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20403A - 디지틀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틀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20403A KR950020403A KR1019940034802A KR19940034802A KR950020403A KR 950020403 A KR950020403 A KR 950020403A KR 1019940034802 A KR1019940034802 A KR 1019940034802A KR 19940034802 A KR19940034802 A KR 19940034802A KR 950020403 A KR950020403 A KR 9500204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ity
- recording
- error correction
- data block
- dat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4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06—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 G11B20/1809—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by interle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5)
- 입력데이터를 복수의 트랙으로 분할하고, 소정의 트랙수의 트랙으로 완결하는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제1패리티를 생성하고, 입력데이터와 제1패리티에 외부 착오정정부호화와내부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제1패리티를 트랙의 연속한 영역에 기록하고, 입력데이터를 각 트랙의 다른 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고정길이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선두에 싱크패턴을 부가해서 싱크블록으로 하고, 각 트랙에 입력데이터로 구성되는 싱크블록과, 제1패리티로 구성되는 싱크블록을 소정의 순번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트랙에 기록되는 싱크블록에 전부 다른 싱크블록번호를 부여했을 때에, 입력데이터를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얻어진 1개의 부호어의 요소는 전부 다른 싱크블록번호의 싱크블록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싱크블록에 배치되는 심볼에 전부 다른 심볼번호를 부여했을 때에,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의 1개의 부호어의 요소를 다른 심벌번호의 싱크블록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입력데이터를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얻어진 1개의 부호어는, 부호어의 각 요소가 기록매체상의 위치가 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입력데이터를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얻어진 1개의 부호어는, 부호어의 각 요소가 기록매체상의 위치가 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입력데이터를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얻어진 1개의 부호어는, 부호어의 각 요소가 기록매체상의 위치가 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입력데이터를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얻어진 1개의 부호어는, 부호어의 각 요소가 기록매체상의 위치가 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 방법.
- 데이터를 입력하고 소정의 단위의 데이터로 구획하고 기억수단에 출력하는 입력수단과 데이터와 패리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데이터를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하고 제1패리티를 생성하고 기억수단에 출력하는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수단과, 데이터와 제1패리티를 외부 착오정정부호화 및 내부 착오정정부호화하고 소정의 단위의 싱크블록으로 변조하는 변조수단과, 변조수단의 출력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입력수단과 기억수단과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수단과 기록수단을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있어서, 기록수단은 데이터를 고정길이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선두에 싱크패턴을 부가해서 싱크블록으로 하고, 제어수단은 소정의 단위의 데이터와 제1패리티를 소정수의 트랙에 기록하고, 또한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의 부호어의 각 요소가 트랙에 걸치고, 또한 입력데이터와 제1패리티가 각각의 트랙의 소정의 위치의 일정한 영역을 차지하도록 기록하도록 기억수단과 변조수단과 기록수단을 제어하고, 데이터로 이루어진 싱크블록과 제1패리티로 이루어진 싱크블록을 소정의 순번으로 트랙에 기록하도록 기억수단과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은, 트랙에 기록되는 싱크블록에 전부 다른 싱크블록번호를 부여하고, 제어수단은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의 1개의 부호어의 요소는 전부 다른 싱크블록번호의 싱크블록에 구성하도록 기억회로와 변조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싱크블록에 배치되는 심볼에 전부 다른 심볼번호를 부여했을 때에,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의 1개의 부호어의 요소는 가능한한 다른 심볼번호의 싱크블록에 구성하도록 기억회로와 변조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 장치.
- 데이터를 입력하고 소정의 단위의 데이터로 구획하고 기억수단에 출력하는 입력수단과 데이터와 패리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데이터를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하고 제1패리티를 생성하고 기억수단에 출력하는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수단과, 데이터와 제1패리티를 외부 착오정정부호화 및 내부 착오정정부호화하고 소정의 단위의 싱크블록으로 변조하는 변조수단과, 변조수단의 출력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입력수단과 기억수단과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수단과 기록수단을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입력데이터를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얻어진 1개의 부호어의 각 요소가 기록매체상의 위치가 떨어지도록 구성하도록 기억회로와 변조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의 부호어는, 부호어의 각 요소가 기록매체상의 위치가 떨어지도록 구성하도록 기억회로와 변조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의 부호어는, 부호어의 각 요소가 기록매체상의 위치가 떨어지도록 구성하도록 기억회로와 변조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의 부호어는, 부호어의 각 요소가 기록매체상의 위치가 떨어지도록 구성하도록 기억회로와 변조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장치.
- 데이터를 고정길이의 데이터블록으로 분할하는 포맷수단과, 분할된 상기 데이터블록을 기억하는 제1기억수단과,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블록을 착오정정부호화를 해서 제1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1패리티를 상기 제1기억수단에 출력하는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를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제2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2패리티를 상기 제1기억수단에 출력하는 제2착오정정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1패리티를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제3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를 출력하는 제3착오정정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과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1기억 제어수단과, 상기 제3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의 출력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를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에 출력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를 상기 제3패리티를 사용해서 착오정정부호화하고, 착오정정부호화한 상기 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를 제2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를 상기 제2패리티를 사용해서 착오정정부호화하는 제2착오정정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블록을 상기 제1패리티를 사용해서 착오정정부호화하는 제3착오정정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블록을 디포맷해서 출력하는 디포맷 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2기억제어수단을 구비하는 디지틀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포맷수단은 데이터를 M1×N1×L(M1, N1, L는 자연수) 심볼의 크기인 데이터블록으로 분할하고, 제1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M1 + M2,M1)부호(M2는 자연수)에 의한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화를 행하고, 제2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M1+M2+M3, M1+M2) 부호(M3는 자연수)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3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N1+N2, N1) 부호(N2는 자연수)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기록수단은 상기 데이터블록과 제1패리티와 제2패리티와 제3패리티를 L개의 트랙으로 분할해서 기록하고, 재생수단은, L개의 상기 트랙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를 재생하고,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상기 (N1+N2, N1) 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2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상기 (M1+M2+M3, M1+M2) 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3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상기 (M1+M2, M1) 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은 (M1+M2+M3)개의 상기 제3부호어를 차례로 1개의 트랙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1개의 제1착오정정부호화에 의한 제1부호어의 요소가 전부 다른 제2착오정정부호화에 의한 제2부호어의 요소에 배치되도록 그롭으로부터 상기 제1부호어의 요소와 제2부호어의 요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트랙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L-1)의 번호를 붙이고, 트랙내의 부호어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M1+M2+M3-1)의 번호를 붙이고, 상기 제3부호어의 요소에 기록하는 순서로0에서부터 (N1 + N2-1)의 번호를 붙이고, 제1부호어의 0에서부터 (N1 × L-1)의 번호를 S를 붙이고, 상기 제1부호어의 요소에 차례로 0에서부터 (M1+M2-1)의 번호를 붙이고, S번째의 상기 제1부호어의 T번째의 요소를 P번째의 상기 트랙에 Q번째의 상기 제3부호어의 R번째의 요소에 기록한다고 했을때,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P가 T에 정수 정수(整數定數)인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 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이고, R은 T와 S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되도록 부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은 트랙의 선두에 데이터블록을 정보심볼로서 제3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1패리티를 정보심볼로서 제3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2패리티를 정보심볼로서 제3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트랙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L-1)의 번호를 붙이고, 트랙내의 제3부호어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M1+M2+M3-1)의 번호를 붙이고, 상기 제3부호어의 요소에 기록하는 순서로부터 0에서부터 (N1 + N2-1)의 번호를 붙이고, 제1부호어의 0에서부터 (N1 × L-1)의 번호를 S를 붙이고, 상기 제1부호어의 요소에 차례로 0에서부터 (M1+M2-1)의 번호를 붙이고, S번째의 상기 제1부호어의 T번째의 요소를 P번째의 상기 트랙에 Q번째의 상기 제3부호어의 R번째의 요소에 기록한다고 했을때,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P가 T에 정수 정수인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 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이고, R은 T와 S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되도록 부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상기 데이터를 고정길이의 제1데이터블록과 제2데이터블록으로 분할하는 포맷수단과, 분할된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을 기억하는 제1기억수단과,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을 착오정정부호화를 해서 제1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1패리티를 상기 제1기억수단에 출력하는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를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제2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2패리티를 상기 제1기억수단에 출력하는 제2착오정정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를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제3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를 출력하는 제3착오정정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1기억 제어수단과, 상기 제3착오정정부호화 수의 출력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를 제1착오정정복호화수단에 출력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를 상기 제3패리티를 사용해서 착오정정복호화하고, 착오정정복호화한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를 제2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제1착오정정복호화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를 상기 제2패리티를 사용해서 착오정정복호화하는 제2착오정정복호화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타블록을 상기 제1패리티를 사용해서 착오정정복호화하는 제3착오정정복호화수단과, 소정의 방법에 따라서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을 소정의 방법으로 디포맷해서 출력하는 디포맷 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2기억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디지틀 데이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포맷수단은 입력된 데이터를 M1×N1×L 심볼의 크기인 제1데이터블록과 C1×N1×L심볼(C1은 자연수)의 크기인 제2데이터블록으로 분할하고, 제1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M1+M2, M1) 부호에 의한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2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M1+C1+M2+M3, M1+C1+M2)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3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N1+N2, N1)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기록수단은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제1패리티와 제2패리티와 제3패리티를 L개의 트랙으로 분할해서 기록하고, 재생수단은, L개의 상기 트랙으로부터의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를 재생하고, 제1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N1+N2, N1) 부호에 의한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2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상기 (M1+C1+M2+M3, M1+C1+M2)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3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상기 (M1+M2, M1) 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은 (M1+C1+M2+M3)개의 상기 제3부호어를 차례로 1개의 트랙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제1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1개의 제1착오정정부호화에 의한 제1부호어의 요소가 전부 다른 제2착오정정부호화수단에 의한 제2부호어의 요소에 배치되도록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1부호어의 요소와 제2부호어의 요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트랙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L-1)의 번호를 붙이고, 트랙내의 제3부호어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M1+C1+M2+M3-1)의 번호를 붙이고, 상기 제3부호어의 요소에 기록하는 순서로부터 0에서부터 (N1 + N2-1)의 번호를 붙이고, 제1부호어의 0에서부터 (N1 × L-1)의 번호를 S라 붙이고, 상기 제1부호어의 요소에 차례로 0에서부터 (M1+M2-1)의 번호를 붙이고, S번째의 상기 제1부호어의 T번째의 요소를 P번째의 상기 트랙의 Q번째의 상기 제3부호어의 R번째의 요소에 기록한다고 했을때,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P가 T에 정수 정수인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 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에 정수 정수인 D를 가산한 것이고, R은 T와 S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되도록 부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은 트랙의 선두에 데이터블록의 일부를 정보심볼로서 제3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1패리티를 정보심볼로서 제3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상기 제2데이터의 나머지를 정보심볼로서 제3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1패리티를 정보심볼로서 제3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2패리티를 정보심볼로서 제3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트랙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L-1)의 번호를 붙이고, 트랙내의 제3부호어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M1+M2+M3-1)의 번호를 붙이고, 상기 제3부호어의 요소에 기록하는 순서로부터 0에서부터 (N1 + N2-1)의 번호를 붙이고, 제1부호어의 0에서부터 (N1 × L-1)의 번호를 S라고 붙이고, 상기 제1부호어의 요소에 차례로 0에서부터 (M1+M2-1)의 번호를 붙이고, S번째의 상기 제1부호어의 T번째의 요소를 P번째의 상기 트랙에 Q번째의 상기 제3부호어의 R번째의 요소에 기록한다고 했을때,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P가 T에 정수 정수인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 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에 정수 정수인 D를 가산한 것이고, R은 T와 S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되도록 부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상기 데이터를 고정길이의 제1데이터블록과 제2데이터블록으로 분할하는 포맷수단과, 분할된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을 기억하는 제1기억수단과,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을 착오정정부호화를 해서 제1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1패리티를 상기 제1기억수단에 출력하는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를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제2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2패리티를 상기 제1기억수단에 출력하는 제2착오정정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를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제3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를 출력하는 제3착오정정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1기억 제어수단과, 상기 제3착오정정부호화 수의 출력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를 제1착오정정복호화수단에 출력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를 상기 제3패리티를 사용해서 착오정정복호화하고, 착오정정복호화한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를 제2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제1착오정정복호화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를 상기 제2패리티를 사용해서 착오정정복호화하는 제2착오정정복호화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을 상기 제1패리티를 사용해서 착오정정복호화하는 제3착오정정복호화수단과, 소정의 방법에 따라서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을 소정의 방법으로 디포맷해서 출력하는 디포맷 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2기억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디지틀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포맷수단은 입력된 데이터를 M1×N1×L 심볼의 크기인 제1데이터블록과 C1×N1×L심볼의 크기인 제2데이터블록으로 분할하고, 제1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M1+M2, M1) 부호에 의한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2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M1+C1+M2, M1+C1)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2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M1+C1+M2+M3, M1+C1+M2)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3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N1+N2, N1)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기록수단은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제1패리티와 제2패리티와 제3패리티를 L개의 트랙으로 분할해서 기록하고, 재생수단은, L개의 상기 트랙으로부터의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를 재생하고, 제1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N1+N2, N1) 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2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상기 (M1+C1+M2+M3, M1+C1+M2)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3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상기 (M1+C1+M2, M+C1) 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은 (M1+C1+M2+M3)개의 상기 제3부호어를 차례로 1개의 트랙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제1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1개의 제1착오정정부호화에 의한 제1부호어의 요소가 전부 다른 제2착오정정부호화수단에 의한 제2부호어의 요소에 배치되도록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1부호어의 요소와 제2부호어의 요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트랙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L-1)의 번호를 붙이고, 트랙내의 제3부호어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M1+C1+M2+M3-1)의 번호를 붙이고, 상기 제3부호어의 요소에 기록하는 순서로부터 0에서부터 (N1 + N2-1)의 번호를 붙이고, 제1부호어에 -0에서부터 (N1 × L-1)의 번호를 S라고 붙이고, 상기 제1부호어의 요소에 차례로 0에서부터 (M1+C1+M2-1)의 번호를 붙이고, S번째의 상기 제1부호어의 T번째의 요소를 P번째의 상기 트랙의 Q번째의 상기 제3부호어의 R번째의 요소에 기록한다고 했을때,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T가 M1과 정수 정수인 E보다 작을 때에는, P가 T에 정수 정수인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 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이고, R은 T와 S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T가 M1에 E를 가산한 것과 동등하거나 보다 클때에는 P는 T에 M2를 가산한 것에 D를 곱셉한 것과 S를 N1로 정수 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에 M2를 가산한 것이고, R은 T와 M2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되도록 부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은 선두에 제2데이터블록을 일부를 정보심볼로서 제3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1데이터블록은 제3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2데이터블록의 나머지를 정보심볼로서 제3착오정정부호화에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1패리티를 정보심볼로서 제3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2패리티를 정보심볼로서 제3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트랙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L-1)의 번호를 붙이고, 트랙내의 제3부호어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M1+C1+M2+M3-1)의 번호를 붙이고, 상기 제3부호어의 요소에 기록하는 순서로부터 0에서부터 (N1 + N2-1)의 번호를 붙이고, 제1부호어에 0에서부터 (N1 × L-1)의 번호를 S라고 붙이고, 상기 제1부호어의 요소에 차례로 0에서부터 (M1+C1+M2-1)의 번호를 붙이고, S번째의 상기 제1부호어의 T번째의 요소를 P번째의 상기 트랙의 Q번째의 상기 제3부호어의 R번째의 요소에 기록한다고 했을때,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T가 M1과 정수 정수인 E보다 작을 때에는, P가 T에 정수 정수인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 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이고, R은 Q나 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T가 M1에 E를 가산한 것과 동등하거나 보다 클때에는 P는 T에 M2를 가산한 것에 D를 곱셉한 것과 S를 N1로 정수 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에 M2를 가산한 것이고, R은 T와 M2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되도록 부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상기 데이터를 고정길이의 제1데이터블록과 제2데이터블록과 제3데이타블록으로 분할하는 포맷수단과, 분할된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타블록을 기억하는 제1기억수단과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을 착오정정부호화를 해서 제1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1패리티를 상기 제1기억수단에 출력하는 제1착오정정부호화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를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제2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2패리티를 상기 제1기억수단에 출력하는 제2착오정정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2데이터블록을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제3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3패리티를 상기 제1기억수단에 출력하는 제3착오정정부호화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를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제4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와 상기 제4패리티를 출력하는 제4착오정정부호화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1기억제어수단과, 상기 제4착오정정부호화수단의 출력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와 상기 제4패리티를 제1착오정정복호화수단에 출력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를 상기 제4패리티를 사용해서 착오정정복호화하고, 착오정정복호화한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를 제2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제1착오정정복호화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를 상기 제2패리티를 사용해서 착오정정복호화하는 제2착오정정복호화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2데이터블록을 상기 제3패리티를 사용해서 착오정정복호화하는 제3착오정정복호화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을 상기 제1패리티을 사용해서 착오정정복호화하는 제4착오정정복호화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을 소정의 방법으로 디포맷해서 데이터로서 디포맷 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2기억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디지틀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포맷수단은 입력된 데이터를 M1×N1×L 심볼의 크기인 제1데이터블록과 D1×N1×L심볼(D1은 자연수)의 크기인 제2데이터블록과 C1×N1×L심볼의 크기인 제3데이터블록으로 분할하고, 제1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M1+D1+M2, M1+D1)부호에 의한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2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M1+C1+M2+M3, M1+C1+M2)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3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D1+D2, D1) 부호(D2는 자연수)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4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N1+N2,N1)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기록수단은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타블록과 제1패리티와 제2패리티와 제3패리티와 제4패리티를 L개의 트랙으로 분할해서 기록하고, 재생수단은, L개의 상기 트랙으로부터의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타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와 상기 제4패리티를 재생하고, 제1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N1+N2, N1) 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2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상기 (M1+C1+M2+M3, M1+C1+M2)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3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상기 (D1+D2, D1)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4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상기 (M1+D1+M2, M1+D1)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34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은 (D1+D2+M1+C1+M2+M3)개의 상기 제4착오정정부호화의 제4부호어를 차례로 1개의 트랙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35항에 있어서, 제1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1개의 제1착오정정부호화에 의한 제1부호어의 요소가 전부 다른 제2착오정정부호화수단에 의한 제2부호어의 요소 혹은 제3착오정정부호화수단에 의한 제3부호어의 요소에 배치되도록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1부호어의 요소와 제2부호어와 제3부호어의 요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36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트랙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L-1)의 번호를 붙이고, 트랙내의 제4부호어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D1+D2+M1+C1+M2+M3-1)의 번호를 붙이고, 상기 제4부호어의 요소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N1+N2-1)의 번호를 붙이고, 제1부호어에 0에서부터 (N1×L-1)의 번호를 S라고 붙이고, 상기 제1부호어의 요소에 차례로 0에서부터(D1+M1+M2-1)의 번호를 붙이고, S번째의 번째의 상기 제1부호어의 T번째의 요소를 P번째의 상기 트랙의 Q번째의 상기 제3부호어의 R번째의 요소에 기록한다고 했을때,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T가 D1보다 작을때에는, P가 T에 정수 정수인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 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이고, R은 Q와 C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때의 나머지이고, T가 D1과 등등하거나 보다 클때에는 P는 T에 D2와 정수정수인 E에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에 D2와 E를 가산한 것이고, R은 T의 D2와 E와 S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되도록 부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37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은 선두에 제2데이터블록을 정보심볼로서 제4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3패리티를 정보심볼로서 제4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3데이터블록의 일부를 정보심볼로서 제4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1데이타블록을 정보심볼로서 제4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3데이터블록의 나머지를 정보심볼로서 제4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1패리티를 정보심볼로서 제4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2패리티를 정보심볼로서 제4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38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트랙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L-1)의 번호를 붙이고, 트랙내의 제4부호어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D1+D2+M1+C1+M2+M3-1)의 번호를 붙이고, 상기 제4부호어의 요소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N1+N2-1)의 번호를 붙이고, 제1부호어에 0에서부터 (N1×L-1)의 번호를 S라고 붙이고, 상기 제1부호어의 요소에 차례로 0에서부터(D1+M1+M2-1)의 번호를 붙이고, S번째의 번째의 상기 제1부호어의 T번째의 요소를 P번째의 상기 트랙의 Q번째의 상기 제3부호어의 R번째의 요소에 기록한다고 했을때,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T가 D1보다 작을때에는, P가 T에 정수 정수인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 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이고, R은 Q와 C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때의 나머지이고, T가 D1과 등등하거나 보다 클때에는 P는 T에 D2와 정수정수인 E에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에 D2와 E를 가산한 것이고, R은 T의 D2와 E와 S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되도록 부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상기 데이터를 고정길이의 제1데이터블록과 제2데이터블록과 제3데이타블록으로 분할하는 포맷수단과, 분할된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타블록을 기억하는 제1기억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을 착오정정부호화를 해서 제1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1패리티를 상기 제1기억수단에 출력하는 제1착오정정부호화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를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제2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2패리티를 상기 제1기억수단에 출력하는 제2착오정정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2데이터블록을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제3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3패리티를 상기 제1기억수단에 출력하는 제3착오정정부호화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를 착오정정부호화해서 제4패리티를 생성하고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와 상기 제4패리티를 출력하는 제4착오정정부호화수단과, 상기 제1기억수단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1기억제어수단과, 상기 제4착오정정부호화수단의 출력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와 상기 제4패리티를 제1착오정정복호화수단에 출력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를 상기 제4패리티를 사용해서 착오정정복호화하고, 착오정정복호화한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를 제2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제1착오정정복호화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를 상기 제2패리티를 사용해서 착오정정복호화하는 제2착오정정복호화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2데이터블록을 상기 제3패리티를 사용해서 착오정정복호화하는 제3착오정정복호화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을 상기 제1패리티을 사용해서 착오정정복호화하는 제4착오정정복호화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데이터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터블록을 소정의 방법으로 디포맷해서 데이터로서 디포맷 수단과, 상기 제2기억수단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2기억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디지틀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포맷수단은 입력된 데이터를 M1×N1×L 심볼의 크기인 제1데이터블록과 D1×N1×L심볼의 크기인 제2데이터블록과 C1×N1×L심볼의 크기인 제3데이터블록으로 분할하고, 제1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C1+M1+D1+M2, C1+M1+D1)부호에 의한 트랙간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2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M1+C1+M2+M3, M1+C1+M2)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3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D1+D2, D1) 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4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N1+N2,N1)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기록수단은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타블록과 제1패리티와 제2패리티와 제3패리티와 제4패리티를 L개의 트랙으로 분할해서 기록하고, 재생수단은, L개의 상기 트랙으로부터의 상기 제1데이타블록과 상기 제2데이터블록과 상기 제3데이타블록과 상기 제1패리티와 상기 제2패리티와 상기 제3패리티와 상기 제4패리티를 재생하고, 제1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N1+N2, N1) 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2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상기 (M1+C1+M2+M3, M1+C1+M2)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3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상기 (D1+D2, D1)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고, 제4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상기 (C1+M1+D1+M2, C1+M1+D1)부호에 의한 착오정정부호화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40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은 (D1+D2+M1+C1+M2+M3)개의 상기 제4착오정정부호화의 제4부호어를 차례로 1개의 트랙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41항에 있어서, 제1착오정정부호화수단은, 1개의 제1착오정정부호화에 의한 제1부호어의 요소가 전부 다른 제2착오정정부호화수단에 의한 제2부호어의 요소 혹은 제3착오정정부호화수단에 의한 제3부호어의 요소에 배치되도록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1부호어의 요소와 제2부호어와 제3부호어의 요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42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트랙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L-1)의 번호를 붙이고, 트랙내의 제4부호어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D1+D2+M1+C1+M2+M3-1)의 번호를 붙이고, 상기 제4부호어의 요소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N1+N2-1)의 번호를 붙이고, 제1부호어에 0에서부터 (N1×L-1)의 번호를 S라고 붙이고, 상기 제1부호어의 요소에 차례로 0에서부터(D1+M1+M2-1)의 번호를 붙이고, S번째의 번째의 상기 제1부호어와 T번째의 요소를 P번째의 상기 트랙의 Q번째의 상기 제3부호어의 R번째의 요소에 기록한다고 했을때,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T가 D1보다 작을때에는, P가 T에 정수 정수인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 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T가 D1과 동등하거나 보다 크고, 또한 T가 D1과 M1과 정수 정수인 E를 가산한 것보다 작을 때에는, P는 T에 D2를 가산하고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 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에 D2를 가산한 것이고, R은 T와 D2와 S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T가 M2와 동등하거나 보다 클때에는 P는 T에 D2와 M2를 가산하고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에 D2와 M2를 가산한 것이고, R은 T와 D2와 M2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되도록 부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43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은 트랙의 선두에 제2데이터블록을 정보심볼로서 제4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3패리티를 정보심볼로서 제4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3데이터블록의 일부를 정보심볼로서 제4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1데이터블록을 정보심볼로서 제4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상기 제3데이터블록의 나머지를 정보심볼로서 제4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1패리티를 정보심볼로서 제4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고, 그후에 제2패리티를 정보심볼로서 제4착오정정부호화해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제42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트랙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L-1)의 번호를 붙이고, 트랙내의 제4부호어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D1+D2+M1+C1+M2+M3-1)의 번호를 붙이고, 상기 제4부호어의 요소에 기록하는 순서로 0에서부터 (N1+N2-1)의 번호를 붙이고, 제1부호어에 0에서부터 (N1×L-1)의 번호를 S라고 붙이고, 상기 제1부호어의 요소에 차례로 0에서부터(D1+M1+M2-1)의 번호를 붙이고, S번째의 번째의 상기 제1부호어와 T번째의 요소를 P번째의 상기 트랙의 Q번째의 상기 제3부호어의 R번째의 요소에 기록한다고 했을때, 제1착오정정부호화 수단은, T가 D1보다 작을때에는, P가 T에 정수 정수인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 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이고, R은 Q와 S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때의 나머지이고, T가 D1과 동등하거나 보다 크고, 또한 T가 D1과 M1과 정수 정수인 E를 가산한 것보다 작을 때에는, P는 T에 D2를 가산하고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 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에 D2를 가산한 것이고, R은 T와 D2와 S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T가 M2와 동등하거나 보다 클때에는 P는 T에 D2와 M2를 가산하고 D로 곱셈한 것과 S를 N1로 정수나눗셈한 것을 가산한 것을 L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이고, Q는 T에 D2와 M2를 가산한 것이고, R은 T와 D2와 M2를 가산한 것을 N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되도록 부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3-318031 | 1993-12-17 | ||
JP5318031A JPH07176149A (ja) | 1993-12-17 | 1993-12-17 | データ記録方法 |
JP93-319659 | 1993-12-20 | ||
JP5319659A JPH07176150A (ja) | 1993-12-20 | 1993-12-20 | 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0403A true KR950020403A (ko) | 1995-07-24 |
KR100257791B1 KR100257791B1 (ko) | 2000-06-01 |
Family
ID=2656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348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7791B1 (ko) | 1993-12-17 | 1994-12-17 | 디지틀데이터 기록재생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2) | US5638227A (ko) |
EP (1) | EP0658897A3 (ko) |
KR (1) | KR10025779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6020474A2 (en) * | 1994-12-23 | 1996-07-04 | Philips Electronics N.V. | A method and device for use with helical scan data recording by implementing a reed-solomon product code, a unitary medium comprising such data, and a cassette comprising such medium |
DE69630060T2 (de) * | 1995-07-14 | 2004-07-08 | Sony Corp. |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igitalen Daten und Aufzeichnungsmedium |
KR100243209B1 (ko) * | 1997-04-30 | 2000-02-01 | 윤종용 | 오류정정 능력을 개선한 디지털 기록/재생 장치와 그 방법 |
KR100259295B1 (ko) * | 1997-08-29 | 2000-06-15 | 구자홍 | 메모리 제어 장치 |
JPH11297000A (ja) * | 1998-04-03 | 1999-10-29 | Toshiba Corp | データ生成方法及びデータ生成装置 |
WO2000016260A1 (fr) * | 1998-09-11 | 2000-03-23 | Sony Corporation | Processeur de donnees et procede de conversion de sequences de donnees |
GB2380047A (en) * | 2001-09-21 | 2003-03-26 | Hewlett Packard Co | Data storage cartridge with sensor |
JP4116821B2 (ja) * | 2002-05-22 | 2008-07-0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パンツ型おむつ |
JP3745709B2 (ja) * | 2002-06-28 | 2006-02-15 |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 符号化装置、復号化装置、符号化方法、復号化方法、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データ記録媒体 |
US7475277B1 (en) * | 2005-11-10 | 2009-01-06 |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 Automated repair of damaged objects |
JP5045242B2 (ja) * | 2007-05-30 | 2012-10-10 |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 半導体メモリ、半導体メモリの動作方法およびシステム |
US8756473B1 (en) * | 2010-12-23 | 2014-06-17 | Sk Hynix Memory Solutions Inc. | Solid state device coding architecture for chipkill and endurance improvement |
JP5605238B2 (ja) * | 2011-01-25 | 2014-10-15 | ソニー株式会社 | メモリ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 |
US8615698B1 (en) * | 2011-09-28 | 2013-12-24 | Google Inc. | Skewed orthogonal coding techniques |
JP5942512B2 (ja) * | 2012-03-19 | 2016-06-29 | 富士通株式会社 | ストレージ制御装置およ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 |
US9183095B1 (en) | 2013-06-28 | 2015-11-10 | Sk Hynix Memory Solutions Inc. | Recovering from a program failure by combining write data |
US20150261603A1 (en) * | 2014-03-12 | 2015-09-17 | Kabushiki Kaisha Toshiba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08764A (en) * | 1986-09-05 | 1991-04-16 | Victor Company Of Japan, Ltd. | Rotary head type digital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with slow tape speed mode and improved tracking control |
JP2526875B2 (ja) * | 1986-11-05 | 1996-08-21 | ソニー株式会社 | デイジタル情報記録装置 |
NL9100218A (nl) * | 1991-02-07 | 1992-09-01 | Philips Nv | Encodeer/decodeer-schakeling, alsmede digitaal video-systeem voorzien van de schakeling. |
US5432800A (en) * | 1991-10-29 | 1995-07-11 | Hitachi, Ltd.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signals |
US5369641A (en) * | 1991-11-12 | 1994-11-29 |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errors in data on magnetic tape media |
US5392299A (en) * | 1992-01-15 | 1995-02-21 | E-Systems, Inc. | Triple orthogonally interleaed error correction system |
-
1994
- 1994-12-15 US US08/356,907 patent/US5638227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12-16 EP EP94309441A patent/EP0658897A3/en not_active Withdrawn
- 1994-12-17 KR KR1019940034802A patent/KR10025779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
- 1997-02-03 US US08/790,848 patent/US5856890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57791B1 (ko) | 2000-06-01 |
EP0658897A2 (en) | 1995-06-21 |
EP0658897A3 (en) | 1996-02-14 |
US5856890A (en) | 1999-01-05 |
US5638227A (en) | 1997-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50020403A (ko) | 디지틀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 |
US5592497A (en) | Multitrack record carrier having digital data reversibly stored thereon as error protected product codewords | |
KR920000164B1 (ko) | 에러 정정 방법 및 장치 | |
SK200985A3 (en) | Information signal transmission with error-protection coding | |
US6216245B1 (en) | Error correction 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error correction decoding method apparatus thereof,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 |
KR880006643A (ko) | 디지탈 정보기록 및 재생방법과 그 장치 | |
KR890017668A (ko) | 디지탈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 |
US5194996A (en) | Digital audio recording format for motion picture film | |
KR860003574A (ko) | Pcm 신호의 기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970017494A (ko) | 데이터를 기록(전송)/재생(수신)하는 방법과 그에 대한 장치, 및 데이터 기록 매체 | |
JPH0232704B2 (ko) | ||
KR930005386A (ko) | 오류정정장치 | |
US7080293B2 (en) | Error correction coding method for a high-density storage media | |
KR860700309A (ko) | 광 카드의 기록 재생 장치 | |
JPS61145768A (ja) | 符号化デイジタル信号の記録及び再生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KR970701414A (ko) | 리드-솔로몬 곱셈 코드를 구현함으로써 나선형 스캔 데이터 기록에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이러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위 매체 및 이러한 매체를 포함하는 카세트(A method and device for use with helical scan data recording by implementing a reed-solomon product code a unitary medium comprising such data and a cassette comprising such medium) | |
KR840003505A (ko) | 다중의 가변속도에서의 오디오 메시지의 기록 및 기록재생 | |
KR20000076644A (ko) | 의사 프로덕트 코드 엔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방법 | |
NL8105336A (nl) | Werkwijze en inrichting, meer in het bijzonder stelsel, voor het redigeren van een impulscodegemoduleerd signaal. | |
KR940016014A (ko) | 디스크기록매체와 그 재생방법 및 장치 | |
JPS59198513A (ja) | デイジタル信号処理装置 | |
KR840003504A (ko) | 다중의 가변속도에서의 오디오 메시지의 기록 및 기록재생 | |
JPS592214A (ja) | デイジタル記録・再生装置 | |
KR0165266B1 (ko) |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음성신호 기록/재생 방법 및 그 장치 | |
JPS62271535A (ja) | デジタル信号処理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199809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803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1998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9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00209 Appeal identifier: 1998101004389 Request date: 19981229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2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8083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002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1999051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0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2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