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52199A - 광동 복합 단자함 - Google Patents

광동 복합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199A
KR20240052199A KR1020220131935A KR20220131935A KR20240052199A KR 20240052199 A KR20240052199 A KR 20240052199A KR 1020220131935 A KR1020220131935 A KR 1020220131935A KR 20220131935 A KR20220131935 A KR 20220131935A KR 20240052199 A KR20240052199 A KR 20240052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cable
splitter
copper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802686B1 (ko
Inventor
윤성진
김경수
Original Assignee
탈렌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탈렌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탈렌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1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02686B1/ko
Priority to US18/310,168 priority patent/US20240126033A1/en
Publication of KR20240052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02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026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2Cap coupling 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8Electro-opt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7Installation in buildings
    • G02B6/475Mechanical aspects of installing cables in ducts or the like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3Cassettes
    • G02B6/4454Cassettes with spl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7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st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광동 복합 단자함이 개시된다. 상기 광동 복합 단자함은 단자함 본체; 광 케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들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될 수 있는 인입 단자와, 복수의 케이블과 접속 가능한 복수의 출력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함 본체 내의 일측에 마련되는 스플리터(splitter); 및 상기 단자함 본체 내에서 상기 스플리터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광 케이블과 다른 신호를 형성하는 동 케이블과 접속 가능한 동 케이블 접속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동 복합 단자함{Fiber termination box}
본 발명은 광동 복합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별적으로 제작, 설치됐던 광 단자함과 동 단자함을 한 몸체로 구현함으로써 공사비 관련 또는 작업성 관련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광동 복합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광 단자함은 FTTH(Fiber to the home) 네트워크에서 광 섬유 링크들을 보호하고 분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박스 모양 제품을 의미한다. 최근 활발히 사용되는 추세다.
다만, 농촌에서는 아직도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VDSL(very high-bit rate digital subscriber line)을 일부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통신회사는 이러한 수요를 위해 광 단자함과 별도로 UTP(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동 단자함(구리선(CC) 통신선)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공사비가 이중으로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문헌 0001)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20-12011-0005160호(12011.05.2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개별적으로 제작, 설치됐던 광 단자함과 동 단자함을 한 몸체로 구현함으로써 공사비 관련 또는 작업성 관련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광동 복합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단자함 본체; 광 케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들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될 수 있는 인입 단자와, 복수의 케이블과 접속 가능한 복수의 출력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함 본체 내의 일측에 마련되는 스플리터(splitter); 및 상기 단자함 본체 내에서 상기 스플리터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광 케이블과 다른 신호를 형성하는 동 케이블과 접속 가능한 동 케이블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광동 복합 단자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스플리터가 설치되는 스플리터 케이스; 및 상기 스플리터 케이스가 탑재되며, 힌지의 작용으로 상기 스플리터 케이스를 회전시키는 스플리터 탑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플리터 탑재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단자함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광 케이블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코어 중 다른 하나와 다른 광 케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중 어느 하나와 융착된 케이블이 접속되는 융착 접속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플리터 및 상기 동 케이블 접속장치를 커버링할 수 있게 상기 단자함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함 본체의 양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슬라이딩 동작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단자함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개방 상태를 지지하는 회전식 커버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함 본체의 측벽에 마련되되 광동 케이블이 인입되는 복수 개의 케이블 인입부; 상기 케이블 인입부의 주변 받침부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 인입부로 인입되는 광동 케이블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케이블 홀더; 및 상기 단자함 본체의 배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함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 케이블 접속장치는, 상기 단자함 본체에 조립 가능한 조립부를 구비하는 장치 몸체; 상기 장치 몸체에 마련되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의 동 케이블이 접속되는 동 케이블 접속부; 및 상기 동 케이블 접속부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동 케이블들 간을 연결하거나 연결을 단락시키는 동 케이블 연결 단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 케이블 연결 단락부 하나당 2개의 동 케이블 접속부가 세트로 사용되되 상기 장치 몸체 상에 상기 동 케이블 연결 단락부와 상기 동 케이블 접속부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장치 몸체가 접지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동 케이블 접속부는, 통전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되 동 케이블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홈을 구비하는 동 케이블 접속단자; 외피 탈피 없이 동 케이블이 삽입 가능한 동 케이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장치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동 케이블이 상기 동 케이블 접속단자의 단자홈에 자리 배치되게 가이드하는 동 케이블 홀더; 및 상기 동 케이블 홀더와 상기 장치 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동 케이블 홀더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홀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 케이블 연결 단락부는, 비직선형 형상을 이루되 양측의 동 케이블 접속단자와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단락 가능한 단락부 단자; 상기 단락부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단락부 단자와 한 몸체를 이루며, 상기 장치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락부 케이스; 및 상기 단락부 케이스와 상기 장치 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단락부 케이스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단락부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단락부 케이스의 다운(down) 가압 시 상기 동 케이블 접속단자와 상기 단락부 단자가 연통되어 해당 동 케이블들이 연결되고, 상기 단락부 케이스의 업(up) 동작 시 상기 동 케이블 접속단자와 상기 단락부 단자 간의 연결이 강제로 단락될 수 있다.
상기 장치 몸체의 일측에 결합하며, 동 케이블의 정리를 가이드하는 동 케이블 정리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적으로 제작, 설치됐던 광 단자함과 동 단자함을 한 몸체로 구현함으로써 공사비 관련 또는 작업성 관련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동 복합 단자함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 케이블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동 복합 단자함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슬라이드 커버를 개방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스플리터 탑재 플레이트를 회전시킨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동 케이블 접속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동 케이블이 접속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서 동 케이블 홀더와 단락부 케이스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15는 동 케이블 접속단자와 단락부 단자 간의 배치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동 케이블 접속장치에 동 케이블을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은 동 케이블 접속장치의 접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동 케이블 접속단자와 단락부 단자가 단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동 복합 단자함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은 복수의 광동 복합 단자함(100-1, 100-2, ...)들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광동 복합 단자함(100-1, 100-2)이 도시되었으나, 실시 예에 따라 광동 복합 단자함들(100-1, 100-2)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다.
광동 복합 단자함(100-1, 100-2)은 광 섬유(Optical Fiber, OF1-1, OF1-2, OF1-n, OF2-1, OF2-2, .., OF2-m; n과 m은 자연수)를 집(H1, H2, 또는 Hn; n은 자연수), 또는 건물(B1, B2, 또는 Bm; m은 자연수)과 직접 연결하기 위해 이용되는 장치이다. 광 섬유(OF1-1, OF1-2, OF1-n, OF2-1, OF2-2, .., OF2-m)가 집(H1, H2, 또는 Hn), 또는 건물(B1, B2, 또는 Bm)과 직접 연결됨으로써 집(H1, H2, 또는 Hn), 또는 건물(B1, B2, 또는 Bm)은 다른 집(미도시), 또는 건물(미도시)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광동 복합 단자함(100-1, 100-2)은 일반적으로 통신주에 설치된다.
한편, 광동 복합 단자함들(100-1, 100-2)은 광 케이블(C1, C2, C3, ...)들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광 케이블(C1, C2, C3, ...)은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된다. 광 케이블(C1, C2, C3, ...)은 파이버 옵틱 케이블(fiber optic cable), 또는 옵틱 파이버 케이블(optic fiber cable) 등 다양한 용어로 호칭될 수 있다.
제1 광동 복합 단자함(100-1)은 제1 광 케이블(C1)과 제2 광 케이블(C2)을 서로 연결한다. 제2 광동 복합 단자함(100-2)은 제2 광 케이블(C2)과 제3 광 케이블(C3)을 서로 연결한다. 광동 복합 단자함(100-1, 또는 100-2)은 광 케이블들(C1과 C2, C2과 C3)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데이터가 더 멀리 전송될 수 있다. 광 케이블(C1)의 한쪽 끝은 제1 광동 복합 단자함(100-1)과 접속되고, 나머지 한쪽 끝은 다른 광동 복합 단자함(미도시)과 접속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광 케이블(C1, C2, C3, ...)은 광 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이 융합된 광-전력 복합 케이블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 케이블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 케이블(C1)은 복수의 코어들(cores; MC1~MC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코어들(MC1~MC6) 각각은 빛이 전송되는 영역이다.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코어들(MC1~MC6)의 개수와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동 복합 단자함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 5는 도 3에서 슬라이드 커버를 개방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스플리터 탑재 플레이트를 회전시킨 사시도, 도 8은 도 7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 도 10은 동 케이블 접속장치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동 케이블이 접속된 도면, 도 12는 도 10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배면도, 도 14는 도 12에서 동 케이블 홀더와 단락부 케이스를 제거한 도면, 도 15는 동 케이블 접속단자와 단락부 단자 간의 배치도, 도 16 및 도 17은 동 케이블 접속장치에 동 케이블을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 도 18은 동 케이블 접속장치의 접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동 케이블 접속단자와 단락부 단자가 단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광동 복합 단자함(100)은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광동 복합 단자함들(100-1, 100-2) 중 어느 하나이다. 복수의 광동 복합 단자함들(100-1, 100-2) 각각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광동 복합 단자함(100)은 단자함 본체(110)와 슬라이드 커버(120)를 포함한다.
단자함 본체(110)는 슬라이드 커버(120)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을 포함한다. 특히, 단자함 본체(110)에 스플리터(130, splitter)와 동 케이블 접속장치(200)가 마련된다. 따라서, 공사비 관련 또는 작업성 관련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스플리터(130)와 동 케이블 접속장치(200)의 설명에 앞서, 단자함 본체(110)의 구조를 살펴본다.
단자함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대략 박스(box) 형태의 구조물이다. 종래의 단자함은 보통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되었다. 따라서 설치 후 장시간이 지나면 자외선으로부터 플라스틱이 노후화가 진행되어 제품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광동 복합 단자함(100)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알루미늄 재질로 구현된 광동 복합 단자함(100)은 내구성이 플라스틱 재질보다 우수하고, 환경 규제에 대한 문제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단자함 본체(110)의 측벽에는 광동 케이블이 인입되는 복수 개의 케이블 인입부(111)가 마련된다. 케이블 인입부(111)는 예컨대 도 3처럼 광 케이블(C1,C2)이 인입되는 포트이다. 케이블 인입부(111)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것을 벗어나 얼마든지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케이블 인입부(111)의 개구에 외부 먼지, 또는 수분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케이블 인입부(111)의 주변 받침부(112)에는 케이블 인입부(111)로 인입되는 광동 케이블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케이블 홀더(113)가 마련된다. 케이블 홀더(113)는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광 케이블(C1)이 케이블 인입부(11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클램핑(clamping) 수단이다. 즉, 케이블 홀더(113)는 광 케이블(C1)이 케이블 인입부(111)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광 케이블(C1)을 고정한다. 케이블 홀더(113)는 케이블 타이 방식으로 조임 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다양한 두께의 케이블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단자함 본체(110)의 배면에는 단자함 고정부재(114)가 마련된다. 단자함 고정부재(114)는 위치별로 복수 개로 마련된다. 복수 개의 단자함 고정부재(114) 중에서 어느 한 단자함 고정부재(114)에는 고정홀(114a)이 형성된다. 고정홀(114a)은 제품을 걸거나 나사 조립하는 수단이다.
스플리터(130) 및 동 케이블 접속장치(200)의 설명에 앞서 슬라이드 커버(120)의 구조와 역할, 기능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슬라이드 커버(120)는 스플리터(130) 및 동 케이블 접속장치(200)를 커버링할 수 있게 단자함 본체(110)에 개폐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한다. 즉 도 3 및 도 4처럼 슬라이드 커버(120)가 단자함 본체(110)의 내부를 닫아 구성품들을 보호할 수 있고, 도 5 내지 도 8처럼 단자함 본체(110)의 내부를 열 수 있다. 슬라이드 커버(120) 역시, 단자함 본체(110)처럼 알루미늄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슬라이드 커버(120)가 단자함 본체(110)에 대하여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151)이 마련된다.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151)은 단자함 본체(110)의 양측면에 마련되며, 슬라이드 커버(120)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참고로, 종래 단자함(미도시)은 본 발명의 회전식 커버 지지대(153)와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았다. 종래기술에서는 커버(미도시)가 단자함 본체(미도시)에서 좌우 개폐되는 방식이라서 단자함 또는 단자함 내의 구성요소가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드 커버(1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단자함 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좌우 개폐 방식으로 인해 광동 복합 단자함, 또는 광동 복합 단자함 내부의 구성요소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한편, 단자함 본체(110) 내의 작업을 위해 도 5 내지 도 8처럼 슬라이드 커버(120)를 열었을 때, 열린 슬라이드 커버(120)가 임의로 닫히면 곤란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광동 복합 단자함(100)에 회전식 커버 지지대(153)가 마련된다. 회전식 커버 지지대(153)는 단자함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슬라이드 커버(120)의 개방 상태를 지지한다.
회전식 커버 지지대(153)는 단자함 본체(110)의 측벽에서 회전할 수 있다.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하여 회전식 커버 지지대(153)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식 커버 지지대(153)는 슬라이드 커버(120)가 임의대로 단자함 본체(110)로 흘러내리는 것, 즉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슬라이드 커버(120)가 열렸을 때, 작업자는 회전식 커버 지지대(153)가 위로 향하도록 돌려서 슬라이드 커버(100)가 임의로 단자함 본체(110)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플리터(130)는 광 케이블(C1)로 전송된 신호를 둘 또는 그 이상의 수신 장치로 분배하기 위해 광 케이블(C1)과 접속 가능한 장치이다. 스플리터(130)는 광 케이블(C1)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들(MC1~MC6) 중 어느 하나(예컨대, MC1)와 접속될 수 있는 인입 단자(134)와, 복수의 케이블들과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출력 단자(135)를 포함한다. 복수의 케이블들 각각은 패치 코드(patch code), 또는 드롭(drop) 케이블일 수 있다.
스플리터(130)는 전술한 것처럼 하나의 광선(light beam)을 여러 개의 광선으로 분리할 수 있다. 즉, 스플리터(130)는 하나의 광 케이블(C1)을 수신하고, 복수의 케이블들(예컨대, 도 4에서 OF1-1)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플리터(130)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내부의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광 케이블(C1)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들(MC1~MC6) 중 어느 하나(예컨대, MC1)는 스플리터(130)의 인입 단자(134)와 접속하기 위해 코어(MC1)의 끝부분에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코어(MC1)의 끝부분에 커넥터가 연결됨으로써 코어(MC1)는 스플리터(130)의 인입 단자(134)와 접속할 수 있다.
스플리터(130)의 복수의 출력 단자(135)에는 복수의 케이블들(OF1-1)이 접속될 수 있다. 도 5에는 1개의 케이블(OF1-1)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더 많은 케이블이 스플리터(130)의 복수의 출력 단자(135)와 접속될 수 있다.
케이블(OF1-1)은 패치 코드, 또는 드롭 케이블일 수 있다. 케이블(OF1-1)은 집(H1, H2, 또는 Hn), 또는 건물(B1, B2, 또는 Bm)과 직접 연결하기 위해 이용되는 광 케이블이다. 패치 코드(OF1-1)는 점퍼 코드, 또는 광 섬유 등 다양한 용어로 호칭될 수 있다.
패치코드(OF1-1)와 광 케이블(C1)과의 차이점은 선의 굵기가 다르다. 또한, 패치코드(OF1-1)는 유연한 반면, 광 케이블(C1)은 딱딱하다. 광 케이블(C1)은 광동 복합 단자함들(100-1, 100-2)끼리 서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패치코드(OF1-1)는 집(H1, H2, 또는 Hn), 또는 건물(B1, B2, 또는 Bm)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패치코드(OF1-1)의 한쪽 끝은 스플리터(130)의 출력 단자(73, 또는 85)와 접속되며, 나머지 한쪽 끝은 집(H1, H2, 또는 Hn), 또는 건물(B1, B2, 또는 Bm)의 내부에 구현된 통신 장비와 접속될 수 있다.
패치코드(OF1-1)의 한쪽 끝은 스플리터(130)의 출력 단자(135)와 접속되며, 스플리터(130)의 인입 단자(134)는 광 케이블(C1)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들(MC1~MC6) 중 어느 하나(예컨대, MC1)와 접속된다. 스플리터(130)에 의해 광 케이블(C1)과 패치코드(OF1-1)는 서로 연결되므로, 광 케이블(C1)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패치코드(OF1-1)를 통해 집(H1, H2, 또는 Hn), 또는 건물(B1, B2, 또는 Bm)로 전송될 수 있다.
스플리터(130)의 출력 단자(135)와 접속된 케이블(OF1-1)은 단자함 본체(110)에 구현된 고정 클립(13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고정 클립(137)은 케이블(OF1-1)의 안정적인 외부 노출을 위해 패치 코드(OF1-1)를 고정하는 수단이다. 고정 클립(137)은 복수의 홈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플리터(130)는 스플리터 케이스(131)에 설치된다. 스플리터 케이스(131)는 힌지(132)의 작용으로 스플리터 케이스(131)를 회전시키는 스플리터 탑재 플레이트(133)에 탑재된다. 힌지(132)로 인해 스플리터 탑재 플레이트(133)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망실 위험이 없으며, 작업성이 높아진다.
스플리터 탑재 플레이트(133)에 대응하는 위치의 단자함 본체(110)에 융착 접속 트레이(140)가 마련된다. 융착 접속 트레이(140)는 광 케이블(C1)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들(MC1~MC6) 중 다른 하나(예컨대, MC2)와 다른 광 케이블(C2)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들(미도시) 중 어느 하나(미도시)와 융착된 케이블(C1, C2)이 저장된다.
실시 예에 따라 광 케이블(C1)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들(MC1~MC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들(예컨대, MC2~MC6) 각각과 다른 광 케이블(C2)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들(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들(미도시) 각각이 서로 융착될 수 있다. 광 케이블(C1)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들(MC1~MC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들(예컨대, MC2~MC6) 각각과 다른 광 케이블(C2)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들(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들(미도시) 각각이 서로 융착됨에 따라 하나의 케이블(C1, C2)이 생성된다. 하나의 케이블(C1, C2)은 제1 케이블(C1)의 부분과 제2 케이블(C2)의 부분을 포함한다.
광 케이블(C1)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들(MC1~MC6) 중 어느 하나(예컨대, MC1)은 스플리터(130)의 인입 단자(134)와 접속되며, 나머지 코어들(예컨대, MC2~MC6)은 다른 광 케이블(예컨대, C2)의 나머지 코어들과 융착될 수 있다.
융착 접속 트레이(140)는 융착된 케이블(C1, C2)을 저장하기 위해 이용된다. 단자함 본체(110)는 융착 접속 트레이(140)에 저장된 융착된 케이블(C1, C2)을 보호하기 위해 트레이 커버(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광 케이블(C2)은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의 관점에서 광 케이블(C1)을 통해 데이터가 인입되고, 인입된 데이터가 광 케이블(C2)을 통해 다른 곳으로 전송된다는 의미에서 케이블 인입부(111)과 출력 포트로 호칭하였으나, 케이블 인입부(111)는 포트, 또는 출력 포트로 호칭될 수채 있다. 유사하게 출력 포트(1100)는 포트, 또는 인입 포트로 호칭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케이블 인입부(111) 중 하나가 인입 역할, 다른 하나가 출력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동 케이블 접속장치(200)는 단자함 본체(110) 내에서 스플리터(130)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광 케이블(C1)과 다른 신호를 형성하는 동 케이블(CC, Cu Cable)과 접속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동 케이블 접속장치(200)가 없으면, 이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자함을 종전처럼 별개로 더 제작하고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단자함 본체(110) 내에 스플리터(130)와 더불어 동 케이블 접속장치(200)가 마련되기 때문에 공용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9를 주로 참조하면, 동 케이블 접속장치(200)는 장치 몸체(210), 동 케이블 접속부(230) 및 동 케이블 연결 단락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몸체(210)는 동 케이블 접속장치(200)의 외관 구조물이다. 동 케이블 접속부(230) 및 동 케이블 연결 단락부(240)가 장치 몸체(210)에 위치별로 복수 개 마련된다.
장치 몸체(210)가 단자함 본체(110)에 결합, 조립될 수 있도록 장치 몸체(210)에는 단자함 본체(110)에 조립 가능한 조립부(211)가 형성된다.
조립부(211)로 나사를 체결해서 장치 몸체(210)에 조립함으로써 간편하게 동 케이블 접속장치(20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굳이 동 케이블 접속장치(200)를 사용하지 않는 지역이라면 장치 몸체(210)에서 동 케이블 접속장치(200)를 제거할 수도 있다.
장치 몸체(210)의 일측에 결합하며, 동 케이블(CC)의 정리를 가이드하는 동 케이블 정리 가이드(220)가 마련된다.
동 케이블 정리 가이드(220)는 일측에 개구(220a)가 형성된 고리 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개구(220a)를 통해 동 케이블 정리 가이드(220) 내로 동 케이블(CC)을 밀어 넣으면 동 케이블(CC)이 주변으로 흩어지거나 서로 꼬이는 일 없이 정리가 잘 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 몸체(210)는 도 18처럼 접지 가능하게 마련된다. 때문에, 낙뢰 또는 이상 전류 발생 시 노면으로 전류를 접지할 수 있어서 제품 파손의 위험을 없앨 수 있다. 낙뢰 또는 이상 전류는 동 케이블 접속부(230)의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의 브릿지(231a)를 통해 장치 몸체(210)의 접지판(212)을 거쳐 그라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몸체(210) 내에는 전류가 통하는 재질의 접지판(212)이 내장되며,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의 브릿지(231a)는 접지판(212)에 접하게 마련된다.
동 케이블 접속부(230)는 장치 몸체(210)에 마련되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의 동 케이블(CC)이 접속되는 장소를 이룬다. 동 케이블 접속부(230) 하나에 2개의 동 케이블(CC)이 접속될 수 있다. 물론, 동 케이블 접속부(230) 하나에 하나의 동 케이블(CC)이 접속될 수도 있고, 혹은 3개 이상의 동 케이블(CC)이 접속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동 케이블 연결 단락부(240) 하나당 2개의 동 케이블 접속부(230)가 세트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동 케이블 접속부(230)는 12개, 동 케이블 연결 단락부(240)는 6개 마련된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예일 뿐, 이들 개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동 케이블 접속부(230)는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 동 케이블 홀더(233) 및 홀더 힌지(234)를 포함할 수 있다.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는 통전 가능한 재질, 예컨대 구리 재질로 제작된다.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에 동 케이블(CC)이 삽입되는 단자홈(23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에 2개의 단자홈(232)이 형성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에 브릿지(231a)가 형성된다. 브릿지(231a)는 단자홈(232)의 개수만큼 마련되며, 장치 몸체(210) 내의 접지판(212)과 통전되어 접지 기능을 담당한다.
동 케이블 홀더(233)는 장치 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동 케이블(CC)이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의 단자홈(232)에 자리 배치되게 가이드하는 수단이다. 동 케이블 홀더(233)는 사출물이다.
동 케이블 홀더(233)에는 동 케이블(CC)이 삽입 가능한 동 케이블 삽입홈(233a)이 형성된다. 동 케이블 삽입홈(233a)은 단자홈(232)의 개수만큼 마련된다. 이때, 동 케이블 삽입홈(233a)으로 삽입되는 동 케이블(CC)은 외피를 탈피할 필요가 없다.
홀더 힌지(234)는 동 케이블 홀더(233)와 장치 몸체(210)에 연결되며, 동 케이블 홀더(233)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도 16처럼 동 케이블 홀더(233)를 B1 방향으로 제친 후, 동 케이블 홀더(233)의 동 케이블 삽입홈(233a)에 동 케이블(CC)을 삽입한다. 이때는 동 케이블(CC)의 외피를 탈피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는 도 17처럼 동 케이블 홀더(233)를 B2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동 케이블(CC)이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의 단자홈(232)에 자리 배치되면서 통전, 즉 접속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는 동 케이블(CC)의 접속 작업 역시 쉽다.
동 케이블 연결 단락부(240)는 동 케이블 접속부(230)들 사이에 배치되며, 동 케이블(CC)들 간을 연결하거나 연결을 단락시키는 역할을 한다.
2개의 동 케이블 접속부(230) 사이에 하나의 동 케이블 연결 단락부(240) 1개가 배치되며, 이들이 세트로 사용된다. 동 케이블 연결 단락부(240)는 단락부 단자(241), 단락부 케이스(242) 및 단락부 힌지(243)를 포함할 수 있다.
단락부 단자(241)는 비직선형 형상을 이루되 양측의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와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단락 가능한 수단이다. 단락부 단자(241)는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처럼 예컨대 구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 양측의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 사이에서 이들에 선택적으로 통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단락부 단자(241)는 비직선형 형상, 예컨대 왕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단락부 단자(241)가 예컨대 왕관 형상으로 제작되고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 사이에 배치되는 형태라서 이들 간의 융착이 별도로 필요 없다. 즉 동 케이블(CC)이 연결된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가 왕관 구조의 단락부 단자(241)와 접해서 전류가 흐르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전처럼 동 케이블(CC)끼리 연결할 필요가 없다.
단락부 단자(241)의 작용 효과를 부연 설명한다. 도 19에서 예컨대 1개의 동 케이블(CC)은 통신사용이고, 다른 1개는 가입자용인 경우, 약정 중에는 통신사 동 케이블(CC)과 가입자 동 케이블(CC)을 연결하면 된다. 하지만, 약정이 해제되거나 사용이 중단되면 통신사 동 케이블(CC)과 가입자 동 케이블(CC)을 연결 해제해야 하는데, 이때 통신사 동 케이블(CC)은 굳이 뺄 필요는 없다. 이때는 도 19처럼 단락부 단자(241)를 들어 올려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와 분리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통신사 동 케이블(CC)과 가입자 동 케이블(CC)을 연결하고자 할 때도 어느 것이 어떠한 케이블인지 육안으로는 확인이 불가하다. 다만, 가입자 동 케이블(CC)과 달리 통신사 동 케이블(CC)에는 일정한 노이즈 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소음을 통해 해당 케이블을 확인할 수 있고, 필요시 가입자 동 케이블(CC)을 끼워 연결하면 된다.
단락부 케이스(242)는 단락부 단자(241)와 연결되고 단락부 단자(241)와 한 몸체를 이룬다. 단락부 케이스(242)는 단락부 단자(241)와 한 몸체를 이루기 위해 단락부 케이스(242)에는 단자 걸이부(242a)가 홀(hole)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단락부 단자(241)의 날개 플랜지(241a)의 단부 영역이 단락부 케이스(242)의 단자 걸이부(242a)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단락부 단자(241)를 도 19의 화살표처럼 업(up)시켜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와의 접속을 강제로 해제, 즉 단락시키려면 단락부 케이스(242)를 당겨야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의 작업의 편리해질 수 있게 단락부 케이스(242)의 양측에는 단락부 케이스(242)의 핸들링을 위한 손잡이부(242b)가 마련된다. 따라서, 별도의 공구 없이도 단자 간 해제 작업이 수월해진다.
단락부 힌지(243)는 단락부 케이스(242)와 장치 몸체(210)에 연결되며, 단락부 케이스(242)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수단이다.
이에, 단락부 케이스(242)를 다운(down) 가압하면 단락부 케이스(242)와 한 몸체로 된 단락부 단자(241)가 다운(down)되면서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와 단락부 단자(241)가 연통되어 해당 동 케이블(CC)들이 연결된다.
반대로, 단락부 힌지(243)의 작용으로 단락부 케이스(242)를 업(up) 동작시키면, 즉 들어 올리면 도 19의 화살표 방향으로 단락부 단자(241)가 업(up) 동작하기 때문에 동 케이블 접속단자(231)와 단락부 단자(241) 간의 연결이 강제로 단락될 수 있다. 이때는 종전처럼 동 케이블(CC)을 제거하지 않고서도 동 케이블(CC)들 간의 연결을 강제로 해제, 단락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별적으로 제작, 설치됐던 광 단자함과 동 단자함을 한 몸체로 구현함으로써 공사비 관련 또는 작업성 관련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좀 더 부연 설명한다.
첫째, 종전과 달리 슬라이드 커버(120)가 슬라이딩 동작하는 방식이라서 좌우 개폐 방식에 의한 단점인 풍속에 의해 문이 개폐되어 단자함 파손되거나 내부 장치가 손상되는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둘째, 1개의 단자함으로 광 케이블, 동 케이블을 동시에 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기존에 설치됐던 동 케이블(CC)을 굳이 제거하지 않더라도 동 케이블(CC)들 간의 연결을 강제로 해제, 단락시킬 수 있어 케이블 해제, 단락 작업이 편리하다.
넷째, 동 케이블(CC)의 접속 시 그 외피를 탈피할 필요가 없어서 동 케이블(CC)의 접속 작업이 편리하다.
다섯째, 단자함 접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상 전류로부터 제품을 보호할 수 있다.
여섯째, 광 케이블, 동 케이블 연결 시 조립성이 쉽고 간단하다.
일곱째, 외관 구조를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반영구적이며, 내구성이 우수하여 설치 운영 시 제품 변형 및 파손으로부터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시스템 100,100-1,100-2 : 광동 복합 단자함
110 : 단자함 본체 111 : 케이블 인입부
112 : 받침부 113 : 케이블 홀더
114 : 단자함 고정부재 120 : 슬라이드 커버
130 : 스플리터 131 : 스플리터 케이스
132 : 힌지 133 : 스플리터 탑재 플레이트
134 : 인입 단자 135 : 출력 단자
140 : 융착 접속 트레이 151 :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
153 : 회전식 커버 지지대 200 : 동 케이블 접속장치
210 : 장치 몸체 211 : 조립부
220 : 동 케이블 정리 가이드 230 : 동 케이블 접속부
231 : 동 케이블 접속단자 232 : 단자홈
233 : 동 케이블 홀더 234 : 홀더 힌지
240 : 동 케이블 연결 단락부 241 : 단락부 단자
242 : 단락부 케이스 243 : 단락부 힌지

Claims (5)

  1. 단자함 본체;
    광 케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들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될 수 있는 인입 단자와, 복수의 케이블과 접속 가능한 복수의 출력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함 본체 내의 일측에 마련되는 스플리터(splitter); 및
    상기 단자함 본체 내에서 상기 스플리터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광 케이블과 다른 신호를 형성하는 동 케이블과 접속 가능한 동 케이블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광동 복합 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가 설치되는 스플리터 케이스; 및
    상기 스플리터 케이스가 탑재되며, 힌지의 작용으로 상기 스플리터 케이스를 회전시키는 스플리터 탑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광동 복합 단자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탑재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단자함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광 케이블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코어 중 다른 하나와 다른 광 케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중 어느 하나와 융착된 케이블이 접속되는 융착 접속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광동 복합 단자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및 상기 동 케이블 접속장치를 커버링할 수 있게 상기 단자함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광동 복합 단자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본체의 양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슬라이딩 동작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단자함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개방 상태를 지지하는 회전식 커버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광동 복합 단자함.
KR1020220131935A 2022-10-14 2022-10-14 광동 복합 단자함 Active KR102802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935A KR102802686B1 (ko) 2022-10-14 2022-10-14 광동 복합 단자함
US18/310,168 US20240126033A1 (en) 2022-10-14 2023-05-01 Optical and copper composite terminal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935A KR102802686B1 (ko) 2022-10-14 2022-10-14 광동 복합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199A true KR20240052199A (ko) 2024-04-23
KR102802686B1 KR102802686B1 (ko) 2025-05-07

Family

ID=9062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935A Active KR102802686B1 (ko) 2022-10-14 2022-10-14 광동 복합 단자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126033A1 (ko)
KR (1) KR1028026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383U (ko) * 2007-11-30 2009-06-03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광단자함
KR20100121177A (ko) * 2009-05-08 2010-11-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단자함
KR20110005160A (ko) 2009-07-09 2011-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22045A (ko) * 2011-08-24 2013-03-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9160B2 (en) * 2006-05-23 2009-11-17 Corning Cable Systems Llc Enclosure for housing communications equipment
WO2016191094A1 (en) * 2015-05-27 2016-12-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ber management assemblies and network interface devices incorporating such assemblies
US20210195801A1 (en) * 2017-12-05 2021-06-24 NetComm Wireless Pty Ltd Distribution point unit (dpu) with improved thermal management and electrical isol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383U (ko) * 2007-11-30 2009-06-03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광단자함
KR20100121177A (ko) * 2009-05-08 2010-11-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단자함
KR20110005160A (ko) 2009-07-09 2011-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22045A (ko) * 2011-08-24 2013-03-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26033A1 (en) 2024-04-18
KR102802686B1 (ko) 202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79144C (en) Switching assembly for glass fibre cables of the telecommunication and data technology
US7668432B2 (en) Multi-drop closure systems and methods for fiber optic cabling
US8335429B2 (en) Network termination apparatus
US20110097052A1 (en) Fiber Access Terminal Mounted at a Mid-Span Access Location of a Telecommunications Cable
US9274285B2 (en) Optical fiber distribution cabinet for outdoor use
CN101627330A (zh) 壁装式配线设备
US10908374B2 (en) Fiber ribbon storage box
CN101571616A (zh) 一种光缆交接箱及箱内光纤的布线方法
CA2057483A1 (en) Optical fibre termination device
KR20200000013U (ko) 커넥터형 접속함체
KR20100121177A (ko) 광단자함
KR102802686B1 (ko) 광동 복합 단자함
KR200472023Y1 (ko) 커넥터형 접속함체
CN204758883U (zh) 一种多功能光纤配线架
CN209674061U (zh) 一种光纤配线架
CN218630286U (zh) 一种卧式可插拔光缆接续盒
CN206584098U (zh) 防光纤脱落式终端盒
KR20180028273A (ko) 커넥터형 접속함체
CN205404923U (zh) 一种新型光纤配线架
WO2013005884A1 (ko) 광케이블용 함체 구조
KR102549494B1 (ko) 슬라이딩 개폐 방식의 광분배함
CN206946048U (zh) 光缆转接设备
CN205103447U (zh) 一种通信光缆交接箱
KR20110005160U (ko) 광단자함
CN203054305U (zh) 一种用于fttx光通信网络中的光缆交接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