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443A - The equipment for condition monitoring of fluid - Google Patents
The equipment for condition monitoring of flui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3443A KR20190013443A KR1020180036974A KR20180036974A KR20190013443A KR 20190013443 A KR20190013443 A KR 20190013443A KR 1020180036974 A KR1020180036974 A KR 1020180036974A KR 20180036974 A KR20180036974 A KR 20180036974A KR 20190013443 A KR20190013443 A KR 201900134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receiving tube
- coupled
- fastening plate
- tub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1092 metal group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0 CN1C*CC1 Chemical compound CN1C*CC1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30 laser mar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88—Lubricating oil characteristics, e.g. deterior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30—Oils, i.e. hydrocarbon liquids for lubricating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비 내부에서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tate of a fluid inside a machine.
현대의 동력 또는 전력 장비들은 절연유, 윤활유 등과 같은 유체를 사용한다. 동력 또는 전력 장비가 사용되는 환경은 고온, 고압 또는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매우 열악한 환경이다. 따라서 장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절연유나 윤활유의 상태를 관리하고, 적절한 시기에 교체해야 할 필요가 발생한다. Modern power or power equipment uses fluids such as insulating oil, lubricants, and the like. The environment in which power or electric equipment is used is a very poor environment in which high temperatures, high pressures or vibrations occur. Therefore, in order for the equipment to operate normally,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state of the insulating oil and the lubricating oil and to change them at an appropriate time.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유체 상태 측정 장치가 소개되었다. 다양한 유체 상태 측정 장치가 있지만, 동력 및/또는 전력 장비 내부에서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방식이 가장 이상적이다. Various types of fluid state measurement devices have been introduced to measure fluid conditions. Although there are a variety of fluid state measurement devices, a method of measuring fluid state within a power and / or power equipment is ideal.
한편, 장비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사용된다. 게이트 밸브나 글로브 밸브는 디스크 또는 플러그(이하 디스크라 함)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유체의 흐름을 규제한다. 게이트 밸브의 경우에는, 디스크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영역(이하 유체 포트라 함)이 이 유체의 흐름에 수직(즉, 유체가 밸브 내에서 한 방향으로만 흐름)하기 때문에, 유체 상태 측정 장치를 삽입하기가 수월하다. 그러나, 글로브 밸브의 경우에는, 유체 포트가 유체의 흐름에 수평(즉, 유체가 밸브 내에서 흐르는 방향이 변경)하기 때문에, 유체 상태 측정 장치를 삽입할 수 없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types of valves are used to inject or discharge fluids into the equipment. The gate valve or globe valve regulates the flow of the fluid as the disk or the plug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isk) moves up and down. In the case of a gate valve, since the region that is opened or closed by the disc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luid port) is perpendicular to the flow of the fluid (that is, the fluid flows in only one direction in the valve) It is easy to do. However, in the case of the globe valve, the fluid state measuring device can not be inserted because the fluid port is horizontal to the fluid flow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flows in the valve changes).
유체의 흐름이 변경되는 구조를 통해서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유체 상태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uid state measurement device that can be inserted into a fluid structure through a structure in which a fluid flow is ch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의 흐름이 변경되는 구조를 통해서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유체 상태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유체 상태 측정 장치는, 제1 수용관, 상기 제1 수용관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수용관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체결판, 상기 제1 수용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제1 전선을 수용하는 제2 수용관, 상기 제2 수용관의 일단에 타단이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전선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전선을 수용하며, 상기 제1 수용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부재,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코일 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전선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센서 어셈블리, 상기 제1 수용관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용관이 상기 제1 수용관 내부로 인입 또는 입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용관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체결판 및 상기 제2 수용관의 타단에 결합된 제3 체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uid state measurement device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structure through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 of the fluid is changed. The fluid state measuring device includes a first receiving pipe, a first connecting plate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receiving pipe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receiving pipe is coupled, A second receiving tube which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receiving tube and accommodates a first electric wire therein, a second receiving tube which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ceiving tube and which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electric wire, A coil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eceiving tube, a sensor assem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coil member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fluid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econd wire, A second fastening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receiving pipe is coupled to allow the second receiving pipe to be drawn into or out of the first receiving pipe, The third fastening The can be inclu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되는 동력 또는 전력 장비의 경로 구조에 따라 코일 부재를 탈착할 수 있는 유체 상태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유체 상태 측정 장치는, 제1 수용관, 상기 제1 수용관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수용관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체결판, 상기 제1 수용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전선을 수용하는 제2 수용관,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수용관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센서 어셈블리, 상기 제1 수용관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용관이 상기 제1 수용관(100) 내부로 인입 또는 입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용관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체결판, 및 상기 제2 수용관의 타단에 결합된 제3 체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uid state measurement apparatus capable of detaching a coil member according to a path structure of a power or electric power equipment to be installed. The fluid state measuring device includes a first receiving pipe, a first connecting plate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receiving pipe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receiving pipe is coupled, A sensor assem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ceiving tube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fluid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wire, a second receiving tub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receiving tube, A second coupling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receiving tube is coupled to allow the second receiving tube to be drawn into or out of the first receiving tube; And a third fastening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ceiving tube.
여기서,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코일 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코일 부재의 일단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 및 상기 수평 연장부로부터 상기 코일 부재의 일단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연장부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수평 연장부와 상기 경사 연장부를 연결하는 곡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il member may include a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one end of the coil member to one end of the coil member, and an incline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to one end of the coil member, And a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and the slant extension portion.
여기서, 상기 코일 부재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된 원통형 중공 형상일 수 있다. Here, the coil member may be a cylindrical hollow formed of a metal or a metal alloy.
여기서, 상기 제2 수용관을 인입하는 거리 및 상기 제2 수용관을 회전시키는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수용관의 외부 표면에 표시될 수 있다. Here, at least one of a distance for drawing the second receiving tube and an angle for rotating the second receiving tube may be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tube.
여기서, 유체 상태 측정 장치는, 상기 제1 수용관의 외부 표면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결합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luid state measu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valv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tube.
여기서, 유체 상태 측정 장치는, 상기 제1 수용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용관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luid state measu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located inside the first receiving tube and sealing the fluid flowing into the first receiving tube so that the fluid does not flow out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제1 체결판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fastening plate.
여기서, 상기 제3 체결판은 상기 제2 체결판에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third fastening plate may be fixed to the second fastening plate.
여기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유체 유입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센서 하우징 및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 신호를 생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2 전선에 출력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nsor assembly may include a sensor housing having a through hole for fluid inflow and a sensor disposed inside the sensor housing for measuring a state of the fluid to generate a measurement signal and outputting the measurement signal to the second electric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housing .
여기서, 유체 상태 측정 장치는, 상기 제3 체결판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1 전선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센서 어셈블리에서 생성된 측정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luid state measu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processing devic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electric wire extended from the third fastening plate and receiving a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in the sensor assemb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의 흐름이 변경되는 구조를 통해서도 동력 또는 전력 장비 내부로 유체 상태 측정 장비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fluid state measuring device into the power or electric equipment thr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fluid flow is changed.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전체 도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할당되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구현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유체 상태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체 측정 장치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체 측정 장치에 결합되는 센서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코일 부재의 일단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f는 글로브 밸브에 체결된 도 1의 유체 측정 장치의 센서 어셈블리를 유체와 접촉시키기 위해 내부로 진입시키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a 내지 5f에 도시된 조작 방법이 인쇄된 가이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게이트 밸브에 체결된 도 1의 유체 측정 장치의 센서 어셈블리를 유체와 접촉시키기 위해 내부로 진입시키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센서 어셈블리가 동력 또는 전력 장비 내부로 완전히 진입된 후 고정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유체 상태 측정 장치와 신호 처리 장치를 체결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ake of clarity, throughout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elements have been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tructure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only exemplary embodiments that are illustratively embodi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luid state measuring apparatus.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luid measurement apparatus of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or assembly coupled to the fluid measurement device of FIG.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one end of the coil member of Fig. 1. Fig.
FIGS. 5A to 5F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the sensor assembly of the fluid measurement device of FIG. 1 fastened to the globe valve to the inside to make contact with the fluid. FIG.
Fig. 6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guide in which the operation method shown in Figs. 5A to 5F is printe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the sensor assembly of the fluid measurement device of FIG. 1 fastened to the gate valve into the interior to make contact with the fluid.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ensor assembly is fully inserted into the power or electric equipment and then fixed.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uid state measuring apparatus of FIG. 1 and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re fasten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하나의 요소가 다른 요소에 "연결(connected)"되거나 "결합(coupled)"된다고 기술되는 경우, 그 요소는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되거나 직접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중간의 개입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하나의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directly connected)"되거나 "직접 결합(directly coupled)"된다고 기술되는 경우에는 다른 중간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Where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 connected " or " coupled "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element, or intermediate intervening elements may be present. On the other hand, if one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 directly connected " or " directly coupled " to another element, there are no other intermediate elements.
도 1은 유체 상태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체 측정 장치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luid state measuring apparatus, and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luid measuring apparatus of FIG. 1.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체 상태 측정 장치는 제1 수용관(100), 제2 수용관(200), 코일 부재(300) 및 센서 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제1 수용관(100), 제2 수용관(200) 및 코일 부재(300)는 유체에 의해 침습 또는 부식되지 않으며, 고온, 고압, 진동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된다. 제1 수용관(100), 제2 수용관(200) 및 코일 부재(300)는 첨부된 도면에서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상을 가진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1 and 2, the fluid state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제1 수용관(100)은, 도 2의 수평 방향(즉,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내부에 제2 수용관(100)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코일 부재(3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한다. 제1 체결판(110)은 제1 수용관(100)의 일단에 결합되며, 제2 체결판(120)은 제1 수용관(100)의 타단에 결합된다. 제1 체결판(110)은, 제1 수용관(100)의 일단이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관통홀(111)을 포함한다. 제2 체결판(120)은, 제1 수용관(100)의 타단이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관통홀(121)을 포함한다. 제2 수용관(200)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코일 부재(30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관통홀(111)을 통해 동력 또는 전력 장비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수용관(20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관통홀(121)을 통해 제1 수용관(100) 내부로 인입되거나 제1 수용관(10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제1 체결판(110)은, 동력 또는 전력 장비, 예를 들어, 내연기관, 변압기 등의 유체 입구 또는 유체 출구에 유체 상태 측정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홈(1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체결판(110), 제2 체결판(120) 및 제3 체결판(210)은 첨부된 도면에서 원형을 가진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일 실시예에서, 제1 수용관(100)은 제1 체결판(110)의 중심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수용관(100)은 제1 체결판(110)의 중심 영역에서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용관(100) 및 이에 대응하는 제1 관통홀(111)이 제1 체결판(110)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유체 상태 측정 장치가 결합되는 유체 입구 또는 유체 출구의 위치 및/또는 동력 또는 전력 장비의 내부에 도달하기 위해서 센서 어셈블리(400)가 통과할 경로의 구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제1 밸브(140)는 제1 수용관(100)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밸브(140)는 제1 관통홀(111)을 통해 제1 수용관(100) 내부로 유체가 유입될 때 제1 수용관(100) 내부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 밸브(140)는 제1 수용관(100)에 결합되지 않은 출구가 지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밸브(145)는 제1 수용관(100)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밸브(145)는 유체 상태 측정 장치를 동력 또는 전력 장비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 밸브(145)는 제1 수용관(100)에 결합되지 않은 출구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제1 수용관(100)의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일부는 실링 부재(130)에 의해 점유된다. 제1 수용관(100)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2 체결판(120)에 인접한 위치에 실링 부재(130)가 배치된다. 실링 부재(140)의 중앙 영역을 통해 제2 수용관(200)이 연장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힘에 의해 제1 수용관(1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수용관(200)의 인입 또는 인출에 의한 마찰로 실링 부재(130)가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제1 수용관(100)은 그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이동 방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140)는 이동 방지부(150)와 제2 체결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실링 부재가 제1 수용관(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제2 수용관(200)은 제1 수용관(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는 제1 수용관(100) 내부에 수용된다. 제2 수용관(200)의 일단은 코일 부재(300)에 결합되며, 제2 수용관(200)의 타단은 제3 체결판(210)에 결합된다. 제2 수용관(200)은 내부에 제1 전선(미도시)을 수용하며, 제1 전선은 코일 부재(300) 내부에 수용된 제2 전선(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제2 수용관(200)의 일단에는 제1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컨넥터(22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수용관(200)의 일단은,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실링될 수 있다. The
제2 체결판(120)과 제3 체결판(210)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122, 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체결판(210은, 예를 들어, 볼트, 리벳 등과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제2 체결판(1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체결판(210)의 중앙 영역에는 제1 전선을 외부로 연장하기 위한 제3 관통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관통홀을 통해 제1 전선이 외부로 연장되거나 제1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넥터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코일 부재(300)는 원통형 중공 형상의 코일일 수 있으며, 탄성력, 내열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철, sus 등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 부재(300)의 일단은 센서 어셈블리(400)에 결합되며, 그 타단이 제2 수용관(200)의 일단에 결합된다. 코일 부재(300)는 제1 수용관(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코일 부재(300)의 일단은 제1 수용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어서 센서 어셈블리(400) 역시 제1 수용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코일 부재(300)의 일단 또는 센서 어셈블리(400)와 길이 방향 사이의 각도는, 동력 또는 전력 장비의 내부에 도달하기 위해서 센서 어셈블리(400)가 통과할 경로의 구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서, 제2 컨넥터(340)는 코일 부재(300)의 타단에 위치하며, 코일 부재(400) 내부에 수용된 제2 전선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컨넥터(340)는 제2 수용관(200)의 제1 컨넥터(22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코일 부재(300)와 제2 수용관은 직접(예를 들어, 제1 컨넥터(220), 제2 컨넥터(340)를 이용하지 않고) 체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전선이 코일 부재(300) 내부로 연장되어 센서 어셈블리(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센서 어셈블리(400)는 동력 또는 전력 장비의 내부에 삽입되며, 유체의 상태를 측정한다.The
도 3은 도 1의 유체 측정 장치에 결합되는 센서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or assembly coupled to the fluid measurement device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센서 어셈블리(400)는 하우징 몸체(410) 및 하우징 덮개(420)로 구성된 센서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 덮개(420)는 하우징 몸체(4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하우징 덮개(420) 일단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우징 몸체(410)의 일단의 내주면에도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하우징 몸체(410) 및 센서 하우징 덮개(42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은, 코일 부재(400)의 일단, 즉, 경사진 연장부(330)에 결합된다. 센서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센서 기판(430)을 그 내부에 수용하며, 측정 대상 유체에 접촉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하우징 몸체(410)는 원통형일 수 있으며,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유체 연통홀(411)이 하우징 몸체(410)에 형성된다. 복수의 유체 연통홀(411)은 센서와 오일간 접촉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The
유체의 하나 이상의 상태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는 센서 기판(430)에 배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센서 각각은 유체의 종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태, 예를 들어, 열화, 온도, 수분, 레벨, 오염도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가 생성한 측정 신호는 제1 전선 및/또는 제2 전선을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센서 기판(430)은 제2 전선(340)과 하나 이상의 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One or more sensors that measure one or more states of the fluid are disposed on the
제2 전선(330)은 센서 기판(430)과 외부에 위치한 신호 처리 장치(7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센서가 생성한 측정 신호를 신호 처리 장치(700)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2 전선(330)은 방수 및 절연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방수피복될 수 있다. The second
도 4는 도 1의 코일 부재의 일단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다.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one end of the coil member of Fig. 1. Fig.
동력 또는 전력 장비의 내부에 도달하기 위해서 센서 어셈블리(400)가 통과할 경로는 유체 흐름을 변경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L””형 관, ““S””형 관 또는 글로브 밸브는, 전체 경로 중에 적어도 한 번 이상 경로의 방향이 변경되는 구간을 가진다. 따라서 탄성을 가진 코일 부재(300)도 경로의 방향이 변경되는 구간을 통과할 수 없거나, 매우 섬세하게 삽입하여야만 그러한 구간을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부근이 경사지게 형성된 코일 부재(400)는, 경로의 방향이 변경되는 구간에서 진행하는 방향을 변경하기 용이하다. 도 4의 (a) 내지 (c)는 다양한 형태로 경사진 코일 부재(400)의 일단을 예시하고 있다.The path through which the
도 4의 (a)를 참조하면, 코일 부재(300)는 수평 연장부(310) 및 경사 연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코일 부재(300)의 일단에 가까운 복수의 코일 중 어느 하나를 소정 각도 a1로 절곡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를 기준으로 위쪽에서 봤을 때, 수평 연장부(310)와 수직 연장부(330)간 간격은 코일 부재(300)의 다른 부분의 코일간 간격과 실질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지만, 아래쪽에서 봤을 때, 수평 연장부(310)와 수직 연장부(330)간 간격은 증가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4A, the
도 4의 (b)를 참조하면, 코일 부재(300)는 수평 연장부(310), 곡선부(320) 및 경사 연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연장부(310) 및 경사 연장부(330)의 코일간 간격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곡선부(320)의 경우, 위쪽에서 봤을 때 코일간 간격은 수평 연장부(310)나 경사 연장부(3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아래쪽에서 봤을 때 코일간 간격은 수평 연장부(310)나 경사 연장부(330)의 코일간 간격보다 크다. 따라서 경사 연장부(330)는 수평 연장부(310)의 축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a1로 경사지게 된다.Referring to FIG. 4 (b), the
도 4의 (c)를 참조하면, 경사 연장부(330)와 수평 연장부(310) 사이 각도를 a1에서 a2로 증가시키기 위해서 둘 이상의 곡선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C, more than two curved portions 321 may be formed to increase the angle between the
코일 부재(400)의 전체 길이, 경사 연장부(330)의 길이 및/또는 경사 연장부(330)와 수평 연장부(310) 사이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은 센서 어셈블리(400)가 통과해야 하는 동력 또는 전력 장비 내 경로의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he total length of the
도 5a 내지 5f는 글로브 밸브에 체결된 도 1의 유체 측정 장치의 센서 어셈블리를 유체와 접촉시키기 위해 동력 또는 전력 장비 내부로 진입시키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S. 5A through 5F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entering a sensor assembly of the fluid measurement apparatus of FIG. 1 fastened to a globe valve into a power or electric equipment to make contact with a fluid. FIG.
유체 상태 측정 장치는 동력 또는 전력 장비의 유체 출구 포트 또는 유체 입구 포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도 5a 내지 5f에서는 ““S””자형 경로를 갖는 글로브 밸브(500)에 유체 상태 측정 장치가 결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이다. 글로브 밸브(500)의 디스크(530)가 유체 포트(520)에 결합된 상태, 즉, 글로브 밸브(500)의 하부 유체 경로(510)와 상부 유체 경로(540)가 유체 연통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체 상태 측정 장치가 글로브 밸브(500)에 결합된다. 유체 상태 측정 장치는, 예를 들어, 볼트, 리벳 등과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글로브 밸브(500)의 출구 포트에 결합된다. 유체 상태 측정 장치를 글로브 밸브(500)에 결합한 후, 글로브 밸브(500)의 유체 포트(520)를 개방하면, 유체가 제1 수용관(100) 내부로 유입된다. 제1 수용관(100) 내부는 공기로 채워져 있으므로,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유체의 누출되거나 공기가 장비 내부로 유입되는 등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체 포트(520)를 개방할 때 제1 밸브(140)를 개방하여 제1 수용관(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fluid state measurement device is coupled to either the fluid outlet port or the fluid inlet port of the power or power equipment. 5A to 5F illustrate the case where the fluid state measuring device is coupled to the
도 5a를 참조하면, 제3 체결판(210)을 제2 체결판(120) 방향으로 누르면, 제2 수용관(200)이 제2 관통홀(121)을 통해 제1 수용관(100) 내부로 인입된다. 제2 수용관(200)의 일단에 결합된 코일 부재(300)는 글로브 밸브(500)의 하부 유체 경로(510)에 진입한다. 코일 부재(300)의 일단에 결합된 센서 어셈블리(400)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부 유체 경로(510)를 정의하는 중앙 상부벽(511)까지 전진한다.5A, when the
도 5b를 참조하면, 센서 어셈블리(400)가 하부 유체 경로(510)의 중앙 상부벽(511)과 접촉하면, 제3 체결판(210)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다. 제3 체결판(210)을 회전하면, 하부 유체 경로(510)에 있는 센서 어셈블리(400)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어셈블리(400)는, 전진을 방해하는 하부 유체 경로(510)의 중앙 상부벽(511)과 더 이상 접촉하지 않으므로, 전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3 체결판(210)을 제2 체결판(120) 방향으로 눌러서 센서 어셈블리(400)를 유체 포트(520)까지 전진시킨다.5B, when the
도 5c를 참조하면, 센서 어셈블리(400)가 유체 포트(520)의 하부에 도달하면, 제3 체결판(210)을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센서 어셈블리(400)의 일단이 유체 포트(520)의 내벽(521)에 접촉하게 한다. 센서 어셈블리(400)는 코일 부재(300)의 경사 연장부(330)에 의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센서 어셈블리(400)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에 의해 유체 포트(52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5C, when the
도 5d를 참조하면, 센서 어셈블리(400)의 일단이 유체 포트(520)의 내벽(521)에 접촉하면, 제3 체결판(210)을 제2 체결판(120) 방향으로 눌러서 센서 어셈블리(400)를 유체 포트(520) 외부로 전진시킨다. 센서 어셈블리(400)는 전진하여 상부 측벽(541)에 접촉하게 된다. 상부 측벽(541)에 접촉한 센서 어셈블리(400)는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한다.5D, when one end of the
도 5e를 참조하면, 센서 어셈블리(400)가 상부 측벽(541)과 접촉하면, 제3 체결판(210)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다. 제3 체결판(210)을 회전하면, 상부 유체 경로(540)에 있는 센서 어셈블리(400)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어셈블리(400)는, 전진을 방해하는 상부 측벽(541)과 더 이상 접촉하지 않으므로, 전진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코일 부재(300)의 탄성으로 인해서, 코일 부재(300)가 유체 포트(520)와 접촉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센서 어셈블리(400)는 상부 유체 경로(540)를 정의하는 상부벽(542)에 접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E, when the
참고로, 유체 포트(520)와 디스크(530) 사이 거리 d는, 도 5d에 예시된 것보다 작을 수 있어서, 센서 어셈블리(400)는 디스크(530)에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d 및 도 5e는 유체 포트(520)를 통과한 후에도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함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distance d between the
도 5f를 참조하면, 센서 어셈블리(400)의 일단이 상부 유체 경로(540)의 상부벽(542)에 접촉하면, 제3 체결판(210)을 제2 체결판(120) 방향으로 눌러서 센서 어셈블리(400)를 전진시켜서 동력 또는 전력 장비의 내부로 완전히 진입하게 한다. 제2 수용관(200) 및 코일 부재(300)의 길이는 센서 어셈블리(400)를 동력 또는 전력 장비의 내부에 위치시키기 위해 결정될 수 있으며, 센서 어셈블리(400)가 장비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제2 체결판(120)과 제3 체결판(210)은 서로 접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장비 내부의 유체에 의한 압력으로 인해서, 제2 수용관(200)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어셈블리(400)의 위치가 변경되어 바람직한 측정 신호를 생성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체결판(120)과 제3 체결판(210)은 체결 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5f, when one end of the
도 6은 도 5a 내지 5f에 도시된 조작 방법이 인쇄된 가이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guide in which the operation method shown in Figs. 5A to 5F is printed.
도 5a 내지 5f에서 설명된 조작 순서는, 센서 어셈블리(400)를 장비 내부에 배치하기 위해서 제3 체결판(210)을 조작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유체 상태 측정 장치가 결합될 장비의 구조는 미리 알 수 있으므로, 조작 순서는 제2 수용관(200)의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장비의 내부 구조를 알지 못하더라도 작업자가 유체 상태 측정 장치를 올바르게 설치할 수 있다.5A to 5F show a procedure for operating the
조작 순서는, 제2 수용관(200)을 제1 수용관(100) 내부로 인입하는 거리 및 제2 수용관(200)을 회전시키는 각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 조작 순서는, 예를 들어, 인쇄나 레이저 마킹 등의 방식을 통해서 제2 수용관(200)의 외부 표면에 영구하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유체 상태 측정 장치의 범용성을 위해서, 조작 순서는, 가이드(230)에 인쇄된 후 제2 수용관(200)의 외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가이드(230)는, 종이 또는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작 순서가 인쇄된 후 오염 방지를 위해 코팅될 수 있다. 동일한 유체 상태 측정 장치를 상이한 구조의 장비에 결합하는 경우, 각 장비에 맞는 가이드(230)를 사용하면 정확한 조작 순서를 제2 수용관(200)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The operation procedure is composed of any one of a distance for drawing the
도 7은 게이트 밸브에 체결된 도 1의 유체 측정 장치의 센서 어셈블리를 유체와 접촉시키기 위해 내부로 진입시키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the sensor assembly of the fluid measurement device of FIG. 1 fastened to the gate valve into the interior to make contact with the fluid. FIG.
도 7의 (a)를 참조하면, 센서 어셈블리(400)가 배치될 동력 또는 전력 장비 내 위치가 게이트 밸브(600)로부터 멀지 않거나 경로의 방향이 변경되는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코일 부재(300)는 제2 수용관(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코일 부재(300)를 분리한 후 제2 수용관(200)의 일단에 센서 어셈블리(400)를 결합시킬 수 있다.7A, when the position in the power or power equipment where the
유체 상태 측정 장치는 동력 또는 전력 장비의 유체 출구 포트 또는 유체 입구 포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도 7은 직선형 경로를 갖는 게이트 밸브(600)에 유체 상태 측정 장치가 결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이다. 게이트 밸브(600)의 디스크가 유체 포트에 결합된 상태, 즉, 게이트 밸브(600)의 출구 포트와 입구 포트가 유체 연통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체 상태 측정 장치가 게이트 밸브(600)에 결합된다. 유체 상태 측정 장치는, 예를 들어, 볼트, 리벳 등과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게이트 밸브(600)의 출구 포트에 결합된다.The fluid state measurement device is coupled to either the fluid outlet port or the fluid inlet port of the power or power equipment. FIG. 7 illustrates the case where the fluid state measuring device is coupled to the
유체 상태 측정 장치를 게이트 밸브(600)에 결합한 후, 게이트 밸브(600)의 유체 포트를 개방하면, 유체가 제1 수용관(100) 내부로 유입된다. 게이트 밸브(600)의 유체 포트를 개방할 때 제1 밸브(140)를 개방하여 제1 수용관(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fluid state measuring device is coupled to the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3 체결판(210)을 제2 체결판(120) 방향으로 누르면, 제2 수용관(200)이 제2 관통홀(121)을 통해 제1 수용관(100) 내부로 인입된다. 제2 수용관(200)의 일단에 결합된 센서 어셈블리(400)는 게이트 밸브(600)를 통과해서 장비 내부로 진입한다.7 (b), when the
도 7의 (c)를 참조하면, 제2 수용관(200)의 길이는 센서 어셈블리(400)를 동력 또는 전력 장비의 내부에 위치시키기 위해 결정될 수 있으며, 센서 어셈블리(400)가 장비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제2 체결판(120)과 제3 체결판(210)은 서로 접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장비 내부의 유체에 의한 압력으로 인해서, 제2 수용관(200)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어셈블리(400)의 위치가 변경되어 바람직한 측정 신호를 생성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체결판(120)과 제3 체결판(210)은 체결 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C, the length of the
도 8은 센서 어셈블리가 동력 또는 전력 장비 내부로 완전히 진입된 후 고정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a) 및 (b)는 자체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실시예이고, (c)는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실시예이다.8A and 8B illustrate a structure in which the sensor assembly is fully inserted into a power or electric equipment and then fixed. Figs. 8A and 8B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nsor assembly is fixed using a self- Is fixed using a fastening member.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제2 체결판(120)의 양면 중 제1 수용관(100)에 결합하지 않은 면에 제1 체결 구조가 배치된다. 제1 체결 구조는, 제2 체결판(120)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구조(123) 및 상기 하부 구조(123)에 결합된 상부 구조(124)를 포함하며, 하부 구조(123)의 최대 직경은 상부 구조(124)의 최소 직경과 같거나 작다. 또한, 하부 구조(123)의 길이는 제3 체결판(210)의 두께와 같거나 보다 크다. Referring to FIG. 8A, the first fastening structure is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제3 체결판(210)에는 복수의 체결홈(212) 및 각 체결홈(212)의 일측에는 체결홈(212)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홈(213)을 포함하는 제2 체결 구조가 형성된다. 체결홈(212)의 직경은 상부 구조(124)의 최대 직경과 같거나 다소 크며, 연장홈(213)의 직경은 하부 구조(123)의 최대 직경보다 크지만 상부 구조(124)의 최대 직경보다 작다.The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제1 체결 구조와 제2 체결 구조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센서 어셈블리(400)가 장비 내 예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2 체결판(120)과 제3 체결판(210)이 근접하게 되면, 제1 체결 구조의 상부 구조(124)는 제2 체결 구조의 체결홈(212)을 통과할 수 있다. 상부 구조(124)가 체결홈(212)을 완전히 통과하여 제2 체결판(120)과 제3 체결판(210)이 접하게 되면, 제3 체결판(2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부 구조(123)가 연장홈(213)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체결판(120)과 제3 체결판(210)이 서로 고정되게 된다.8 (b), the first fastening structure and the second fastening structure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도 8의 (c)는, 제2 체결판(120)과 제3 체결판(210)이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제2 체결판(120)과 제3 체결판(210)에는 각각 복수의 체결홈(122, 212)이 형성되며, 각 체결홈(122, 212)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 체결판(120)과 제3 체결판(210)이 접한 상태에서,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제2 체결판(120)과 제3 체결판(210)을 서로 고정시킨다.8 (c) shows a case where the
도 9는 도 1의 유체 상태 측정 장치와 신호 처리 장치를 체결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uid state measuring apparatus of FIG. 1 and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re fastened.
신호 처리 장치(700)는 하우징(710), 신호 처리 회로(720) 및 컨넥터(730)를 포함한다. 하우징(710)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신호 처리 회로(720)를 보호한다. 컨넥터(730)는 유체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연장된 전선(250) 또는 그 전선(250)에 결합된 컨넥터(260)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며, 측정 신호가 신호 처리 회로(720)로 전달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신호 처리 회로(7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며, 기본적으로, 아날로그 측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아날로그 미터계(미도시) 등을 통해 측정 신호를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신호 처리 회로(720)는 디지털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Th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Claims (12)
상기 제1 수용관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수용관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체결판;
상기 제1 수용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제1 전선을 수용하는 제2 수용관;
상기 제2 수용관의 일단에 타단이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전선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전선을 수용하며, 상기 제1 수용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부재;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코일 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전선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센서 어셈블리;
상기 제1 수용관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용관이 상기 제1 수용관 내부로 인입 또는 입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용관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체결판; 및
상기 제2 수용관의 타단에 결합된 제3 체결판을 포함하는 유체 상태 측정 장치.A first receiving tube;
A first fastening plate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receiving tube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receiving tube is coupled;
A second receiving tub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eceiving tube and receiving a first wire therein;
A coil member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ceiving tube and having a second e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wire, the coil member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eceiving tube;
A sensor assem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coil member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fluid, the sensor assembly being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econd wire;
A second fastening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tube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accommodating tube is coupled with the second accommodating tube so that the second accommodating tube can be inserted into or out of the first accommodating tube, ; And
And a third fastening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ceiving tube.
상기 코일 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코일 부재의 일단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 및
상기 수평 연장부로부터 상기 코일 부재의 일단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연장부를 포함하는 유체 상태 측정 장치.[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horizontal extens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one end of the coil member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member; And
And an incline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to one end of the coil member.
상기 수평 연장부와 상기 경사 연장부를 연결하는 곡선부를 더 포함하는 유체 상태 측정 장치.[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nd a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and the slant extension portion.
상기 제1 수용관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수용관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체결판;
상기 제1 수용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전선을 수용하는 제2 수용관;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수용관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센서 어셈블리;
상기 제1 수용관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용관이 상기 제1 수용관 내부로 인입 또는 입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용관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체결판; 및
상기 제2 수용관의 타단에 결합된 제3 체결판을 포함하는 유체 상태 측정 장치.A first receiving tube;
A first fastening plate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receiving tube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receiving tube is coupled;
A second receiving tub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eceiving tube and receiving a wire therein;
A sensor assem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ceiving tube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fluid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lectric wire;
A second fastening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tube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accommodating tube is coupled with the second accommodating tube so that the second accommodating tube can be inserted into or out of the first accommodating tube, ; And
And a third fastening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ceiving tube.
상기 제1 수용관의 외부 표면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결합된 밸브를 더 포함하는 유체 상태 측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Further comprising a valv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outer surface of said first receiving tube.
상기 제1 수용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용관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체 상태 측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And a sealing member located inside the first receiving tube and sealing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irst receiving tube so as not to flow out to the outside.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제1 체결판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유체 측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And the first through-hole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fastening plate.
상기 제3 체결판은 상기 제2 체결판에 고정될 수 있는 유체 측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And the third fastening plate can be fixed to the second fastening plate.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유체 유입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센서 하우징; 및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 신호를 생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2 전선에 출력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유체 상태 측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The sensor assembly includes:
A sensor housing having a through hole for fluid inflow; And
And a sensor disposed inside the sensor housing for measuring a state of the fluid to generate a measurement signal and outputting the measurement signal to the second electric wir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제3 체결판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1 전선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센서 어셈블리에서 생성된 측정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더 포함하는 유체 상태 측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Further comprising a signal processing devic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wire extending from the third fastening plate and receiving a measurement signal generated in the sensor assemb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8/003776 WO2019022339A1 (en) | 2017-07-28 | 2018-03-30 | Fluid condition measuremen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095926 | 2017-07-28 | ||
KR1020170095926 | 2017-07-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3443A true KR20190013443A (en) | 2019-02-11 |
KR102074299B1 KR102074299B1 (en) | 2020-03-02 |
Family
ID=6537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6974A Expired - Fee Related KR102074299B1 (en) | 2017-07-28 | 2018-03-30 | The equipment for condition monitoring of flui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4299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0244A (en) * | 1999-11-03 | 2001-07-06 | 존 씨. 메티유 | Monitoring fluid condition through an aperture |
KR20090128553A (en) * | 2007-04-11 | 2009-12-15 | 이턴 코포레이션 | Integral oil condition and level sensor |
KR20100002026U (en) * | 2008-08-18 | 2010-02-26 | 주식회사 에스앤에스레볼루션 | Automotive Dipstick Unit with Sensor |
KR20130061524A (en) * | 2011-12-01 | 2013-06-11 | 한국전력공사 | Apparatus for diagnosing state of insulating oil |
KR200483577Y1 (en) * | 2016-02-18 | 2017-06-15 | 주식회사 코펨에코 | The equipment for condition monitoring of oil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2018
- 2018-03-30 KR KR1020180036974A patent/KR10207429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0244A (en) * | 1999-11-03 | 2001-07-06 | 존 씨. 메티유 | Monitoring fluid condition through an aperture |
KR20090128553A (en) * | 2007-04-11 | 2009-12-15 | 이턴 코포레이션 | Integral oil condition and level sensor |
KR20100002026U (en) * | 2008-08-18 | 2010-02-26 | 주식회사 에스앤에스레볼루션 | Automotive Dipstick Unit with Sensor |
KR20130061524A (en) * | 2011-12-01 | 2013-06-11 | 한국전력공사 | Apparatus for diagnosing state of insulating oil |
KR200483577Y1 (en) * | 2016-02-18 | 2017-06-15 | 주식회사 코펨에코 | The equipment for condition monitoring of oil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4299B1 (en) | 2020-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59987B1 (en) | Combination pressure/temperature in a compact sensor assembly | |
US4638668A (en) | Measurement coupling for fluidic systems | |
EP2992305B1 (en) | Spring-loaded temperature sensor | |
US11839785B2 (en) | Hydrant monitoring communications hub | |
US11619033B2 (en) | Self-contained hydrant monitoring system | |
MXPA04007450A (en) | Probe assembly for a fluid condition monitor and method of making. | |
CN106032999B (en) | Lug type disk alignment ring | |
EP3155379B1 (en) | Electrical process control sensor assemblies | |
JP7189631B2 (en) | Fluid control equipment | |
US6269693B1 (en) | Capacitive sensor for a fluid forming a dielectric in a capacitor | |
KR102673496B1 (en) |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 |
KR20190013443A (en) | The equipment for condition monitoring of fluid | |
US10591051B2 (en) | Sensor mounting structure | |
RU2009106966A (en) | CHARGING VALVE (OPTIONS) AND METHOD FOR ITS MODIFICATION | |
TWI676755B (en) | Fluid control device, fluid control equipment and sensor holding member | |
US7373818B2 (en) | Fixing system for a measuring device for monitoring and/or determination of a filling level | |
WO2019022339A1 (en) | Fluid condition measurement device | |
EP3333559A2 (en) |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 |
US11560786B2 (en) | Liquid level sensor system | |
CN107543646A (en) | Pressure sensor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ure sensor | |
KR101021493B1 (en) | Test coupling | |
US10520382B2 (en) | Pressure sensor module with spring-loaded electrical contact pins | |
EP3043113A1 (en) | Fastening device for thermoinsulating tile of gas turbine combustion chamber | |
CN209296210U (en) | Pressure sensor | |
RU2492437C1 (en) | Temperature sen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