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403A - Muscle training guide system - Google Patents
Muscle training guid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8403A KR20140068403A KR1020120135818A KR20120135818A KR20140068403A KR 20140068403 A KR20140068403 A KR 20140068403A KR 1020120135818 A KR1020120135818 A KR 1020120135818A KR 20120135818 A KR20120135818 A KR 20120135818A KR 20140068403 A KR20140068403 A KR 201400684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ercise
- muscle strength
- user
- display
- measuring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부착되어 근력 정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근력 측정기, 근력 측정기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동되어 근력 측정기의 움직임 상태와 사용자의 근력 정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트레이닝 단말기, 및 트레이닝 단말기 상에서 구동되며 상기 근력 측정기에서 전송되는 상기 움직임 상태와 근력 정도를 표시하고, 상황에 따른 운동 가이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트레이닝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근력 운동 시 최적의 운동 상태와 자세를 알려주고, 상황에 맞는 조언과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운동을 해 나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e muscle strength training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ttached to a part of a user's body to measure a degree of muscle strength, a training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a movement state of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nd a user's strength level in real time, And a training controller which is driven on the training terminal and displays the motion state and the degree of muscle strength transmitted from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nd outputs a motion guide messa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muscular strength training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s the optimal exercise state and posture during the user's strength exercise and outputs the advice and message in real time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xercise effectively and continuously exercise .
Description
본 발명은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력 운동 시 근력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인류의 평균수명이 점차 늘어나면서 고령화 사회가 가속화되고 있다. 고령화 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100세 수명을 바라보게 되었다. 근래에는 몇 세까지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느냐가 더 큰 문제로 되어가고 있다.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mankind is increasing, and the aging society is accelerating. As the aging society progressed, many people became interested in health and looked at the 100-year-old lifespan. 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more of a matter of how to live, not how old is it.
국내 스마트폰의 보급대수가 3천만 대를 넘어서고, 전 세계적으로도 급속한 확산 속도를 보이고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기기 관련기술과 같은 IT 기술들이 산업전반에 다양하게 융복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운동기구에도 IT 기술이 접목된 지능형 운동기구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in Korea has surpassed 30 million, and it is spreading rapidly all over the world. R & D on mobile healthcare systems using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is actively under way. Smart devices and technologies are being integrated into various industries to develop new types of products. Intelligent fitness equipment that incorporates IT technology in sports equipment is also being released.
종래의 근력 측정 시스템은 주로 병원에서 사용되며 부피가 커서 일반인들이 헬스클럽이나 가정에서 실제 운동을 하면서 사용하기에는 매우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헬스클럽에서의 트레이너의 지시에 따른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나, 근력 운동 시 근력의 수축, 이완정도, 근력의 세기 등을 객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시스템이 부족하다. 개인이 혼자서 근력 운동을 할 경우에는 대부분 매우 지루하게 느끼고, 어느 정도의 근력 운동이 적당한 수준인지 확실하게 알지 못하여 운동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 muscle strength measuring systems are mainly used in hospitals and are bulky, making it very inconvenient for the general public to use them while exercising in a health club or home. In addition, exercis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trainer in the health club, but there is a lack of a system that can objectively show the muscle contraction, relaxation degree, strength of muscular strength and the like. When an individual performs a strength exercise by himself or herself, most of the time it feels very boring and the effect of the exercise is inferior because it does not know how much strength exercise is appropriate.
본 발명의 목적은 움직임 신호와 근력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근력 측정기 및 그것과 연동되어 최적 상태로 근력 트레이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트레이닝 단말기를 포함한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scle strength training guide system including a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 motion signal and a degree of muscle strength, a training program for performing strength training in an optimal state in cooperation with the training signal, hav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부착되어 근력 정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근력 측정기, 상기 근력 측정기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동되어 상기 근력 측정기의 움직임 상태와 사용자의 근력 정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트레이닝 단말기, 및 상기 트레이닝 단말기 상에서 구동되며 상기 근력 측정기에서 전송되는 상기 움직임 상태와 근력 정도를 표시하고, 상황에 따른 운동 가이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트레이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scle training guide system comprising: a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ttached to a part of a user's body to measure a degree of muscle strength; A training terminal configured to display a movement state and a degree of muscle strength of a user in real time, and a training device that is driven on the training terminal and displays the motion state and strength of muscle strength transmitted from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상기 근력 측정기는, 상기 근력 정도와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트레이닝 단말기로 유선 또는 무선 전송하도록 구성된 측정기 본체, 및 상기 측정기 본체를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 부착용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includes a main body of a meter configured to detect the degree of muscle strength and a motion signal and to transmit the sensed signal to the training terminal by wire or wirelessly and a main body configured to attach the main body of the measuring device to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And an attachment structure.
상기 본체 부착용 구조물은, 상기 측정기 본체를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밀착하기 위한 체결띠, 및 상기 측정기 본체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용 패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attachment structur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astening band for closely contacting the body of the measuring device with a part of the user's body and an adhesive patch for attaching the body of the measuring device to a part of the user's body.
상기 체결띠는, 벨크로, 시계줄, 고무 밸트, 플라스틱 밸트, 철심이 들어 있는 유연한 플라스틱, 실리콘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ening b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velcro, a wristband, a rubber belt, a plastic belt, a flexible plastic containing an iron core, and a silicon band.
상기 접착용 패치는, 상기 측정기 본체의 근력 측정센서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adhesive patch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sensor of the measuring device main body.
상기 접착용 패치는, 도전성 스냅이나 도전성 금속 체결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dhesive pat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conductive snap or a conductive metal fastening part.
상기 측정기 본체는, 상기 움직임 신호와 근력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력 측정센서, 상기 체결띠를 삽입하기 위한 체결띠 삽입홈, 상기 근력 측정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창, 및 상기 측정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includes a muscle strength measuring sensor for detecting the motion signal and a muscle force signal, a fastening band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fastening band, a status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nd an operation switch for supplying an operation switch.
상기 측정기 본체는, 상기 근력 신호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근력 센싱부, 상기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움직임 센싱부, 상기 트레이닝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근력 센싱부와 움직임 센싱부를 제어하고, 상기 근력 센싱부와 움직임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신호를 상기 트레이닝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상기 트레이닝 단말기와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근력 센싱부와 상기 움직임 센싱부 및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main body of the measuring device comprises a muscle strength sensing unit configured to measure the muscle strength signal, a motion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the motion signal,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strength sensing unit and the motion sensing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training terminal,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process a signal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and provide the processed signal to the training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raining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trength sensing unit, And a power unit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통신부는 유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인터넷(WiFi), 지그비(ZigBee), UWB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one of wired, Bluetooth, wireless Internet (WiFi), ZigBee, and UWB.
상기 트레이닝 단말기는, 상기 근력 측정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근력 신호 및 움직임 신호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화면 표시장치, 상기 근력 신호 및 움직임 신호의 상황에 따라 사용자에게 음성 메시지를 내보내도록 구성된 음성 출력장치, 및 상기 그래픽 화면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접속 화면에 명령을 입력하도록 구성된 포인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training terminal comprises: a graphical screen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the strength signal and the mo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trength meter; a voice output device configured to output a voice message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trength signal and the motion signal; And a pointer device configured to input a command on a user conne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graphic screen display device.
상기 트레이닝 제어부는, 상기 트레이닝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상기 근력 측정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움직임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사하도록 구성되는 캐랙터 선택 및 표시창, 상기 근력 측정기와 연동하여 하고자 하는 운동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운동종류 선택창, 상기 운동종류에 있어서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운동강도의 정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운동강도 선택창, 상기 운동을 실행함에 있어 사용자의 목표값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목표치 선택 및 표시창, 상기 운동을 실행함에 있어 사용자가 현재까지 달성한 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실행치 표시창, 상기 목표치와 상기 실행치를 비교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비교치 표시창, 상기 목표치와 실행치 및 상기 운동종류와 상기 운동강도 선택창에서의 설정값에 근거한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음성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음성 가이드 선택창, 상기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를 문자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문자 가이드 표시창, 상기 운동을 실행함에 있어 친구나 지인의 운동정보를 표시해 주도록 구성된 소셜 네트워크 표시창,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필 선택창, 과거 운동기록을 저장하고 표시하도록 구성된 운동 레코드창, 상기 운동기록을 웹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내보내기창, 상기 운동을 실행함에 있어 운동종류와 운동강도, 운동시간 등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나의 운동 설정창, 및 상기 근력의 세기 정도를 숫자와 그래픽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근력정도 표시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training control unit comprises: a character selection and display window, which is executed in the training terminal and is configured to simulate a user's movement stat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apparatus, a type of exercise to be interlocked with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apparatus An exercise intensity selection window configured to select a degree of exercise intensity desired to be performed by the user in the exercise type, a target intensity value selection window configured to set a target value of the user in executing the exercise, A run value display window configured to display a result achieved so far by the user in performing the run, a comparison value display window configured to compare and display the target value and the run value, the target value, the execution value, In the exercise intensity selection window A social network display window configured to display exercise information of a friend or acquaintance in executing the exercise, a voice guide selection window configured to select a voice based on a fixed value, a character guide display window configured to display the strength training guide as a letter, An exercise record window configured to store and display a past exercise record, an export window configured to transmit the exercise record to a web server, a type of exercise and exercise in performing the exercise, And a muscle strength degree display window configured to display the intensity degree of the muscle force in numerical and graphical for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운동 시 근력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근력 측정기와 그것과 연동되는 트레이닝 단말기와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통하여 근력 운동 시 근력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근력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ate of muscular strength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during the muscle power exercise through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uscle strength during exercise, the training terminal and the training program linked thereto,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의 사용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측정기를 구성하는 측정기 본체의 평면도를 보인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 따른 근력 측정기를 구성하는 본체 고정용 기구물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측정기를 구성하는 측정기 본체의 측면도를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측정기의 내부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트레이닝 시스템의 또 다른 사용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use of a strength training guid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plan view of a body of a measuring instrument constituting a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B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ody fixing device constituting a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main body of a measuring device constituting a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nal module of a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scle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a muscle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emplary method of using a strength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In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and are exaggerated for clarity.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의 사용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use of a strength training guid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1)은 근력 측정기(10)와 트레이닝 단말기(20), 및 트레이닝 제어부(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muscle
근력 측정기(10)는 근력 운동을 하는 신체 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움직임 신호와 근육의 변화에 따른 근전도 신호를 측정한다. 근력 측정기(10)는 감지한 움직임 신호와 근전도 신호를 트레이닝 단말기(20)로 전송한다. The muscle
트레이닝 단말기(20)는 근력 측정기(10)로부터 전송된 움직임 정보와 근력 정도를 화면에 표시한다. 근력 측정기(20)는 그래픽 화면 표시장치(예를 들면, LCD나 OLED 표시장치), 스피커와 같은 음성 출력장치, 화면에서의 선택 및 표시창을 선택할 수 있는 포인터 장치를 포함한다. 트레이닝 단말기(20)는 스마트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 폰, 태블릿 PC)이나 노트북 PC, 테스크탑 PC와 같은 장치로 구성된다. The
트레이닝 제어부(30)는 트레이닝 단말기(20)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다. 트레이닝 제어부(30)는 현재 시간, 운동시작 시간, 운동지속 시간, 특정 운동 회수, 목표치, 실행치, 현재 수행정도, 근력강도 표시 등이 음성과 시각적으로 보여지도록 구성한다. The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측정기를 구성하는 측정기 본체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 따른 근력 측정기를 구성하는 본체 고정용 기구물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측정기를 구성하는 측정기 본체의 측면도이다. FIG. 2A is a plan view of a main body of a measuring device constituting a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ody fixing device constituting a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a measuring device body constituting a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근력 측정기(10)의 측정기 본체(100)는 근력 측정센서(101), 체결띠 삽입홈(102), 상태 표시창(103), 동작 스위치(104)를 포함한다. 2A, 2B and 3, the
근력 측정센서(101)는 피부에 접촉되어 신체의 근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 센서이다. 근력 측정센서(101)는 도전성이 있는 금속이나 도전성 천/실/ 코팅재, 도전성 고무와 같은 도전성 물질로 구성된다. The muscle
체결띠 삽입홈(102)은 근력 측정기(10)의 측정기 본체(100)에 체결띠(120)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체결띠(120)는 플렉시블(Flexible) 구조의 플라스틱이나 천 재질을 포함한다. The fastening
상태 표시창(103)은 측정기 본체(100)의 현재 동작 상태를 외부로 나타낸다. 상태 표시창(103)은 발광 다이오드(LED)나 LCD 창으로 구성된다. The
동작 스위치(104)는 측정기 본체(100)의 전기적인 동작을 켜거나 끄는 역할을 한다. 동작 스위치(104)는 슬라이드(Slide) 스위치나 택트(Tact) 스위치, 푸시-풀 스위치(Push-pull) 등으로 구성된다. The
도 2b를 참조하면, 측정기 본체(100)을 고정하기 위한 본체 부착용 구조물(120, 130)은 체결띠(120)와 접착용 패치(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B, the
본체 부착용 구조물(120, 130)은 근력 운동 시 측정기 본체(100)의 근력 측정센서(101)를 신체에 적절하게 접촉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The main
체결띠(120)는 벨크로나 시계줄, 고무 밸트, 플라스틱 밸트, 철심이 들어 있는 유연한 플라스틱,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구성된다. The
체결띠 연결부(121)는 체결띠(120)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구조물로 암수 벨크로나 스냅, 시계줄 구조로 구성된다.The fastening
접착용 패치(130)는 측정기 본체(100)의 근력 측정센서(101)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한다. The
접착용 패치(130)는 절연 패드(131), 스냅 결합부(132), 도전용 패드(133)로 구성된다. The
절연 패드(131)는 접착용 패치(130) 좌우측 스냅 결합부(132)와 도전용 패드(133)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구성한다. The insulating
절연 패드(131)는 전기저항이 큰 합성수지로 형성한다. The insulating
스냅 결합부(132)는 근력 측정기(100)의 근력 측정센서(101)과 맞물려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한다. The
스냅 결합부(132)는 근력 측정센서(101)가 전도가 잘 되는 암 스냅 형태의 금속으로 형성될 경우 수 스냅으로 형성한다. The
스냅 결합부(132)는 근력 측정센서(101)가 전도가 잘 되는 수 스냅 형태의 금속으로 형성될 경우 압 스냅으로 형성한다. The
도전용 패드(133)는 스냅 결합부(132)와 신체의 피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피부에서의 근전도를 측정기 본체(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e
도전용 패드(133)는 피부에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분이므로 피부 트러블이 적은 실리콘이나 젤과 같은 재료로 구성된다. Since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측정기(10)의 내부 모듈의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nal module of a
도 4를 참조하면, 근력 측정기(10)는 센싱부(140)), 주제어부(150), 통신부(160), 및 전원부(17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muscle
센싱부(140)은 근력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근력 센싱부(141) 및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움직임 센싱부(142)로 구성된다. The
근력 센싱부(141)는 근력 측정센서(101)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측정한다. 근력 센싱부(141)는 감지된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 하는 회로를 더 포함한다. The muscle
움직임 센싱부(142)는 근력 측정기(10)의 측정기 본체(100)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한다. 움직임 센싱부(142)은 가속도 센서나 기계적인 흔들림 추, 지자계 센서, 각속도 센서와 같은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움직임 센싱부(142)은 감지된 움직임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 하는 회로를 더 포함한다. The
주제어부(150)는 센싱부(140)에서 감지된 근전도 신호와 움직임 신호에 대한 신호처리 및 특징추출을 수행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통신부로 전송한다. The
통신부(160)은 주제어부(15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전달한다. 통신부(160)는 블루투스(Bluetooth)나 지그비(ZigBee), WiFi, UWB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The
전원부(170)는 센싱부(140), 주제어부(150), 및 통신부(16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70)는 알칼라인 건전지와 같은 1차 전지나 리튬-폴리머 배터리와 같은 2차 전지를 포함한다. 전원부(170)가 2차 배터리를 사용하는 구조일 경우에는 충전을 위한 전기회로 모듈이 더 포함된다.The
전원부(170)는 트레이닝 단말기(20)의 전원을 유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더 포함한다.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트레이닝 제어부(30)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rength
도 5를 참조하면, 근력 트레이닝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운동을 실시간으로 모사하는 캐랙터 선택 및 표시창(301), 운동종류 선택창(302), 운동강도 선택창(303), 현재시간 표시창(304), 운동시간 표시창(305), 목표치 선택 및 표시창(306), 실행치 표시창(307), 목표치와 실행치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치 표시창(308), 음성 가이드 선택창(309), 문자 가이드 표시창(310), 친구나 지인의 운동정보를 표시해 주기 위한 Facebook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표시창(311), 사용자 신상정보의 입력을 위한 프로필 선택창(312), 과거 운동기록을 저장하고 표시하기 위한 운동 레코드창(313), 앱 프로그램과 연동되는 웹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내보내기창(314), 나의 운동 설정창(315), 및 근력정도 표시창(316)으로 구성된다. 5, the strength
캐랙터 선택 및 표시창(301)은 사용자의 운동동작을 실시간으로 모사하는 아바타나 캐랙터를 표시한다. 캐랙터 선택 및 표시창(301)은 사용자가 호감을 가지는 캐랙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캐랙터 선택 및 표시창(301)은 건강신호 측정기(20)에서 전송되어 온 운동신호에 따라 선택한 캐랙터가 움직이도록 표시한다.The character selection and
운동종류 선택창(302)은 아령(덤벨)이나 역기, 프레스, 줄넘기, 달리기 등과 같은 다양한 운동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운동종류 선택창(302)은 사용자가 현재하고자 하는 운동을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고, 목록에 없는 운동의 경우에는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The exercise
운동강도 선택창(303)은 초보자, 중급, 고급, 전문가와 같은 운동의 수준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운동강도 선택창(303)에서 설정하는 운동의 수준에 따라서 목표치 선택 및 표시창(306)에서의 설정 값이 조정되는 기능을 포함한다.The exercise
현재시간 표시창(304)은 현재의 시간을 표시한다. 현재 시간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시간정보를 제공한다.The current
운동시간 표시창(305)은 사용자가 운동 가이드 제어부(30)를 실행하여 운동정도 측정기(20)와 연동된 후부터의 시간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운동한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한다.The exercise
목표치 선택 및 표시창(306)은 운동회수의 목표 값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값을 보여 주도록 구성된다. 운동강도 선택창(303)에서의 선택 사항에 따라 목표 값이 설정되어 보여지거나, 임의로 목표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target value selection and
실행치 표시창(307)은 현재까지 수행한 운동회수를 표시한다.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까지 진행한 운동회수를 알 수 있도록 하여 목표치까지 도달하도록 유도한다.The execution
비교치 표시창(308)은 목표치 선택 및 표시창(306)에서 표시되는 목표 값과 실행치 표시창(307)에서 표시되는 실행 값과의 차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로 하여금 남은 운동회수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그래픽 요소가 가미되어 구성된다. The comparison
음성 가이드 선택창(309)은 현재 사용자의 운동회수와 목표치, 운동시간, 현재시간 등을 고려하여 운동을 지속하도록 하는 다양한 음성 메시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음성 가이드 선택창(309)에서 선택한 음성 메시지에 해당되는 메시지를 운동정도 표시 단말기(20)에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된다. 음성 가이드 선택창(309)을 통하여 사용자가 목표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용기와 희망을 주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한다. The voice
문자 가이드 표시창(310)은 현재 사용자의 운동회수와 목표치, 운동시간, 현재시간 등의 운동상황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가 목표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용기를 주는 메시지를 문자로 표시한다. The character
소셜 네트워크 표시창(311)은 사용자의 가족이나 친구, 지인들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상에서 같이 운동을 하는 경우 이들의 정보를 제공해 주는 표시창이다. 소셜 네트워크 표시창(311)은 페이스북이나 SNS와 같은 온라인 서비스를 포함한다.The social
프로필 선택창(312)은 사용자의 신체정보, 운동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프로필 선택창(312)은 사용자의 가족, 친구, 지인들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운동 레코드창(313)은 사용자가 실행한 운동을 기록하고, 과거 기록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운동 레코드창(313)은 운동시간별 기록, 운동종류별 기록, 일별, 주별, 월별, 년별 기록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운동 레코드창(313)은 구간별 평균값, 최고값, 최저값 등의 특징값들을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The
내보내기창(314)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는 웹서버나 소셜 네트워크로 실시간 운동정보나 기록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The
나의 운동 설정창(315)은 사용자가 임의로 운동 가이드 프로그램(30)의 선택창에서의 값들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My
근력정도 표시창(316)은 근력 측정기(10)로부터 전송 받은 측정 값으로부터 근전도 신호의 시간영역(Time domain)에서의 신호의 크기 정도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근력정도 표시창(316)은 근력 측정기(10)로부터 전송 받은 근전도 신호의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의 절대 값의 크기로 근력정도의 세기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근력정도 표시창(316)은 근력 측정기(10)로부터 전송 받은 근전도 신호의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의 신호의 크기 및 전력성분을 계산하여 세기의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The muscle strength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제어부(30)는 운동종류 선택창(302), 운동강도 설정 및 표시창(303), 나의 운동 설정창(315)의 선택사양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캐랙터와 비교치 표시창(308) 등에서의 표시방법을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하게 변화되도록 구성한다.The muscle strength trainin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트레이닝 프로그램(30)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S401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프로그램(30)이 실행되면, 트레이닝 단말기(20)는 트레이닝 가이드 초기화면을 표시하고, S402 단계로 진행하여 유무선 통신 연결모드로 동작하여 트레이닝 단말기(20)와의 연결을 시도한다. Referring to FIG. 6, in step S401, when the user has performed the strength
S403 단계에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연결되었는가를 확인하고 연결이 되지 않았으며, S404 단계로 진행하여 연결시도 회수가 3회를 넘겼는가를 판단한다. In step S40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If the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04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connection attempts exceeds three times.
S404 단계에서, 트레이닝 단말기(20)와의 유무선 통신 연결회수가 3회를 넘기지 않았으면, S402 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유무선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 S404 단계에서, 트레이닝 단말기(20)와의 유무선 통신 연결회수가 3회를 초과하였으면, S405 단계로 진행하여 유무선 통신 연결이 되지 않는 원인과 점검사항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S401 단계로 진행하여 초기화면으로 돌아간다. If the number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s with the
S403 단계에서, 트레이닝 단말기(20)와 유무선 통신이 연결되면 S406 단계로 진행하여 트레이닝 가이드 측정화면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근력의 정도와 운동회수, 현재 시간, 운동 시간 등의 정보를 트레이닝 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한다. I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S406 단계에서, 사용자가 설정 값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S407 단계 및 S408 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값을 입력받는다.If the user changes the set value in step S406, the flow advances to step S407 and step S408 to receive the changed value.
S408 단계에서, 변경된 값으로 트레이닝 프로그램(30)의 각 선택 및 표시창의 값을 설정한 후 S406 단계로 진행하여 트레이닝 가이드 측정화면에서 실시간 근력 정보 및 운동 정보를 다시 표시한다. In step S408, the value of each selection and display window of the
S406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실행 중지 명령이 입력될 경우에는 S409 단계로 진행하여 중지 여부를 다시 확인하고 맞으면 트레이닝 가이드 제어부(30)를 중지할 것이다. S409 단계에서, 실행 중지를 취소하면 S406 단계로 진행된다. If a stop instruction is input by the user in step S406, the flow advances to step S409 to check again whether or not the stop instruction has been issued. If the stop instruction is received, the trainin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트레이닝 시스템(1)의 또 다른 사용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method of using the
도 7을 참조하면, 근력 측정기(10)에 체결띠(120)를 삽입하여 팔이나 다리 등의 신체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근력 측정기(10)에 접착용 패치(130)를 사용하여 팔이나 다리, 가슴, 등과 같은 근육 부위에 부착한 상태로 근력 운동을 할 경우 해당 부위에서의 근력 정도를 트레이닝 제어부(30)를 통하여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n view of the foregoing,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equivalents.
1 :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
10 : 근력 측정기
20 : 트레이닝 단말기
30 : 트레이닝 프로그램
110: 측정기 본체
120: 체결띠
130: 접착용 패치1: Strength Training Guide System
10: Power Meter
20: Training terminal
30: Training Programs
110:
120: fastening strip
130: Adhesive patch
Claims (11)
상기 근력 측정기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동되어 상기 근력 측정기의 움직임 상태와 사용자의 근력 정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트레이닝 단말기; 및
상기 트레이닝 단말기 상에서 구동되며 상기 근력 측정기에서 전송되는 상기 움직임 상태와 근력 정도를 표시하고, 상황에 따른 운동 가이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트레이닝 제어부를 포함하는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
A muscle strength meter attached to a part of the user's body to measure the degree of muscle strength;
A training terminal coupled to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in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to display a movement state of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nd a user's muscle strength level in real time; And
And a training controller, which is driven on the training terminal and displays the motion state and the degree of muscle strength transmitted from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nd outputs a motion guide messa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상기 근력 측정기는,
상기 근력 정도와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트레이닝 단말기로 유선 또는 무선 전송하도록 구성된 측정기 본체; 및
상기 측정기 본체를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 부착용 구조물을 포함하는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includes:
A measuring device body configured to detect the degree of muscle strength and a motion signal and transmit the detected signal to the training terminal by wire or wirelessly; And
And a body attachment structure configured to attach the meter body to a portion of the body of the user.
상기 본체 부착용 구조물은,
상기 측정기 본체를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밀착하기 위한 체결띠; 및
상기 측정기 본체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용 패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ody attachment structure comprises:
A fastening band for bringing the measuring instrument body into close contact with a part of a user's body; And
And an adhesive patch for attaching the measuring instrument body to a part of the user's body.
상기 체결띠는,
벨크로, 시계줄, 고무 밸트, 플라스틱 밸트, 철심이 들어 있는 유연한 플라스틱, 실리콘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tightening band
A muscle band, a velcro, a watch band, a rubber belt, a plastic belt, a flexible plastic containing an iron core, and a silicone band.
상기 접착용 패치는,
상기 측정기 본체의 근력 측정센서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dhesive patch comprises:
And to be coupled to a muscle strength measuring sensor of the measuring device body.
상기 접착용 패치는,
도전성 스냅이나 도전성 금속 체결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dhesive patch comprises:
A conductive snap or a conductive metal fastener.
상기 측정기 본체는,
상기 움직임 신호와 근력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력 측정센서;
상기 체결띠를 삽입하기 위한 체결띠 삽입홈;
상기 근력 측정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창; 및
상기 측정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measuring instrument body,
A muscle force measuring sensor for sensing the motion signal and the muscle force signal;
A fastening band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fastening band;
A state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nd
And an operation switch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body of the measuring device.
상기 측정기 본체는,
상기 근력 신호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근력 센싱부;
상기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움직임 센싱부;
상기 트레이닝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근력 센싱부와 움직임 센싱부를 제어하고, 상기 근력 센싱부와 움직임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신호를 상기 트레이닝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상기 트레이닝 단말기와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근력 센싱부와 상기 움직임 센싱부 및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원부를 포함하는 근력 트레이딩 가이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measuring instrument body,
A muscle force sensing unit configured to measure the muscle force signal;
A motion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the motion signal;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strength sensing unit and the motion sensing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training terminal, process a signal sensed through the strength sensing unit and the motion sensing unit, and provide the processed signal to the training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raining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And
And a power unit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muscle strength sensing unit, the motion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통신부는 유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인터넷(WiFi), 지그비(ZigBee), UWB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는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uses any one of wired, Bluetooth, wireless internet (WiFi), ZigBee, and UWB.
상기 트레이닝 단말기는,
상기 근력 측정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근력 신호 및 움직임 신호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화면 표시장치;
상기 근력 신호 및 움직임 신호의 상황에 따라 사용자에게 음성 메시지를 내보내도록 구성된 음성 출력장치; 및
상기 그래픽 화면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접속 화면에 명령을 입력하도록 구성된 포인터 장치를 포함하는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ining terminal includes:
A graphic screen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the muscle force signal and the mo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 voice output device configured to send a voice message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trength signal and the motion signal; And
And a pointer device configured to input a command to a user connection screen displayed on the graphic screen display device.
상기 트레이닝 제어부는,
상기 트레이닝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상기 근력 측정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움직임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사하도록 구성되는 캐랙터 선택 및 표시창;
상기 근력 측정기와 연동하여 하고자 하는 운동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운동종류 선택창;
상기 운동종류에 있어서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운동강도의 정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운동강도 선택창;
상기 운동을 실행함에 있어 사용자의 목표값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목표치 선택 및 표시창,
상기 운동을 실행함에 있어 사용자가 현재까지 달성한 결과를 표시하도록 구 성된 실행치 표시창;
상기 목표치와 상기 실행치를 비교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비교치 표시창;
상기 목표치와 실행치 및 상기 운동종류와 상기 운동강도 선택창에서의 설정값에 근거한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음성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음성 가이드 선택창;
상기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를 문자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문자 가이드 표시창;
상기 운동을 실행함에 있어 친구나 지인의 운동정보를 표시해 주도록 구성된 소셜 네트워크 표시창;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필 선택창;
과거 운동기록을 저장하고 표시하도록 구성된 운동 레코드창;
상기 운동기록을 웹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내보내기창;
상기 운동을 실행함에 있어 운동종류와 운동강도, 운동시간 등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나의 운동 설정창; 및
상기 근력의 세기 정도를 숫자와 그래픽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근력정도 표시창을 제어하는 근력 트레이닝 가이드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ining control unit includes:
And a control unit,
A character selection and display window configured to simulate a movement state of a user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 motion type selection window configured to select a type of motion to be interlocked with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n exercise intensity selection window configured to select a degree of exercise intensity to be performed by the user in the exercise type;
A target value selection and display window configured to set a target value of a user in executing the motion,
An execution value display window configured to display a result that the user has achieved so far in executing the exercise;
A comparison value display window configured to compare and display the target value and the execution value;
A voice guide selection window configured to select a strength training guide voice based on the target value, the execution value, the type of exercise, and the setting value in the exercise intensity selection window;
A character guide display window configured to display the strength training guide as a character;
A social network display window configured to display exercise information of a friend or acquaintance in executing the exercise;
A profile selection window configured to input a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 exercise record window configured to store and display a past exercise record;
An export window configured to transfer the track to the web server;
An exercise setting window configured to set a type of exercise, exercise intensity, exercise time, and the like in executing the exercise; And
And a muscle strength degree display window configured to display a magnitude of the muscle strength in numerical and graphical for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5818A KR20140068403A (en) | 2012-11-28 | 2012-11-28 | Muscle training guid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5818A KR20140068403A (en) | 2012-11-28 | 2012-11-28 | Muscle training guide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8403A true KR20140068403A (en) | 2014-06-09 |
Family
ID=5112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5818A Ceased KR20140068403A (en) | 2012-11-28 | 2012-11-28 | Muscle training guid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68403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204444A1 (en) * | 2015-06-17 | 2016-12-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providing exercise information and wearable device therefor |
KR101990531B1 (en) | 2017-12-21 | 2019-06-18 | (주)로임시스템 |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apparatus provid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analysis information |
WO2020040363A1 (en) * | 2018-08-23 | 2020-02-27 | 전자부품연구원 | Method and device for guiding motion using 4d avatar |
CN116440470A (en) * | 2023-03-31 | 2023-07-18 | 余姚市机器人研究中心 | Intelligent exercise body-building binding band, control method and system |
-
2012
- 2012-11-28 KR KR1020120135818A patent/KR20140068403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204444A1 (en) * | 2015-06-17 | 2016-12-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providing exercise information and wearable device therefor |
CN107809944A (en) * | 2015-06-17 | 2018-03-16 | 三星电子株式会社 | The method and its wearable device of exercise information are provided |
KR101990531B1 (en) | 2017-12-21 | 2019-06-18 | (주)로임시스템 |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apparatus provid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analysis information |
WO2020040363A1 (en) * | 2018-08-23 | 2020-02-27 | 전자부품연구원 | Method and device for guiding motion using 4d avatar |
CN116440470A (en) * | 2023-03-31 | 2023-07-18 | 余姚市机器人研究中心 | Intelligent exercise body-building binding band, control method and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9976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interpreting repetitive motions | |
AU2022201503B2 (en) | Compact muscle stimulator | |
US8947226B2 (en) | Bands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 |
US20200000378A1 (en) | Wearable Architecture and Methods for Performance Monitoring, Analysis, and Feedback | |
US8702568B2 (en) | Exercise system and a method for communication | |
CN107961523B (en) | Human body training system and intelligent fitness system based on heart rate detection | |
WO2019086997A2 (en) | Wearable biofeedback system | |
KR20140056752A (en) | Fitness care system and method using automatic motion measure and custom health data-base | |
CN114081479B (en) | Physical stat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intelligent garment | |
US20250064368A1 (en) | Sensor for monitoring posture | |
KR20140068403A (en) | Muscle training guide system | |
CA3062594A1 (en) |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uman performance | |
CN204445908U (en) | Wearabl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 |
JP2017153822A (en) |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nd operation assist system including the same | |
GB2483117A (en) | An athletic performance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a load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 |
KR101992113B1 (en) | Fitness monitoring system | |
WO2014177763A1 (en) | Heart rate and activity monito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 |
KR102129469B1 (en) | Wearable strap device for generating midium/low frequency | |
GB2483115A (en) | An athletic performance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a load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 |
US10981034B1 (en) | Companion device to support qualifying movement identification | |
TWM670058U (en) | Artificial Intelligence Fitness Puller | |
KR20230079730A (en) | Personalized health st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TWI615102B (en) | Various informations sensing smart cloth | |
KR20210037645A (en) |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5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7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501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1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7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4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