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009A - 운반용 화물차량의 대차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재 및 하차방법 - Google Patents
운반용 화물차량의 대차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재 및 하차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1009A KR20160081009A KR1020140194029A KR20140194029A KR20160081009A KR 20160081009 A KR20160081009 A KR 20160081009A KR 1020140194029 A KR1020140194029 A KR 1020140194029A KR 20140194029 A KR20140194029 A KR 20140194029A KR 20160081009 A KR20160081009 A KR 201600810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llet
- matrix
- loading box
- cross bar
- 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1/3부분은 적재함의 바닥에 가이드(5)와 롤러(2)의 연장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대차(파레트)(3)을 가로 또는 세로로 이동시키는 볼베어링(12)과, 가로행렬과 세로행렬을 분리하는 분리대(10)와, 상기 분리대(10)의 전방 쪽으로 형성된 힌지(9)와, 상기 분리대(10)의 후방 쪽으로 상기 분리대(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구(11)로 구성되어 있고, 화물차량 적재함의 전방 2/3부분은 바닥에 적재함의 양단과 행렬사이에 대차(파레트)(3)를 고정시키고 적재물의 흔들거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재함의 후방끝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턱(8')과, 행렬사이에 상기 분리대(10)와 연결되어 형성된 고정턱(8)과,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형성된 행렬마다, 대차(파레트)(3)크기의 공간에 양쪽으로 구성되어 있는 롤러(2)와, 상기 대차(파레트)(3)를 하차시키는 가로대(1)와, 상기 가로대(1)가 안내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가이드(5)와, 상기 가로대(1)에 연결되어 있는 줄(6)과, 상기 줄(6)을 쉽게 작동시키도록 설치된 대차(파레트)이동줄 롤러(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적재 및 하차 방법.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적재 및 하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공장에서 제조된 자동차 시트 등의 특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하여 볼베어링을 이용한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재 및 하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대차(파레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이동하는 작업에 있어서는 대차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이송 컨베어를 통해 이송시, 이를 작업자가 수 작업에 의해 화물차량에 적재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 작업에 의한 적재작업은 작업성이 극히 저하됨은 물론 별도의 작업인원을 투입하게되어 제품의단가 상승을 초래하게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작업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자동사시트가 손상되거나 작업자가 부상을 입으며, 이로 인한 공정이 중단되어 효율이극히 저하되고, 컨베어에 의해 일정하게 공급되는 작업자의 수 작업에 의해 화물에 적재하는 공정의 흐름이 원활치 못하여 생산성이 극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어 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평8-108788호, 및 소 63-263145호에는 파레트를 두줄로 상하층 총 4개로 적재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동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60-209438호에는 수평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수직다관절형의 이동기구에 의하여 전후좌우상하로 3차원 이동하는 이동체에 끼움 지지형의 이동 적재화물 유지장치를 설치한 팔레트 짐 쌓기 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6-39573, 평7-18972호, 소64-41451호, 평6-67170호에는 파레트를 이동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적재화물을 이동시키거나 쌓을 때 적재화물의 이동이 복잡하고 적재화물이 지지체의 이동으로 장애가 되거나, 높은 위치에서 화물을 낙하시킬 경우 화물의 파손 등의 문제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원 발명은 적재된 화물차량에 적재시, 보다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하게 하여 효율적으로 화물차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볼베어링을 이용하여, 가로 또는 세로로 하여 자유롭게 자동차 시트 등의 특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재 및 하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화물차량에 적재될 수 있는 크기의 화물차량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화물차량 적재함을 이층으로 형성하여 상, 하층이 똑같이 대차(파레트)가 가로로 8개가 한 조가 된 하나의 행렬과, 그 좌측 또는 우측에 대차(파레트)가 세로로 4개가 한 조로 하나의 행렬로 모두 2개의 행렬로 구성된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에 있어서,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1/3부분은 적재함의 바닥에 가이드와 롤러의 연장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대차(파레트)을 가로 또는 세로로 이동시키는 볼베어링과, 가로행렬과 세로행렬을 분리하는 분리대와, 상기 분리대의 전방 쪽으로 형성된 힌지와, 상기 분리대의 후방 쪽으로 상기 분리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구로 구성되어 있고, 화물차량 적재함의 전방 2/3부분은 바닥에 적재함의 양단에 대차(파레트)를 고정시키고 적재물의 흔들거림을 방지하는 적재함의 후방끝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턱과, 행렬사이에 상기 분리대와 연결되어 형성된 고정턱과,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형성된 행렬마다, 대차(파레트)크기의 공간에 양쪽으로 구성되어 있는 롤러와, 상기 대차(파레트)를 하차시키는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가 안내되어 전후로 이동되며 적재함 후방 끝가지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와, 상기 가로대에 연결되어 있는 줄과, 상기 줄을 쉽게 작동시키도록 설치된 대차(파레트)이동줄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및 하차방법에 있어서, 분리대를 가로행렬쪽으로 가로막은 다음에 상기 대차(파레트)을 볼베아링에 닿게하여 세로로 대차(파레트)를 정렬하면서, 상기 볼베아링의 후면에 한줄 내지 두줄로 설치된 롤러를 이용하여 세로로 대차파레트를 적재한 다음에 분리대를 세로행렬쪽으로 위치를 이동시켜 고정구로 고정시킨 다음, 대차(파레트)를 가로로 적재할 수 있도록, 화물차량 적재함의 바닥(저면)면에 대차(파레트)에 대향되어 이동시킬 수 있는 볼베아링을 통과시킨 후에, 상기 볼베아링의 후면에 한 줄 내지 두 줄로 설치된 롤러를 이용하여 대차(파레트)를 가로로 적재하며, 이때 세로 및 가로로 적재되는 최초의 대차(파레트)는 가로대를 밀고 들어가면 상기 가로대는 가로대를 왕복 이동시키는 가이드에 따라, 적재함 안쪽으로 들어가서 적재시키고, 하차는 상기 방법의 역순으로 하차시키는 것으로서, 줄의 일단은 가이드의 끝단에 설치된 대차(파레트) 이동 줄 롤러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 다른 일단은 가이드를 통하여 가로대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줄을 좌우 측에서 쉽게 잡아당기면, 줄은 대차(파레트) 이동 줄 롤러를 통하여 가로대에 힘력이 가해져 가로대가 이동되면서 대차(파레트)들을 하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화물을 차량으로 이송시 효율적으로 화물차량작업을 할 수 있으며, 자동차조립라인에 조립기술자가 쉽게 작업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의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대차(파레트)를 이동시키는 가로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도 6은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의 볼베어링,
도 7은 본 발명의 화물차량에 적재된 대차(파레트)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의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대차(파레트)를 이동시키는 가로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도 6은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의 볼베어링,
도 7은 본 발명의 화물차량에 적재된 대차(파레트)의 평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99-16769호 및 특허출원99-50231호를 개량한 것으로서, 볼베아링을 이용하여 화물차량에 적재되는 대차(파레트)를 가로 또는 세로로 쉽게 이동시켜, 원하는 상태로 적재하여 불필요한 공간을 제거하여 효율적으로 화물을 운반토록 개량한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적재 및 하차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대차(파레트)를 이용하여 자동차시트 등의 특수 화물의 적재시, 종래에는 적재함의 크기와 자동차 시트 등의 규격화된 크기로 인하여 가로방향으로 하나의 대차(파레트)를 이용하여 적재함으로서, 좌우에 불필요한 많은 공간이 있어 비효율적이었으나, 본 발명은 종래의 구조를 변형시켜 대차(파레트)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원하는 상태로 적재하여 불필요한 공간을 제거하여 효율적인 화물을 운반토록 개량한 대차(파레트)를 이용하여 자동차시트를 적재하거나 이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물적재함 바닥에는 후미 1/3은 볼베아링이 일정하게 설치되어 있어 컨베어나, 자동이송장치에서 인계되는 화물을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에 옮겨 실은 후 화물적재함의 후미 바닥에 설치된 볼베아링을 이용하여 가로 또는 세로로 원하는 형태로 대차(파레트)를 설정하여 화물을 많이 실어 물류비를 절감시키는 경제적인 화물적재장치인 것이다.
종래에는 화물을 대차(파레트))를 이용하여 화물차량에 적재시 이층으로 적재하며, 가로방향으로 8개의 대차(파레트)를 화물차량 적재함 바닥에 설치된 두줄 또는 여러 줄의 롤러에 의해 순서에 따라 자동차시트를 적재해왔으나, 본 발명은 화물이 적재된 대차(파레트)를 세로방향으로 4개 의 대차(파레트)를 적재할 수 있으며, 가로방향으로는 길이에 따라 8개를 이층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개량한 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 사시도, 도2a는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평면도, 도2b는 본 발명의 대차(파레트)를 이동시키는 가로대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5는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도6은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장치의 볼베어링, 도7은 본 발명의 화물차량에 적재된대차(파레트)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가로대(1), 롤러(2), 대차(파레트)(3), 대차(파레트))이동줄 롤러(4), 가이드(5), 줄(6), 고정턱(8,8'), 힌지(9), 분리대(10), 고정구(11), 볼베어링(12)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그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화물차량에 적재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화물차량 적재함을 이중으로 형성하여 상, 하층이 똑같이 대차(파레트)(3)가 가로로 8개가 한 조가 된 하나의 행렬과, 그 좌측 또는 우측에 대차(파레트)(3)가 세로로 4개가 한 조로 하나의 행렬로 구성된 장치로서,
화물차량 적재함의 2/3부분을 가로로 나누어,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1/3부분은 적재함의 바닥에 가이드(5)의 연장선상으로 볼베어링(12)이 형성되어 있고, 롤러(2)의 연장선상으로 대차(파레트)에 맞게 볼베어링(12)이 여러 줄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행렬과 세로행렬을 분리하고 고정턱(8)과 연결되는 분리대(10)가 전방 쪽으로는 힌지(9)로 연결되어 있으며, 후방 쪽으로는 상기 분리대(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구(11)가 형성되어 있고, 화물차량 적재함의 전방 2/3부분은 바닥에 적재함의 양단에는 대차(파레트) (3)를 고정시키고 적재물의 흔들거림을방지하는 적재함의 후방 끝까지 연장된 고정턱(8')이 형성되며, 행렬사이에는 상기 분리대(10)와 연결된 고정턱(8)이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형성된 행렬마다, 대차(파레트)(3)크기의 공간에 롤러(2)가 양쪽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상기 대차(파레트)(3)를 하차시키는 가로대(1)와, 상기 가로대(1)가 안내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적재함의 후방 끝까지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5)와, 상기 가로대(1)에 연결되어 있는 줄(6)과, 상기 줄(6)을 쉽게 작동시키는 대차(파레트)이동줄 롤러(4)가 설치되어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세로방향으로 4개씩 한 조로 적재할 수 있는 상기 장치들을 3행렬로 하여 상하 2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대차(파레트)(3)의 길이는 세로는 가로길이의 1/2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파레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하거나 이동시키는 장치인 것이다.
물론, 상기 대차(파레트)에는 화물이 적재되어 이동되는 것이다.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컨베어나 롤러레일등 자동이송장치를 타고 이송된 화물이 적재된 대차(파레트)(3)를 직접 화물차량 적재함에 이송하게 되면, 도 1과 같이 먼저 분리대(10)를 가로행렬쪽으로 가로막은 다음에 상기 대차(파레트)(3)을 볼베아링(12)에 닿게하여 세로로 대차(파레트)(3)를 정렬하면서, 상기 볼베아링(12)의 후면에 한줄 내지 두줄로 설치된 롤러(2)를 이용하여 세로로 대차파레트(3)을 적재한 다음에 분리대(10)를 세로행렬쪽으로 위치를 이동시켜 고정구(11)로 고정시킨 다음, 대차(파레트)(3)를 가로로 적재할 수 있도록, 분리대(10)를 세로행렬쪽으로 세로로 막은 다음에, 화물차량 적재함의바닥(저면)면에 대차(파레트)(3)에 대향되어 이동시킬 수 있는 볼베아링(12)을 통과시킨 후에, 상기 볼베아링(12)의후면에 한 줄 내지 두 줄로 설치된 롤러(2)를 이용하여 대차(파레트)(3)을 가로로 적재하는 방법인 것이다.
이때, 세로 및 가로로 적재되는 최초의 대차(파레트)(3)는 가로대(1)를 밀고 들어가면 상기 가로대(1)는 가로대를 왕복이동시키는 가이드(5)따라, 적재함 안쪽으로 들어가며, 대차(파레트)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되는 것이다. 대차(파레트)(3)의 하차시에는 상기 방법의 역순으로 하차시키는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줄(6)의 일단은 가이드(5)의 끝단에 설치된 대차(파레트)이동줄롤러(4)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 다른 일단은 가이드(5)를 통하여 가로대(1)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줄(6)을 좌우 측에서 쉽게 잡아당기면, 줄(6)은 대차(파레트)이동줄 롤러(4)를 통하여 가로대(1)에 힘력이 가해져 가로대(1)이 이동되면서 대차(파레트)(3)들을 하차시키는 것이다. 본 장치는 대차(파레트) 이동 줄 롤러(4)와 가로대(1)에 연결된 줄(6)을 적재함의 외부 좌우 측에서 쉽게 잡아 당겨 상기 대차(파레트)(3)를 하차시키고, 동시에 상기 대차(파레트)(3)에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키는 것이다. 상기 대차(파레트)(3)를 화물차량 적재함에 있어서, 상, 하2층으로 가로방향의 한 줄, 세로방향의 한 줄로 구성할 뿐아니라, 필요에 따라 세로방향의 세 줄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되어 이동되는 화물이 적재된 대차(파레트)는 공장에 도착하여 컨베어나 롤러레일로 하차시키도록, 상기 줄(6)을 좌, 우측에서 잡아당겨 화물이 적재된 대차(파레트)(3)를 하차시키면, 컨베어는 작업대까지 자동으로 이동되어 조립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원스텝이동장치의 일부분으로 화물차량 적재함에 설치된 대차(파레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하거나 이동시키는 장치인 것이다. 상기 발명된 대차(파레트) 적재방법은 5ton 차량의 경우 가로 8개, 세로 4개를 상, 하 이층으로 적재할 수 있으며, 이보다 큰 8ton 차량이나 그 이상의 차량에는 적재함의 크기에 따라 적재를 더 상, 하차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가로대(1), 롤러(2), 대차(파레트)(3), 대차(파레트))이동줄 롤러(4),
가이드(5), 줄(6) 고정턱(8,8'), 힌지(9), 분리대(10), 고정구(11),
볼베어링(12)
가이드(5), 줄(6) 고정턱(8,8'), 힌지(9), 분리대(10), 고정구(11),
볼베어링(12)
Claims (2)
- 화물차량에 적재될 수 있는 크기의 화물차량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화물차량 적재함을 이층으로 형성하여 상, 하층이 똑같이 대차(파레트)(3)가 가로로 8개가 한 조가 된 하나의 행렬과, 그 좌측 또는 우측에 대차(파레트)(3)가 세로로 4개가 한 조로 하나의 행렬로 모두 2개의 행렬로 구성된 화물차량의 대차 적재 장치에 있어서,
화물차량 적재함의 후방 1/3부분은 적재함의 바닥에 가이드(5)와 롤러(2)의 연장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대차(파레트)(3)을 가로 또는 세로로 이동시키는 볼베어링(12)과, 가로행렬과 세로행렬을 분리하는 분리대(10)와, 상기 분리대(10)의 전방 쪽으로 형성된 힌지(9)와, 상기 분리대(10)의 후방 쪽으로 상기 분리대(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구(11)로 구성되어 있고, 화물차량 적재함의 전방 2/3부분은 바닥에 적재함의 양단에 대차(파레트)(3)를 고정시키고 적재물의 흔들거림을 방지하는 적재함의 후방끝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턱(8')과, 행렬사이에 상기 분리대(10)와 연결되어 형성된 고정턱(8)과,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형성된 행렬마다, 대차(파레트)(3)크기의 공간에 양쪽으로 구성되어 있는 롤러(2)와, 상기대차(파레트)(3)를 하차시키는 가로대(1)와, 상기 가로대(1)가 안내되어 전후로 이동되며 적재함 후방 끝가지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5)와, 상기 가로대(1)에 연결되어 있는 줄(6)과, 상기 줄(6)을 쉽게 작동시키도록 설치된 대차(파레트)이동줄 롤러(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대차 적재 장치. - 화물차량의 대차 적재 및 하차방법에 있어서,
분리대(10)를가로행렬쪽으로 가로막은 다음에 상기 대차(파레트)(3)을 볼베아링(12)에 닿게하여 세로로 대차(파레트)(3)를 정렬하면서, 상기 볼베아링(12)의 후면에 한줄 내지 두줄로 설치된 롤러(2)를 이용하여 세로로 대차파레트(3)을 적재한 다음에 분리대(10)를 세로행렬쪽으로 위치를 이동시켜 고정구(11)로 고정시킨 다음, 대차(파레트)(3)를 가로로 적재할 수 있도록, 화물차량 적재함의 바닥(저면)면에 대차(파레트)(3)에 대향되어 이동시킬 수 있는 볼베아링(12)을 통과시킨 후에, 상기 볼베아링(12)의 후면에 한줄내지 두줄로 설치된 롤러(2)를 이용하여 대차(파레트)(3)을 가로로 적재하며, 이때 세로 및 가로로 적재되는 최초의대차(파레트)(3)는 가로대(1)를 밀고 들어가면 상기 가로대(1)는 가로대를 왕복 이동시키는 가이드(5)따라, 적재함안쪽으로 들어가서 적재시키고, 하차는 상기 방법의 역순으로 하차시킴을 특징으로 키는 것으로서, 줄(6)의 일단은 가이드(5)의 끝단에 설치된 대차(파레트)이동줄롤러(4)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 다른 일단은 가이드(5)를 통하여 가로대(1)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줄(6)을 좌우 측에서 쉽게 잡아당기면, 줄(6)은 대차(파레트)이동줄 롤러(4)를 통하여 가로대(1)에 힘력이 가해져 가로대(1)이 이동되면서 대차(파레트)(3)들을 하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대차 적재 및 하차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4029A KR20160081009A (ko) | 2014-12-30 | 2014-12-30 | 운반용 화물차량의 대차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재 및 하차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4029A KR20160081009A (ko) | 2014-12-30 | 2014-12-30 | 운반용 화물차량의 대차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재 및 하차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1009A true KR20160081009A (ko) | 2016-07-08 |
Family
ID=5650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4029A Withdrawn KR20160081009A (ko) | 2014-12-30 | 2014-12-30 | 운반용 화물차량의 대차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재 및 하차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8100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33264A (zh) * | 2019-02-25 | 2019-05-10 | 厦门理工学院 | 一种方便装卸货的货车车厢 |
CN113978335A (zh) * | 2021-11-05 | 2022-01-28 | 上海前晨汽车科技有限公司 | 货物移动装置及具有该货物移动装置的厢式货车 |
KR102553138B1 (ko) * | 2022-02-18 | 2023-07-10 | 주식회사 대덕아이엠티 | 탑차 적재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08788A (ja) | 1994-10-12 | 1996-04-30 | Nippon Furuhaafu Kk | 貨物自動車のパレット2段積荷箱 |
-
2014
- 2014-12-30 KR KR1020140194029A patent/KR20160081009A/ko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08788A (ja) | 1994-10-12 | 1996-04-30 | Nippon Furuhaafu Kk | 貨物自動車のパレット2段積荷箱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33264A (zh) * | 2019-02-25 | 2019-05-10 | 厦门理工学院 | 一种方便装卸货的货车车厢 |
CN109733264B (zh) * | 2019-02-25 | 2024-04-12 | 厦门理工学院 | 一种方便装卸货的货车车厢 |
CN113978335A (zh) * | 2021-11-05 | 2022-01-28 | 上海前晨汽车科技有限公司 | 货物移动装置及具有该货物移动装置的厢式货车 |
KR102553138B1 (ko) * | 2022-02-18 | 2023-07-10 | 주식회사 대덕아이엠티 | 탑차 적재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0682547U (zh) | 货物拆垛输送装车系统 | |
KR101987163B1 (ko) | 승강 반송 장치 | |
CN109153152B (zh) | 模具搬送台车 | |
JP5212836B2 (ja) | ワーク搬送設備 | |
KR20180043171A (ko) | 물품 반송 설비 | |
CN102785906A (zh) | 一种轨道式大型模具转运车 | |
JP5045208B2 (ja) | 板材搬送システム | |
CN212705774U (zh) | 一种激光切割折弯复合生产线 | |
CN104759935A (zh) | 板料多工位输送装置 | |
KR20160081009A (ko) | 운반용 화물차량의 대차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재 및 하차방법 | |
KR20230096065A (ko) | 반송 시스템 | |
JP5122376B2 (ja) | 荷の移載装置及び自動倉庫 | |
KR101850379B1 (ko) | 기계식 주차 운반기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50087915A (ko) | 물품 이송장치 및 방법 | |
CN112027611B (zh) | 一种用于转运纸箱的传送机构 | |
KR0175172B1 (ko) | 트랜스퍼 프레스 | |
CN204584838U (zh) | 板料多工位输送装置 | |
JP3724900B2 (ja) | シリンダスリーブ搬送装置 | |
KR100353140B1 (ko) |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적재및 하차방법 | |
CN214359036U (zh) | 一种包装盖自动放盖运输系统 | |
JP2007204174A (ja) | 段ばらし装置 | |
CN110315484A (zh) | 端梁拼装设备 | |
JPH0442019Y2 (ko) | ||
CN208761637U (zh) | 一种货箱的自动搬运装置 | |
KR101504740B1 (ko) | 조립 라인용 부품 공급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