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983A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23983A KR20240023983A KR1020220106738A KR20220106738A KR20240023983A KR 20240023983 A KR20240023983 A KR 20240023983A KR 1020220106738 A KR1020220106738 A KR 1020220106738A KR 20220106738 A KR20220106738 A KR 20220106738A KR 20240023983 A KR20240023983 A KR 202400239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edge
- housing
- flexible display
- electronic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개시(disclosure)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 to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전자 장치는 점차 슬림화되어가고 있으며, 전자 장치의 강성이 증가되고, 디자인적 측면이 강화됨과 동시에 그 기능적 요소를 차별화시키기 위하여 개선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획일적인 장방형 형상에서 벗어나, 점차 다양한 형상으로 변모되어 가고 있다. 전자 장치는 휴대가 편리하면서,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변형 가능한 구조의 일환으로, 전자 장치는 서로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폴딩 가능한 하우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잦은 폴딩 동작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지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Electronic devices are gradually becoming slimmer, their rigidity is increasing, design aspects are being strengthened, and their functional elements are being improved to differentiate them. Electronic devices are moving away from the uniform rectangular shape and are gradually being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Electronic devices can be convenient to carry and have a deformable structure that can utilize a large screen display. For example, as part of a deformable structure,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foldable housings that operate in a folded or unfolded manner relative to each other. These electronic devices may require a support structure that can reduc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ue to frequent folding operations.
폴더블(foldable) 전자 장치는 힌지 장치(예: 힌지 구조 또는 힌지 모듈)와, 힌지 장치를 통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더블 전자 장치는 힌지 모듈을 통해 제1하우징이 제2하우징에 대하여 0도 ~ 360도의 범위를 가지고 회전됨으로써 인-폴딩(in-folding) 및/또는 아웃-폴딩(out-folding)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펼침 상태(unfolded state)에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받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으로 상면 및/또는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층들(예: 보호층, POL, 폴리머층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A foldabl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hinge device (e.g., a hinge structure or a hinge module) and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that are foldab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through the hinge device. there is. This foldable electronic device is capable of in-folding and/or out-folding by rotating the first housing in a range of 0 to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using through the hinge module. It can work. The foldabl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flexible display disposed to be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in an unfolded state. Such a flexible display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yers (eg, a protective layer, POL, polymer layer, or at least one functional layer) disposed on the upper and/or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상면에 적층된 보호층(예: 윈도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은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적층된 글래스층(예: UTG, ultra thin glass) 및 글래스층 상에 적층된 폴리머층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폴딩 동작에 따라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경계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한 폴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은 전자 장치가 접히고 펼쳐지는 동작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보호층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폴딩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접히고, 펼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야 하나, 폴리머층과 같은 보호층의 일부는 소손 변형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소손 변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의 좌우측에서, 폴딩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육안으로 식별되는 주름 영역(crease area)의 형성을 유발할 수 있다. 예컨대, 주름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면품질이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시인됨으로써 전자 장치의 신뢰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잦은 폴딩 동작에 따라 폴딩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보호층간의 층간 박리로 인한 불량이 초래될 수 있다.Meanwhile, a flexible display may include a protective layer (eg, window layer)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The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 glass layer (eg, UTG, ultra thin glass) laminat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polymer layer laminated on the glass layer. The flexible display may include a folding area locat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ccording to the folding operation. The folding area can be deformed by the folding and unfolding mo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protective layer must be folded together with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ogether with the display panel in the unfolded state, but some parts of the protective layer, such as the polymer layer,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by burnout and deformation. It may not work. Such burnout deformation may cause the formation of a crease area tha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olding axi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lding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and is visible to the naked eye. For example, wrinkle areas may cause the surface quality of the flexible display to deteriorate and be visible to the user, which may lower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onic device. Additionally, frequent folding operations may cause defects in the folding area due to delamination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protective layer.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면품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층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with a layered structure that can help improve surface quality.
다양한 실시예들은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내구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can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that can help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flexible display eve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다만,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may be expand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하우징과, 힌지 장치를 통해, 폴딩축을 기준으로, 제1하우징과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제2하우징 및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층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보호층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층된 제1층과, 제1층에 적층된 제2층과, 제2층에 적층된 제3층 및 제3층의 상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제3층의 두께는 제2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that is foldab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with respect to a folding axis through a hinge device, and is arranged to be supported by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 may include a flexible display including a display panel and a protective layer laminated on the display panel. The protective layer of the flexible display includes a first layer laminated on the display panel, a second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layer, a third layer laminated on the second layer, and a coating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layer, The thickness of the third layer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보호층의 전체 두께를 유지하면서 서로 적층된 다층의 보호층들을 포함하여, 잦은 폴딩 동작에 따른 보호층의 소손 변형을 감소시킴으로써 주름 영역 형성을 감소시키고, 면품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층간 박리와 같은 불량 현상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 multiple protective layers stacked on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thereby reducing the formation of wrinkle areas by reducing burnout deformation of the protective layer due to frequent folding operations. It can help improve cotton quality and reduce defective phenomena such as delamination between layers.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effects that can be directly or indirectly identified through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도 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unfolding state)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folding state)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라인 6-6을 따라 바라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FIG. 1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illustrating a flat state or unfolding st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B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front of an electronic device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C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back of an electronic device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illustrating a folding st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illustrating an intermediate st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5A is a plan view of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B is a rear view of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viewed along line 6-6 of FIG. 1A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7A to 7E are cross-sectional views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unfolded state)를 전면 및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들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folded state)를 전면 및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들이다. 1A and 1B are front and rear views of an unfolded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S. 2A and 2B are front and rear views of the folded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a 내지 도 2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서로에 대하여 접힘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400, 400-1))(예: 힌지 모듈 또는 힌지 구조)를 통해 폴딩축(F)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들(210, 220)(예: 폴더블 하우징 구조), 한 쌍의 하우징들(210, 220)을 통해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230)(예: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제2하우징(220)을 통해 배치된 제2디스플레이(300)(예: 서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400, 400-1))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배치되고, 펼침 상태에서, 접힘 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하우징(310)(예: 힌지 커버)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제1디스플레이(230)가 배치된 면은 전자 장치(200)의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전면의 반대면은 전자 장치(200)의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은 전자 장치(200)의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1A to 2B,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하우징들(210, 220)은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400, 400-1))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하우징들(210, 220)은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은 폴딩축(F)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폴딩축(F)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일치하도록 접힐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은 폴딩축(F)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접힐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은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unfolded state)인지, 접힘 상태(folded state)인지, 또는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pair of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210)은 전자 장치(200)의 펼침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400, 400-1))에 연결되며, 전자 장치(2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면(211), 제1면(2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면(212), 및/또는 제1면(211)과 제2면(212) 사이의 제1공간(210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측면 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하우징(220)은 전자 장치(200)의 펼침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400, 400-1))와 연결되며, 전자 장치(2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3면(221), 제3면(22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4면(222), 및/또는 제3면(221) 및 제4면(222) 사이의 제2공간(220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측면 부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면(211)은, 펼침 상태에서 제3면(2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접힘 상태에서 제3면(221)과 마주보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의 구조적 결합을 통해 제1디스플레이(23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리세스(20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세스(201)는 제1디스플레이(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210)은, 제1디스플레이(23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제1측면 부재(213)와 결합되고, 제1디스플레이(230)의 가장자리와 중첩 배치됨으로써, 제1디스플레이(230)의 가장자리가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커버하는 제1보호 프레임(213a)(예: 제1장식 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보호 프레임(213a)은 제1측면 부재(21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하우징(220)은, 제1디스플레이(23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제2측면 부재(223)와 결합되고, 제1디스플레이(230)의 가장자리와 중첩 배치됨으로써, 제1디스플레이(230)의 가장자리가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커버하는 제2보호 프레임(223a)(예: 제2장식 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보호 프레임(223a)은 제2측면 부재(22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보호 프레임(213a)과 제2보호 프레임(223a)은 생략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하우징(310)(예: 힌지 커버)은,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400, 400-1))의 일부(예: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 하우징(310)은, 전자 장치(200)의 펼침 상태, 접힘 상태 또는 중간 상태에 따라,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하우징(310)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에 의해 가려져 실질적으로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가 접힘 상태인 경우, 힌지 하우징(310)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 사이에서,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인 경우, 힌지 하우징(310)은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 사이에서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에서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 하우징(310)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적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 하우징(310)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hinge housing 310 (e.g., a hinge cover) is disposed between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예: 도 1a 및 도 1b의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은 약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제1디스플레이(230)의 제1영역(230a), 제2영역(230b) 및 폴딩 영역(230c)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루며, 실질적으로 동일 방향(예: z 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210)은 제2하우징(220)에 대하여 약 360도의 각도로 회동하여 제2면(212)과 제4면(222)이 마주보도록 반대로 접힐 수도 있다(out folding 방식).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가 접힘 상태(예: 도 2a 및 도 2b의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210)의 제1면(211) 및 제2하우징(220)의 제3면(221)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디스플레이(230)의 제1영역(230a)과 제2영역(230b)은 폴딩 영역(230c)를 통해, 서로 좁은 각도(예: 0도 ~ 약 10도 범위)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딩 영역(230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가 중간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은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디스플레이(230)의 제1영역(230a)과 제2영역(230b)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폴딩 영역(230c)의 곡률은 접힘 상태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고, 펼침 상태보다 클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은,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400, 400-1))를 통해,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 사이의 지정된 폴딩 각도에서 멈출 수 있는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free stop 기능). 어떤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은,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400, 400-1))를 통해, 지정된 변곡 각도를 기준으로, 펼쳐지는 방향 또는 접히는 방향으로, 가압받으면서 지속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하우징(210) 및/또는 제2하우징(22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30, 300), 입력 장치(215), 음향 출력 장치(227, 228), 센서 모듈(217a, 217b, 226), 카메라 모듈(216a, 216b, 225), 키 입력 장치(219), 인디케이터(미도시 됨) 또는 커넥터 포트(22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30, 300)는, 제1하우징(210)의 제1면(211)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400, 400-1))를 통해 제2하우징(220)의 제3면(221)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230)(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제2하우징(220)의 내부 공간에서 제4면(222)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되는 제2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디스플레이(300)는 제1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에서 제2면(212)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디스플레이(230)는, 전자 장치(200)의 펼침 상태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2디스플레이(300)는, 전자 장치(200)의 접힘 상태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중간 상태의 경우,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의 폴딩 각도에 기반하여 제1디스플레이(230)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300)를 사용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one display (230, 30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hinge device (e.g., hinge device (400, 400-1) of FIG. 3) from the first surface (211) of the first housing (210). ))) and a first display 230 (e.g. flexible display) disposed to be supported by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230)는, 한 쌍의 하우징들(210, 220)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디스플레이(200)는 한 쌍의 하우징들(210, 22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201)에 배치될 수 있으며, 펼침 상태에서, 전자 장치(200)의 전면의 실질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디스플레이(23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디스플레이(230)는 제1하우징(210)과 대면하는 제1영역(230a) 및 제2하우징(220)과 대면하는 제2영역(230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디스플레이(230)는 폴딩축(F)을 기준으로, 제1영역(230a)의 일부 및 제2영역(230b)의 일부를 포함하는 폴딩 영역(230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딩 영역(230c)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400, 400-1))와 대응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디스플레이(230)의 영역 구분은 한 쌍의 하우징(210, 220) 및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400, 400-1))에 의한 예시적인 물리적 구분일 뿐, 실질적으로 한 쌍의 하우징(210, 220) 및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400, 400-1))를 통해 제1디스플레이(230)는 이음매 없는(seamless), 하나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영역(230a)과 제2영역(230b)은 폴딩 영역(230c)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거나, 부분적으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하우징(210)의 제2면(212)에 배치되는 제1후면 커버(240) 및 제2하우징(220)의 제4면(222)에 배치되는 제2후면 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후면 커버(240)의 적어도 일부는 제1측면 부재(21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후면 커버(250)의 적어도 일부는 제2측면 부재(22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후면 커버(240) 및 제2후면 커버(250)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플레이트(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 또는 불투명한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후면 커버(240)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과 같은, 불투명한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후면 커버(250)는, 예를 들어, 글래스 또는 폴리머와 같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플레이트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디스플레이(300)는, 제2하우징(220)의 내부 공간에서, 제2후면 커버(250)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215)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215)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마이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향 출력 장치(227, 228)는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향 출력 장치(227, 228)는, 제2하우징(220)의 제4면(222)을 통해 배치되는 통화용 리시버(227) 및 제2하우징(220)의 제2측면 부재(223)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배치되는 외부 스피커(228)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215), 음향 출력 장치(227, 228) 및 커넥터(229)는 제1하우징(210) 및/또는 제2하우징(220)의 공간들에 배치되고, 제1하우징(210) 및/또는 제2하우징(22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하여 외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210) 및/또는 제2하우징(220)에 형성된 홀들은 입력 장치(215) 및 음향 출력 장치(227, 228)을 위하여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음향 출력 장치(227, 228)는 제1하우징(210) 및/또는 제2하우징(220)에 형성된 홀이 배제된 채, 동작되는 스피커(예: 피에조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16a, 216b, 225)은, 제1하우징(210)의 제1면(211)에 배치되는 제1카메라 모듈(216a), 제1하우징(210)의 제2면(212)에 배치되는 제2카메라 모듈(216b) 및/또는 제2하우징(220)의 제4면(222)에 배치되는 제3카메라 모듈(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제2카메라 모듈(216b) 근처에 배치되는 플래시(21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래시(218)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들(216a, 216b, 225)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들(216a, 216b, 225)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은 2개 이상의 렌즈들(예: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제1하우징(210) 및/또는 제2하우징(220)의 어느 한 면에 함께 배치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17a, 217b, 226)은, 전자 장치(2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217a, 217b, 226)은, 제1하우징(210)의 제1면(211)에 배치되는 제1센서 모듈(217a), 제1하우징(210)의 제2면(212)에 배치되는 제2센서 모듈(217b) 및/또는 제2하우징(220)의 제4면(222)에 배치되는 제3센서 모듈(226)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217a, 217b, 226)은 제스처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조도 센서, 초음파 센서, 홍채 인식 센서, 또는 거리 검출 센서(예: TOF(time of flight) 센서 또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지문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 센서는 제1하우징(210)의 제1측면 부재(213) 및/또는 제2하우징(220)의 제2측면 부재(223)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부재를 통해 배치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 장치(219)는, 제1하우징(210)의 제1측면 부재(21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키 입력 장치(219)는 제2하우징(220)의 제2측면 부재(22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상기 키 입력 장치(219)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219)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30, 300)상에 소프트 키와 같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키 입력 장치(219)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30, 300)에 포함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포트(229)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 USB 커넥터 또는 IF 모듈(interface connector port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커넥터 포트(229)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함께 수행하거나, 오디오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커넥터 포트(예: 이어잭 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들(216a, 216b, 225)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216a, 225), 센서 모듈들(217a, 217b, 226)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217a, 226) 및/또는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30, 300)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216a, 225),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217a, 226) 및/또는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210, 220)의 내부 공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30, 300)의 활성화 영역(display area) 아래에 배치되고, 커버 부재(예: 제1디스플레이(230)의 윈도우층(미도시 됨) 및/또는 제2후면 커버(250))까지 천공된 오프닝 또는 투명 영역을 통해 외부 환경과 접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30, 300)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216a, 225)이 대면하는 영역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의 일부로서 일정 투과율을 갖는 투과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과 영역은 약 5% ~ 약20% 범위의 투과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과 영역은 이미지 센서로 결상되어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광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216a, 225)의 유효 영역(예: 화각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30, 300)의 투과 영역은 주변 보다 픽셀의 밀도가 낮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은 오프닝을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216a, 225)은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UDC, under display camera) 또는 언더 패널 카메라(UPC, under panel camer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일부 카메라 모듈 또는 센서 모듈(217a, 226)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230, 300)(예: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216a, 225) 및/또는 센서 모듈(217a, 226)과 대면하는 영역은, UDC(under display camera) 구조로써, 천공된 오프닝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one camera module (216a, 225) among the camera modules (216a, 216b, 225), at least one sensor module (217a, 226) among the sensor modules (217a, 217b, 226), and /Or the indicator may be arranged to be exposed through at least one display (230, 300). For example, at least one camera module (216a, 225), at least one sensor module (217a, 226), and/or an indicator are displayed in the inner space of at least one housing (210, 220) and at least one display (230, 300). ), an opening or transparent area disposed below the active area (display area) and perforated up to the cover member (e.g., the window layer (not shown) of the
도 3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제1디스플레이(230)(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2디스플레이(300),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400, 400-1), 한 쌍의 지지 부재들(261, 262), 적어도 하나의 기판(270)(예: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제1하우징(210), 제2하우징(220), 제1후면 커버(240) 및/또는 제2후면 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23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430) 아래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디스플레이(230)는 지지 플레이트(450) 아래에 배치된 보강 플레이트(462)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보강 플레이트들(462)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30)은 제1디스플레이(230)의 제1영역(예: 도 1a의 제1영역(230a))과 대응하는 제1패널 영역(430a), 제1패널 영역(430a)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디스플레이(230)의 제2영역(예: 도 1a의 제2영역(230b))과 대응하는 제2패널 영역(430b) 및 제1패널 영역(430a)과 제2패널 영역(430b)를 연결하고, 제1디스플레이(230)의 폴딩 영역(예: 도 1a의 폴딩 영역(230c))과 대응하는 제3패널 영역(430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45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한 쌍의 지지 부재들(261, 262) 사이에 배치되고, 제1패널 영역(430a) 및 제2패널 영역(430b)을 위한 평면형 지지 구조 및 제3패널 영역(430c)에 굴곡성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굴곡 가능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소재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450)는 도전성 소재(예: 금속) 또는 비도전성 소재(예: 폴리머 또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 플레이트(462)는, 지지 플레이트(450)와 한 쌍의 지지 부재들(261, 262) 사이에서, 제1패널 영역(430a) 및 제3패널 영역(430c)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도록 배치된 제1보강 플레이트(4621) 및 제2패널 영역(430b) 및 제3패널 영역(430c)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도록 배치된 제2보강 플레이트(46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 플레이트(462)는 금속 소재(예: SUS)로 형성됨으로써, 제1디스플레이(230)를 위한 그라운드 연결 구조 및 강성 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지지 플레이트(450) 아래에 배치되고, 보강 플레이트(462)와 대체되거나, 지지 플레이트(450)와 보강 플레이트(462) 사이에 추가된 디지타이저(예: 도 4의 디지타이저(461))를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디스플레이(300)는 제2하우징(220)과 제2후면 커버(25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디스플레이(300)는 제2하우징(220)과 제2후면 커버(250) 사이의 공간에서, 제2후면 커버(250)의 실질적으로 전체 면적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 부재(261)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400, 400-1)를 통해 제2지지 부재(262)와 접힘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제1지지 부재(261)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400, 400-1)를 가로질러, 제2지지 부재(262)의 일부까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263)(예: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지지 부재(261)는 제1측면 부재(213)로부터 연장되거나, 제1측면 부재(213)와 구조적으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제1지지 부재(261)와 제1후면 커버(240)를 통해 제공된 제1공간(예: 도 1a의 제1공간(210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210)(예: 제1하우징 구조)은 제1측면 부재(213), 제1지지 부재(261) 및 제1후면 커버(240)의 결합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지지 부재(262)는 제2측면 부재(223)로부터 연장되거나, 제2측면 부재(223)와 구조적으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제2지지 부재(262)와 제2후면 커버(250)를 통해 제공된 제2공간(예: 도 1a의 제2공간(220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하우징(220)(예: 제2하우징 구조)은 제2측면 부재(223), 제2지지 부재(262) 및 제2후면 커버(250)의 결합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263)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400, 400-1)의 적어도 일부는 한 쌍의 지지 부재들(261, 262)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지지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263)는 제1지지 부재(261)로부터 폴딩축(F)을 가로질러 제2지지 부재(262)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263)는 폴딩축(예: y축 또는 도 1a의 폴딩축(F))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a portion of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기판(270)은, 제1공간(2101)에 배치된 제1기판(271) 및 제2공간(2201)에 배치된 제2기판(27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기판(271)과 제2기판(272)은 전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전자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기판(271)과 제2기판(272)은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263)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at least on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291, 29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291, 292)는 제1하우징(210)의 제1공간(2101)에 배치되고, 제1기판(27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배터리(291) 및 제2하우징(220)의 제2공간(2201)에 배치되고, 제2기판(27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지지 부재(261) 및 제2지지 부재(262)는 제1배터리(291) 및 제2배터리(292)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웰링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210)은 제1회전 지지면(21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하우징(220)은 제1회전 지지면(214)에 대응되는 제2회전 지지면(22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회전 지지면(214)과 제2회전 지지면(224)은 힌지 하우징(310)의 곡형의 외면과 대응되는(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회전 지지면(214)과 제2회전 지지면(224)은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하우징(310)를 가림으로써, 힌지 하우징(310)을 전자 장치(200)의 후면으로 노출시키지 않거나 일부만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회전 지지면(214)과 제2회전 지지면(224)은 전자 장치(200)가 접힘 상태인 경우, 힌지 하우징(310)의 곡형이 외면을 따라 회전하여 힌지 하우징(310)을 전자 장치(200)의 후면으로 적어도 일부 노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공간(220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7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76)는 제1공간(2201)에서, 제1배터리(291)와 제1후면 커버(24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76)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76)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측면 부재(213) 또는 제2측면 부재(223)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제 1 지지 부재(261)와 제2지지 부재(262)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공간(예: 도 1a의 제1공간(2101)) 및/또는 제2공간(예: 도 1a의 제2공간(220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 어셈블리(274, 275) 및/또는 추가적인 지지 부재들(263, 273)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 어셈블리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포트 어셈블리(274) 또는 스피커 어셈블리(275)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보강 플레이트(4621)와 제1지지 부재(261) 사이에 배치된 제1방수 부재(WP1)(a first waterproof member) 및 제2보강 플레이트(4622)와 제2지지 부재(262) 사이에 배치된 제2방수 부재(WP2)(a second waterproof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방수 부재(WP1)는, 제1보강 플레이트(4621)와 제1지지 부재(261)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방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방수 공간은 제1지지 부재(261)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예: 카메라 모듈 또는 센서 모듈)과 대응하는 영역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방수 부재(WP2)는 제2보강 플레이트(4622)와 제2지지 부재(262) 사이에서, 제2방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방수 공간은 제1디스플레이(230)의 배면으로 접히는 벤딩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2방수 공간은 제1디스플레이(230)의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연장되고, 배면으로 접히는 벤딩부(예: 도 4의 벤딩부(43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벤딩부(432)에 배치된 제어 회로(예: 도 4의 제어 회로(4321a))(예: DDI(display driver IC)) 및 복수의 전기 소자들(예: 도 5b의 전기 소자들(4322a))은 제2방수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외부의 수분 및/또는 이물질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후면 커버(240)와 제1하우징(210) 사이에 배치된 방수 테이프(2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제2후면 커버(250)와 제2하우징(220) 사이에 배치된 본딩 부재(251)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본딩 부재(251)는 제2디스플레이(300)와 제2하우징(22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방수 테이프(241)는 본딩 부재(251)로 대체되고, 본딩 부재(251)는 방수 테이프(241)로 대체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400, 400-1)는 폴딩축(F)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단에 배치된 제1힌지 장치(400) 및 타단에 배치된 제2힌지 장치(40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힌지 장치(400)와 제2힌지 장치(400-1)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제1힌지 장치(400)와 제2힌지 장치(400-1) 사이에 배치된 연결 모듈(40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모듈(400-2)은 적어도 하나의 기어들의 조합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조합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연결 모듈(400-2)은 제1힌지 장치(400)로 대체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400, 400-1)는 폴딩축(F)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1개소 또는 지정된 간격으로 3개소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장치(400, 400-1)를 통해 연결된 제1힌지 플레이트(311) 및 제2힌지 플레이트(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힌지 플레이트(311)는, 펼침 상태에서, 제1하우징(210)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힌지 플레이트(312)는, 펼침 상태에서, 제2하우징(220)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at least one hinge device (400, 400-1) includes a first hinge device (400) disposed at one 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olding axis (F) and a second hinge device (400) disposed at the other end. 400-1) may be included. In one embodiment, the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분리 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도 1a의 제1디스플레이(23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UB(unbreakable) type OLED 디스플레이(예: curved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OCTA(on cell touch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방식의 flat type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도 4를 참고하면, 제1디스플레이(230)(이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라 함)는 보호층(410)(예: 윈도우층), 보호층(410)의 배면(예: -z축 방향)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편광층(POL(polarizer))(420)(예: 편광 필름),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층(440), 지지 플레이트(450) 및 기능성 층(4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능성 층(460)은 디지타이저(461) 및/또는 보강 플레이트(46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 플레이트(462)는 제1하우징(예: 도 1a의 제1하우징(210))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보강 플레이트(4621) 및 제2하우징(예: 도 1a의 제2하우징(220))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보강 플레이트(4622))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보강 플레이트(46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지지 플레이트(450)와 보강 플레이트(462) 사이에 배치되는 디지타이저(46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디지타이저(461)는 제1하우징(예: 도 1a의 제1하우징(210))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디지타이저(4611) 및 제1디지타이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하우징(예: 도 1a의 제2하우징(220))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디지타이저(4612)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디지타이저(46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디지타이저(461)는 폴리머층(440)과 지지 플레이트(45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타이저(461)는, 전자 펜으로부터 인가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유전체 기판(예: 유전체 필름 또는 유전체 시트)상에 배치되는 코일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가 POL-less 디스플레이인 경우, 편광층이 생략되고, 그 위치에 투명한 보강층(예: 완충층)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폴리머 층(440) 및/또는 보강 플레이트(462)는 생략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폴리머 층(440)은 보강 플레이트(462)에 배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display 2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lexible display') is installed on the protective layer 410 (e.g., window laye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410 (e.g., -z-axis direction). It may include a polarizer (POL) 420 (e.g., a polarizing film), a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410)은 디스플레이 패널(430)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층(예: 도 6의 제1층(411)), 제2층(예: 도 6의 제2층(412)) 및 제3층(예: 도 6의 제3층(4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층(411)은 글래스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층(412) 및 제3층(413)은 폴리머(예: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I(polyimide) 또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폴리머로 형성된 층들(예: 제2층(412) 및 제3층(41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보호층(410)으로 허용되는 기준 두께의 범위내에서, 3개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층(413)은 상면에 코팅된 코팅층(예: 도 6의 코팅층(4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팅층(414)은 HC층(hard coating layer), 무반사/저반사(AR(anti reflection)/LR(low reflection)) 코팅층, 비산방지(SP(shatter proof)) 코팅층 또는 내지문(AF(anti fingerprint))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코팅층은 제2층(412)과 제3층(413)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층(411), 제2층(412) 및 제3층(413)은 점착제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적층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점착제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반응 접착제,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410), 편광층(420),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층(440) 및 지지 플레이트(450)는 제1하우징(예: 도 1a의 제1하우징(210))의 제1면(예: 도 1a의 제1면(211))과 제2하우징(예: 도 1a의 제2하우징(220))의 제3면(예: 도 1a의 제3면(221))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 플레이트(46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를 위한 강성을 제공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오동작 방지를 위한 그라운드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 플레이트(462)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 플레이트(462)는 SUS 또는 Al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층(410), 편광층(420),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층(440), 지지 플레이트(450) 및 보강 플레이트(462) 역시 점착제(또는 접착 부재)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0)은 복수의 픽셀들 및 배선 구조(예: 전극 패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광층(420)은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되고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편광층(42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30)에 배치된 픽셀 상에 편광 기능을 가지는 레드(R), 그린(G), 블루(B) 안료로 형성된 컬러 필터를 배치하여, 편광층(420)을 삭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광 기능을 가지는 컬러 필터를 적용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내부에는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광반사 차단층(예: BPDL(black pixel define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터치 패널(미도시 됨)을 포함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층(440)은 디스플레이 패널(430) 아래에 배치됨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시인성 확보를 위한 어두운 배경을 제공하고, 완충 작용을 위한 완충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방수를 위하여, 폴리머층(440)은 제거되거나, 지지 플레이트(450)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폴리머층(440)은, 지지 플레이트(450)가 불투명 소재로 형성될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4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에 굴곡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플레이트(45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지지하기 위한 리지드(rigid)한 특성을 갖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예: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또는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와 같은, 비금속 박판형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450)는 제1하우징(예: 도 1a의 제1하우징(110))과 대응되는 제1평면부(451), 제2하우징(예: 도 1a의 제2하우징(120))과 대응되는 제2평면부(452) 및 제1평면부(451)와 제2평면부(452)를 연결하는 플렉서블부(453)(flexible portion 또는 bending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부(453)는 굴곡성 향상을 위하여, 지지 플레이트(450)의 상면으로부터 배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오프닝들 및/또는 상면의 일부 및/또는 배면의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리세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부(453)는 복수의 오프닝들 중 적어도 일부 및/또는 복수의 리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의 크기, 형상 또는 배치 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굴곡 특성이 결정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450)는 SUS(steel use stainless)(예: STS(stainless steel)), Cu, Al 또는 금속 CLAD(예: SUS와 Al이 교번하여 배치된 적층 부재)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 플레이트(450)는, 아래에 배치된 디지타이저(461)의 검출 동작이 유도되도록, 복수의 오프닝들이 전체 면적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450)는 전자 장치(예: 도 1a의 전자 장치(100))의 강성 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주변 노이즈를 차폐하며, 주변의 열 방출 부품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폴리머층(440)과 지지 플레이트(450) 사이, 또는 지지 플레이트(450) 아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층(미도시 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층은 방열을 위한 그라파이트 시트, 포스터치 FPCB, 지문 센서 FPCB,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 또는 도전/비도전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층은 전술한 디지타이저(461) 및/또는 보강 플레이트(462)를 포함하는 기능성 층(460)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층은 굽힘이 불가능할 경우, 제1하우징(예: 도 1a이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예: 도 1a의 제2하우징(120))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 층은 굽힘이 가능할 경우, 제1하우징(예: 도 1a의 제1하우징(110))으로부터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140))을 통해 제2하우징(예: 도 1a의 제2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까지 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배면(예: -z축 방향)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접히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벤딩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벤딩부(432)는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연장되고 제어 회로(4321a)를 포함하는 연장부(4321)와, 연장부(43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전자 소자들을 포함하는 연성 기판(4322)(예: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4321a)는, 전기적 배선 구조를 갖는 연장부(4321)에 실장되는 DDI(display driver IC) 또는 TDDI(touch display dirver I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벤딩부(432)는, 제어 회로(4321a)가 연장부(4321)에 직접 배치되는 COP(chip on panel 또는 chip on plastic)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벤딩부(432)는, 제어 회로(4321a)가 연장부(4321)와 연성 기판(4322)을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 필름(미도시 됨)에 실장되는 COF(chip on film)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연성 기판(4322)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 소자들(예: 도 5b의 전자 소자들(4322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자 소자들은 touch IC, 디스플레이용 플래시 메모리, ESD 방지용 다이오드, 압력 센서, 지문 센서 또는 decap과 같은 수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연성 기판(4322)으로부터 연장되고,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의 기판(예: 도 3의 제2기판(2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FPCB 연결부(4323)(예: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벤딩부(432)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 중 제1하우징(예: 도 1a의 제1하우징(110))과 대면하는 영역에 배치될 경우, FPCB 연결부(4323)는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의 또 다른 기판(예: 도 3의 제1기판(2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각 층들(420, 430, 440, 450, 460)에 배치되고, 그 하측에 배치된 전자 부품(예: 카메라 장치)과 대응하는 영역에 천공된 오프닝들(4201, 4301, 4401, 4501, 4601, 4602)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30) 및/또는 편광층(420)은 천공된 오프닝이 불필요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지정된 두께 범위내에서, 점착제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적층된 복수의 층들(예: 도 6의 제1층(411), 제2층(412) 및 제3층(413))로 분할된 보호층(4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층들(예: 도 6의 제1층(411), 제2층(412) 및 제3층(413))로 분할된 보호층(410)은, 전자 장치(200)의 잦은 폴딩 동작에 의해 변형된 폴딩 영역이, 펼침 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폴딩 영역 주변에 발생되는 주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보호층(410)과 디스플레이 패널(430)간의 층간 박리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자 장치(200)의 신뢰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The
도 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도이다.5A is a plan view of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B is a rear view of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a 및 도 5b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도 1a의 제1디스플레이(23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제1길이를 갖는 제1에지(401)와, 제1에지(401)로부터 수직한 방향(예: x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길이를 갖는 제2에지(402)와, 제2에지(402)로부터 제1에지(401)와 평행한 방향(예: y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길이를 갖는 제3에지(403) 및 제3에지(403)로부터 제2에지(402)와 평행한 방향(예: -x 축 방향)으로 제1에지(401)까지 연장되고, 제2길이를 갖는 제4에지(4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에지(401)는 폴딩축(F)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길이는 제2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길이는 제2길이와 동일하거나, 제2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5A and 5B,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 및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상면에 적층된 보호층(4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제1에지(401)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연장되고 벤딩되는 방식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배면에 부착된 벤딩부(4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벤딩부(432)는 연장부(4321) 및 연장부(4321)로부터 연장된 연성 기판(4322) 및 연성 기판(4322)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연장된 FPCB 연결부(4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연장부(432)에 배치된 제어 회로(4321a) 및 연성 기판(4322)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 소자들(4322a)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벤딩부(432)는 제1에지(401)가 아닌, 제2에지(402), 제3에지(403) 또는 제4에지(404)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410)은, 지정된 보호층의 두께 범위내에서, 점착제를 통해 적층된 복수의 층들(예: 도 6의 제1층(411), 제2층(412) 및 제3층(413))을 포함함으로써, 지정된 보호층의 두께 범위내에서 하나의 층보다, 얇은 복수의 층들의 적층 구조를 통해, 폴딩 동작에 따른 변형된 영역이 펼침 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정도가 개선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주름 개선 및 면품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라인 6-6을 따라 바라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viewed along line 6-6 of FIG. 1A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제1측면 부재(213)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210), 제2측면 부재(223)를 포함하고,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400, 400-1))를 통해, 제1하우징(210)과 접힘 가능하는 연결된 제2하우징(220) 및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보호층(410), 보호층(410) 아래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층(440) 및 지지 플레이트(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4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에 굴곡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폴딩 영역(예: 도 1a의 폴딩 영역(230c))에 지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오프닝들을 포함하는 패턴(4531)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패턴(4531)은 외면보다 낮게 형성된 복수의 리세스들로 대체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패턴(4531)은 복수의 오프닝들과 복수의 리세스들이 혼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지지 플레이트(450) 아래에서, 폴딩 영역(230c)과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패턴(4531)의 복수의 오프닝들을 차단하기 위하여 배치된 차단 부재(blocking member)(45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부재(4532)는 지지 플레이트(450)에 부착된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 아래에 배치된 기능성 층(4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능성 층(46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 플레이트(450)에 점착제(P)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능성 층(460)은 디지타이저(예: 도 4의 디지타이저(461)) 및/또는 보강 플레이트(예: 도 4의 보강 플레이트(462))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와 하우징들(210, 220)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착 부재(471, 47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접착 부재(471, 472)는 기능성 층(460)과 제1하우징(210) 사이에 배치된 제1접착 부재(471), 및 기능성 층(460)과 제2하우징(220) 사이에 배치된 제2접착 부재(47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기능성 층(460)과 제1하우징(210) 사이 및/또는 기능성 층(460)과 제2하우징(220) 사이에서, 제1접착 부재(471)와 제2접착 부재(472)가 배치된 영역 이외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된 방열을 위한 그라파이트, 완충을 위한 완충 부재(예: 스폰지), 단차 보상을 위한 단차 보상 부재 및/또는 방수를 위한 방수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제1에지(401)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연장되고 벤딩되는 방식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배면에 부착된 벤딩부(4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벤딩부(432)는 연장부(4321) 및 연장부(4321)로부터 연장된 연성 기판(43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연장부(432)에 배치된 제어 회로(4321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4321a)는 벤딩부(432)와 연성 기판(4322)을 연결하도록 부착된 커버 테이프(4324)에 의해 형성된 밀폐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외부의 수분 및/또는 이물질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벤딩부(432)는 외면에 적층됨으로써 벤딩부(432)를 보호하는 벤딩부 보호층(4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410)은 디스플레이 패널(430)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층(411), 제2층(412) 및 제3층(4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층(411)은 글래스(glass)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층(412) 및 제3층(413)은 폴리머(예: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I(polyimide) 또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폴리머로 형성된 층들(412, 41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보호층(410)으로 허용되는 기준 두께의 범위내에서, 3개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층(411), 제2층(412) 및 제3층(413)은 점착제(P)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적층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점착제(P)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반응 접착제,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층 적층 구조로 형성된 각각의 폴리머 층들(예: 제2층(412) 및 제3층(413)) 각각은, 보호층(410)의 동일한 두께 범위내에서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 비교예의 폴리머층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폴딩 상태의 변형된 영역이 펼침 상태로 전환될 때,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정도가 개선될 수 있으며(예: 소손 변형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주름 개선 및 면품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층(410)은 제3층(413)의 외면에 적층된 코팅층(4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팅층(414)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시인성을 개선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지문 방지를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코팅층(414)은 HC층(hard coating layer), 무반사/저반사(AR(anti reflection)/LR(low reflection)) 코팅층, 비산방지(SP(shatter proof)) 코팅층 또는 내지문(AF(anti fingerprint))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제1에지(401)가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3층(413) 아래에 형성된 인쇄층(415)(예: 블랙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쇄층(415)은, 제3층(413)의 배면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제1에지(401) 및 벤딩부(432)와 중첩하는 폭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쇄층(415)은, 제3층(413)의 배면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제2에지(402), 제3에지(403) 및 제4에지(예: 도 5a의 제4에지(404))와 중첩하는 폭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Each of the polymer layers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팅층(414)의 형성에 의해 제3층(413)의 두께(t2)는 제2층(412)의 두께(t1)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층(413)의 두께(t2)는 80㎛를 넘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층(412)의 두께(t1)는 20㎛를 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층(412)의 두께(t1)와 제3층(413)의 두께(t2)는 동일할 수도 있다. 예컨대, 비교예의 폴리머로 형성된 하나의 보호층의 두께가 115㎛ 인 반면,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410)의 폴리머로 형성되고, 비교예의 보호층과 대응되는 제2층(412) 및 제3층(413)의 두께는, 동일한 조건에서, 점착층(35㎛)의 두께를 제외하고, 각각 25㎛ 및 55㎛로 설정됨으로써, 비교예 보다 상대적으로 얇고 복원력이 개선된(예: 소손 변형이 감소된) 폴리머층들 가질 수 있다. 이는 보호층의, 동일한 전체 두께를 가지면서, 복원력이 개선된 폴리머층들(412, 413)을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주름 개선 및 면품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thickness t2 of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층(41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제1에지(401)에서, 벤딩부(432)를 보호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벤딩부(432)와 중첩되도록 제2층(412)보다 제2측면 부재(223) 방향(예: - x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층(413)은, 제2에지(예: 도 5a의 제2에지(402)), 제3에지(403) 및 제4에지(예: 도 5a의 제4에지(404))에서, 전자 장치(200)의 슬림화를 위하여, 제2층(412)과 그 단부가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도 7a 내지 도 7e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7A to 7E are cross-sectional views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a 내지 도 7e의 전자 장치(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6의 전자 장치(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도 7a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점착제(P)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430)에 적층된 제1층(411)(예: 글래스 층), 제1층(411)에 적층된 제2층(412)(예: 폴리머 층) 및 제2층(412)에 적층된 제3층(413)(예: 폴리머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층(411)은, 제1에지(401)에서, 제2층(41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층(411)과 제2층(412)을 부착시키는 점착제(P)는 제1층(411)의 단부와 일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폴딩 동작 시, 벤딩부(432)와 제2층(412)간의 간섭 현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the
도 7b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점착제(P)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430)에 적층된 제1층(411)(예: 글래스 층), 제1층(411)에 적층된 제2층(412)(예: 폴리머 층) 및 제2층(412)에 적층된 제3층(413)(예: 폴리머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층(412)과 제3층(413)은, 제1에지(401)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벤딩부(432)와 중첩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층(412)과 제3층(413)은 그 단부가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쇄층(415)은, 벤딩부(432)와 더 가깝도록 제2층(412)의 배면에 배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제1에지(401)의 시인성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the
도 7c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보호층(410)의 상부에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필름(4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필름(416)은 연신 PET 또는 TPU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필름(416)은 오염되거나 훼손 시, 교체 가능하도록 접착 부재를 통해 보호층(410)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필름(416)의 상면에 형성된 코팅층(417)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보호 필름(416)에 형성된 코팅층(417)은 제3층(413)에 형성된 코팅층(414)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C, the
도 7d를 참고하면, 보호층(4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제3에지(403)에서, 제2층(412)의 에지와 제3층(413)의 에지가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층(410)은 제3층(413)의 에지가 제2층(412)의 에지보다 제1측면 부재(213)에 더 가깝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보호층(410)은 제2층(412)의 에지가 제3층(413)의 에지보다 제1측면 부재(213)에 더 가깝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층(412)의 에지와 제3층(413)의 에지가 서로 다른 배치 구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제2에지(예: 도 5a의 제2에지(402)) 또는 제4에지(예: 도 5a의 제4에지(404)) 중 적어도 하나의 에지에 적용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D, the
도 7e를 참고하면, 보호층(4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제1에지(401)에서, 벤딩부(432)와 중첩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보호층(410)의 제2층(412) 및 제3층(41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제1에지(401)에서, 벤딩부(432)가 보일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E ,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6의 전자 장치(200))는, 제1하우징(예: 도 6의 제1하우징(210))과,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400, 400-1))를 통해, 폴딩축(예: 도 6의 폴딩축(F))을 기준으로, 제1하우징과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제2하우징(예: 도 6의 제2하우징(220)) 및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6의 디스플레이 패널(430))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층된 보호층(예: 도 6의 보호층(410))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6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보호층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층된 제1층(예: 도 6의 제1층(411))과, 제1층에 적층된 제2층(예: 도 6의 제2층(412))과, 제2층에 적층된 제3층(예: 도 6의 제3층(413)) 및 제3층의 상면에 형성된 코팅층(예: 도 6의 코팅층(414))을 포함하고, 제3층의 두께(예: 도 6의 두께 t2)는 제2층의 두께(예: 도 6의 두께 t1)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n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층은 글래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layer may be formed of a glass material.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층 및/또는 상기 제3층은 폴리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layer and/or the third layer may be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층은 20㎛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layer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20 μm or mor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층은 80㎛ 이하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third layer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80 μm or les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제1길이를 갖는 제1에지와, 상기 제1에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길이를 갖는 제2에지와, 상기 제2에지로부터 상기 제1에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길이를 갖는 제3에지 및 상기 제3에지로부터 상기 제2에지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1에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길이를 갖는 제4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에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으로 벤딩된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flexible display includes a first edge having a first length, a second edge extending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from the first edge and having a second length, and a second edge extending from the second edge to the first edge. a third edg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edge and having the first length; and a fourth edge extending from the third edge to the first edg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edge and having the second length. And, the flexible display may include a bending portion, at the first edge, extending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bent to the back of the flexible displa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층은, 상기 제1에지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벤딩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third layer may be arranged to overlap at least the bending portion at the first edge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viewed from abov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층의 배면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제1에지 및 상기 벤딩부와 중첩하는 폭을 갖도록 배치된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rear surface of the third layer may include a printing layer arranged to have a width that overlaps at least the first edge and the bending portion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viewed from abov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층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제2에지, 제3에지 및 제4에지와 중첩하는 폭을 갖도록 배치된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inting layer may include a printing layer arranged to have a width that overlaps at least the second edge, third edge, and fourth edge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viewed from abov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층은, 상기 제2에지, 제3에지 및 제4에지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층과 그 단부가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third layer may be arranged so that its ends coincide with the second edge, third edge, and fourth edge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viewed from abov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층은, 상기 제1에지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층과 그 단부가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third layer may be arranged so that its end coincides with the second layer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viewed from above at the first edg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층의 배면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제1에지 및 상기 벤딩부와 중첩하는 폭을 갖도록 배치된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may include a printing layer arranged to have a width that overlaps at least the first edge and the bending portion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viewed from abov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은 점착제를 통해 서로 부착되고, 상기 점착제는 상기 제1층의 단부와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re attached to each other through an adhesive, and the adhesive may be disposed to match the end of the first layer.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은 HC층(hard coating layer), 무반사/저반사(AR(anti reflection)/LR(low reflection)) 코팅층, 비산방지(SP(shatter proof)) 코팅층 또는 내지문(AF(anti fingerprint))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ating layer is a hard coating layer (HC layer), an anti-reflection (AR)/low reflection (LR) coating layer, a shatter proof (SP) coating layer, or an anti-fingerprint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F (anti fingerprint) coating layer.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functional layer disposed below the display panel.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 층은 보강 플레이트 및/또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unctional layer may include a reinforcing plate and/or a digitizer.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층된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층된 제1층과, 상기 제1층에 적층된 제2층과, 상기 제2층에 적층된 제3층 및 상기 제3층의 상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층의 두께는 상기 제2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flexible display includes a display panel and a protective layer laminated on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protective layer includes a first layer laminat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second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layer. It includes a layer, a third layer laminated on the second layer, and a coating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hird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layer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제1길이를 갖는 제1에지와, 상기 제1에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길이를 갖는 제2에지와, 상기 제2에지로부터 상기 제1에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길이를 갖는 제3에지 및 상기 제3에지로부터 상기 제2에지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1에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길이를 갖는 제4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에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으로 벤딩된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flexible display includes a first edge having a first length, a second edge extending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from the first edge and having a second length, and a second edge extending from the second edge to the first edge. a third edg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edge and having the first length; and a fourth edge extending from the third edge to the first edg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edge and having the second length. And, the flexible display may include a bending portion at the first edge, extending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bent toward the back of the flexible display.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층은, 상기 제1에지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벤딩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third layer may be arranged to overlap at least the bending portion at the first edge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viewed from abov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층은, 상기 제2에지, 제3에지 및 제4에지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층과 그 단부가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third layer may be arranged so that its ends coincide with the second edge, third edge, and fourth edge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viewed from above.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as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Therefore, the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
200: 전자 장치
210: 제1하우징
220: 제2하우징
2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410: 보호층
411: 제1층(UTG, ultra thin glass
412: 제2층
413: 제3층
414: 코팅층
415: 인쇄층200: Electronic device 210: First housing
220: second housing 230: flexible display
410: Protective layer 411: First layer (UTG, ultra thin glass
412: 2nd layer 413: 3rd layer
414: coating layer 415: printing layer
Claims (20)
제1하우징;
힌지 장치를 통해, 폴딩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하우징과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층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층된 제1층;
상기 제1층에 적층된 제2층;
상기 제2층에 적층된 제3층; 및
상기 제3층의 상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층의 두께는 상기 제2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전자 장치.
In electronic devices,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foldab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through a hinge device, with respect to a folding axis; and
A flexible display disposed to be supported by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including a display panel and a protective layer laminated on the display panel,
The protective layer is,
a first layer laminated on the display panel;
a second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layer;
a third layer laminated on the second layer; and
It includes a coating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layer,
An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third layer is thicker than the second layer.
상기 제1층은 글래스 소재로 형성된 전자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layer is an electronic device formed of a glass material.
상기 제2층 및/또는 상기 제3층은 폴리머 소재로 형성된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cond layer and/or the third layer are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상기 제2층은 20㎛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전자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econd layer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20㎛ or more.
상기 제3층은 80㎛ 이하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전자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hird layer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80㎛ or les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제1길이를 갖는 제1에지;
상기 제1에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길이를 갖는 제2에지;
상기 제2에지로부터 상기 제1에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길이를 갖는 제3에지; 및
상기 제3에지로부터 상기 제2에지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1에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길이를 갖는 제4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에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으로 벤딩된 벤딩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lexible displays,
a first edge having a first length;
a second edg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edge and having a second length;
a third edge extending from the second edg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edge and having the first length; and
a fourth edge extending from the third edge to the first edg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edge and having the second length;
The flexible display includes, at the first edge, a bending portion that extends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is bent to a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상기 제3층은, 상기 제1에지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벤딩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된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third layer is arranged to overlap at least the bending portion at the first edge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viewed from above.
상기 제3층의 배면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제1에지 및 상기 벤딩부와 중첩하는 폭을 갖도록 배치된 인쇄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In clause 7,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printed layer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third layer to have a width that overlaps at least the first edge and the bending portion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viewed from above.
상기 인쇄층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제2에지, 제3에지 및 제4에지와 중첩하는 폭을 갖도록 배치된 인쇄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printing layer arranged to have a width that overlaps at least the second edge, third edge, and fourth edge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viewed from above.
상기 제3층은, 상기 제2에지, 제3에지 및 제4에지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층과 그 단부가 일치하도록 배치된 전자 장치.
In clause 7,
The third layer is arranged at the second edge, third edge, and fourth edge so that the ends of the second layer coincide with the flexible display when viewed from above.
상기 제3층은, 상기 제1에지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층과 그 단부가 일치하도록 배치된 전자 장치.
In clause 7,
The third layer is arranged so that an end of the third layer coincides with the second layer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viewed from above at the first edge.
상기 제2층의 배면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제1에지 및 상기 벤딩부와 중첩하는 폭을 갖도록 배치된 인쇄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printed layer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to have a width that overlaps at least the first edge and the bending portion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viewed from above.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은 점착제를 통해 서로 부착되고,
상기 점착제는 상기 제1층의 단부와 일치하도록 배치된 전자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re attached to each other through an adhesive,
The adhesive is disposed to match the end of the first layer.
상기 코팅층은 HC층(hard coating layer), 무반사/저반사(AR(anti reflection)/LR(low reflection)) 코팅층, 비산방지(SP(shatter proof)) 코팅층 또는 내지문(AF(anti fingerprint))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ating layer may be a hard coating layer (HC layer), an anti-reflection (AR)/low reflection (LR) coating layer, a shatter proof (SP) coating layer, or an anti-fingerprint (AF) coating layer.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coating layers.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functional layer disposed beneath the display panel.
상기 기능성 층은 보강 플레이트 및/또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use 15,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unctional layer includes a reinforcement plate and/or a digitizer.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층된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층된 제1층;
상기 제1층에 적층된 제2층;
상기 제2층에 적층된 제3층; 및
상기 제3층의 상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층의 두께는 상기 제2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In flexible displays,
display panel; and
Comprising a protective layer laminated on the display panel,
The protective layer is,
a first layer laminated on the display panel;
a second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layer;
a third layer laminated on the second layer; and
It includes a coating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layer,
A flexible display in which the third layer is thicker than the second layer.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제1길이를 갖는 제1에지;
상기 제1에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길이를 갖는 제2에지;
상기 제2에지로부터 상기 제1에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길이를 갖는 제3에지; 및
상기 제3에지로부터 상기 제2에지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1에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길이를 갖는 제4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에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으로 벤딩된 벤딩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7,
Flexible displays,
a first edge having a first length;
a second edg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edge and having a second length;
a third edge extending from the second edg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edge and having the first length; and
a fourth edge extending from the third edge to the first edg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edge and having the second length;
The flexible display includes a bending portion that extends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t the first edge and is bent to a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상기 제3층은, 상기 제1에지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벤딩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8,
The third layer is arranged to overlap at least the bending portion at the first edge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viewed from above.
상기 제3층은, 상기 제2에지, 제3에지 및 제4에지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층과 그 단부가 일치하도록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According to claim 18 or 19,
The third layer is arranged at the second edge, third edge, and fourth edge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 layer coincides with the flexible display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viewed from above.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3/011028 WO2024039103A1 (en) | 2022-08-16 | 2023-07-28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
EP23855073.5A EP4506928A1 (en) | 2022-08-16 | 2023-07-28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
US18/451,741 US20240061472A1 (en) | 2022-08-16 | 2023-08-17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20101978 | 2022-08-16 | ||
KR1020220101978 | 2022-08-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23983A true KR20240023983A (en) | 2024-02-23 |
Family
ID=9004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6738A Pending KR20240023983A (en) | 2022-08-16 | 2022-08-25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23983A (en) |
-
2022
- 2022-08-25 KR KR1020220106738A patent/KR20240023983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431055A1 (en) | Electronic device with structure to reduce damage to glass | |
KR102690272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ual display | |
US20230051260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 |
US12232286B2 (en) | Display module including cushion lay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 |
KR102710387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 |
US12141409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izer | |
US12169423B2 (en) | Flexible display module including shielding structure and waterproof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20078197A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discharge structure that connects static electricity to ground | |
KR20230023287A (en) | Flexible display module including shielding structure and waterproof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30017710A (en) | Digitiz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20250021132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 |
KR20230141388A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 |
EP4507279A1 (en) |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 |
KR20220099047A (en) | Electronic device with structure to reduce damage to glass | |
KR102604357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supporting structure | |
KR20230086464A (en) | Display module including cushion lay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 |
KR20240023983A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 |
EP4506928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 |
US20250165037A1 (en) |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module | |
KR102755949B1 (en) |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838277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static induction structure | |
US20250142746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 |
EP4373061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 |
EP4361778A1 (en) | Digitiz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WO2024039103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