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908A - A flower pot for wall-greening and the wall-greening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flower pot for wall-greening and the wall-greening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7908A KR20150107908A KR1020140029312A KR20140029312A KR20150107908A KR 20150107908 A KR20150107908 A KR 20150107908A KR 1020140029312 A KR1020140029312 A KR 1020140029312A KR 20140029312 A KR20140029312 A KR 20140029312A KR 20150107908 A KR20150107908 A KR 201501079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ollen
- wall
- wall surface
- reservo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벽에 고정할 수 있는 화분지지부재와, 상기 화분지지부재에 지지되는 화분과, 상기 화분 내지는 상기 화분지지부재에 상기 화분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수조를 갖도록 하되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에 충전된 물을 흡수하여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도록 물흡수부재가 수용되며, 별도의 저수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공급호스와 연결된 구성을 포함한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surface recording system using a pollen for wall surface recording and pollen thereof,
A pollen supporting member capable of being fixed to a wall, a pollen supported by the pollen supporting member, and a water tank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pollen supporting member, wherein the water tank is provided with water And a wall surface greening system using the flowerpot, including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absorbing member is accommodated in a plant to be supplied to the plant and water is supplied from a separate low water cistern .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surface recording system using a pollen for wall surface recording and pollen thereof,
벽에 고정할 수 있는 화분지지부재와, 상기 화분지지부재에 지지되는 화분과, 상기 화분 내지는 상기 화분지지부재에 상기 화분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수조를 갖도록 하되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에 충전된 물을 흡수하여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도록 물흡수부재가 수용되며, 별도의 저수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공급호스와 연결된 구성을 포함한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 pollen supporting member capable of being fixed to a wall, a pollen supported by the pollen supporting member, and a water tank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pollen supporting member, wherein the water tank is provided with water And a wall surface greening system using the flowerpot, including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absorbing member is accommodated in a plant to be supplied to the plant and water is supplied from a separate low water cistern .
종래의 벽걸이형 화분세트가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401655호에 개시되고 도 1에 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A conventional wall-mounted type flowerpot set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01655 and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thereof.
이는 화분(10)을 안착시킬 수 있는 제1용기(30)와, 이 제1용기(30)가 안착되며 벽면에 진공흡착판(55)에 의해 부착되는 제2용기(50)를 구비한다. 제1용기(30)는 화분(10)에 공급시킨 물이 배수구(15)를 통하여 배수되더라도 제1용기(30)로부터 바로 배수되지 않도록 측면 하단부에 배수구(40)가 형성되어 있다.This includes a
이와 같은 화분세트는 벽면을 장식하는 효과가 있지만 물을 공급할 수 없어 일정간격으로 화분을 내려서 물을 공급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진공흡착판(55)에 의한 낙하가 되는 위험성이 있다.Such a flowerpot set has the effect of decorating the wall surface, but it can not supply water,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werpot must be fed down at regular intervals to supply water, and there is a risk of falling by the vacuum adsorption plate 55.
또, 한국특허 등록번호 10-0860638호에 개시된 도 2와 같이 벽체에 안정적으로 식생상자를 지지시킬 수 있으며 간편하게 식생상자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조경장치는, 복수의 식생상자에 각각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수조가 마련되지않아 주기적으로 화분의 수분상태를 점검하면서 수분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발생된다.2,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60638, a landscape gardening apparatus that can stably support a vegetation box on a wall and can easily combine and separate vegetation boxes, There is no separate water tank that can supply water, so it is troublesome to supply water while checking the water condition of the pollen periodical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본원은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화분지지부재와, 상기 화분지지부재에 지지되는 화분과, 상기 화분 내지는 상기 화분지지부재에 상기 화분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수조를 갖도록 하되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에 충전된 물을 흡수하여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도록 물흡수부재가 수용되며, 별도의 저수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공급호스와 연결된 구성을 포함함으로서, 수조에 충전된 물을 식물이 장기간 물흡수부재를 통해 공급받는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t support structure comprising a pot support member capable of being fixed to a wall surface, a pot supported by the pot support member, and a water tank capable of supplying moisture to the pot flower to the pot or the pot support member, Absorbing member so that the water-absorbing member is supplied to plants planted in the flowerpot by absorbing the water, and the water-fill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supply hose so as to receive water from the separate low- Lt; / RTI >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기술을 제공하는 과제이다.This is a problem to provide a technique with such a configuration.
상기 이상의 과제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The above-mentioned problems are further clarified in detail.
첨부한 도시에 의해 구성을 설명하면, 벽면 또는 벽면에 고정시킨 프레임(미도시)에 고정할 수 있는 화분지지부재(3)와, 상기 화분지지부재(3)에 지지되는 화분(4)과, 상기 화분(4) 내지는 상기 화분지지부재(3)에 상기 화분(4)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수조(5)를 갖도록 하되 상기 수조(5)는 상기 수조(5)에 충전된 물을 흡수하여 화분(4)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도록 물흡수부재(6)가 수용되며, 별도의 저수통(2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공급호스(30)와 연결된 구성을 포함한다.A
상기 수조(5)는 상기 수조(5)에 물이 충전되도록 외부로 물이 넘치지 않도록 밀패력을 갖되 물흡수부재(6)에 흡수된 수분이 화분으로 스며들도록 다공질의 물흡수부재(6)가 밀착되어 설치된 구성이다.The
상기 수조(5)를 벽면에 복수개 설치되더라도 한곳의 저수통(20)에서 물을 공급하면 복수개의 수조(5) 전체에 물이 충전되도록 상기 수조(5)와 상기 저수통(20)은 공급호스(30)로 연결된 구성이다.Even if a plurality of
상기 수조(5)는 화분과 함께 벽면에 복수개 설치하되 복수의 수조(5)가 제2연결호스(7)에 의해 서로 수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연결호스(7) 일측은 수조(5)에 물을 공급하는 저수통(20)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조(5)에서 넘친 물을 받는 물통(미도시)과 연결되되 상기 저수통(20)과 상기 물통 사이에 연결된 상기 제2연결호스(7)에 복수의 수조(5)가 연이어 연결된 구성이다.One side of the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화분지지부재와, 상기 화분지지부재에 지지되는 화분과, 상기 화분 내지는 상기 화분지지부재에 상기 화분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수조를 갖도록 하되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에 충전된 물을 흡수하여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도록 물흡수부재가 수용되며, 별도의 저수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공급호스와 연결된 구성을 포함함으로서 수조에 충전된 물을 식물이 장기간 물흡수부재를 통해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ollen suppor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ollen supporting member capable of being fixed to a wall surface as described above, a pollen supported by the pollen supporting member, and a water tank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pollen supporting member, The water absorbing member is received so as to be supplied to plants planted in the flowerpot and connected to the supply hose so as to receive water from the separate low water cister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supplied through the member.
상기 이상의 장점은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The foregoing advantages are further elucidated in detail.
도1은 본 발명의 벽면녹화용 벽걸이 화분의 화분셋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을 조립한 다음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벽면녹화용 벽걸이 화분의 수조 덮개를 분해한 설명도,
도 3, 4는 복수의 수조가 제2연결호스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벽면녹화용 벽걸이 화분의 화분셋트(2)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원의 수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set of wall-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y of FIG. 1,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of a water tank cover of a wall flower pot for wall surface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ater tanks are connected by the second connection hos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owerpot set 2 of a wall-mounted flowerpot for wall-
6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cha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첨부한 도1 내지는 도 2에 의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ttached hereto.
벽면 또는 벽면에 고정시킨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는 화분지지부재(3)와, 상기 화분지지부재(3)에 지지되는 화분(4)과, 상기 화분(4) 내지는 상기 화분지지부재(3)에 상기 화분(4)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수조(5)를 갖도록 하되 상기 수조(5)는 상기 수조(5)에 충전된 물을 흡수하여 화분(4)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도록 물흡수부재(6)가 수용되며, 별도의 저수통(2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공급호스(30)와 연결된 구성을 포함한다.
A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such a construc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저수통(20)에 있는 물을 공급호스(30)를 통해 수조(5)에 공급하면, 수조(5)에 있는 물흡수부재(6)가 그 물을 흡수하고, 물이 흡수된 물흡수부재(6)는 화분에 있는 토양(미도시)이 흡수하여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한다.When the water in the
이와 같은 과정에 토양이 건조하면 토양은 물흡수부재(6)에 흡수된 수분을 흡수한다. 상기 물흡수부재(6)는 지속적으로 수조(5)의 물을 흡수한다.When the soil is dried in such a process, the soil absorbs moisture absorbed in the
이렇게 물을 미리 충전시킨 수조(5)를 통해 수분이 식물에 공급되므로 Since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 through the water tank (5)
식물에 자주 물을 공급할 필요가 없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There is a convenient advantag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supply water to plants frequently.
다음은 도 2에 의해 수조를 재차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water tank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수조(5)는 화분(4)하단에 형성한 후 수조(5) 상단을 밀폐시키는 덮개(5')를 갖되, 상기 덮개(5')는 저수통(20)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8)와, 물이 토출되는 물토출구(9,9')와, 상하로 관통된 관통부(5")를 형성하여 상기 관통부(5")를 밀폐시킨 다공질의 물흡수부재(6)와, 상기 물흡수부재(6)에 연결되어 수조(5)내의 물을 흡수하는 흡수재질(6')을 포함한 구성이다.
The
이와 같은 구성을 좀더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시를 보아 수조(5)는 화분(4)하단에 형성한 후 수조(5) 상단을 덮개(5')를 이용하여 밀폐하였다.The
그리고 상기 덮개(5')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부(5")를 형성하여 상기 관통부(5")를 다공질의 물흡수부재(6)로 밀폐하였으며, 상기 물흡수부재(6)와 흡수재질(6)은 수조내의 물을 흡수하도록 하였다.
The through-hole 5 '' is vertically penetrated through the cover 5 'to seal the penetrating portion 5''with the porous water-absorbing
그리고 저수통(20)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8)가 있으며, 수조(5)에 물이 충전되면 토출되어 다른 수조(5)로 흘러갈수 있도록 물토출구(9,9')가 형성되어 있다.A
상기 물토출구(9,9')를 1개소 이상을 갖도록하여 복수의 수조(5)와 수로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A plurality of
이 상태에서 저수통(20)의 물을 펌프하거나 도시한 도 4, 5와 같이 벽면 상단에 설치된 저수통(20)에 물을 충전하면 저수통(20)의 물은 공급호스(30)를 통해 수조(5)에 충전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water in the
이와 같이 수조(5)에 물이 지속적으로 충전하더라도 수조(5)상측이 밀폐되어 있어 수조 외부로 넘치지 않게 된다.Even if water is continuously charged in the
여기서 상기 다공질의 물흡수부재(6)는 물이 흡수될 뿐 물이 통과되지 않는 재질이다.Here, the porous water-absorbing
예를들면, 상기 물흡수부재(6)은 흙을 성형한 후 고온에서 구은 흙판과 동일하여 물이 통과되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다만 물이 흡수될 뿐이다.
Only water is absorbed.
상기와 같이 수조(5)에 물이 충전되면 물흡수부재(6)는 그 충전된 물을 흡수하고 물흡수부재(6)는 흡수재질(6')에 흡수된 수분을 흡수한다.When water is filled in the
그리고 물흡수부재(6)의 수분은 다시 화분(4)내에 있는 토양이 흡수하여 식물에 공급하는 것이다.
The water in the
다음은 하나의 저수통(20)을 통해 복수의 수조(5)에 물을 공급하기로 한다.Next, the water is supplied to a plurality of
상기 수조(5)를 벽면에 복수개 설치되더라도 한곳의 저수통(20)에서 물을 공급하면 복수개의 수조(5) 전체에 물이 충전되도록 상기 수조(5)와 상기 저수통(20)은 공급호스(30)로 연결된 구성이다.
Even if a plurality of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such a construc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저수통(20)에 물을 충전하면 저수통(20)과 공급호스(30)로 연결된 복수개의 수조(5)에 물이 공급된다.When the
상기 물 공급 중단을 위해서는 수조(5)에 수위센서를 장착하여 이용자가 확인하면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stop the water supply, it is preferable that a water level sensor is mounted on the
다음은 수조(5)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상기 수조(5)는 화분과 함께 벽면에 복수개 설치하되 복수개의 수조(5)가 제2연결호스(7)에 의해 서로 수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연결호스(7) 일측은 수조(5)에 물을 공급하는 저수통(20)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조(5)에서 넘친 물을 받는 물통(미도시)과 연결되며 상기 저수통(20)과 상기 물통 사이에 연결된 상기 제2연결호스(7)에 복수개의 수조(5)상측이 연이어 연결된 구성이다.
One side of the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such a construc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시한 도 4와 같이 복수의 수조(5)가 제2연결호스(7)를 통해 서로 수로가 형성되어 있어 저수통(20)에 물을 한곳의 수조(5)로 공급하면 복수개의 수조(5)전체에 순차적으로 충전된다.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그 충전으로 마지막 수조(5)까지 물이 충전되면 제2연결호스 끝단으로 물이 토출된다. 그 토출된 물은 물통(미도시)으로 회수된다. When the water is filled up to the last tank (5), water is discharged to th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hose. The discharged water is recovered in a bucket (not shown).
상기 수조(5) 상측에 제2연결호스(7)를 연결함으로서 수조에 물이 충전되고 물 충전이 완료되면 수조(5)로 유입된 물이 넘쳐 다른 수조(5)로 흘러가게 된다.
By connecting the
도시 4와 같이 저수통(20)은 벽면상측에 위치되어 있고 수조(5)는 상기 저수통(20) 하단에 제2연결호스(7)에 의해 연이어 연결되어 있어 저수통(20)에 물을 공급하면 저수통(20)의 물을 제2연결호스를 따라 복수개의 수조(5) 전체에 공급된다.The
이와 같이 상측에 위치한 저수통(20)을 통에 순차적으로 수조(5)에 물을 공급하므로 물공급이 편리하다.
As described above, water is supplied to the
본원에서는 복수개의 화분을 벽면에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고 그 다양하게 배치된 화분의 수조(5)는 제2연결호스를 이용하여 서로 수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수분공급이 편리하다. 그러므로 수백개의 화분을 벽면에 설치할 수 있는 아주 유익한 벽면녹화 시스템인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lower pots can be variously arranged on the wall surface, and the
2 : 화분셋트
3 : 화분지지부재
4 : 화분
5 : 수조
5' : 덮개
5" : 관통부
6 : 물흡수부재
6' : 흡수재질
7 : 제2연결호스
8 : 물유입구
9,9' : 물토출구
20 : 저수통
30 : 공급호스2: Flowerpot set 3: Flowerpot supporting member
4: Flower pot 5: aquarium
5 ': lid 5'': penetration
6: water absorbing member 6 ': absorbing material
7: Second connection hose 8: Water inlet
9,9 ': Water outlet
20: Low water bottle 30: Supply hose
Claims (3)
상기 수조(5)는 화분과 함께 벽면에 복수개 설치하되 복수개의 수조(5)가 제2연결호스(7)에 의해 서로 수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연결호스(7) 일측은 수조(5)에 물을 공급하는 저수통(20)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조(5)에서 넘친 물을 받는 물통(미도시)과 연결되며 상기 저수통(20)과 상기 물통 사이에 연결된 상기 제2연결호스(7)에 복수개의 수조(5)상측이 연이어 연결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hose 7 is connected to the water tub 5 so that a plurality of water tubs 5 are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together with the flowerpot and the water tubs 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connection hose 7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hose 20 is connected to a water reservoir 20 for supplying wat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water reservoir (not shown) for receiving water overflowing from the water reservoir 5, 7) is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a plurality of water tanks (5) in series, and a wall surface greening system using the pollen for wall greening.
상기 수조(5)는 화분과 함께 벽면에 복수개 설치하되 복수개의 수조(5)가 제2연결호스(7)에 의해 서로 수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연결호스(7) 일측은 수조(5)에 물을 공급하는 저수통(20)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조(5)에서 넘친 물을 받는 물통(미도시)과 연결되며 상기 저수통(20)과 상기 물통 사이에 연결된 상기 제2연결호스(7)에 복수개의 수조(5)상측이 연이어 연결된 구성이다.수조(5)는 화분(4)하단에 형성한 후 수조(5) 상단을 밀폐시키는 덮개(5')를 갖되, 상기 덮개(5')는 저수통(20)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8)와, 물이 토출되는 물토출구(9,9')와, 상하로 관통된 관통부(5")를 형성하여 상기 관통부(5")를 밀폐시킨 다공질의 물흡수부재(6)와, 상기 물흡수부재(6)에 연결되어 수조(5)내의 물을 흡수하는 흡수재질(6')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hose 7 is connected to the water tub 5 so that a plurality of water tubs 5 are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together with the flowerpot and the water tubs 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connection hose 7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hose 20 is connected to a water reservoir 20 for supplying wat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water reservoir (not shown) for receiving water overflowing from the water reservoir 5, The water tank 5 has a lid 5 'for sealing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5 after being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ollen 4, and the lid 5 'Form a water inflow port 8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from the lower basket 20 and water outlets 9 and 9 through which the water is discharged and a through section 5'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rous water-absorbing member (6) in which a water absorbing member (5 ") is sealed and an absorbing material (6 ') connected to the water absorbing member (6) Wall recording system using a flowerpot and a flowerpot for recording.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9312A KR101643649B1 (en) | 2014-03-13 | 2014-03-13 | Wall planter for recording |
PCT/KR2014/002165 WO2015137538A1 (en) | 2014-03-13 | 2014-03-14 | Flowerpot for green wall and green wall system using flowerp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9312A KR101643649B1 (en) | 2014-03-13 | 2014-03-13 | Wall planter for record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7908A true KR20150107908A (en) | 2015-09-24 |
KR101643649B1 KR101643649B1 (en) | 2016-07-29 |
Family
ID=5407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93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3649B1 (en) | 2014-03-13 | 2014-03-13 | Wall planter for recording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3649B1 (en) |
WO (1) | WO2015137538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3527855A (en) * | 2020-05-27 | 2023-06-30 | エコ・シールド・システムズ・ピーティーワイ・リミテッド | plant support structures and system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3669B1 (en) * | 2017-09-29 | 2019-05-29 |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 Hive type wall greening device |
KR102098892B1 (en) * | 2018-10-29 | 2020-04-09 | 애프터레인 주식회사 | Plant planting module for bench shape plant planting type air cleaner and bench shape plant planting type air cleaner comprising thereof |
CN110140552A (en) * | 2019-06-01 | 2019-08-20 | 天津弘野建设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green plants building curtain wall |
CN113106709A (en) * | 2021-04-30 | 2021-07-13 | 苏州大学 | Modular green outdoor airing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96274U (en) * | 1990-01-22 | 1991-10-01 | ||
KR200277373Y1 (en) * | 2002-03-08 | 2002-06-01 | 주식회사 한설그린 | Green system of structure |
KR20090087369A (en) * | 2008-02-12 | 2009-08-17 | 송웅호 | Wall Hanging Planter |
KR101349610B1 (en) * | 2013-03-18 | 2014-01-08 |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 The wall of the underground structures for recording vegetation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96274U (en) * | 2003-03-05 | 2003-09-12 | 有限会社三浦園芸 | Automatic water supply for flowerpots |
KR200326058Y1 (en) * | 2003-04-19 | 2003-09-17 | 윤진영 | A Flowerpot |
KR101299905B1 (en) * | 2011-05-23 | 2013-08-23 | 주식회사 휠코리아 | A vertical wall greenery apparatus |
-
2014
- 2014-03-13 KR KR1020140029312A patent/KR1016436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3-14 WO PCT/KR2014/002165 patent/WO201513753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96274U (en) * | 1990-01-22 | 1991-10-01 | ||
KR200277373Y1 (en) * | 2002-03-08 | 2002-06-01 | 주식회사 한설그린 | Green system of structure |
KR20090087369A (en) * | 2008-02-12 | 2009-08-17 | 송웅호 | Wall Hanging Planter |
KR101349610B1 (en) * | 2013-03-18 | 2014-01-08 |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 The wall of the underground structures for recording vegetation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3527855A (en) * | 2020-05-27 | 2023-06-30 | エコ・シールド・システムズ・ピーティーワイ・リミテッド | plant support structures and system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37538A1 (en) | 2015-09-17 |
KR101643649B1 (en) | 2016-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31615B2 (en) | Modular container and modular irrigation system | |
KR101643649B1 (en) | Wall planter for recording | |
CA2785232A1 (en) | Plant cultivation container | |
CN101691767A (en) | Rain water underdrain system and plant cultivation system equipped with rain water underdrain system | |
CN202714001U (en) | Plant planting tank | |
JP2016123418A (en) | Pot with water reserve for plant | |
KR20140081651A (en) | A Pot tray for under water supply system | |
RU2163755C1 (en) | Apparatus for soil-free growing of plants on vertical surface | |
KR101362020B1 (en) | Hydroponics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RU148569U1 (en) | PHYTOMODULE FOR GROWING PLANTS AND GREENING OF VERTICAL SURFACES | |
CN106472271A (en) | A kind of potted plant ball float automatic water supply system | |
RU159281U1 (en) | CLOSED TYPE PHYTOMODULE FOR GROWING CROPS AND GREENING OF VERTICAL SURFACES | |
KR200479346Y1 (en) | Prefabricated plant pot assembly for interior greening | |
CN210746744U (en) | Automatic irrigate three-dimensional planting equipment | |
WO2019086242A1 (en) | Vertical growing system and use thereof | |
JP2010068735A (en) | Automatically watering planter | |
JP2015522299A (en) | Vertical planter device with built-in irrigation system | |
CN207911469U (en) | A kind of three-dimensional planting equipment facilitating installation | |
JP3159445U (en) | Automatic water supply vegetation mat and irrigation equipment | |
CN209030685U (en) | A kind of greening displaying device | |
KR101196121B1 (en) | Box assembly for growing plant | |
KR20130131822A (en) | Cultivation system | |
KR200475509Y1 (en) | Box Assembly for Planting | |
KR20170028734A (en) | Flower pot assembly | |
CN222736739U (en) | Intelligent flower pot and irrig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2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8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2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0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3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2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0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16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031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