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군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하여야 합니다.(2022년 3월)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22년 3월) |
봉화군 | |||
---|---|---|---|
| |||
봉화군의 위치 |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
행정 구역 | 1읍, 9면 | ||
청사 소재지 | 봉화읍 봉화로 1111 (내성리 537) | ||
단체장 | 박현국(국민의힘) | ||
국회의원 | 임종득(국민의힘, 영주시·영양군·봉화군) | ||
지리 | |||
면적 | 1,200.99km2 | ||
인문 | |||
인구 | 30,762명 (2021[1]년) | ||
세대 | 16,882세대 (2021[2]년) | ||
상징 | |||
나무 | 춘양목 | ||
꽃 | 산목련 | ||
새 | 산까치 |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http://www.bonghwa.go.kr/ |
봉화군(奉化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부에 있는 군으로, 군청 소재지는 봉화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9면이다.
영화 《워낭소리》의 무대이기도 하며, 특산물로 봉화 송이가 유명하다.
역사
[편집]-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안동부 봉화군으로 개편하였다.[3]
-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봉화군으로 개편하였다. 이때 안동군 내성면, 춘양면, 재산면, 소천면을 봉화군에 편입하였다.[4]
- 1914년 4월 1일 순흥군 화천면, 수민단면, 수식면을 편입하고 9면으로 개편하였다.[5]
도령 제2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봉화군 춘양면(春陽面) 현동/죽기리/황기리/보로리 일부/(상동면)애당리 일부, 서리/거곡리/상촌리 일부/(와단면)운곡리 일부, 두내리/서벽리 일부/보로리 일부, 현동리/남산리 일부/상촌리 일부/(와단면)소로리 일부/운곡리 일부/한수리 일부, 조항리 춘양면 도심리, 서동리, 서벽리, 의양리, 학산리 봉화군 상동면(上東面) 덕구리, 석현리 일부/(춘양면)상촌리 일부, 애당리 일부/석현리 일부, 우구치리/(춘양면)서벽리 일부, 천평리/애당리 일부/(춘양면)서벽리 일부 덕구리, 석현리, 애당리, 우구치리, 천평리 봉화군 와단면(臥丹面) 장동/한수리 일부/소로리 일부/관무리 일부/(춘양면)남산리 일부/(중춘양면)소천리 일부, 법전리/사동/부둔리 일부/(중춘양면)척곡리 일부/풍정리 일부, 전교리/고로동/소지동/(중춘양면)삼의리 일부 법전면 소로리, 법전리, 소지리 봉화군 중춘양면(中春陽面) 눌산리 일부/매산리 일부/어지리 일부/(동면)삼동 일부, 소천리 일부/눌산리 일부/(와단면)관무리 일부, 어지리 일부/소천리 일부/매산리 일부, 척곡리 일부/삼의리 일부/(동면)수동 일부, 풍정리 일부/내을리 일부/(와단면)부둔리 일부 눌산리, 소천리, 어지리, 척곡리, 풍정리 봉화군 군내면(郡內面) 군내리/원둔리 일부/외삼리 일부, 외삼리 일부/(북면)세암리 일부, 원둔리 일부/(서면)문촌리 일부 봉성면 봉성리, 외삼리, 원둔리 봉화군 북면(北面) 금봉리/신기리 일부/세암리 일부/(내성면)탑평리 일부, 와단리/두동리/신기리 일부, 우곡리/진곡리, 창평리/세암리 일부/신기리 일부/(군내면)외삼리 일부/(서면)하눌리 일부 금봉리, 동양리, 우곡리, 창평리 봉화군 상남면(下南面) 고감리/고리내리 일부/여포리 일부, 고계리/운산리 일부, 운산리 일부/(재산면)서남면리 일부/(하남면)북곡리 일부, 비진리/여포리 일부 명호면 고감리, 고계리, 북곡리, 풍호리 봉화군 하남면(下南面) 신라리/탄당리/걸탄리, 갈동/관창리/(안동군 의동면)황석동 신라리, 관창리 봉화군 동면(東面) 포라리/구문리/쌍현리 일부/영동 일부/소천리 일부/(중춘양면)내을리 일부/(상남면)금포리 일부, 삼동 일부/소천리 일부, 양곡리/쌍현리 일부/(상남면)고리내리 일부 도천리, 삼동리, 양곡리 봉화군 서면(西面) 후평리 일부/익곡리 일부/운곡리 일부/가곡리 일부/반송리 일부/북평리 일부/(내성면)입석리 일부, 문촌리 일부/심곡리 일부/(임지면)상토리 일부, 운계리 일부/괘성리 일부/심곡리 일부/익곡리 일부, 산정리/북평리 일부/하눌리 일부/후평리 일부/(군내면)외삼리 일부 상운면 가곡리, 문촌리, 운계리, 하눌리 봉화군 임지면(林只面) 창팔리/익곡리 일부/구천리 일부/사촌리 일부/설매리 일부/(예안군 북면)원천동 일부, 내림리/상외리/중외리 일부, 하외리/두월리/중외리 일부, 사촌리 일부/설매리 일부/(서면)가곡리 일부, 중토리/신촌리/우촌리/상토리 일부/(서면)괘성리 일부/심곡리 일부/(예안군 북면)원천동 일부 구천리, 내림리, 두월리, 설매리, 토일리 봉화군 물야면(物野面) 가평리/팔은리/개단리 일부/(순흥군 수식면)산운리 일부, 개단리 일부, 방평리/북지리 일부/동막리 일부 물야면 가평리, 개단리, 북지리 순흥군 수식면(水息面) 천곡리/운평리/사동/(봉화군 물야면)구미리/수식리 일부, 황산리/창상리/창하리/(봉화군 물야면)수식리 일부, 조양리/압동/사곡리, 오록리/산운리 일부, 오전리/덕산리 두문리, 수식리, 압동리, 오록리, 오전리 봉화군 내성면(乃城面) 거촌리/유곡리 일부/황전리 일부/(서면)하눌리 일부/(북면)세암리 일부, 삼계리/(물야면)북지리 일부/(순흥군 화천면)신흥리, 호평리/입석리 일부/(서면)반송리 일부/(순흥군 수민단면)건정리 일부, 토곡리/유곡리 일부/탑평리 일부/(물야면)동막리 일부/(북면)신기리 일부, 포저리/황전리 일부 내성면 거촌리, 삼계리, 석평리, 유곡리, 포저리 순흥군 화천면(花川面) 도촌리 일부/망년리 일부, 도촌리 일부/(수민단면)건정리 일부/적덕리, 본리/망년리 일부 도촌리, 적덕리, 화전리, 해저리 순흥군 수민단면(壽民舟面) 사산리/상리/하리 문단리 봉화군 재산면(才山面) 하리/갈산리 일부/현동 일부, 현동 일부/동면리 일부, 남면리 일부/(상남면)운산리 일부/(하남면)북곡리 일부, 동면리 일부, 갈산리 일부/동면리 일부/현동 일부/(중춘양면)눌산리 일부 재산면 상리, 현동리, 남면리, 동면리, 갈산리 봉화군 소천면(小川面) 현동/분천리 일부, 고선리, 대현리, 석포리/승부리 일부, 승부리 일부, 서천리, 분천리 일부, 두음리, 남회룡리/분천리 일부, 임기리/(재산면)갈산리 일부/(중춘양면)매산리 일부 소천면 현동리, 고선리, 대현리, 석포리, 승부리, 서천리, 분천리, 두음리, 남회룡리, 임기리
- 1916년 군청을 춘양면에서 내성면 (현 봉화읍)으로 이전하였다.
- 1956년 7월 8일 내성면을 봉화면으로 개칭하였다.[6]
- 1963년 1월 1일 춘양면 일부를 강원도 영월군 상동면에 편입하였다.[7]
대통령령 제6542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봉화군 법전면 소로리 춘양면 일부 봉화군 상운면 내림리, 두월리 영주군 이산면 일부
- 1979년 5월 1일 봉화면을 봉화읍으로 승격하였다.[8] (1읍 8면)
- 1983년 2월 15일 명호면 신라리를 상운면으로 편입하고, 석포출장소를 석포면으로 승격하였다. (1읍 9면)
- 1991년 1월 1일 봉성면 원둔리를 봉양리로 개칭하였다.
- 2002년 11월 6일 봉화읍 포저리를 내성리로 개칭하였다.
- 2004년 1월 12일 군 청사를 봉화읍 내성리 285번지에서 내성리 537번지(봉화읍 봉화로 1111)로 이전하였다.
군수
[편집]기후
[편집]봉화군은 기상관측소(공식 무인)를 1988년에 설치하여 관측 개시한 이후 단 한번도 열대야를 기록한 적이 없다.
봉화군 (봉화기상관측소, 춘양면 의양리)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13.2 (55.8) |
19.5 (67.1) |
25.2 (77.4) |
31.2 (88.2) |
33.0 (91.4) |
34.6 (94.3) |
36.6 (97.9) |
37.8 (100.0) |
33.8 (92.8) |
27.8 (82.0) |
24.4 (75.9) |
16.2 (61.2) |
37.8 (100.0)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3.0 (37.4) |
5.9 (42.6) |
11.2 (52.2) |
18.1 (64.6) |
23.3 (73.9) |
26.6 (79.9) |
28.0 (82.4) |
28.6 (83.5) |
24.5 (76.1) |
19.5 (67.1) |
12.1 (53.8) |
5.1 (41.2) |
17.2 (63.0) |
일일 평균 기온 °C (°F) | −4.0 (24.8) |
−1.6 (29.1) |
3.7 (38.7) |
9.9 (49.8) |
15.5 (59.9) |
19.6 (67.3) |
22.8 (73.0) |
22.9 (73.2) |
17.8 (64.0) |
11.1 (52.0) |
4.2 (39.6) |
−2.1 (28.2) |
10.0 (50.0)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10.6 (12.9) |
−8.4 (16.9) |
−3.2 (26.2) |
1.9 (35.4) |
7.7 (45.9) |
13.4 (56.1) |
18.5 (65.3) |
18.5 (65.3) |
12.4 (54.3) |
4.4 (39.9) |
−2.2 (28.0) |
−8.3 (17.1) |
3.7 (38.7) |
역대 최저 기온 °C (°F) | −25.0 (−13.0) |
−27.7 (−17.9) |
−16.2 (2.8) |
−9.1 (15.6) |
−1.0 (30.2) |
1.2 (34.2) |
8.2 (46.8) |
7.5 (45.5) |
1.9 (35.4) |
−7.3 (18.9) |
−14.6 (5.7) |
−21.4 (−6.5) |
−27.7 (−17.9)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16.5 (0.65) |
25.9 (1.02) |
46.6 (1.83) |
80.7 (3.18) |
101.5 (4.00) |
143.2 (5.64) |
277.7 (10.93) |
246.8 (9.72) |
135.1 (5.32) |
48.1 (1.89) |
33.2 (1.31) |
20.3 (0.80) |
1,175.6 (46.28)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5.2 | 5.1 | 7.6 | 8.0 | 8.7 | 10.3 | 15.4 | 14.5 | 9.2 | 5.5 | 6.6 | 5.4 | 101.5 |
평균 상대 습도 (%) | 63.8 | 62.0 | 62.0 | 59.9 | 65.2 | 71.0 | 79.7 | 79.9 | 78.0 | 74.7 | 70.9 | 66.4 | 69.5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87.3 | 183.8 | 203.5 | 215.4 | 234.5 | 196.0 | 145.1 | 155.8 | 152.8 | 176.9 | 164.2 | 182.5 | 2,197.8 |
출처: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88년~현재)[9][10] |
지질
[편집]영남 육괴의 북동부에 위치한 봉화군은 전체적으로 현동역과 도래기재를 잇는 선을 경계로 그 북동쪽에는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이, 남동쪽에는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이 분포한다.[11]
봉화군 내 선캄브리아기의 주요 암석은 원남층군과 율리층군 그리고 분천 화강편마암이다.
봉화군 남부 장군봉 주변에는 고생대 조선 누층군의 지층인 장산 규암층과 재산층이 소규모 분포한다. 장산 규암층은 원래 태백시-삼척시 지역에 분포하는 두위봉형 조선 누층군의 지층이다. 재산층은 평안 누층군에 대비된다.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은 대부분 붕화군 남서부인 춘양면, 법전면, 물야면 일대에 넓게 분포한다.[11]
중생대에 형성된 퇴적암 경상 누층군은 청량산과 일월산 사이 지역인 재산면과 명호면 남부에 분포한다. 특히 청량산은 경상 누층군 청량산층으로 구성되며 재산면 지역에는 선경상계 퇴적층인 묘곡층이 분포한다.[11]
지하자원과 광물
[편집]
행정 구역
[편집]봉화군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봉화군의 면적은 1,201.46 km2이며, 인구는 2017년 7월 1일 기준으로 16,552세대 33,385명이고 그 중 31.7%가 봉화읍에 거주한다.
읍면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행정지도 |
---|---|---|---|---|---|
봉화읍 | 奉化邑 | 4,722 | 10,596 | 74.32 | |
물야면 | 物野面 | 1,694 | 3,359 | 109.27 | |
봉성면 | 鳳城面 | 1,105 | 2,255 | 66.69 | |
법전면 | 法田面 | 1,138 | 2,175 | 70.21 | |
춘양면 | 春陽面 | 2,365 | 4,588 | 167.30 | |
소천면 | 小川面 | 1,325 | 2,336 | 264.44 | |
석포면 | 石浦面 | 1,070 | 2,213 | 150.16 | |
재산면 | 才山面 | 904 | 1,663 | 126.05 | |
명호면 | 明湖面 | 1,222 | 2,333 | 114.49 | |
상운면 | 祥雲面 | 1,007 | 1,867 | 58.53 |
인구
[편집]- 봉화군(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12]
연도 | 총인구 | |
---|---|---|
1960년 | 106,861명 | |
1966년 | 119,644명 | |
1970년 | 115,038명 | |
1975년 | 114,606명 | |
1980년 | 97,513명 | |
1985년 | 78,557명 | |
1990년 | 58,168명 | |
1995년 | 42,968명 | |
2000년 | 38,238명 | |
2005년 | 32,413명 | |
2010년 | 31,242명 | |
2013년 | 33,894명 | |
2017년 | 33,358명 |
|
교통
[편집]철도
[편집]봉화군 관내에 한국철도공사 영동선이 통과하며 봉화역·춘양역·석포역 등 8개 정거장이 여객 영업을 하고 있다. 강릉, 안동, 부산(부전역), 대구(동대구역)로 가는 많은 열차가 운행되는 철도의 요충지이다.
국도 · 고속도로
[편집]국도 제36호선이 동서로 봉화를 관통한다. 남북으로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5호선이 지난다.
국가지원지방도
[편집]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이 있다.
고속버스 · 시외버스
[편집]농어촌버스
[편집]2024년부터 농어촌버스의 전면 무료화가 시행되었다.[13] 관내 농어촌버스 운행은 봉화여객이 담당하고 있으며, 인접한 영주시·안동시·영양군 지역의 일부 노선이 봉화군에 진입 운행하고 있다.[14]
항공
[편집]봉화군에는 공항이 입지하고 있지 않으며 2004년까지는 인근의 예천공항을 통해 김포나 제주와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폐쇄된 상태이다.[15] 국내선 및 중국 · 동남아시아행 항공편을 이용하려면 가장 가까운 대구국제공항을 이용해야 하고, 장거리 국제선을 이용하려면 인천국제공항으로 가야 한다.
문화·관광
[편집]교육 기관
[편집]출신자
[편집]자매 도시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법률 제393호 읍·면설치와행정구역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56년 7월 8일)
- ↑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 ↑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제정 1979년 4월 7일)
- ↑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봉화(271)”.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 ↑ “순위값 - 구역별조회 봉화(271)”.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 ↑ 이도은 (2024년 1월 2일). “봉화군도 시내버스도 무료.."전국 3번째"”. 포항MBC.
- ↑ “버스시간표”. 《봉화군청》. 2024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예천공항 개항 15년 만에 폐쇄
- ↑ (경북) 마음도 쉬었다 오는 곳, 봉화 승부역 ① 《Friday》(2005년 6월 29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영주시민신문 (2015년 4월 10일). “띠띠미 마을 산수유 활짝”. 《영주시민신문》. 2017년 11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충청북도 단양군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 ||
경상북도 영주시 | 경상북도 울진군 | |||
경상북도 봉화군 | ||||
경상북도 안동시 | 경상북도 영양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