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202A -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with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3202A KR20130103202A KR1020120024648A KR20120024648A KR20130103202A KR 20130103202 A KR20130103202 A KR 20130103202A KR 1020120024648 A KR1020120024648 A KR 1020120024648A KR 20120024648 A KR20120024648 A KR 20120024648A KR 20130103202 A KR20130103202 A KR 201301032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separator
- unit
- electrode assembly
- assemb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대형에 적합한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suitable for medium and large size and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이차 전지 시장은 노트북,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소형 전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세계적으로 환경오염 문제 및 화석연료의 자원화(채굴/채광)에 따른 에너지 비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환경규제와 그린정책이 강화되고 있다.The secondary battery market is centered on small batteries used in mobile devices such as laptops and mobile phones. Globally,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green policies are being strengthened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ncreased energy costs due to the fossil fuel resource (mining and mining).
현재, 전기 자동차 개발에 사용되는 에너지원은 대부분 중대형 리튬 이차 전지이고, 이를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다. 향후, 신재생 에너지 및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와 연계된 전력 저장 분야에서 에너지 저장 매체로써 중대형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Currently, most of the energy sources used in the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are medium and larg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are being developed based on these. In the future, research on medium-large-size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is expected to be conducted as an energy storage medium in the field of power storage associated with renewable energy and smart grid.
예를 들면,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의 적층 또는 와인딩으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내장하는 금속 케이스 또는 파우치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stack or winding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and a metal case or pouch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lyte.
음극 및 양극의 사이즈가 작은 소형 이차 전지에서는 전극의 취급이 용이하고, 적층 및 와인딩 공정에 대한 생산성이 비교적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중대형 이차 전지에서는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을 적층 및 와인딩하는 공정에서의 생산성 향상 및 안정성 확보가 주요 과제로 남는다.In the small secondary battery having a small size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handling of the electrode is easy, and productivity for the lamination and winding processes may be relatively easily secured. However, in the medium and large secondary batteries,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nd securing stability in the process of stacking and winding the positive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remain a major challenge.
즉 중대형 이차 전지로 발전되면, 전극의 두께가 얇아지고, 전극의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 전극의 취급이 어려워지고, 적층 및 와인딩 공정에 대한 생산성 확보가 어려워진다.In other words, when developed into a medium-large secondary battery,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becomes thin, and as the size of the electrode becomes large, the handling of the electrode becomes difficult, and the productivity of the lamination and winding processes becomes difficult.
또한 전극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코팅된 활물질이 탈리되거나 집전체 등의 이물질이 많이 발생되어, 전극의 적층 및 와인딩 공정에서 이물질이 많이 삽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전극 조립체의 내부에서 쇼트가 유발될 수 있다. 즉 이차 전지 불량 및 이차 전지의 폭발이 초래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cutting of the electrode, the coated active material is detached or a larg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a current collector are generated, and thus a larg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may be inserted in the lamination and winding processes of the electrode, thereby causing a short inside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That is,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defective and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exploded.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의 적층 공정에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셀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and the stability of the cell is improved in the electrode stacking process.
본 발명의 목적은 중대형에 적합한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고, 이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suitable for medium and large size, and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제1 집전체에 제1 활물질을 구비하는 띠 상의 제1 전극, 띠 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의 일단을 감싸고 상기 제1 전극의 양면에 포개어지는 분리막, 제2 집전체에 제2 활물질을 구비하는 판 상의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을 덮고 있는 상기 분리막에 상기 제2 전극을 쌓고, 상기 제1 전극을 내장한 상태의 상기 분리막으로 상기 제2 전극을 감는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상기 제1 전극,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제2 전극의 적층 구조를 형성한다.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on a band having a first active material on a first current collector, and formed on a band to surround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overlap both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on a plate having a separator and a second active material in a second current collector,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is stacked on the separator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is embedded therein. The process of winding the second electrode with a separator is repeatedly performed to form a stacked structure of the first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second electrode.
상기 제1 전극은 나선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may form a spiral structure.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2 전극의 양면에 대응하는 평면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단부에 대응하는 곡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may form a planar portion corresponding to both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and a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전극의 양면에 대응하는 평면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단부에 대응하는 곡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separation membrane may correspond to the first electrode, and may include a planar portion corresponding to both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and a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상기 분리막의 곡면부는, 상기 제1 전극의 곡면부의 일측에 2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urved portion of the separator may be formed in two layers on one sid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무지부는 서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uncoat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무지부는 동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uncoat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the same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제1 전극을 덮고 있는 제1 분리막에 제2 전극을 쌓고, 상기 제1 전극을 내장한 상태의 상기 제1 분리막으로 상기 제2 전극을 감는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1 분리막 및 상기 제2 전극의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단위 전극 조립체, 및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를 복수로 적층 구비하여,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들 사이에 제공되는 제2 분리막을 포함한다.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tacking a second electrode on a first separator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and winding the second electrode with the first separato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is embedded. Repeatedly performed, a unit electrode assembly for forming a stacked structure of the first electrode, the first separator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 assemblies are stacked to provide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 assemblies provided between the unit electrode assemblies 2 separator.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에서, 상기 제1 분리막은,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의 일단을 감고, 상기 제1 전극의 다른 일단에서 양단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unit electrode assembly, the first separator may be formed as one and wind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ectr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적층되는 2개의 단위 전극 조립체 사이에, 일측 단위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제2 분리막 사이에 제2 전극을 더 배치할 수 있다.In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a second electrod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wo unit electrode assemblies to be stacked and between one side unit electrode assembly and the second separator.
상기 제2 분리막은, 복수의 단위 전극 조립체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복수의 단위 전극 조립체 전체를 감쌀 수 있다.The second separator may further extend outside the plurality of unit electrode assemblies to surround the entire plurality of unit electrode assemblies.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에서, 상기 제1 분리막은,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의 일단을 감고, 상기 제1 전극의 다른 일단에서 제1 분리막의 일단을 제1 분리막에 연결하고, 제2 전극을 하나 더 적층하여 감싸서 제1 분리막의 다른 일단을 제1 분리막에 연결할 수 있다.In the unit electrode assembly, the first separator is formed as one to wind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connect one end of the first separator to the first separator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connect the second electrode to one.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parato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eparator by being stacked and wrapp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적층되는 복수의 단위 전극 조립체 전체를 감싸는 제3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eparator surrounding the entire plurality of unit electrode assemblies stacked.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무지부는 서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uncoat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무지부는 동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uncoat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the same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집전체에 제1 활물질을 구비하는 띠 상의 제1 전극, 띠 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의 일단을 감싸고 상기 제1 전극의 양면에 포개어지는 분리막, 제2 집전체에 제2 활물질을 구비하는 판 상의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을 덮고 있는 상기 분리막에 상기 제2 전극을 쌓고, 상기 제1 전극을 내장한 상태의 상기 분리막으로 상기 제2 전극을 감는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상기 제1 전극,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제2 전극을 적층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내장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제1 전극탭과 제2 전극탭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first electrode on a band having a first active material in a first current collector, and is formed in a band shape to surround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to overlap both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on a plate having a separator and a second active material in a second current collector,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is stacked on the separator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is embedded therein. Repeating the process of winding the second electrode with a separator, an electrode assembly for stacking the first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second electrode, a case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And a first electrode tab and a second electrode tab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electrodes and drawn out of the case.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전극의 양면에 대응하는 평면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단부에 대응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의 곡면부는, 상기 제1 전극의 곡면부의 일측에 2겹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parator includes a planar portion corresponding to both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and a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curved portion of the separator is formed of the first electrode. Two layers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urved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전극을 덮고 있는 제1 분리막에 제2 전극을 쌓고, 상기 제1 전극을 내장한 상태의 상기 제1 분리막으로 상기 제2 전극을 감는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1 분리막 및 상기 제2 전극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단위 전극 조립체, 및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를 복수로 구비하여,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들 사이에 제공되는 제2 분리막,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들과 상기 제2 분리막과 전해액을 내장하는 케이스, 및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들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제1 전극탭과 제2 전극탭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ary electrode is stacked on a first separator covering a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wound around the first separator with the first electrode embedded therein. By repeating, the first electrode, the first separator and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by stacking the second electrode,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 assembly, and a plurality of the unit electrode assembly, the second separator provided between the unit electrode assembly A case including the unit electrode assemblies, the second separator and the electrolyte, and a first electrode tab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s of the unit electrode assemblies and drawn out of the case; And two electrode tab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음극)을 내장한 상태의 분리막에 제2 전극을 쌓고, 분리막으로 제2 전극(양극)을 감는 공정을 반복하여, 제1 전극, 분리막 및 제2 전극의 적층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전극의 적층 공정에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안정성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lectrode is stacked on the separator having the first electrode (cathode) embedded therein, and the process of winding the second electrode (anode) with the separator is repeated, so that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And by forming the laminated structure of a 2nd electrode, productivity improves and stability improves in the lamination process of an electro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와 같은 전극 조립체를 단위 전극 조립체로 하여 복수의 단위 조립체를 적층함으로써 중대형에 적합한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assemblies using such an electrode assembly as a unit electrode assembly can easily implement an electrode assembly and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for medium and lar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공정의 시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공정으로 제조된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전극 조립체들을 적층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전극 조립체들을 적층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전극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공정의 시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공정을 시작으로 제조된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rt state of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used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used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by the process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dium-larg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ies of FIG. 3 are stack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dium-larg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ies of FIG. 3 are stacked.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rt state of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used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used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from the process of FIG. 8.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공정의 시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공정으로 제조된 전극 조립체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rt state of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used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lectrode assembly used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p of manufacturing a,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by the process of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00)는 제1 전극(10)(예를 들면, 음극), 분리막(30), 및 제2 전극(20)(예를 들면, 양극)을 포함한다. 분리막(30)은 리튬 이온을 통과시키는 폴리머 고체 전해질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1 to 3, the
도 4는 도 3의 전극 조립체(100)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300)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이차 전지(300)는 충전 및 방전 작용하는 전극 조립체(100) 및 전해액을 내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편의상, 케이스로 파우치(200)를 예시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음극(10)은 금속 박막의 제1 집전체에 제1 활물질을 도포한 코팅부(11), 및 제1 활물질을 도포하지 않아 노출된 제1 진접체로 설정되는 무지부(12)를 포함한다. 제1 전극탭(편의상, "음극탭"이라 한다)(42)은 음극(10)의 무지부(12)에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양극(20)은 금속 박막의 제2 집전체에 제2 활물질을 도포한 코팅부(21), 및 제2 활물질을 도포하지 않아 노출된 제2 진접체로 설정되는 무지부(22)를 포함한다. 제2 전극탭(편의상, "양극탭"이라 한다)(52)은 양극(20)의 무지부(22)에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제2 활물질은 제1 활물질에 비하여 고분자량 바인더를 사용하므로 양극(20)의 코팅부(21)는 음극(10)의 코팅부(11)에 비하여, 두께가 2배 수준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고, 더 딱딱한 성질을 가진다.Since the second active material uses a higher molecular weight binder than the first active material, the
음극(10)의 무지부(12)와 양극(20)의 무지부(22)는 서로 반대측에 배치된다. 이들 무지부(12, 22) 각각에 연결되는 음극탭(42)과 양극탭(52)은 전극 조립체(100)의 반대 측면으로 각각 인출되어 배치된다.The
파우치(200)는 전극 조립체(100)의 외부를 감싸는 다층 시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우치(200)는 절연 및 열융착 작용하는 폴리머 시트, 외면을 형성하여 보호 작용하는 복합 나일론 시트, 및 이들 사이에 제공되어 기계적인 강도를 부여하는 금속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음극(10)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분리막(30)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음극(10)의 길이 방향 일단을 감싸고 음극(10)의 양면에 포개어진다. 음극(10)과 분리막(30)은 서로 접착될 수도 있다. 음극(10)의 양면에 접착되는 분리막(30)은 얇고 대면적을 가지는 음극(10)을 지지하여 대형의 음극에 기계적인 강도를 제공한다. 즉 음극(30)의 분리막(30)에 의하여 찢어지거나 구겨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and 2, the
양극(20)은 판 상으로 형성되며, 음극(10)에 포개어진 분리막(30)의 일면에 적층된다(도 2의 (a)). 이때, 음극(10)에 대하여 양극(20)의 상하 정렬을 맞추는 것으로 양극(20)과 음극(10)의 정렬이 완료된다. 따라서 적층 공정의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하고, 음, 양극(10, 20)의 정렬이 흐트러질 가능성이 낮고, 전극 조립체(100)를 포함하는 셀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음, 양극(10, 20)의 무지부(12, 22)는 폭 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에 배치된다(도 1).The
또한, 음극(10)은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양극(20)의 개수만큼 절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음극(10)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한 장씩 절단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이물질을 최소화시키고, 크리닝 공정을 간소화시킨다.In addition, since the
음극(10)을 내장한 상태의 분리막(30)으로 양극(20)을 감는다(도 2의 (a)). 따라서 음극(10)을 내장한 분리막(30)이 양극(20)의 양면에 배치된다(도 2의 (b)).The
양극(20)을 감은 분리막(30)의 일면에 판상의 양극(201)을 또 적층하고(도 2의 (b)), 분리막(30)으로 양극(201)을 감는다(도 2의 (b)). 따라서 양극(20, 201)을 감은 외곽에 분리막(30)이 배치된다(도 2의 (c)).The plate-shaped
분리막(30)의 외면에 양극(202)을 또 적층하고(도 2의 (c)) 감는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분리막(30)은 음극(10)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분리막(30)의 상부를 양극(202)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 즉 분리막(30)의 외면에 양극(20, 201, 202)을 적층하고 감는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극 조립체(100)가 완성될 수 있다.The
이때, 음극(10) 및 이를 내장한 분리막(30)을 한 방향으로 반복해서 감김으로써, 음극(10)은 나선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분리막(30)은 음극(10)의 양면에서 나선 구조를 형성한다.In this case, by repeatedly winding the
도 2를 참조하면, 음극(10)은 양극(20)의 양면에 대응하는 평면부(10a)와, 양극(20)의 단부에 대응하는 곡면부(10b)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음극(10)에 포개어지는 분리막(30)은 음극(10)에 대응하는 평면부(30a)와 곡면부(30b)를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즉 분리막(30)의 평면부(30a)는 음극(10) 평면부(10a)의 양면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곡면부(30b)는 양극(20)의 단부에 위치하는 음극(10) 곡면부(10b)의 양면에 대응하여 배치된다.That is, the
따라서 분리막(30)의 곡면부(30b)는 음극(10)의 곡면부(10b)의 일측에서 2겹으로 배치된다. 이때, 양극(20)은 분리막(30)의 곡면부(30b)에 대응하는 곡면부를 형성하지 않고 단부만을 가진다. 즉 분리막(30) 및 음극(10)의 곡면부(30b, 10b)에서 양극(20)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되고, 제2 활물질의 코팅부(21)의 탈리가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한편, 전극 조립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제공되어 이차 전지(300)를 형성할 수도 있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 적층 구조로 사용되어 중대형 전극 조립체(400, 500)를 형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도 5는 도 3의 전극 조립체들(100)을 적층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전극 조립체(400)의 단면도이다. 편의상, 중대형 전극 조립체(400)에서 도 1 내지 도 4의 전극 조립체(100)를 단위 전극 조립체라 하고, 단위 전극 조립체의 분리막(30)을 제1 분리막이라 한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dium-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중대형 전극 조립체(400)는 복수로 적층되는 단위 전극 조립체(100), 및 단위 전극 조립체들(100) 사이에 제공되는 제2 분리막(2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medium-
이때, 단위 전극 조립체(100)에서, 제1 분리막(30)은 하나로 형성되어 음극(10)의 일단을 감고, 음극(10)의 다른 일단에서 양단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즉 음극(10)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제1 분리막(30)을 덮게 되므로 양극(20)과의 쇼트가 방지된다.In this case, in the
제2 분리막(230)은 단위 전극 조립체들(100) 사이에 제공되고, 또한 복수의 단위 전극 조립체(100)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단위 전극 조립체들(100) 전체를 감싸서 고정시킨다.The
이때, 양극(202)은 적층되는 2개의 단위 전극 조립체(100) 사이에서, 일측 단위 전극 조립체(100)와 제2 분리막(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웃하는 단위 전극 조립체(100)의 음극들(10) 사이에 양극(202)이 배치됨으로써, 중대형 전극 조립체(400)는 용량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도 6은 도 3의 전극 조립체들(100)을 적층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전극 조립체(500)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중대형 전극 조립체(500)의 단위 전극 조립체(100)에서, 제1 분리막(30)은 하나로 형성되어 음극(10)의 일단을 감고, 음극(10)의 다른 일단에서 제1 분리막(30)의 일단을 제1 분리막(30)에 연결하고(C1), 양극(202)을 하나 더 적층하여 감싸서 제1 분리막(30)의 다른 일단을 제1 분리막(30)에 연결한다(C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dium-
이를 위하여, 제1 분리막(30)의 음극(10)의 일면에서 짧게 형성되고 다른 면에서 길게 형성된다. 길게 형성된 측에서 제1 분리막(30)은 더 적층되는 양극(202)을 감싸서 제1 분리막(30)에 연결된다(C2).To this end, it is formed short on one surface of the
제3 실시예의 중대형 전극 조립체(500)는 제3 분리막(330)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단위 전극 조립체들(100) 전체를 감싼다. 제3 분리막(330)은 단위 전극 조립체들(100)을 묶어서 하나의 셀을 고정한다.The medium-
이상에 개시된 제2, 제3 실시예의 중대형 전극 조립체(400, 500)는 전해액과 함께 케이스에 수용되고, 양, 음극탭을 통하여 케이스 밖으로 인출됨으로써, 중대형 이차 전지를 형성할 수 있다.The medium and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600)를 제조하는 공정의 시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600)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공정을 시작으로 제조된 전극 조립체(600)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rt state of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600)는 음극(610), 분리막(630), 및 양극(620)을 포함한다. 편의상, 도 8에서는 분리막(630)을 생략하고 도시한다.7 to 9, the
음극(610)은 금속 박막의 제1 집전체에 제1 활물질을 도포한 코팅부(611), 및 제1 활물질을 도포하지 않아 노출된 제1 진접체로 설정되는 무지부(612)를 포함한다. 음극탭(642)은 음극(610)의 무지부(612)에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양극(620)은 금속 박막의 제2 집전체에 제2 활물질을 도포한 코팅부(621), 및 제2 활물질을 도포하지 않아 노출된 제2 진접체로 설정되는 무지부(622)를 포함한다. 양극탭(652)은 양극(620)의 무지부(622)에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음극(610)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분리막(630)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음극(610)의 길이 방향 일단을 감싸고 음극(610)의 양면에 포개어진다.The
양극(620)은 판 상으로 형성되며, 음극(610)에 포개어진 분리막(630)의 일면에 적층된다. 이때, 음, 양극(610, 620)의 무지부(612, 622)는 폭 방향에 대하여 서로 동일 측에 배치된다.The
이 상태에서 음극(610)으로 양극(620)을 감으면, 음극(610)이 양극(620)의 양면에 배치된다(도 8에서 분리막 생략). 양극(620)을 감은 음극(610)의 일측에 판상의 양극(640)을 또 적층하고 음극(610)으로 양극(660)을 감는다. 이로써 전극 조립체(600)가 제조된다.When the
무지부(612)는 음극(610)의 길이를 따라 설정되는 제1 간격(D1)과 제2 간격(D2)을 유지하여 형성된다. 전극 조립체(600)에서 제1 간격(D1)은 평면부에 대응하여 양극(620)의 무지부(622)와 이격되게 하고, 제2 간격(D2)은 곡면부에 대응하여 음극(610)의 인접하는 무지부들(612)의 접합을 가능하게 한다.The
따라서 무지부(612)의 제1, 제2 간격(D1, D2)은 음극(610)이 분리막(630)과 양극(620)을 감는 회수에 따라 전극 조립체(600)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감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간격(D1)은 동일하게 설정되고, 제2 간격(D2)은 감는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대하여 설정된다.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gaps D1 and D2 of the
음극(610)의 무지부(612)와 양극(620)의 무지부(622)는 동일 측에 배치된다. 이들 무지부(612, 622) 각각에 연결되는 음극탭(642)과 양극탭(652)은 전극 조립체(600)의 동일 측면으로 인출되어 배치된다.The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610 : 제1 전극(음극) 10a, 30a : 평면부
10b, 30b : 곡면부 11, 21, 611, 621 : 코팅부
12, 22, 612, 622 : 무지부 20, 201, 202, 620, 640 : 제2 전극(양극)
30, 630 : (제1)분리막 42, 642 : 음극탭
52, 652 : 양극탭 100, 600 : 전극 조립체
200 : 파우치 230 : 제2 분리막
300 : 이차 전지 330 : 제3 분리막
400, 500 : 중대형 전극 조립체10, 610: first electrode (cathode) 10a, 30a: flat part
10b, 30b:
12, 22, 612, 622:
30, 630: (first)
52, 652:
200: pouch 230: second separator
300: secondary battery 330: third separator
400, 500: medium and large electrode assembly
Claims (18)
띠 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의 일단을 감싸고 상기 제1 전극의 양면에 포개어지는 분리막;
제2 집전체에 제2 활물질을 구비하는 판 상의 제2 전극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을 덮고 있는 상기 분리막에 상기 제2 전극을 쌓고,
상기 제1 전극을 내장한 상태의 상기 분리막으로 상기 제2 전극을 감는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상기 제1 전극,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제2 전극의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전극 조립체.
A band-shaped first electrode including the first active material in the first current collector;
A separator formed in a band shape to surround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overlap the both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Second electrode on plate having second active material in second current collector
/ RTI >
Stacking the second electrode on the separator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Repeating the process of winding the second electrode with the separator having the first electrode embedded t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forming a stacked structure of the first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second electrode.
상기 제1 전극은 나선형 구조를 형성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electrode forms a helical structure.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2 전극의 양면에 대응하는 평면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단부에 대응하는 곡면부를 형성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electrode,
Planar portions corresponding to both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And an curved surface portion corresponding to an end of the second electrode.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전극의 양면에 대응하는 평면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단부에 대응하는 곡면부를 형성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separator,
In response to the first electrode,
Planar portions corresponding to both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And an curved surface portion corresponding to an end of the second electrode.
상기 분리막의 곡면부는,
상기 제1 전극의 곡면부의 일측에 2겹으로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urved portion of the separator,
Electrode assembly formed in two layers on one sid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무지부는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uncoat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무지부는 동일 측에 배치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uncoat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re disposed on the same side.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를 복수로 적층 구비하여,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들 사이에 제공되는 제2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The second electrode is stacked on the first separator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rocess of winding the second electrode with the first separator having the first electrode embedded therein is repeated to perform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A unit electrode assembly forming a stacked structure of a separator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nd a second separator provided between the unit electrode assemblies and provided between the unit electrode assemblies.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에서, 상기 제1 분리막은,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의 일단을 감고,
상기 제1 전극의 다른 일단에서 양단으로 서로 연결되는 전극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unit electrode assembly, the first separator,
Is formed as one and winds up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an electrode assemb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both ends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ectrode.
적층되는 2개의 단위 전극 조립체 사이에, 일측 단위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제2 분리막 사이에 제2 전극을 더 배치하는
전극 조립체.
10. The method of claim 9,
A second electrode is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two unit electrode assemblies stacked between the one side electrode assembly and the second separator.
Electrode assembly.
상기 제2 분리막은,
복수의 단위 전극 조립체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복수의 단위 전극 조립체 전체를 감싸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An electrode assembly further extended outside the plurality of unit electrode assemblies to surround the entire plurality of unit electrode assemblies.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에서, 상기 제1 분리막은,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의 일단을 감고,
상기 제1 전극의 다른 일단에서 제1 분리막의 일단을 제1 분리막에 연결하고, 제2 전극을 하나 더 적층하여 감싸서 제1 분리막의 다른 일단을 제1 분리막에 연결하는 전극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unit electrode assembly, the first separator,
Is formed as one and winds up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eparator to the first separator at another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stacking and wrapping one more second electrode to connec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parator to the first separator.
적층되는 복수의 단위 전극 조립체 전체를 감싸는 제3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2,
The electrode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third separator surrounding the entire plurality of unit electrode assemblies stacked.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무지부는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전극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ncoat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제1 전극의 무지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무지부는 동일 측에 배치되는 전극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ncoat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re disposed on the same side.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내장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제1 전극탭과 제2 전극탭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A first electrode on a band having a first active material on the first current collector, a separator formed on a band, surrounding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overlapping on both sides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active material on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A second electrode on a plate including the plate; and stacking the second electrode on the separator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and winding the second electrode with the separato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is embedded. An electrode assembly stacking the first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second electrode;
A case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And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first electrode tab and a second electrode tab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respectively, and drawn out of the case.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전극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전극의 양면에 대응하는 평면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단부에 대응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의 곡면부는,
상기 제1 전극의 곡면부의 일측에 2겹을 형성하는 이차 전지.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eparator,
A flat portion corresponding to both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and a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The curved portion of the separator,
A secondary battery forming two layers on one sid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를 복수로 구비하여,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들 사이에 제공되는 제2 분리막;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들과 상기 제2 분리막과 전해액을 내장하는 케이스; 및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들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제1 전극탭과 제2 전극탭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The second electrode is stacked on the first separator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rocess of winding the second electrode with the first separator having the first electrode embedded therein is repeated to perform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A unit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stacking a separator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 second separato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 assemblies and provided between the unit electrode assemblies;
A case containing the unit electrode assemblies, the second separator, and an electrolyte; And
And a first electrode tab and a second electrode tab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s of the unit electrode assemblies and drawn out of the case, respective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4648A KR20130103202A (en) | 2012-03-09 | 2012-03-09 |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with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4648A KR20130103202A (en) | 2012-03-09 | 2012-03-09 |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with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3202A true KR20130103202A (en) | 2013-09-23 |
Family
ID=4945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4648A Withdrawn KR20130103202A (en) | 2012-03-09 | 2012-03-09 |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with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03202A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38362A (en) * | 2018-11-02 | 2019-04-16 |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battery pole group and preparation method and lithium-ion-power cell |
WO2020060022A1 (en) * | 2018-09-19 | 2020-03-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Electrode assembly |
US10741820B2 (en) | 2016-09-21 | 2020-08-11 | Samsung Sdi Co., Ltd. | Rechargeable battery |
KR20200127759A (en) * | 2019-05-03 | 2020-11-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11367928B2 (en) | 2018-04-23 | 2022-06-21 | Lg Energy Solution, Ltd. |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WO2022270827A1 (en) * | 2021-06-22 | 2022-12-2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process |
WO2023018054A1 (en) * | 2021-08-10 | 2023-02-1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Electrode assembly |
US11621434B2 (en) | 2018-06-29 | 2023-04-04 | Lg Energy Solution,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
US12057546B2 (en) | 2022-12-01 | 2024-08-06 | Lg Energy Solution, Ltd. | Electrode assembly |
-
2012
- 2012-03-09 KR KR1020120024648A patent/KR20130103202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41820B2 (en) | 2016-09-21 | 2020-08-11 | Samsung Sdi Co., Ltd. | Rechargeable battery |
US11367928B2 (en) | 2018-04-23 | 2022-06-21 | Lg Energy Solution, Ltd. |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US11621434B2 (en) | 2018-06-29 | 2023-04-04 | Lg Energy Solution,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
WO2020060022A1 (en) * | 2018-09-19 | 2020-03-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Electrode assembly |
KR20210124944A (en) * | 2018-09-19 | 2021-10-1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Electrode-assembly |
US11545725B2 (en) | 2018-09-19 | 2023-01-03 | Lg Energy Solution, Ltd. | Electrode assembly |
US12095023B2 (en) | 2018-09-19 | 2024-09-17 | Lg Energy Solution, Ltd. | Electrode assembly |
CN109638362A (en) * | 2018-11-02 | 2019-04-16 |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battery pole group and preparation method and lithium-ion-power cell |
KR20200127759A (en) * | 2019-05-03 | 2020-11-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WO2022270827A1 (en) * | 2021-06-22 | 2022-12-2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process |
WO2023018054A1 (en) * | 2021-08-10 | 2023-02-1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Electrode assembly |
US12057546B2 (en) | 2022-12-01 | 2024-08-06 | Lg Energy Solution, Ltd. | Electrode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53515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tacked secondary battery | |
KR20130103202A (en) |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with the same | |
JP5779828B2 (en) | Electrode assembly having step, battery cell,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9077027B2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KR101395016B1 (en) | A Stepwise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Battery Pack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1147207B1 (en) |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reof | |
CN209312928U (en) | Electrode assembly | |
CN205122703U (en) | Electrode subassembly of two -way coiling, including this electrode subassembly's lithium secondary battery , battery module and equipment | |
US20230052005A1 (en) |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disconnection preventing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60092748A (en) | secondary battery | |
US8703342B2 (en) | Electrode assembly,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thereof | |
EP2683010A1 (en) |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wo electrode assemblies | |
KR101387137B1 (en) |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with the same | |
KR20210074743A (en) | Secondary battery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1590991B1 (en) | Electrode Assembly Having Separators Attached to Each Other and Battery Cell Comprising the Same | |
KR20190041852A (en) | Guide member, Method of making stacked type battery using the guide member and Stacked type battery manufactured therefrom | |
KR101684365B1 (en) | A battery cell of vertical stacking structure | |
TWI398031B (en) | Lithium ion battery assembly | |
KR20130131843A (en) | Novel electrode separator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650860B1 (en) | Battery Cell Having Separation Film of Suppressed Thermal Shrinkage | |
KR102108113B1 (en) |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Separator Having Folded Edge | |
KR101849990B1 (en) | Battery Cell Having Separation Film of Suppressed Thermal Shrinkage | |
KR20130130495A (en) | Electrode assembly,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rechargeable battery | |
KR101792602B1 (en) | Battery Cell Having Electrode Assembly with Minimized Number of Reiteration of Current Collector | |
KR101709527B1 (en) | Battery Cell Having Improved Safe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