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634B1 - Dry and Wet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Dry and Wet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60001634B1 KR860001634B1 KR1019840004331A KR840004331A KR860001634B1 KR 860001634 B1 KR860001634 B1 KR 860001634B1 KR 1019840004331 A KR1019840004331 A KR 1019840004331A KR 840004331 A KR840004331 A KR 840004331A KR 860001634 B1 KR860001634 B1 KR 8600016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vacuum
- air
- liquid
- canis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23—Recovery tanks
- A47L7/0028—Security means, e.g. float valves or level switches for preventing overflow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23—Recovery tanks
- A47L7/0038—Recovery tanks with means for emptying the tanks
Landscapes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소제기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진공소제기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the vacuum cleaner.
제 3 도는 진공소제기의 전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vacuum cleaner.
제 4 도는 진공소제기의 후면도.4 is a rear view of the vacuum cleaner.
제 5 도는 진공소제기의 저면도.5 is a bottom view of the vacuum cleaner.
제 6 도는 세로축을 따라 절취한 진공소제기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cleaner cut along the longitudinal axis.
제 7 도는 제 6 도에 도시된 덮개조립체의 전면도.7 is a front view of the lid assembly shown in FIG.
제 8 도는 중앙축선을 따라 취한 덮개조립체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ver assembly taken along the central axis,
제 9 도는 덮개 조립체의후면도.9 is a rear view of the lid assembly.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진공소제기 22 : 하우징20: vacuum cleaner 22: housing
24 : 캐니스터(canister) 28 : 송풍기24: canister 28: blower
33 : 모터 44 : 노즐33: motor 44: nozzle
46 : 저장실 50 : 도관46: storage room 50: conduit
52 : 입구 54 : 접촉영역52 entrance 54 contact area
56 : 여과기 58 : 배출구56 filter 58 outlet
60 : 전방구멍 . 62 : 후방구멍60: front opening. 62: rear hole
64 : 플래퍼밸브(flapper valve) 68 : 덮개64: flapper valve 68: cover
70 : 분할벽70: dividing wall
본 발명은 휴대용 진공소제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 및 액체 소제기를 조작하는 진공소제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rtable vacuum cleaners and more particularly to vacuum cleaners for operating air and liquid cleaners.
진공소제기는 평평한 표면에서 부스러기와 먼지를 제거하는 비교적 저효율을 요하는 상태와 같이 양탄자와 가구류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고효율에 걸친 여러상태에 사용되고 있다. 광범위한 소제작업에서 어떤 소제는 공기만을 사용하는 것이 양호하며, 다른 소제는 흡입작용에 의해 진공소제기로 흡입되는 물 또는 다른 소제액체를 사용하는 것이 양호하다.Vacuum cleaners are used in many high-efficiency conditions to remove debris from carpets and upholstery, such as those requiring relatively low efficiency to remove debris and dust from flat surfaces. In a wide range of cleaning operations, it is preferable to use air only for some cleaning agents, and to use water or other cleaning liquids which are sucked into the vacuum cleaner by suction.
액체 소제 매개물을 사용하면 진공소제기는 복잡한 구조로 된다. 따라서 액체로 인해 팬모터가 오염되는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소제공정을 완료한 상태에서 진공소제기로부터 액체소제기가 만들어져야 하며 또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설비가 만들어져야 한다. 덧붙여 소제기 팬의 흡입작용에 의해 구동되는 공기분류를 흡입하고 배출하여야 한다.Using a liquid cleaning medium, the vacuum cleaner becomes a complicated struc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fan motor from being contaminated by liquid. With the cleaning process completed, a liquid cleaning machine should be made from the vacuum cleaner and a facility should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In addition, the air stream driven by the suction action of the cleaning fan must be sucked in and discharged.
수동식 소제기는 정지식 소제기와 다르게 모터로부터 벗어나 액체소제 매개물의 방향이 중력만을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위치와 방향에 따라 놓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설비는 휴대용 진공소제기에 설치하기가 어렵다. 또한, 내부에 함유된 액체는 자루를 제거하면 누설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피륙 또는 제지로 만들어진 종래 진공소제기 자루는 사용하는 데 금지되어 있다.The manual cleaning device is difficult to install in a portable vacuum cleaner because, unlike a stationary cleaning machine, the liquid cleaning medium can be placed in various positions and directions without using gravity alone, away from the motor. In addition, since the liquid contained therein is likely to leak when the bag is removed,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bag made of paper or paper is prohibited from use.
따라서 진공소제기가 건·습식소제에 사용되는 상태에서 바람직하게 휴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acuum cleaner is not easily carried in a state where it is used for dry and wet cleaners.
상기 문제점은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송풍기를 사용하는 진공소제기로 극복되었고 다른 장점도 구비하였으며, 여기서 휴대조작이 가능하도록 바테리는 전기모터에 전력을 주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에 의해 액체소제 매개물과 오물은 진공에 의해 노즐을 통해 흡입되며 저장실에 축적된다. 저장실과 노즐은 모터와 팬을 구비하는 하우징에 안전하게 부착되고 제거되는 캐니스터의 단일 구조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액체와 오물은 하우징으로부터 캐니스터를 분리함으로써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캐니스터로부터 액체와 오물은 간단히 배출할 수 있다. 캐니스터는 여러번 재사용할 수 있도록 소제될 수 있는 단단한 플라스틱 물질로 양호하게 조립되어 있으므로 피륙 또는 제지자루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This problem has been overcome with vacuum cleaners using electrically driven blowers and has other advantages, where batteries are used to power electric motors to enable portab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cleaning medium and the dirt are sucked through the nozzle by a vacuum and accumulated in the storage chamber. The reservoir and nozzle are formed from a single structure of canister that is securely attached to and removed from the housing with the motor and fan. Thus, the liquid and the dirt can be easily disposed by separating the canister from the housing and the liquid and the dirt from the canister can be simply discharged. The canister is well assembled with a hard plastic material that can be cleaned for multiple reuses, eliminating the need for grounding or paper bags.
팬에 의해 발생된 부분진공은 노즐을 통해 저장실과 하우징내의 팬까지 흡입작용을 제공한다. 캐니스터와 하우징사이의 접촉 영역에는 공기가 하우징을 통과하는 동안에 하우징의 입구로부터 벗어나도록 액체를 굴곡시키기 위한 구조물이 구비되어 있다. 굴곡구조물은 노즐의 후방구멍에 유연한 부재를 구비하며, 유연한 부재는 후방구멍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굴곡될 때 저장실로 유체를 흡입시키기 위해 흡입력이 작용하는 동안을 제외하면 입구를 폐쇄하고 있다. 여과기는 하우징의 입구에 놓여 이물질을 여과하며 덮개는 여과기의 상단을 덮고 유연한 부재의 아래까지 연장하여 저장실의 중앙부분을 향해 액체와 오물의 굴곡을 도와 입구로부터 하우징까지 벗어나게 한다. 따라서, 수평위치에서 공기소제기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모든 액체는 실제로 저장실에 축적된다The partial vacuum generated by the fan provides suction through the nozzles to the pan in the reservoir and the hou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anister and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bending the liquid so that air escapes from the inlet of the housing while passing through the housing. The flexure structure has a flexible member in the rear hole of the nozzle, the flexible member closing the inlet except during the suction force to draw fluid into the storage chamber when it is bent out of the rear hole. The filter is placed at the inlet of the housing to filter foreign matter and the cover covers the top of the filter and extends below the flexible member to help the liquid and dirt bend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servoir, away from the inlet to the housing. Therefore, all liquids actually accumulate in the reservoir while using the air cleaner in the horizontal position.
공기 소제기가 수평위치가 아니고, 여과기에 대해 액체를 거부하는 충분한 각도로 놓이면, 약간의 액체는 여과기를 통해 팬으로 흡입된다. 그러나 팬의 후부에는 액체로부터 모터를 보호하는 배플(baffle)이 제공되어 있으며, 하우징에는 함유된 공기와 액체가 진공소제기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구멍이 배플의 전방에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는 진공소제기가 심하게 기울어져도 액체로부터 보호된다.If the air purifier is not in a horizontal position and is at a sufficient angle to reject the liquid against the filter, some liquid is drawn into the pan through the filter. However, the rear of the fan is provided with a baffle to protect the motor from liquid, and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hole in the front of the baffle to allow the contained air and liquid to be discharged out of the vacuum cleaner. The motor is thus protected from liquid even if the vacuum cleaner is tilted severely.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제 1 도 내지 제 9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소제기(20)를 도시하고 있다. 진공소제기(20)는 전단부에 고정된 캐니스터(24)와 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핸들(26)을 가진 중앙 하우징(22)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26)은 책상의 상단과 같은 평평한 표면에 있는 먼지와 같이 가구와 융단을 소제하기 위해 진공소제기(20)를 사용하는 사람의 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1 to 9 show a
하우징(22)은 팬 또는 임펠러 같은 송풍기(28)와 샤프트(32)에 의해 송풍기(28)에 연결된 전기모터(30)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30)에 의해 샤프트(32)가 회전하여 송풍기(28)를 회전시켜 부분진공을 만들며 이에 따른 흡입작용이 캐니스터(24)를 통해 하우징(22)내부로 공기를 흡입한다. 모터(30)는 하우징(22)내에서 골재(34)로 지탱되어 있으며, 골재(34)는 모터(30)주위에서 원주상으로 배치되어 하우징(32)의 내면에 접촉해 있다. 모터(30)는 바테리(36)로 동력을 얻는다. 스위치(38)는 핸들(26)의 상부면에 놓여 있으므로 진공소제기(20)를 이용하는 사람의 손으로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다. 스위치(38)를 조작하여 바테리(36)에서 모터(30)로 연결되는 전력을 제공하여 모터(30)를 구동시킨다. 또한 바테리 충전기(40)는 핸들(26)내부에 놓여 진공소제기(20)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바테리(36)를 재충전시킬 수 있으며, 바테리 충전기는 진공소제기가 사용되는 가정이나 또는 다른 장소에서 적절한 전선(도시하지 않음)으로 편리한 전력배출구에 연결된다. 전기도선(42)은 스위치(38)에 의해 모터(30)에서 바테리(36)를 연결하며 또한 바테리(36)에서 바테리 충전기(40)를 연결한다.The
본 발명의 특징은 캐니스터(24)가 노즐(44)과 노즐 아래에 배치된 저장실(46)과 일체로 되는데 있다. 저장실(46)은 흡입작용에 의해 진공소제기(20)로 흡입되는 어떤 액체 소제매개물을 수집하는데 사용된다. 캐니스터(24)는 스프링 클립조립체(48)에 의해 하우징(22)의 전단부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캐니스터(24)는 조작위치에서 캐니스터를 스프링으로 고착하는 형태로 된 유연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하우징(22)내부에서, 입구(52)를 가진 도관(50)은 캐니스터(24)로부터 송풍기(28)까지 흡입상태로 공기를 유지한다. 입구(52)는 하우징(22)과 캐니스터(24)사이의 접촉영역(54)에 위치해 있다. 공기여과기(56)는 입구(52)에 놓여 송풍기(28)를 향해 공기의 통로를 따라 하우징(22)내로 흡입되는 특정한 물질을 여과한다. 송풍기(28)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송풍기(28)를 통과하여 하우징(22)의 주변표면에 배치된 배출구(58)를 거쳐 하우징(22)으로부터 배출되며, 특히 하우징(22)의 바닥부분에서 여과기(56)와 송풍기(28)를 통하여 공기분류에 의해 흡입된 어떤 액체를 분출시킨다. 따라서, 송풍기(28)에 의해 발생된 흡인작용에 따라 공기는 전방구멍(60)에 있는 노즐(44)로 흡입하여 노즐(44)에서 후방구멍(62)을 거쳐 배출되어 저장실(46)로 들어가며, 그후 공기는 송풍기(28)에 의해 여과기(56)를 거쳐 도관(50)을 통과하여 배출구(58)를 거쳐 배출된다.Inside the
본 발명에 의해 진공소제기(20)는 플래퍼 밸브(64)와 덮개조립체(66)를 구비하며, 덮개조립체는 분할벽(70)으로부터 여과기(56)의 상단부분을 거쳐 하향으로 연장되는 덮개(68)를 구비한다. 플래퍼밸브(64)와 덮개(68)는 후방구멍(62)아래에서 저장실(46)의 위치와 협력하여 굴곡구조물(72)을 형성하여 저장실(46)내에서 액체를 굴곡시켜 입구(52)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송풍기(28)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노즐(44)를 거쳐 진공소제기로 흡입되는 공기와 액체를 분리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진공소제기(20)가 건식조작에 사용되느냐 또는 습식조작에 사용되느냐에 따라 공기가 진공소제기(20)로 흡입되거나 또는 공기와 액체가 흡입될 것이다. 진공소제기(20)가 건·습식상태에서 양호하게 조작되는 동안에, 본 발명은 노즐(44)을 거쳐 액체와 오물을 저장실(46)내로 공기를 따라 운반하는 물 또는 다른 솔벤트와 같은 액체소제 매개물을 이용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된다. 굴곡구조물(72)에 의해 플래퍼 밸브(64)와 덮개(68)는 후방구멍(62)으로부터 액체를 직접 낙하시켜 저장실(46)의 중심부분으로 향하게 하며 도관(50)의 입구(52)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따라서 진공소제기(20)가 실제로 수평위치로 유지되거나 또는 캐니스터(24)가 통상적으로 하향을 가리키는 위치로 진공소제기가 놓이면, 액체는 저장실(46)내에 축적되어 분할벽(70)의 하단부분에 대해 입구(52)의 바닥까지 상승한다. 입구의 바닥지점에서 저장실(46)은 충분히 채워져서 더이상 소제를 하기전에 액체를 비워야할 것으로 여겨질 것이다. 따라서, 캐니스터(24)는 스프링 클립조립체(48)에 의해(또는 마찰이 없는 변형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하우징(22)으로부터 분리되어 저장된 액체는 캐니스터(24)에서 유출된다.Depending on whether the
캐니스터(24)를 비우지 않고 소제를 계속하거나 또는 캐니스터(24)가 하우징(22)위로 상승하여 진공소제기(20)가 기울어지는 경우에 여과기(56)를 통해 액체가 흐르기 시작하여 액체는 도관(50)을 따라 공기분류를 거쳐 송풍기(28)의 날개로 흡입된다. 그러나 상기 상태에서도 모터(30)는 배출구(58)에 있는 배플판(74)에 의해 액체로부터 보호된다. 배플판(74)은 하우징(22)을 가로질러 모터(30)의 전방베어링(76)의 외측표면에 연결되어 모터(30)를 향하는 액체의 유동을 막으며 하우징(22)바닥에 있는 배출구(58)로 향하여 액체를 유동시킨다. 이에 의해, 저장실(46)내에 저장되지 않은 액체는 하우징(22)에서 배출구(58)를 지나 배출된다.If cleaning continues without emptying the
진공소제기(20)의 구조에 의하면, 하우징(22)은 대체로 원통형이며 하우징(22)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골재(78)를 구비하고 있다. 플래퍼 밸브(64)는 멤부레인같은 유연한 부재로 만들어져 상단 모서리가 노즐(44)의 벽에 매달려 내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덮개(68)는 부식에 강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덮개 (68)는 분할벽(70)으로부터 저장실(46)까지 연장하여 공기분류에 동반된 액체를 위해 적절한 유동통로를 제공하고 있다. 진공력은 플래퍼밸브(64)의 유연한 부재를 충분히 굴곡시켜 후방구멍(62)을 열어 유체를 통과 시킨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액체와 오물을 축적하는데 있어서, 또는 진공소제기(20)가 건식방법으로 사용되어 저장실(46)내에서 오물만을 축적하고 저장실(46)이 용이하게 비워져 소제되기 때문에 소제장치에서 사용되는 오물여과를 위한 섬유질 또는 제지자루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진공소제기(20)는 상기 자루를 사용하지 않고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용 가능하다.For accumulating liquids and dirt, or for the vacuum filtration used in the cleaning apparatus because th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정신과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숙련된 기술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changed by skilled techniqu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587227 | 1984-03-07 | ||
US587,227 | 1984-03-07 | ||
US06/587,227 US4536914A (en) | 1984-03-07 | 1984-03-07 | Wet-dry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6121A KR850006121A (en) | 1985-10-02 |
KR860001634B1 true KR860001634B1 (en) | 1986-10-15 |
Family
ID=2434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40004331A Expired KR860001634B1 (en) | 1984-03-07 | 1984-07-21 | Dry and Wet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JP (1) | JPS60188124A (en) |
KR (1) | KR860001634B1 (en) |
GB (1) | GB2155314B (en) |
HK (1) | HK83187A (en) |
MY (1) | MY100311A (en) |
PH (1) | PH22320A (en) |
SG (1) | SG54787G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72388B2 (en) | 2017-09-22 | 2023-06-13 | Sharkninja Operating Llc |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
US11687092B2 (en) | 2018-04-23 | 2023-06-27 | Sharkninja Operating Llc | Techniques for bounding cleaning operations of a robotic surface cleaning device within a region of interes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75936A (en) * | 1985-01-16 | 1987-06-30 | Rawlins Mark W | Liquid aspirator vacuum attachment |
GB2189382B (en) * | 1986-03-10 | 1989-11-08 | Continental Engineering Produc | A wet and dry vacuum cleaner |
JPS62246338A (en) * | 1986-04-18 | 1987-10-27 | 三洋電機株式会社 | Electric cleaner |
JPS6343627A (en) * | 1986-08-08 | 1988-02-24 | 三洋電機株式会社 | Electric cleaner |
JPH0795987B2 (en) * | 1986-08-08 | 1995-10-18 | 三洋電機株式会社 | Vacuum cleaner |
JPH07100051B2 (en) * | 1986-10-30 | 1995-11-01 | 三洋電機株式会社 | Vacuum cleaner |
JPH07100052B2 (en) * | 1987-01-13 | 1995-11-01 | 三洋電機株式会社 | Vacuum cleaner |
GB9300188D0 (en) * | 1993-01-06 | 1993-03-03 | Dexter Speciality Materials | Fibrous bonded sheet material |
SE0300355D0 (en) | 2003-02-10 | 2003-02-10 | Electrolux Ab | Hand held vacuum cleaner |
SE529683C2 (en) | 2006-03-24 | 2007-10-23 | Electrolux Abp | Handheld vacuum cleaner |
WO2007117197A1 (en) | 2006-04-10 | 2007-10-18 | Aktiebolaget Electrolux | A vacuum cleaner |
US20080040883A1 (en) | 2006-04-10 | 2008-02-21 | Jonas Beskow | Air Flow Losses in a Vacuum Cleaners |
SE531125C2 (en) | 2007-01-19 | 2008-12-23 | Electrolux Ab | Improvements in air flow losses in a vacuum cleaner |
WO2007117196A1 (en) | 2006-04-10 | 2007-10-18 | Aktiebolaget Electrolux | Vacuum cleaner with filter cleaning means |
EP2106231B1 (en) | 2007-01-23 | 2018-08-22 | Aktiebolaget Electrolux | Vacuum cleaner nozzle |
DE102013102726A1 (en) * | 2012-04-24 | 2013-10-24 |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 Suction attachment for a vacuum cleaner or vacuum cleaner with a suction attachment and cordless vacuum cleaner |
GB2620287B (en) * | 2022-06-29 | 2025-06-18 | Dyson Technology Ltd | A separation system for a vacuum cleaner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213481A (en) * | 1959-03-25 | 1965-10-26 | Regina Corp | Suction operated floor tool |
US3079626A (en) * | 1960-03-21 | 1963-03-05 | Bissell Inc | Combination electric vacuum cleaner and floor scrubber |
US3226758A (en) * | 1963-05-24 | 1966-01-04 | Electrolux Corp | Vacuum cleaners |
FR1452145A (en) * | 1965-07-16 | 1966-02-25 | Moulinex Sa | Improvements to devices comprising a motor-fan unit |
US3758914A (en) * | 1971-10-06 | 1973-09-18 | Whirlpool Co | Vacuum cleaner with movable handle structure |
JPS53109379U (en) * | 1977-02-08 | 1978-09-01 | ||
GB1602918A (en) * | 1977-11-05 | 1981-11-18 | Abra Investments Ltd | Apparatu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and the like |
CA1066005A (en) * | 1978-03-20 | 1979-11-13 | Fernand Lachance | Liquid aspirator |
US4209875A (en) * | 1978-08-11 | 1980-07-01 | Black & Decker, Inc. | Cordless vacuum cleaner bowl and filter system |
GB2038168B (en) * | 1978-12-19 | 1982-12-22 | Vax Appliances Ltd | Suction cleaning apparatus |
US4421964A (en) * | 1982-04-02 | 1983-12-20 | The Hoover Company | Remote switch actuation |
-
1984
- 1984-07-05 GB GB08417193A patent/GB2155314B/en not_active Expired
- 1984-07-16 PH PH30989A patent/PH22320A/en unknown
- 1984-07-21 KR KR1019840004331A patent/KR860001634B1/en not_active Expired
- 1984-07-23 JP JP59152754A patent/JPS60188124A/en active Granted
-
1987
- 1987-02-10 MY MYPI87000117A patent/MY100311A/en unknown
- 1987-06-24 SG SG547/87A patent/SG54787G/en unknown
- 1987-11-12 HK HK831/87A patent/HK83187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72388B2 (en) | 2017-09-22 | 2023-06-13 | Sharkninja Operating Llc |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
US11864714B2 (en) | 2017-09-22 | 2024-01-09 | Sharkninja Operating Llc |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
US11930988B2 (en) | 2017-09-22 | 2024-03-19 | Sharkninja Operating Llc |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
KR20240094001A (en) * | 2017-09-22 | 2024-06-24 |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
US12029375B2 (en) | 2017-09-22 | 2024-07-09 | Sharkninja Operating Llc |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
KR20240148946A (en) * | 2017-09-22 | 2024-10-11 |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
US12336681B2 (en) | 2017-09-22 | 2025-06-24 | Sharkninja Operating Llc |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
US11687092B2 (en) | 2018-04-23 | 2023-06-27 | Sharkninja Operating Llc | Techniques for bounding cleaning operations of a robotic surface cleaning device within a region of interes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GB2155314A (en) | 1985-09-25 |
MY100311A (en) | 1990-08-11 |
GB8417193D0 (en) | 1984-08-08 |
PH22320A (en) | 1988-07-29 |
KR850006121A (en) | 1985-10-02 |
GB2155314B (en) | 1987-03-11 |
JPS60188124A (en) | 1985-09-25 |
HK83187A (en) | 1987-11-20 |
JPH0153059B2 (en) | 1989-11-13 |
SG54787G (en) | 1987-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60001634B1 (en) | Dry and Wet Vacuum Cleaner | |
US4536914A (en) | Wet-dry vacuum cleaner | |
US4542557A (en) | Wet-dry vacuum cleaner | |
US6398834B2 (en) | Cyclone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 |
US5599401A (en) | Portable, hand-held, self-contained multi-surface, hydro-cleaning apparatus | |
US6532620B2 (en) | Cyclone dust collecting chamber for a vacuum cleaner | |
US7028369B2 (en) | Combination wet and dry type vacuum cleaner | |
US4894882A (en) | Portable vacuum cleaner | |
RU2328961C1 (en) | Vacuum cleaner (option) | |
KR100585692B1 (en) | Dust bucket of vacuum cleaner | |
EP2223644A2 (en) | Motor, fan and filter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 |
USRE33074E (en) | Wet-dry vacuum cleaner | |
GB2368516A (en) |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with removable dust receptacle | |
KR20020009359A (en) |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for Vaccum Cleaner | |
US4896396A (en) |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for steam cleaning | |
EP0215165A1 (en) | Wet-dry vacuum cleaner | |
EP1109481B1 (en) | Cyclone for suction cleaner | |
CN114190846B (en) | Sewage tank and floor cleaning machine | |
GB2608158A (en) | Vacuum cleaner | |
US9237835B2 (en) | Collecting apparatus of sucked materials for vacuum cleaner appliances | |
RU2262285C2 (en) | Vacuum cleaner with container | |
JPH07116096A (en) | Vacuum cleaner | |
JPH07111962A (en) | Vacuum cleaner | |
KR100751813B1 (en) | Dust bin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 |
KR0133761B1 (en) | Vacuum cleaner for wet-dry ty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407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4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407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60912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6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