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589B1 - Tape recorder - Google Patents
Tape recor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4589B1 KR940004589B1 KR1019860000444A KR860000444A KR940004589B1 KR 940004589 B1 KR940004589 B1 KR 940004589B1 KR 1019860000444 A KR1019860000444 A KR 1019860000444A KR 860000444 A KR860000444 A KR 860000444A KR 940004589 B1 KR940004589 B1 KR 9400045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use
- switch
- state
- tape recorder
- ta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13 gro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중요부의 일예를 도시하는 접속도.2 is a connec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mporta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7 : A/D, D/A 변환회로 8 : RAM7: A / D, D / A conversion circuit 8: RAM
9 : 어드레스 콘트롤러 12 : 테이프 구동용 모터9
17 : 포즈스위치17: pose switch
본 발명은 정보를 어떤 기간만 되풀이 하여 들을 필요가 있는 경우등에 사용하기에 알맞는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recorder suitable for use in cases where it is necessary to listen to information repeatedly on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포즈 조작에 의해 포즈 상태가 얻어지도록 이루어진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포즈 조작에 의해 포즈상태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헤드로부터의 재생신호가 A/D 변환되어서 기억되어 있는 반도체 메모리에서 정보를 독출하고, D/A 변환하여 재생하므로서 용이하게 어떤 기간의 정보를 되풀이하며 들을 수가 있도록 한것이다.A tape recorder configured to obtain a pause state by a pause operation, wherein the tape recorder is in a pause state and a read signal from the head is A / D converted to read information from a semiconductor memory stored therein, and the D / A By converting and playing back, it is easy to repeat information of a certain period.
테이프 레코더등에 있어서,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어떤 기간을 되풀이하여 들을 필요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중단에 있어서는 단순히 구동계 및 재생회로를 끊는 말하자면 전기 포즈 등이 사용된다.In a tape recorder or the like, it is sometimes necessary to temporarily stop a recorded signal and to listen to a certain period repeatedly. In the interruption, an electric pose or the like is simply used to cut off the drive system and the regeneration circuit.
그러나,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는, 예컨대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일시적으로 중단하여 어떠한 기간을 되풀이 하여 들을 경우에는, 일일히 플레이 상태에서 리뷰 상태를 전환되도륵 하고 있으며, 따라서 되감는 량이 일정하지 않고, 또한 조작전으로도 매우 번거로움 등의 결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ape recorder, for example, when the recorded signal is temporarily stopped and the user repeatedly listens to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review state may be switched from the play state to the play state, so the amount of rewinding is not constant. In addition, there was a defect such as very troublesome even before operation.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정량의 정보를 되풀이 하여 재생할 수가 있는 조작성이 뛰어난 테이프 레코더를 제공하는 것이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it is providing the tape recorder excellent in operability which can reproduce | regenerate a predetermined amount of information repeatedly.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레코더는, 테이프 구동용 모터로의 통전을 단절하는 포즈 스위치(17)의 조작에 의해 포즈상태가 얻어지도록 한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혜드로부터의 재생신호를 A/D 변환하는 변환수단(7)과,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기억하는 반도체 메모리(8)와, 이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독출되는 디지탈 신호를 D/A 변환하는 변환수단(7)과, 어드레스 콘트롤러(9)를 구비하고, 상기 포즈 스위치(17)의 조작에 의해 포즈상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반도체 메모리(8)에 기억된 디지탈 신호를 상기 D/A 변환하는 변환수단(7)에 의해 변환하고, 재생하도록 구성하고 있다.A tape reco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pe recorder in which a pause state is obtained by an operation of a
헤드로부터의 재생신호를 변환수단(7)의 A/D 변환부에서 A/D 변환하여, 이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어드레스 콘트롤러(9)의 지시에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8)의 소정의 위치에 기억한다. 그래서 포즈 스위치(17)의 조작에 의해 포즈상태로 됨과 동시에 어드레스 콘트롤러(9)의 지시에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8)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정보를 독출하고, 변환수단(7)의 D/A 변환부에서 D/A 변환하여 재생한다.A / D conversion of the reproduction signal from the head is performed in the A / D conversion section of the conversion means 7, and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memory 8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address controller 9. do. Thus, while in the pause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다음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제1도 및 제2도에 의거하여 설명을 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제1도는 본 실시예의 전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같은 도면에 있어서, (1)은 기록매체로서외 테이프, (2)는 기록재생헤드, (3)은 앰프, (4)는 스위치, (5)는 앰프, (6)은 스피커이다. 또한 (7)은 A/D 변환부 및 D/A 변환부로 이루어지는 A/D · D/A 변환회로, (8)은 반도체 메모리로서의 RAM, (9)는 어드레스 콘트롤러, (10)은 RAM(8)의 서입, 독출을 제어하는 스위치다. 통상의 재생상태에서는 앰프(3)로부터의 아나로그 신호가 변환회로(7)의 A/D 변환부에서 A/D 변환되고, 어드레스 콘트롤러(9)의 지시에 따라서 RAM(8)의 소정의 번지에 서입된다 그래서, 포즈상태에서는 RAM(8)의 내용이 어드레스 콘트롤러(9)의 지시에 따라서 독출되고, 변환회로(7)의 D/A 변환부에서 D/A 변환되어서 스위치(11)를 거쳐서 앰프(5)측으로 출력된다.FIG.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n which the numeral (1) denotes an external tape as a recording medium, (2) a recording / playing head, (3) an amplifier, (4) a switch, ( 5) is an amplifier and 6 is a speaker. 7 denotes an A / D-D / A conversion circuit comprising an A / D converter and a D / A converter, 8 is a RAM as a semiconductor memory, 9 is an address controller, and 10 is a RAM 8 ) This switch controls the writing and reading of). In the normal reproducing state, the analog signal from the
제2도는 테이프(1)의 구동계를 도시하는 것으로, 테이프 구동용 모터(12)가 설치되고, 모터(12)의 일단은 트랜지스터(13)의 콜렉터-에미터로를 거쳐서 직류전원(14)의 정극측에 접속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15)의 콜렉터-에미터로를 거쳐서 직류전원(14)의 부극측에 접속된다. 또한, 모터(12)의 타단은 트랜지스터(16)의 콜렉터-에미터로 및 포즈스위치(17)를 거쳐서 직류전원(14)의 정극측에 접속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18)의 콜렉터-에미터로를 거쳐서 직류전원(14)의 부극측에 접속된다. 포즈스위치(17)는 포즈 모드에서 개방하고, 그 이외에서는 폐쇄된 상태 그대로이다.2 shows a drive system of the tape 1, in which a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16), (18)의 각 콜렉터의 접속점 즉 모터의 타단에 접속되고, 모터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13), (15)의 각 콜렉터의 접속점 즉 모터의 일단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5)의 베이스는 단자(19)에 접속되고, 이 단자(19)에는 모드 속도 제어신호가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트랜지스터(18)의 베이스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0)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터(20)의 입력측에는 스위치(21)가 접속된다.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터(20)는 스위치(21)가 온되면 소정시간 T(모터(12), 프라이 휘일(도시하지 않음)등의 관성에 의한 테이프의 지나친 량에 해당)에서만 하이레벨 "H"을 이루는 펄스 신호를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트랜지스터(18), (13)가 온이 되도록 된다. 또한, 스위치 (4), (10), (11) (공히 제1도) 및 스위치 (11), (21)는 연동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통상의 동작(재생)상태에서는, 이들의 각 스위치는 도면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상태로 있으나, 포즈상태로 되면, 도면과는 역의 상태로 된다.The base of the
다음으로 제1도 및 제2도의 동작을 관련하여 설명을 한다.Next, the operation of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지금, 재생상태에서는 각 스위치는 도면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으므로, 트랜지스터(16), (15)가 온되고, 직류 전원(14)에서의 전류가 스위치(17), 트랜지스터(16)의 에미터-콜렉터로, 모터(12) 및 트랜지스터(15)의 콜렉터-에미터로를 거쳐서 흐른다. 이에 따라 테이프(1)가 이송되고, 이 테이프(1)에 맞닿는 헤드(2)에 의해 테이프(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독출되고, 앰프(3), 스위치(4) 및 앰프(5)를 거쳐서 스피커(6)로부터 방음된다.Now, in the regeneration state, since each switch is in the state shown in the figure, the
이때, 앰프(3)의 출력이 변환회로(7)에 공급되어서 그 A/D 변환부에 있어서 아나로그 신호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고, 어드레스 콘트롤러(9)의 지시에 따라서 RAM(7)의 소정의 번지에 서입된다.At this time, the output of the
다음으로 포즈 스위치(17)를 개방하여 포즈 상태로 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나머지의 각 스위치도 도면과는 역의 상태로 전환된다. 포즈 스위치(17)의 개방에 의해 트랜지스터(16), (15)가 오프되어 모터(12)의 회전도 정지한다. 그러나, 모터(2)나 프라이 휘일 등은 일반적으로 관성이 있으므로 즉석에서 정지하지 않고 약간 회동하여서 정지하게 된다. 즉, 관성에 따라서 소정의 량만큼 지나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포즈상태를 해제하여 재차 재생상태로 들어가면, 포즈 모드로 되어도 핀치 로울러가 캡스턴에 압압된 상태가 유지되는 방식에서는, 모터(12)등의 회동에 수반하여 테이프(1)도 그 지나친 량만큼 이동하게 되므로, 연결부에서 정보가 결략하게 된다. 거기에서, 포즈 스위치(17)의 개방과 동시에 스위치(21)를 폐쇄하여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터(20)로부터 상기한 지나친 량에 대응한 소정의 폭의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펄스 신호의 기간중 트랜지스터(18), (13)를 온시켜서 모터(12)에 통상의 재생상태와는 역의 방향의 전류를 통해서 모터(12)를 역전시키고, 테이프(1)를 지나친 량만큼 되돌려 주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포즈 전후의 연결부에 있어서 정보의 결락이 방지된다.Next, when the
또한, 포즈 스위치(17)가 개발된 포즈상태에서는, 스위치(4)가 개방하여 스위치(11)가 폐쇄하고, 스위치(10)가 접점 W측에서 R측으로 전환하므로, RAM(8)는 독출모드로 되고, 어드레스 콘트롤러(9)가 지시에 따라서 RAM(8)으로부터 포즈전의 소정 시간분 예컨대 10초분의 내용이 차례로 독출되어서 변환회로(7)에 공급된다. 그래서 그 D/A 변환부에 있어서 독출된 디지탈 신호가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스위치(11) 및 앰프(5)를 거쳐서 스피커(6)로부터 방음된다. 이때 포즈스위치(17)를 폐쇄하여 포즈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한, 어드레스 콘트롤러(9)에 의해 RAM(8)의 내용이 되풀이하여 계속 보내진다.In the pause state in which the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지 포즈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테이프 레코더에 포즈 상태로 됨과 동시에 반도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스피커 측에서 재생된 포즈 직전의 소정량의 지생음을 확실하게 되풀이 하여 열수가 있고, 조작도 간단하다. 또한, 포즈를 해제하므로서 테이프 레코더를 자동적으로 재생상태로 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water is reliably repeated in the tape recorder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pause switch, and at the same time, a predetermined amount of groin sounds immediately before the pause is reproduced by the speaker stored in the semiconductor memory. It is easy to operate. In addition, the tape recorder can be automatically put into the playback state by releasing the paus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60000444A KR940004589B1 (en) | 1986-01-24 | 1986-01-24 | Tape recor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5004 | 1985-02-12 | ||
KR1019860000444A KR940004589B1 (en) | 1986-01-24 | 1986-01-24 | Tape recor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06772A KR860006772A (en) | 1986-09-15 |
KR940004589B1 true KR940004589B1 (en) | 1994-05-25 |
Family
ID=19248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60000444A Expired - Lifetime KR940004589B1 (en) | 1986-01-24 | 1986-01-24 | Tape recor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40004589B1 (en) |
-
1986
- 1986-01-24 KR KR1019860000444A patent/KR94000458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06772A (en) | 1986-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30009531B1 (en) | Signal recording apparatus | |
KR940004589B1 (en) | Tape recorder | |
JPH0728617Y2 (en) | Recording / playback device | |
JP2548437Y2 (en) | Music tape cueing device | |
JPS6428562U (en) | ||
JPS5932027Y2 (en) | tape recorder | |
JPH0333953Y2 (en) | ||
JPS61184703A (en) | Tape recoder | |
JPH0528635Y2 (en) | ||
JPS647510Y2 (en) | ||
KR890002621Y1 (en) | Dubbing control circuit of double deck cassette recorder | |
JPH0430663Y2 (en) | ||
JPH01159288U (en) | ||
JPS63171473A (en) | Sound recording circuit for tape recorder | |
JPH0587883B2 (en) | ||
JPS63167475A (en) | Sound recording circuit for tape recorder | |
KR970050977A (en) |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when there is insufficient recording remaining of video tape | |
JPH0270555U (en) | ||
JPS6250912B2 (en) | ||
JPS62148999A (en) | Digital recorder | |
JPH06338131A (en) | Information-signal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er | |
JPH0164141U (en) | ||
JPH0536155A (en) | Recording operation control circuit for tape recorder | |
JPS62232U (en) | ||
JPS59218648A (en) |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01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0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60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4043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10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41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9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04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4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4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4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4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502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5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