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822A - health care chair structure - Google Patents
health care chair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69822A KR20170069822A KR1020150177505A KR20150177505A KR20170069822A KR 20170069822 A KR20170069822 A KR 20170069822A KR 1020150177505 A KR1020150177505 A KR 1020150177505A KR 20150177505 A KR20150177505 A KR 20150177505A KR 20170069822 A KR20170069822 A KR 201700698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r
- health care
- user
- sensing unit
- backre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부(120)가 설치된 헬스케어체어(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감지부(120)가 전면에 설치된 체어몸체(110)와; 상기 체어몸체(110)에 설치된 감지부(120)에서 감지한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제어부(140)에 변환된 데이터를 스마트폰과 통신을 하는 체어통신부(130); 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는 인체공학적으로 등받이에 굴곡이 형성되어 사용자를 바른 자세로 유도할 뿐만 아니라, 감지부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고,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체어몸체가 조절되고, 감지데이터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are chair (100) having a sensing unit (120), comprising: a chair body (110) having the sensing unit (120) installed on the front; A controller 140 for converting a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120 installed in the chair body 110 into data; A chair communication unit 130 for communicating the converted data to the controller 140 with the smartphone; In this case,
In the health care chai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rest is ergonomically bent to guide the user to the right posture, the user's posture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transmitting the sensed data to the smart device in a standardized mann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헬스케어체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공학적으로 등받이에 굴곡이 형성되어 사용자를 바른 자세로 유도할 뿐만 아니라, 감지부에서 사용자의 자세데이터로 감지하고, 감지된 자세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체어몸체가 조절되고, 자세데이터를 감지부의 센서 단위로 스마트기기로 전송하여, 스마트기기에서 사용자의 상태를 출력하도록 하는 헬스케어체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are chair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lth care chair structure in which a backrest is ergonomically bent to guide a user into a proper pos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are chair structure in which a chair body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a body shape of a user and a posture data is transmitted to a smart device in units of sensors of a sensing unit to output a state of a user in a smart device.
일반적으로 학생, 사무직 등의 실내에서 주로 활동하는 사람들은 의자에 앉아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상기 사람들은 의자에서 각자 편한 습관의 자세로 작업을 하고 있어, 자세가 바르지 못한 습관을 가진 사람들은 허리 디스크 등의 신체적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Generally, people who work mainly in indoor areas such as students and office workers spend a lot of time sitting on their chairs, and the people work on their own chairs in a comfortable habit position, and those who have habits that are not in good posture, And the like.
또한, 의자에 앉은 사람들은 자신의 자세를 교정하는 것에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자세 교정에 필요한 정확한 자신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없다.Also, those sitting in a chair need a lot of effort to correct their posture, and can not confirm their exact state needed for posture correction.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094316호의 3-로드셀을 이용한 의자형 착석자세 및 산만도 교정시스템에 있어서, 의자의 상부 유니트와 하부 유니트사이에 부착된 3개의 로드셀;과 상기 3개의 로드셀로부터 무게변화에 따른 무게신호를 계측하기 위한 신호계측부;와 상기 계측된 무게신호의 시간적 변화량 연산을 위한 타이머;와 상기 계측된 무게신호의 시간적 변화량에 따라 착석자의 자세 또는 산만도를 포함하는 자세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자세정보를 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신호송신부; 및 상기 신호송신부에서 전송된 자세정보로 상기 착석자의 자세 또는 산만도를 모니터링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3-로드셀을 이용한 의자형 착석자세 및 산만도 교정시스템이라고 기재되어 있다.In a chair-type sitting posture and a distraction accuracy calibration system using a 3-load cell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5-0094316, three load cells are attached between an upper unit and a lower unit of a chair, A weigh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weight signal according to a weight change from the load cells, a timer for calculating a temporal change amount of the measured weight signal, A signal transmitter for converting attitud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into a communic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a terminal device for monitoring the posture or distraction degree of the seated person with the post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type seating posture and a distraction accuracy calibration system using a three-load cell.
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137327호의 의자를 이용한 생체정보 획득장치에 있어서, 의자의 팔걸이, 등판, 좌판에 설치된 각 생체신호 획득센서 및 압력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의자를 이용한 생체정보 획득장치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팔걸이에 접촉된 사용자의 팔 또는 손바닥으로부터 심전도신호(ECG), 피부전기저항(GSR), 광용적맥파(PPG)를 측정하는 팔걸이 생체신호감지부; 상기 의자의 등판에 설치되어 접촉된 사용자의 등부위로부터 심전도신호를 측정하는 등판 심전도센서부; 상기 의자의 좌판에 설치되어 접촉된 사용자의 엉덩이부위로부터 심전도신호를 측정하는 좌판 심전도센서부; 상기 팔걸이 생체신호감지부 및 등판,좌판 심전도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생체정보 파라미터 또는 생체신호 원(raw)데이터를 개인용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생체정보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를 이용한 생체정보 획득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As another conventional art, in a biometric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using a chair of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137327, a biometric signal of a user is acquired from each of a living body signal acquiring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provided on an armrest, (ECG), a skin electrical resistance (GSR), and an optical pulse voltage (PPG) from an arm or a palm of a user in contact with the armrest of the chair, part; A back-up electrocardiogram sensor unit installed on the back plate of the chair and measurin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from the back of the user; A seat electrocardiograph sensor unit installed on a seat of the chair and measuring an electrocardiogram signal from a hips of a user who is in contact with the seat; And a bio-information processor for receiving bio-signals measured from the arthroscopic bio-signal sensing part, the back plate, and the left-side electrocardiogram sensor part and transmitting bio-information parameters or bio-signal raw data to a personal computer or a smart phone And a biometric information acquiring device using a chai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들은 헬스케어체어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해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devices have disadvantages in that they can not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through the data sensed through the healthcare chair sensing unit.
따라서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를 통하여, 인체공학적으로 등받이에 굴곡이 형성되어 사용자를 바른 자세로 유도할 뿐만 아니라, 감지부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고,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체어몸체가 조절되고, 자세데이터를 감지부의 센서 단위로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헬스케어체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not only the backrest is bent ergonomically through the health care chai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guide the user to the right posture, but also the user's posture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the user's body shape And to transmit the attitude data to the smart device in the sensor unit of the sensing unit.
본 발명은 감지부(120)가 설치된 헬스케어체어(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감지부(120)가 전면에 설치된 체어몸체(110)와; 상기 체어몸체(110)에 설치된 감지부(120)에서 감지한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제어부(140)에 변환된 데이터를 스마트폰과 통신을 하는 체어통신부(130);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are chair (100) having a sensing unit (120), comprising: a chair body (110) having the sensing unit (120) installed on the front; A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는 인체공학적으로 등받이에 굴곡이 형성되어 사용자를 바른 자세로 유도할 뿐만 아니라, 감지부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고,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체어몸체가 조절되고, 감지데이터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In the health care chai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rest is ergonomically bent to guide the user to the right posture, the user's posture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transmitting the sensed data to the smart device in a standardized manner.
도 1은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의 헬스케어체어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의 헬스케어체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의 데이터 통신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의 목받침이 상하로 이동되는 헬스케어체어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의 거치형 헬스케어체어의 실시예 분해 등각투상도 및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의 거치형 헬스케어체어의 실시예 정면도 및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의 거치형 헬스케어체어의 실시예 배면도1 is a side view of a health car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ealth care chair structur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lth care chair of the health care chai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ata communication of the health care chai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health care chair in which the neckrest of the healthcare chai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up and down
FIG. 5 is an exploded isometric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a stationary type health car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ealth care chair structure
6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an embodiment of a stationary type health car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ealth care chair structure
7 is a rear view of an embodiment of a stationary type health care chair having a health care chai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감지부(120)가 설치된 헬스케어체어(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감지부(120)가 전면에 설치된 체어몸체(110)와; 상기 체어몸체(110)에 설치된 감지부(120)에서 감지한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제어부(140)에 변환된 데이터를 스마트폰과 통신을 하는 체어통신부(13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are chair (100) having a sensing unit (120), comprising: a chair body (110) having the sensing unit (120) installed on the front; A
또한, 상기 체어몸체(110)는 등받이(111), 목받침(112), 그리고 착석부(113)로 이루어진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인 것으로, 상기 체어몸체(110)는 등받이(111) 또는 목받침(112)의 전면에 다수의 센서로 이루어진 감지부(1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체어몸체(110)는 목받침(112)을 분리 및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체어몸체(110)의 목받침(112)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 또는 제어부(140)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헬스케어체어(100)는 의자에 거치하는 거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헬스케어체어(100)는 사용자의 힙 하부가 닿는 착석부(113)와 등받이(11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의 헬스케어체어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의 헬스케어체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의 데이터 통신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의 목받침이 상하로 이동되는 체어몸체의 실시예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의 거치형 헬스케어체어의 실시예 분해 등각투상도 및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의 거치형 헬스케어체어의 실시예 정면도 및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의 거치형 헬스케어체어의 실시예 배면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of a health car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ealth care chair structur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lth car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ealth care chair structure, Fig. 3 is a data communication conceptual view of the health care chai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a stationary type health care chair having the health care chai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right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rear view of an embodiment of a stationary health care chair of the health care chai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an example of a stationary health care chair of a healthcare chair structure.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은 감지부(120)가 설치된 헬스케어체어(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감지부(120)가 전면에 설치된 체어몸체(110)와; 상기 체어몸체(110)에 설치된 감지부(120)에서 감지한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제어부(140)에 변환된 데이터를 스마트폰과 통신을 하는 체어통신부(130);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상기 헬스케어체어(100)의 감지부(120)는 목받침(112)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인 목감지부(122)와, 등받침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123)인 등감지부(121)로 이루어진지고, 상기 센서(123)는 사용자의 각 부위별로 신체감지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센서(123)는 압력센서, 근접센서, 또는 자기센서를 사용한다.The
그리고 상기 압력 센서는 압력을 검출하기위해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상기 압력 센서는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해 주로 로드셀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근접 센서는 물체의 접근위치를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며,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근접 센싱 기술(proximity Sensing Tecnology)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등이 헬스케어체어(100)에 완전히 닿지 않아도 거리를 감지하여 스마트폰(200)의 중앙처리장치(220)에서 사용자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자기 센서는 자기 신호를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상기 자기 센서를 통해 자기식 센싱 기술(Magnetic Sensing Tecnology)을 사용하여 인체자기장을 감지한다.The pressure sensor converts the pressure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for detecting the pressure. The pressure sensor can be used mainly for detecting a load of a user.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n approaching position of an object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 signal (Proximity sensing technique)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to sense the distance even when the user's back does not completely touch the
상기 감지부(120)의 일실시예로서, 감지부(120)의 목감지부(122)는 목받침(112)의 전면 가로중심에 2개의 압력센서가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상하의 압력센서 좌우로 각각 이격되어 하나씩 압력센서가 설치되어 목받침(112)의 전면에는 총 6개의 압력센서가 설치되고, 감지부(120)의 등감지부(121)는 등받침 전면의 가로중심을 기준으로 9개의 압력센서가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고, 각각의 압력센서는 신체의 일부분을 감지하며, 목감지부(122)를 통해 감지되는 부위는 사용자의 목이며, 등감지부(121)를 통해 감지되는 부위는 사용자의 등이다.The
또한, 상기 감지부(120)의 센서(123)는 신체가 접촉하면 신체감지여부가 있는 것으로, 상기 감지부(120)의 모든 센서에 접촉신호가 있을 시 제어부(140)에서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앉아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그리고 상기 접촉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는 하나의 센서가 등받침 좌측센서이면 사용자의 신체가 우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이며, 등받침 우측센서이면 신체가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이고, 목받침(112) 좌측상부센서이면 우측으로 사용자의 목이 기울어진 상태이며, 목받침(112) 우측상부센서이면 좌측으로 사용자의 목이 기울어진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이다.When one sensor that can not detect the touch signal is a sensor on the left side of the backrest, the body of the user is tilted to the right. In the case of the backrest sensor on the right side, the body is tilted to the left. The neck of the user is inclined to the right side of the upper sensor and the neck of the user is inclined to the left side of the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근접하는 이미지로 출력하여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ate of the user can be displayed as a nearby image through the
또한, 상기 체어몸체(110)는 등받이(111), 목받침(112), 그리고 착석부(113)로 이루어진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인 것으로, 상기 체어몸체(110)는 등받이(111) 또는 목받침(112)의 전면에 다수의 센서로 이루어진 감지부(120)가 설치된다.The
상기 체어몸체(110)의 1번 실시예로서, 체어몸체(110)는 목받침(112)을 분리 및 결합을 하는 것으로, 상기 목받침(112) 분리 시 목받침(112)에 설치된 감지부(120)의 센서는 사용되지 않는 것이다.The
상기 체어몸체(110)의 2번 실시예로서, 체어몸체(110)는 레버가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버에 의해 체어몸체(110)의 앞뒤로 기울기가 조절이 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버를 눌러진 상태에서 사용자(10)가 체어몸체(110)를 기울이면 기울기가 조절이 되고, 레버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10)가 체어몸체(110)를 기울여도 체어몸체(110)는 기울어지지 않는 것이다.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상기 체어몸체(110)의 목받침(112)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 또는 제어부(140)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다.The
상기 체어몸체(110)의 3번 실시예로서, 체어몸체(110)의 목받침(112)은 헬스케어체어(100)의 제어부(140)로 인해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다.The
그리고 상기 목받침(112)을 연결하는 목받침 연결부가 막대형상의 렉기어가 되며, 등받침 후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등받침 연결부가 상하로 관통되고 내부에 피니언기어가 설치된다.The neck support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정역회전이 모두 가능한 관용의 전기모터(스텝모터)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된다.The pinion gear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a common electric motor (step motor) capable of bot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따라 일측에 접촉된 렉기어 역할을 하는 목받침 연결부가 상하로 이동되고, 감지부(120)의 등감지부(121)에서 사용자가 일정시간(3초 간) 감지되면 체어몸체(110)의 제어부(140)가 피니언기어를 회전시켜 목받침 연결부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목감지부의 압력센서에 사용자의 목이 닿으면 제어부(140)로 신호를 보내, 제어부(140)에서 목받침 연결부의 이동을 멈춘다.When the pinion gear is rotated, a neck support connection part serving as a gear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ide is moved up and down. When the user senses a predetermined time (3 seconds) at the
이후 사용자가 등받침에 감지되지 않은 상태로 일정시간(5분)이 지나면 제어부(140)는 피니언기어를 역회전시켜 목받침 연결부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킨다.After a predetermined time (5 minutes) after the user is not detected by the backrest, the
또한, 상기 체어통신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스마트폰(200)의 스마트폰통신부(210)로 전송 방식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전송 방식은 블루투스 통신 등 근접하여 데이터를 무선으로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또는 케이블로 직접연결 되어 통신하는 유선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The
상기 전송 방식의 일실시예로서, 전송 방식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중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것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스마트폰(200)의 스마트폰통신부(210)인 블루투스 모듈과 헬스케어체어(100)의 체어통신부(130)인 블루투스 모듈은 서로 연동하여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이다.The transmission method uses Bluetooth communication amo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The transmission method includes a Bluetooth module, which is a smart phone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본 발명의 헬스케어체어(100)의 다른 실시예로서, 헬스케어체어(100)의 체어몸체(110)는 도 5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에 거치하는 거치형인 것이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그리고 상기 헬스케어체어(100)의 체어몸체(110)는 등받이(111)와 착석부(113) 이루어진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인 것으로, 상기 체어몸체(110)는 등받이(111)의 전면에 다수의 센서로 이루어진 감지부(120)가 설치되되, 상기 헬스케어체어(100)는 의자에 거치하는 거치형인 것이다.The
그리고 상기 헬스케어체어(100)는 일반의자 등에 거치되고, 상기 헬스케어체어(100)의 체어몸체(110)는 사용자의 힙 하부가 닿는 착석부(113)와 등받이(111)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등받이(111)의 하부에는 사용자 힙 후부가 삽입되는 커브(Curve)가 형성되고, 등받이(111) 상부와 하부 중앙에는 커브곡률의 변곡점이 형성되어 상하로 곡률이 변경되고, 상기 등받이(111)의 상부 전면에는 감지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120)의 센서는 내부의 스프링 또는 자석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되되, 사용자에 의해 감지부(120)의 센서가 눌러지면 제어부(140)로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신호가 제어부로 이동되는 것이다.A curved line for inserting a user's hip rear portion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따라서 본 발명 헬스케어체어 구조는 인체공학적으로 등받이에 굴곡이 형성되어 사용자를 바른 자세로 유도할 뿐만 아니라, 감지부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고,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체어몸체가 조절되고, 감지데이터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health care chai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ergonomically bent on the back, guiding the user to the right posture, but also sensing the user's posture in the sensing unit,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the body being adjusted and the sensing data being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in a standardized manner.
10 : 사용자
100 : 헬스케어체어
110 : 체어몸체
111 : 등받이
112 : 목받침
113 : 착석부
120 : 감지부
121 : 등감지부
122 : 목감지부
123 : 센서
130 : 체어통신부
140 : 제어부10: User
100: Health care chair
110: a chair body 111: a backrest
112: neckrest 113:
120: sensing unit 121:
122: neck part 123: sensor
130:
140: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7505A KR20170069822A (en) | 2015-12-11 | 2015-12-11 | health care chair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7505A KR20170069822A (en) | 2015-12-11 | 2015-12-11 | health care chair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9822A true KR20170069822A (en) | 2017-06-21 |
Family
ID=5928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7505A Ceased KR20170069822A (en) | 2015-12-11 | 2015-12-11 | health care chair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69822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7771A (en) | 2018-09-05 | 2020-03-13 | 최병현 | User's posture detecting chair and system |
KR20220085349A (en) | 2020-12-15 | 2022-06-22 | 주식회사 레니프 | A chair for detecting the user's posture |
KR20220091047A (en) | 2020-12-23 | 2022-06-30 | 주식회사 레니프 | Headrest for posture detection and chair for posture detection comprising the same |
-
2015
- 2015-12-11 KR KR1020150177505A patent/KR2017006982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7771A (en) | 2018-09-05 | 2020-03-13 | 최병현 | User's posture detecting chair and system |
KR20220085349A (en) | 2020-12-15 | 2022-06-22 | 주식회사 레니프 | A chair for detecting the user's posture |
KR20220136291A (en) | 2020-12-15 | 2022-10-07 | 주식회사 레니프 | A chair for detecting the user's posture |
KR20220091047A (en) | 2020-12-23 | 2022-06-30 | 주식회사 레니프 | Headrest for posture detection and chair for posture detection compri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38842B2 (en) | Smart sea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WO2017166235A1 (en) | Sitting posture correction seat, system, and method | |
KR101379351B1 (en) | Monitoring system for sitting posture of user | |
KR101183580B1 (en) | Wearable posture correction equipment linking with smart apparatus | |
CN106108458B (en) | Electromechanical control system for a seat | |
US2017002043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user posture | |
KR10208251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evaluating sitting posture providing feedback | |
KR101278552B1 (en) | health care robot having check module of biometric data | |
CN106361551A (en) | Massage chair capable of detecting multiple health indexes | |
US2017016969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utput signals on the basis of sensors provided in an object for sitting or lying on | |
CN106580335B (en) | Neck mobility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 |
CN111714321B (en) | Mobile auxiliary device and system of integrated gravity measurement equipment | |
KR20140003820A (en) | Method for user interface of based on vital signal | |
CN105246449A (en) | Assistance robot | |
JP2016083335A (en) | System for monitoring sitting posture in real-time using pressure sensors | |
KR20170137624A (en) | Treatment system equipped with massage machine | |
CN113384266A (en) | Intelligent sitting posture monitoring and analyzing system and method | |
KR20170069822A (en) | health care chair structure | |
CN115153230A (en) | Intelligent health seat and sitting posture identification method thereof | |
CN214712537U (en) | Intelligent chair system for monitoring and feeding back physical signs | |
CN106923567A (en) | A kind of intelligent health chair appearance method of data capture | |
Hesse et al. | A connected chair as part of a smart home environment | |
CN214711547U (en) | Self-alarming sitting posture correcting chair | |
KR101622480B1 (en) | Sitting mat type posture correction system | |
CN215959843U (en) | A health monitoring cushion and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10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0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12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0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