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64979A -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 Google Patents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979A
KR20210064979A KR1020190153825A KR20190153825A KR20210064979A KR 20210064979 A KR20210064979 A KR 20210064979A KR 1020190153825 A KR1020190153825 A KR 1020190153825A KR 20190153825 A KR20190153825 A KR 20190153825A KR 20210064979 A KR20210064979 A KR 20210064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ld animals
birds
harmful
harmful birds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우
Original Assignee
조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우 filed Critical 조정우
Priority to KR1020190153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4979A/ko
Publication of KR2021006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97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96Acoust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3/00Electricity: power supply or regulation systems
    • Y10S323/906Solar cell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유해 조류 및/또는 야생동물을 퇴치시키는 퇴치부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유해 조류 및/또는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중 어느 하나이상을 감지하면, 상기 유해 조류 및/또는 야생동물이 감지된 방향으로 퇴치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농작물로 접근하는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을 인지하여, 접근 중인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을 퇴치하고, 중앙관제 시스템으로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중앙관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오인식에 의한 오류를 줄여주며,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가능하고, 태양열 판넬이 설치되어 배터리를 충전하여, 전력 공급의 효율성과 수시로 교체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Scare Away Noxious Birds and Wild Animals for The Crops}
본 발명은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을 퇴치시키기 위한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이나 과수가 생장하는 농경지와 과수원에는 멧돼지, 고라니 등과 같은 대형동물은 물론 청설 모, 꿩, 참새 등과 같은 소형동물까지도 출몰하여 농작물과 과수를 훼손시키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멧돼지의 경우 현재 별다른 천적이 없어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산간지역을 넘어 도심지역까지 출몰하고 있으며, 농작물이나 과수를 먹이로 먹는 경우의 피해보다 그 큰 몸집으로 농작물을 뿌리째 훼손시키거 나 과실수의 가지를 부러뜨리는 등의 2차 피해를 주기 때문에 훼손을 입은 농작물이나 과수는 상품으로서의 가 치가 떨어져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야생동물이 농가의 생계수단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는 실태이다.
이에 따라, 조류들로부터 농작물피해를 막기 위해 허수아비를 세우고, 멧돼지나 고라니 같은 야생동물을 농작물에 접근을 하지 못하도록 호랑이와 같은 천적이 내는 소리를 방출하였었다.
한편, 이러한 방법은 처음에는 야생동물들이 당황하여 접근을 피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형태가 정형화 되어 있어 조류들이나 동물들이 반복학습으로 인해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효과를 보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근의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의 접근을 인지하여,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을 퇴치하거나, 중앙관제 시스템으로 원격모니터링하여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을 퇴치하고, 태양열 판넬 또는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유해 조류 및 유해동물을 인지하였을 때에만 유해동물 방제 및 퇴치 수단이 작동하며, 중앙관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비를 모니터하여 오인식에 의한 오류를 줄여줄 수 있는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유해 조류 및/또는 야생동물을 퇴치시키는 퇴치부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유해 조류 및/또는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중 어느 하나이상을 감지하면, 상기 유해 조류 및/또는 야생동물이 감지된 방향으로 퇴치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태양열로을 받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고, 태양열을 수시로 받도록 태양의 위치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태양충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해조류 및/또는 야생동물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유해조류 및/또는 야생동물이 자주 출몰하는 방향과, 종류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표물이 마련된 타겟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에 상기 타겟부와의 거리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목표물의 종류 및/또는 소리를 측정하여 상기 본체에 마련된 구성을 모니터링하는 장비상태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표물은, 서로 다른 종류의 유해조류 또는 야생동물의 특징에 따른 형상, 움직임, 형태, 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목표물과의 거리, 목표물의 형상 및 소리와 상기 장비상태모니터링부에서 측정된 목표물과의 거리, 목표물의 형상 및 소리를 비교하여 장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퇴치부는, 광, 소리, 레이저로 구비되어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을 퇴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의 움직임, 형상 등을 감지하는 동물감지센서와, 초음파센서, 소리인식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첫째로, 본 발명의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비에 따르면, 농장으로 접근하는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을 인지하여, 접근 중인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을 퇴치하여 농장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비에 따르면, 중앙관제 시스템으로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중앙관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오인식에 의한 오류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셋째로, 본 발명의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비에 따르면,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가능하고, 태양열 판넬이 설치되어 배터리를 충전하여, 전력 공급의 효율성과 수시로 교체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바람직한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1)는 본체(10)와 지면 사이에서 본체(10)를 지지하는 지지부(20)와, 본체(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태양열전지모듈(30)을 포함한다.
본체(10)에는 본체 부근으로 접근하는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센서부(40)와,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101)로 판단하면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101)을 퇴치시키는 퇴치부(50)와, 센서부(40)로부터 감지된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을 퇴치시키도록 퇴치부(5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2면을 이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4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중복되는 감지영역을 넓힐 수 있다. 또,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는 본체(10) 외부에 설치된 태양열전지모듈(30)로부터 열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충전한다. 태양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방법 등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체(10)의 각 면에는 센서부(40)와, 퇴치부(5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20)는 본체(10)를 지지하도록 바 형상으로 마련된다. 지지부(20)의 상부측에 지면과 이격되어 본체(10)가 설치된다. 지지부(20)에는 목표물에 따라 지지부(20)의 축을 중심으로 반경반향으로 본체(10)를 회동시키는 회동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센서부(40)는 PIR센서와, 동물감지센서, 초음파 센서, 소리인식센서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일 수 있다. PIR센서는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101)의 인체 적외선을 감지한다. PIR센서는 인체 감지 센서로서,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101)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생명체는 일정 온도의 열을 가지고 있으므로 적외선이 나온다. 상기 적외선과 움직임이 감지되면 신호를 보내주는 방식이다.
마이크로 도플러센서는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101)의 상대운동으로 인지한다. 마이크로 도플러센서는 퇴치장치(1) 부근으로 접근하는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101)과의 상대운동을 인지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센서부(4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 받는 제어부(40)에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도플러센서에 의해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101)이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제어부(6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경보음을 울리는 버저가 구비되고, 도플러센서에 의해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이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 보다 근접한 제2 안전거리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유해동물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액체를 분사한다. 제1안전거리 내에 접근 시 버저의 작동과, 제2안전거리 내에 접근 시 액체 분사기가 작동 되더라도, 광범위한 설정 영역 내에서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퇴치하기가 쉽지 않다.
이와 같이,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101)의 적외선 및 움직임이 감지되면 PIR센서에서 이를 인식하고, IoT 딥러닝 카메라에서 유해동물 또는 조류를 구분한 다음, 유해동물 또는 조류로 판단되고 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하면 먼저 카메라 플래쉬를 켜서 경고를 할 수 있다.
그 이후,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를 작동하여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101)가 미리 설정된 제1안전거리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버저를 통해 경보음을 울리도록 하고,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101)가 미리 설정된 제1안 전거리 보다 근접한 제2안전거리 내에 접근했다고 감지되었을 때 유해동물에게 액체 분사기를 통해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액체를 분사하도록 한다. 이때 액체 분사기에서 분사되는 액체는 기피제(최루액) 등이 사용된다. 위 구성은 마이크로파 도플러센서에서 유해동물 또는 조류의 접근 정도를 거리로 측정 가능하고, 이때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설정해 놓고 일정거리 이상 농작물에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접근했을 때를 감지하여 유해동물 또는 조류가 느끼는 위협의 강도를 달리하여 최종적으로 농작물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데 있다.
한편, 영상촬영장치에는 IoT 딥러닝 카메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IoT 딥러닝 카메라는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을 구분할 수 있다. IoT 딥러닝 카메라는 퇴치장치(1) 부근으로 접근하는 유해 조류 또는 야생 동물을 인지하여 구분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IoT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사람, 멧돼지, 고라니, 조류 등을 구분할 수도 있다. 또, 초음파 센서와 소리인식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IoT 딥러닝 카메라에서 인식한 정보를 비교하여 접근 중인 유해 조류 또는 야생 동물을 구분할 수도 있다.
퇴치부(50)는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들이 혐오하는 구성 또는 물질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퇴치부(50)는 광, 소리(버저 울림 등), 레이저, 카메라 플래쉬, 액체 분사기의 최루액 분사 등일 수 있다. 퇴치부(50)는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들에 맞춰 각각이 혐오하거나 무서워하는 소리 등이 미리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퇴치부(50)는 미리 설정된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과의 거리에 따라 단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인지를 판단하는 유해동물판단부(62)와, 장비상태모니터부(64)와, 제어부(60)에서 유해 정보를 후술하는 외부의 서버(70) 및 사용자 단말기(80)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66)를 포함한다. 제어부(60)는 유해조류 및/또는 야생동물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 사용자 단말기(80)에 전송하여, 유해조류 및/또는 야생동물이 자주 출몰하는 방향과, 종류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유해동물판단부(62)는 센서부(4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접근 중인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유해동물판단부(62)는 IoT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센서부(40)에서 측정한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접근 중인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을 확인하여 제어부(60)에 전송하고, 제어부(60)는 전송받은 데이터를 서버(70)와 사용자 단말기(8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상태모니터링부(64)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 설명하면, 서버(0) 및 사용자 단말기(70)에서 장비의 상태를 장비상태모니터링부(64)에 의해 각각의 구성을 재정비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70) 및 사용자 단말기(80)에서 퇴치장치(1)의 설치 위치 및 배터리 상태, 센서부의 작동상태, 퇴치부 상태, 통신상태 등의 상태가 부정확 하다고 느끼거나, 일정 기간을 정하여 수시로 측정하여 장비들을 수시로 점검한다.
이러한 장비상태모니터링부(64)는 퇴치장치(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하여 설치된 목표물(100)을 기준으로 퇴치장치(1)에 구비된 모든 구성을 이용하여 정보를 얻는 것을 말한다. 목표물(100)은 하나의 예시로 측정하기보다는 여러 종류를 예로 측정하는 것이 정확성을 높이기 때문에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60)에는 목표물(100)에 대한 거리, 동물의 종류, 크기 등에 대한 모든 정보를 미리 저장된다. 목표물(100)은 제1 목표물(102, D1)과 제2 목표물(103, D2)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로부터 제1 목표물(102)과의 거리(D1)와 제2 목표물(103)과의 거리(D2)를 각각 달리하고, 서로 다른 종, 또는 서로다른 동물들로서, 거리, 동물의 종류, 크기 등을 서로 상이하게 마련하여 측정된 결과값에 대한 정확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40)를 이용하여 목표물(100)을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전송하고 감지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정보와 일치하거나 일치하지 않거나 서버(70) 및 사용자 단말기(80)에 전송한다.
이 때, 제어부(60)는 센서부에서 측정한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정보와 일치하면 정상작동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이러한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목표물(102)과의 거리와, 동물의 종류, 크기, 형상 등을 판단한다. 또,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제2 목표물(103)의 거리와, 동물의 종류, 크기, 형상을 판단한다. 이렇게 제1 목표물(102)과 제2 목표물(103)로부터 얻은 정보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정상작동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일치하지 아니하면, 비정상 작동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반드시 한번의 측정만으로 비정상 작동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 같은 작동을 수회 반복하도록 설정한 뒤, 비정상 작동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외부에서도 장비상태모니터링부(64)에 의해 수회 측정하여, 장비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서버(70) 및 사용자 단말기(80)는 퇴치장치(1)의 설치 위치 및 배터리 상태, 센서부의 작동상태, 퇴치부 상태, 통신상태 등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퇴치장치(1)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이유는 퇴치장치(1)의 위치 정보로 퇴치기의 도난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중앙관제시스템의 경우 Map-based UI(User interface)를 적용하여 퇴치부 상황,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의 출현상황 등을 쉽게 인식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클라우드에 저장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이 계절별 시간별로 출현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면, 센서부(40)를 통해 유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전송하고, 제어부(60)는 유해동물판단부(62)에서 센서부(40)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크기, 움직임 형태, 소리등을 판단하고, IoT 딥러닝 카메라로 접근하는 동물이 유해동물인지 아니면 조류인지 구분하여, 제어부(60)로 판단한 결과를 전송한다. 제어부(60)는 전송받은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을 퇴치할 수 있는 퇴치수단을 작동하여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을 퇴치한다. 한편, 제어부(60)는 서버(70)와 사용자 단말기(80)에 판단 결과를 전송하여 서버(70)와 사용자 단말기(80)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비에 따르면, 농작물로 접근하는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을 인지하여, 접근 중인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을 퇴치하고, 중앙관제 시스템으로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중앙관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오인식에 의한 오류를 줄여주며,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가능하고, 태양열 판넬이 설치되어 배터리를 충전하여, 전력 공급의 효율성과 수시로 교체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지지부
30: 태양열전지모듈
40: 센서부
50: 퇴치부
60: 제어부

Claims (8)

  1.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유해 조류 및/또는 야생동물을 퇴치시키는 퇴치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유해 조류 및/또는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중 어느 하나이상을 감지하면, 상기 유해 조류 및/또는 야생동물이 감지된 방향으로 퇴치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태양열로을 받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고, 태양열을 수시로 받도록 태양의 위치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태양열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해조류 및/또는 야생동물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유해조류 및/또는 야생동물이 자주 출몰하는 방향과, 종류의 정보를 수집하는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표물이 마련된 타겟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에 상기 타겟부와의 거리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목표물의 종류 및/또는 소리를 측정하여 상기 본체에 마련된 구성을 모니터링하는 장비상태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물은,
    서로 다른 종류의 유해조류 또는 야생동물의 특징에 따른 형상, 움직임, 형태, 소리를 포함하는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목표물과의 거리, 목표물의 형상 및 소리와 상기 장비상태모니터링부에서 측정된 목표물과의 거리, 목표물의 형상 및 소리를 비교하여 장비를 모니터링하는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치부는,
    광, 소리, 레이저로 구비되어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을 퇴치하는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의 움직임, 형상 등을 감지하는 동물감지센서와, 초음파센서, 소리인식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KR1020190153825A 2019-11-26 2019-11-26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Ceased KR20210064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25A KR20210064979A (ko) 2019-11-26 2019-11-26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25A KR20210064979A (ko) 2019-11-26 2019-11-26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979A true KR20210064979A (ko) 2021-06-03

Family

ID=7639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825A Ceased KR20210064979A (ko) 2019-11-26 2019-11-26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497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7534A (zh) * 2022-07-06 2022-09-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生物监测的防小动物装置
CN115191424A (zh) * 2022-08-24 2022-10-18 国网河南省电力公司济源供电公司 多功能红外气动驱鸟装置
CN115226702A (zh) * 2022-07-12 2022-10-25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小型野生动物拦截驱赶方法及装置
KR20240176569A (ko) * 2023-06-16 2024-12-24 한국전력공사 수전설비 보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50103947A (ko) 2023-12-28 2025-07-08 인센디오 주식회사 사물인터넷 및 인공지능 기반의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7534A (zh) * 2022-07-06 2022-09-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生物监测的防小动物装置
CN115226702A (zh) * 2022-07-12 2022-10-25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小型野生动物拦截驱赶方法及装置
CN115191424A (zh) * 2022-08-24 2022-10-18 国网河南省电力公司济源供电公司 多功能红外气动驱鸟装置
KR20240176569A (ko) * 2023-06-16 2024-12-24 한국전력공사 수전설비 보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50103947A (ko) 2023-12-28 2025-07-08 인센디오 주식회사 사물인터넷 및 인공지능 기반의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4979A (ko) 유해 조류 및 야생 동물 퇴치장치
KR101975477B1 (ko)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AU2023204090B2 (en) Imaging array for bird or bat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US11039607B2 (en) Machine for capturing, counting and monitoring insects
US11793190B1 (en) Automatic animal detection and deterrent system
KR101874564B1 (ko) IoT 딥러닝 카메라와 인식기술을 사용한 IoT 융복합을 통한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방제방법
KR20200091524A (ko) 농작물 관리 장치
KR101501767B1 (ko) 유해동물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840812B1 (ko) 침입경보장치
KR20210129493A (ko) 농작물의 피해 방지를 위한 추적형 야생동물 퇴치장치
JP2015035979A (ja) 野生動物追い込みシステム
JP2004355551A (ja) 保護システム
CN114027288B (zh) 基于风电场的多信源综合处理护鸟装置和方法
Sannakashappanavar et al. Intelligent Surveillance and Protection System for Farmlands from Animals
KR102185500B1 (ko) Iot와 서버간 이중 연산처리를 통한 감지 및 관리 시스템 및 이를 갖는 관리 설비
KR20230067315A (ko) 인공지능 기반의 유해 야생 동물 퇴치 시스템
KR20250103947A (ko) 사물인터넷 및 인공지능 기반의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Pruteanu et al. Current state of construction and testing of bird repellent systems from different crops.
KR20210003644A (ko)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
JP2024057890A (ja) 生物検出装置及び生物検出システム
HK40062503A (en) Imaging array for bird or bat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KR20230102908A (ko) 조류 및 곤충떼로 인한 버드스트라이크 방지기능을 갖는 드론
DK202430246A1 (en) A device for size discriminating eradication of rodents
CZ38435U1 (cs) Systém aktivní ochrany zemědělské produkce před útoky volně žijících zvířat a mobilní jednotka tento systém obsahujíc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5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