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오염된 물에 의한 부식이 발생하여 누수와 소음의 원인이 되었었다.
따라서 상기 오염된 물에 의한 강관내면의 부식현상을 막기 위하여 최근에는 강관의 내부에 내식성이 강한 P.V.C관을 삽입하여 이중관으로 사용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기대이상의 효과를 얻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강관내부로 P.V.C관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수단으로는 일정 길이의 강관을 고정시키고, 이 강관의 내부에 P.V.C관을 삽입하고 P.V.C관의 일측을 캡으로 막은 뒤 열풍을 불어 넣어 내부의 P.V.C관을 확관시켜 외부강관의 내면에 접합시키는 것으로 상기의 열풍은 일정온도의 뜨거운 공기어야 하며, 압력을 동반하여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수단으로 작업을 수행하면 강관 내부의 P.V.C관이 뜨거운 공기에 의해 늘어나는 상태가 되고, 늘어나는 P.V.C관이 열풍의 압력에 의해 강관의 내면에 접합되어지며 이후 냉각공정을 거치면 강관내부에 P.V.C관이 결합된 이중관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P.V.C관을 확관시키는 수단에는 몇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P.V.C관의 밀봉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강관의 양쪽으로 P.V.C관이 돌출된 상태에서 일측끝단부를 캡으로 막고 공기를 불어 넣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워지며 부수적인 장치들이 많이 필요하게 되고 특히, 작업 후에는 돌출되어 있는 P.V.C관을 절단하는 작업까지 하여야 되므로 많은 공정 및 많은 손질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에 따른 재료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P.V.C관은 변형된 상태에서 온도차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환원되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배수관의 용도로 설치전 상태에서 기온이 강하하면 상기 P.V.C관이 수축을 하게 되어 강관과 P.V.C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 이격공간에 있는 공기 및 습기에 의해 강관의 내주면이 부식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강도의 저하와 소음도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강관의 부식현상과 강관의 강도저하 또한 소음 등의 원인이 되는 강관과 P.V.C관 사이의 이격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하고 내식성이 강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간단한 작업공정에 의해 작업의 신속성과 정확성 그리고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반원형 성형홈을 형성하고 있는 여러쌍의 상, 하측 성형로울러 사이로 내부에 P.V.C관을 내장하고 있는 강관을 통과시켜서, 강관내부의 P.V.C관이 변형되지 않는 범위에서 외측의 강관을 강제축관시키는 수단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체(1)의 전, 후방 양측벽의 상하를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 관통하여 베어링(20)으로 수개쌍의 상, 하 전동축(12), (10)을 축대설치시키고 전방측벽으로 돌출된 상, 하 전동축(12), (10)에는 외주가 반원형 성형홈(15)으로 형성된 성형로울러(14), (16)을 한쌍의 상, 하 성형로울러가 외주가 서로 접하여 회전하도록 축착시키고 상기 기체(1) 내부의 상, 하 전동축(12), (10)에는 상, 하 전동기어(13), (11)를 서로 치차결합되게 축착시키고 수개의 하 전동기어(11)들은 하부 사이사이에 축대설치된 연결축(5)과 보조축(8)의 피니언(7), (9)으로 각각 치차결합시킨 다음 연결축(5)에 결합된 연동스플로킷(6)과 기체(1)내부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모우터(2)의 구동스플로킷(3)과를 체인(4)으로 연결시켜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상, 하 성형로울러(14), (16)들은 첫 번째와 두 번째 그리고 세 번째 반원형 성형홈(15)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시켜 축관성형을 점진적으로 축소시킬수 있는 것으로 도면 중 미설명부호 17은 강관, 18은 P.V.C관, 19는 접착제층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축관장치를 가동시키면 기체(1)의 내부바닥면에 고정설치된 모우터(2)가 회전되면서 구동스플로킷(3)을 회전시키게 되고 구동스플로킷(3)과 체인(4)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동스플로킷(6)도 회전되면서 연결축(5)과 피니언(7)을 회전시켜서 피니언(7)과 하측부가 서로 치차결합하고 있는 하 전동기어(11)가 회전하면서 이와 치차 결합되어 있는 상 전동기어(13)도 회전시키게 되고 또한 보조축(8)의 피니언(9)에 의해 첫 번째의 상, 하 전동기어(13), (11)로도 동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모든 상, 하 전동축(12), (10)들이 제2도와 같이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기체(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 하 전동축(12), (10)에는 반원형 성형홈(15)을 형성하고 있는 상, 하 성형로울러(14), (16)들이 축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 하 전동축(12), (10)의 회전과 동일하게 제1도와 같이 이들도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우터(2)에는 감속기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감속된 상태로 동력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고, 피니언(7)과 전동기어(11)의 크기에 의한 감속작용도 병행되는 것이므로 상, 하 성형로울러(14), (16)는 적정의 회전수로 회전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 하 성형로울러(14), (16)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P.V.C관(18)을 내장하고 있는 강관(17)을 첫 번째의 상, 하 성형로울러(14), (16) 사이로 삽입시켜서 축관작용을 얻게되는 바, 상기의 P.V.C관(18)과 강관(17)은 축관작용전에 P.V.C관(18)의 외주와 강관(17)의 내면에 접착제층(19)을 도포하여 결합시킨 뒤 본 고안의 첫 번째 상, 하 성형로울러(14), (16) 사이로 삽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상, 하 성형로울러(14), (16)들은, 첫 번째와 두 번째 그리고 세 번째 모두가 반원형 성형홈(15)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시킨 것으로 즉, 첫 번째 상, 하 성형로울러(14), (16)의 성형홈(15)은 강관(17)의 구경보다 약 0.2Φ가 작게 하고, 두 번째 상, 하 성형로울러(14), (16)의 성형홈(15)은 첫 번째의 상, 하 성형로울러(14), (16)의 성형홈(15)보다 약 0.2Φ가 작게 하며, 마지막인 세 번째 상, 하 성형로울러(14), (16)의 성형홈(15)는 두 번째 상, 하 성형로울러(14), (16)보다 약 0.1Φ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첫 번째 상, 하 성형로울러(14), (16)를 통과한 강관(17)은 약 0.2Φ가 줄어든 상태로 축관이 되어지고, 두 번째 상, 하 성형로울러(14), (16)를 통과한 강관(17)는 0.4Φ가 줄어든 상태로 축관되어지며, 세 번째 상, 하 성형로울러(14), (16)를 통과한 강관(17)은 0.5Φ가 축관되어 강관의 축관성형되는 상태를 점진적으로 축소시켜 내부응력을 극소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강관은 제4도와 같이 원래크기인 D1에서 D2의 크기로 축관이 되지만 P.V.C관의 크기는 아무런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강관(17)만이 축관되어, 강관(17)과 P.V.C관(18)의 사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층(19)을 압축하기 때문에 강관(17)과 P.V.C관(18)과의 견고하고 튼튼한 압착효과를 얻을수 있게 된다.
또한 상, 하 성형로울러(14), (16)의 성형홈(15)은 반원형인 상태에서 상호 접하면 원형이 되기 때문에 이곳을 통과하여 나오는 강관(17)은 축관된 상태에서도 정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P.V.C관은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강관만을 축관시키는 것이므로 강관과 P.V.C관의 압착부위에 틈이 발생할 수 없게 되며 특히 접착제층이 충진되어 있는 상태에서 압착이 되기 때문에 매우 견고한 접합에 의해, 강관과 P.V.C관과의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가 없어서 공기 및 습기로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된다.
또한, 강관에 P.V.C관은 결합한 상태에서 성형로울러 사이를 통과시키면 작업이 완료되기 때문에 작업의 신속성과 정확성에 의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기체(1)의 전, 후방 양측벽의 상하를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 관통하여 베어링(20)으로 수개쌍의 상, 하 전동축(12), (10)을 축대설치시키고 전방측벽으로 돌출된 상, 하 전동축(12), (10)에는 외주가 반원형 성형홈(15)으로 형성된 성형로울러(14), (16)을 한 쌍의 상, 하 성형로울러가 외주가 서로 접하여 회전하도록 축착시키고 상기 기체(1)내부의 상, 하 전동축(12), (10)에는 상, 하 전동기어(13), (11)를 서로 치차결합되게 축착시키고 수개의 하 전동기어(11)들은 하부 사이사이에 축대설치된 연결축(5)과 보조축(8)의 피니언(7), (9)으로 각각 치차결합시킨 다음 연결축(5)에 결합된 연동스플로킷(6)과 기체(1)내부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모우터(2)의 구동스플로킷(3)과를 체인(4)으로 연결시켜서 된 이중으로된 배수관의 강관 축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개쌍의 상, 하 성형로울러(14), (16)들은 첫 번째와 두 번째 그리고 세 번째 반원형 성형홈(15)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시켜서 된 이중으로된 배수관의 강관 축관장치.
KR2019940027175U 1994-10-18 1994-10-18 이중으로 된 배수관의 강관축관장치 KR0109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175U KR0109436Y1 (ko) 1994-10-18 1994-10-18 이중으로 된 배수관의 강관축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175U KR0109436Y1 (ko) 1994-10-18 1994-10-18 이중으로 된 배수관의 강관축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006U KR960015006U (ko) 1996-05-17
KR0109436Y1 true KR0109436Y1 (ko) 1998-04-16

Family

ID=1939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7175U KR0109436Y1 (ko) 1994-10-18 1994-10-18 이중으로 된 배수관의 강관축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094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399B1 (ko) * 2007-11-29 2009-12-11 (주) 디엠에스티에스 조관장치
KR100964965B1 (ko) * 2007-11-29 2010-06-21 (주) 디엠에스티에스 조관장치
KR101708647B1 (ko) * 2015-12-03 2017-02-23 주식회사 테크네트 강재 파이프-수지 파이프 이중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399B1 (ko) * 2007-11-29 2009-12-11 (주) 디엠에스티에스 조관장치
KR100964965B1 (ko) * 2007-11-29 2010-06-21 (주) 디엠에스티에스 조관장치
KR101708647B1 (ko) * 2015-12-03 2017-02-23 주식회사 테크네트 강재 파이프-수지 파이프 이중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006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9879A (en) Seal for pipe to wall junctions
JPS5824651B2 (ja) ユニバ−サルジヨイント
KR0109436Y1 (ko) 이중으로 된 배수관의 강관축관장치
CN100364730C (zh) 可变径管内移动机器人
CN106391801A (zh) 一种钢圈折边机
CN206139691U (zh) 一种钢圈折边机
US2219053A (en) Pipe joint
TW201414938A (zh) 中空諧波齒輪單元
KR0133072Y1 (ko) 하수관의 실링장치
CN210623488U (zh) 一种行星减速器
JPH0818089B2 (ja)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とその製造方法
CN221723605U (zh) 一种便于限位的降噪型缠绕管
CN219655221U (zh) 减速机的轴密封装置
FR2842137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 soufflet deroulant
JP2003120877A (ja) ホース接続構造
CN217237125U (zh) 一种市政道路给排水检查井控制阀防渗漏检测装置
CN2441008Y (zh) 管道堵漏装置
JPH0225036Y2 (ko)
CN219153716U (zh) 一种螺旋缠绕设备
CN218510217U (zh) 一种带润滑站的多重密封逆止器
CN218152249U (zh) 一种紧凑型螺旋锥齿轮换向器
CN211951245U (zh) 加强型金属波纹管组件
KR860000162Y1 (ko) 파이프의 파상속수
CN212177810U (zh) 一种揉捻机用减速齿轮箱
RU2233399C1 (ru) Трубопрово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10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101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704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9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09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04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