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55194A - 이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194A
KR20130055194A KR1020110120822A KR20110120822A KR20130055194A KR 20130055194 A KR20130055194 A KR 20130055194A KR 1020110120822 A KR1020110120822 A KR 1020110120822A KR 20110120822 A KR20110120822 A KR 20110120822A KR 20130055194 A KR20130055194 A KR 20130055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epdg
forwarding tunnel
data forwarding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0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5194A/ko
Priority to US13/679,614 priority patent/US20130128864A1/en
Publication of KR20130055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19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장치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핸드오버 방법은 기지국(eNB; evolved Node B)으로부터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요구를 나타내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에 이종 네트워크 간의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을 요청하는 제1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Create Indirect Data Forwarding Tunnel Request)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ePDG로부터 터널링 대상 ePDG의 ePDG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ePDG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을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S-GW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S-GW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본 발명은 이종 네트워크들(Heterogeneous Networks) 사이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핸드오버(Handover)는 사용자가 범위 밖으로 이동하거나 네트워크 소프트웨어가 호 경로를 재설정함에 따라 한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으로 호출 신호를 넘겨주는 절차를 말한다. 흔히, 동기방식에서는 핸드오프(Handoff)라는 말을 자주 쓰고 비동기방식에서는 핸드오버(Handover)라는 말을 자주 쓴다. 핸드오버란 이동국이 서비스중인 기지국(또는 섹터) 영역을 벗어나 다른 기지국(또는 섹터)으로 이동을 할 때, 계속 통화를 유지하기 위해 통화로를 이동한 셀로 바꾸어 주는 것을 말한다.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은 LTE(롱 텀 에볼루션; 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와 non-3GPP(비-3GPP)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기법이 일부 기술돼 있다. 종래의 LTE 네트워크와 non-3GPP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기법에 따르면, 단말이 사전에 핸드오버를 위한 사전 준비 없이, 바로 타겟 네트워크로 접속을 수행한다.
LTE 네트워크와 non-3GPP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시에는 접속 네트워크가 바뀌기 때문에 단말은 새로운 네트워크에서 인증 절차를 수행해야 하며, 인증 절차가 완료된 이후 데이터 경로를 개설한다. 즉, 단일 무선 단말(single radio terminal)은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별도의 절차 없이 타겟 네트워크(non-3GPP network)에 접속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접속 및 인증 절차가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트래픽은 유실된다. 현재 LTE 네트워크와 eHRPD(evolved High Rate Packet Data)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 에 대해서 S101, S103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재전송하는 방법이 표준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여타 non-3GPP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지거나 사용되는 방식이 없다.
도 1은 종래의 방식에 따르는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방식의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단말(UE, 110), PDN(Packet Data Network, 120), HSS(Home Subscriber Server, 122), 3GPP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서버(124), PDN-게이트웨이(P-GW; PDN-Gateway)(126), 서빙 게이트웨이(S-GW; Serving Gateway)(130),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132), 기지국(eNB; evolved Node B)(134),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 140), 및 와이파이 에이피(WiFi AP; Wireless Fidelity Access Point)(142)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80에서 단말(110)은 P-GW(126), S-GW(130), eNB(134)를 통해 PDN(12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PDN(120)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후 eNB(134)와의 연결 상태가 악화되거나 기타 사유로 단말(110)은 WiFi AP(142)로 핸드오버된다. 단계 190 내지 194는 핸드오버의 세부 단계이다. 단계 190에서 단말(110)은 3GPP AAA 서버(124)와 통신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단계 192에서 ePDG(140)는 프록시 바인딩 갱신(Proxy Binding Update; 이하 PBU라고 한다) 메시지를 P-GW(126)으로 송신한다. PBU 메시지는 단말(110)로 향하는 경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이다. 단계 194에서 PBU 메시지를 수신한 P-GW(126)는 단말(110)로 향하는 경로를 변경하고, PBU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프록시 바인딩 애크(Proxy Binding Ack; 이하 PBA라고 한다) 메시지를 ePDG(140)로 송신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별도의 패킷 재전송 절차 없이 곧바로 인증(190) 및 경로 변경(192, 194) 절차가 진행된다. 따라서 핸드오버가 진행되는 도중 원래의 경로를 따라 S-GW(130) 및 eNB(134)로 전달된 패킷이 단말(110)까지 전달되지 못하고 유실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핸드오버 방법은 기지국(eNB; evolved Node B)으로부터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요구를 나타내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에 이종 네트워크 간의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을 요청하는 제1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Create Indirect Data Forwarding Tunnel Request)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ePDG로부터 터널링 대상 ePDG의 ePDG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ePDG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을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S-GW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S-GW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핸드오버 장치는 기지국(eNB; evolved Node B)으로부터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요구를 나타내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요구인지 판단하는 핸드오버부; 및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에 이종 네트워크 간의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을 요청하는 제1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Create Indirect Data Forwarding Tunnel Request)을 송신하고, 상기 ePDG로부터 터널링 대상 ePDG의 ePDG 주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ePDG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을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로 송신하고,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S-GW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터널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부는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S-GW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식에 따르는 WiFi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종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도(200)이다.
도 2b는 도 2a의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202)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의 비공식 확장 정보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MME(232)의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종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도(200)이다. 도 2b는 도 2a의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202)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210), PDN(220), HSS(222), 3GPP AAA 서버(224), P-GW(226), S-GW(230), MME(232), eNB(234), ePDG(240), 및 WiFi AP(24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과정을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270에서 단말(210)은 P-GW(226), S-GW(230) 및 eNB(234)를 통해 PDN(220)과 통신한다. 이를 위해 P-GW(226)와 S-GW(230) 사이에는 PMIPv6(Proxy Mobile IPv6)/GTP(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Tunneling Protocol) 터널이 형성돼 있다.
단계 275에서 단말(210)은 와이파이 AP(242)가 속한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발견하고 와이파이 발견 사실을 eNB(234)로 보고한다. eNB(234)는 단말(210)과 eNB(234) 사이의 채널 상태, 단말(210)과 와이파이 AP(242) 사이의 채널 상태 등을 고려하여 핸드오버 진행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210)이 수신하는 와이파이 AP(242)의 신호 세기가 eNB(234)의 신호 세기보다 문턱값 이상 더 강하면, eNB(234)는 단말(210)이 와이파이 AP(242)로 핸드오버해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핸드오버 여부 결정은 종래에 널리 알려진 방식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eNB(234)이 단말(210)의 와이파이 AP(242)로의 핸드오버를 결정했다고 가정한다.
단계 280에서, 핸드오버를 결정한 eNB(234)는 MME(232)에 핸드오버 요구(Handover Required)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280에서 전달되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는 단말(210)이 eNB(234)로부터 와이파이 AP(242)로 핸드오버해야 함을 알리는 메시지이다. 비-3GPP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함을 알리기 위하여 eNB(234)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핸드오버 유형(Handover Type) 파라미터를 특정한 값, 예를 들어 'LTEtoNON3GPP'로 설정하여 MME(232)로 전달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핸드오버 유형 파라미터가 가질 수 있는 값을 나타낸 표이다.
IE/Group Name IE type and reference
Handover Type ENUMERATED (IntraLTE, LTEtoUTRAN, LTEtoGERAN, UTRANtoLTE, GERANtoLTE, LTEtoNON3GPP)
핸드오버 유형 파라미터의 값으로 사용될 수 있는 'LTEtoNON3GPP'는 종래의 통신 방식에서는 사용되거나 알려지지 않은 값이다. 핸드오버 유형 파라미터가 LTEtoNON3GPP로 설정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MME(232)는 해당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LTE 네트워크로부터 3GPP 외의 네트워크, 여기서는 WiFi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임을 알 수 있다.
LTEtoNON3GPP라는 이름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또한, eNB(234)가 LTE 네트워크로부터 WiFi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요구임을 알리기 위하여 다른 파라미터가 사용되거나 별도의 메시지가 사용되는 변형 예도 가능하다. 다만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핸드오버 유형 파라미터를 활용하는 경우 추가 메시지가 없고, 원래 핸드오버 유형 파라미터가 가지는 의미에 부합되도록 핸드오버 유형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iFi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MME(232)는 단계 282에서 ePDG(240)로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Create Indirect Data Forwarding Tunnel Request)을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응답(Create Indirect Data Forwarding Tunnel Response)을 수신한다. MME(232)는 수신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LTE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 즉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나타내는지 판단한다. 수신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나타내지 않는다면 종래의 방식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도 2a 및 도 2b의 실시 예에서는 수신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MME(232)는 수신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나타내면 이하의 282, 284, 286 단계를 수행하여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을 생성한다. MME(232)는 예를 들어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핸드오버 유형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수신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나타내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의 비공식 확장 정보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은 ePDG(240)와 S-GW(230) 사이에 포워딩 경로(터널) 개설이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이다.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은 예를 들어 도 3과 같은 형태의 비공식 확장 정보 요소(Private Extension Information Element; Private Extension IE)를 포함할 수 있다. 비공식 확장 정보 요소는 스페어(spare) 필드를 포함한다. MME(232)는 스페어 필드를 특정한 값, 예를 들어 '1'로 설정하여 해당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이 LTE 네트워크로부터 비-3GPP 네트워크(이종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는 데 필요한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임을 알릴 수 있다. 변형 예에 따르면 다른 필드 또는 다른 메시지가 ePDG(240)에게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알리는 데 활용될 수도 있다.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을 수신한 ePDG(240)는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응답을 MME(232)에게 송신한다.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응답은 터널링에 사용되는 ePDG의 주소 정보, 예를 들어 IP 주소 및/또는 GTP 터널 종점 식별자(TEID; Tunnel Endpoint IDentifier)를 포함한다. ePDG(240)는 이를 위해 터널링에 사용되는 ePDG에 IP 주소 및/또는 GTP TEID를 할당할 수 있다.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을 받은 ePDG(240)가 반드시 터널링에 사용될 필요는 없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ePDG(240) 자체가 터널링에 사용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특정 실시 예에서 MME(232)는 사전에 eNB(230)와 이웃한 비-3GPP 네트워크 정보를 가지고 있어, 타겟 비-3GPP에 대한 정보를 베어러 컨텍스트 IE(Bearer Context IE)에 추가할 수 있다.
ePDG(240)로부터 IP 주소 및/또는 GTP TEID를 수신한 MME(232)는 단계 284에서 S-GW(230)로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을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응답을 수신한다.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은 ePDG(240)로부터 수신한 ePDG(240)의 IP 주소 및/또는 GTP TEID를 포함한다.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을 수신한 S-GW(230)는 MME(232)에게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응답을 송신한다.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응답은 eNB(234)가 데이터 포워딩을 하는 데 필요한 S-GW(230)의 주소 정보, 예를 들어 TEID를 포함한다. 또한 S-GW(230)는 수신한 ePDG(240)의 IP 주소 및/또는 GTP TEID를 이용하여 S-GW(230)와 ePDG(240) 사이에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을 생성한다.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을 위한 메시지로써 예를 들어 일반적인 PMIPv6 경로 개설 메시지 또는 일반적인 GTP 경로 개설 메시지가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설된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은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동안 단말(210)을 목적지로 하는 데이터를 ePDG(240)로 전달하여 버퍼링되도록 하는 데 활용된다.
단계 286에서 MME(232)는 eNB(234)에게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를 송신한다. 핸드오버 명령은 eNB(234)가 데이터 포워딩을 하는 데 필요한 S-GW(230)의 TEID를 포함한다.
단계 290에서 단말(210)은 3GPP AAA 서버(224)와 통신하여 액세스 인증 및 승인을 수행한다.
인증 및 수행이 완료되면, 단계 292에서 ePDG(240)는 P-GW(226)에 PBU를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P-GW(226)로부터 PBA를 수신한다. 또한 ePDG(240)는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을 통해 S-GW(230)로부터 수신한 포워딩 데이터를 단말(210)로 전달한다. PBU/PBA 교환을 통해 ePDG(240)와 P-GW(226) 사이의 PMIPv6 경로 개설이 완료되면 핸드오버가 완료된다. 변형 예에 따르면 ePDG(240)는 PMIPv6 경로 대신 GTP 경로를 통해 P-GW(226)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ePDG(240)는 PBU 대신 세션 생성 요청(Create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P-GW(226)로 송신하고 P-GW(226)로부터 세션 생성 응답(Cre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여 GTP 경로를 개설한다.
핸드오버가 완료된 이후 단말(210)과 P-GW(226) 사이의 3GPP EPS(Evolved Packet System) 베어러(Bearer)는 해제(Release)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MME(232)의 블록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MME(232)는 통신부(510) 및 제어부(520)를 포함한다. 종래 방식의 MME(232) 동작을 위해 더 많은 구성부가 필요할 것이나, 본 발명의 요지와 큰 관련이 없는 구성부는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하였다.
통신부(510)는 시스템(200) 내의 다른 구성부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예를 들어 통신부(510)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eNB(234)로부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510) eNB(234)에게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한다. 통신부(510)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S-GW(230) 및 ePDG(240)와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응답을 주고받는다. 기타 상술한 설명에서 MME(232)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 또한 통신부(510)를 통해 수행된다. 통신부(510)는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부(520)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510)는 제어부(52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520)는 핸드오버부(522) 및 터널링부(524)를 포함한다.
핸드오버부(522)는 통신부(510)가 수신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분석하여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를 나타내는지 판단한다. 요구 메시지 분석 방법은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 282에 대한 설명에 자세한 분석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종래의 핸드오버를 나타낼 경우 제어부(520)는 종래의 방식대로 핸드오버를 처리한다. 반대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를 나타낼 경우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된다. 또한 핸드오버부(522)는 도 2a 및 도 2b의 단계 286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명령을 eNB(234)에 송신한다.
터널링부(524)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를 나타낼 경우 S-GW(230) 및 e-PDG(240)에게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을 송신하고 S-GW(230) 및 e-PDG(240)로부터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응답을 수신하도록 통신부(510)를 제어한다. 구체적인 메시지 송수신 과정은 도 2a 및 도 2b의 단계 282 및 단계 284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MME(232)가 핸드오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였다. 다만 변형 예에 따르면 MME(232)가 아닌 다른 구성부가 상술한 MME(232)의 동작을 대신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 단말(210)이 LTE 네트워크로부터 WiFi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실시 예의 방식을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경우라면 다른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에도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0)

  1. 이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장치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eNB; evolved Node B)으로부터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요구를 나타내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에 이종 네트워크 간의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을 요청하는 제1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Create Indirect Data Forwarding Tunnel Request)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ePDG로부터 터널링 대상 ePDG의 ePDG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ePDG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을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S-GW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S-GW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을 수신한 서빙 게이트웨이는 상기 터널링 대상 ePDG와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을 생성하고, 핸드오버하려는 단말을 목표로 하는 데이터를 상기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을 통해 상기 터널링 대상 ePDG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을 목표로 하는 데이터를 상기 S-GW 주소로 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장치는 수신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핸드오버 유형 파라미터가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를 나타내는 값일 때 수신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를 나타내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1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스페어(spare) 필드가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된 비공식 확장 정보 요소(Private Extension Information Element; Private Extension IE)를 포함하는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6.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eNB; evolved Node B)으로부터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요구를 나타내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이종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요구인지 판단하는 핸드오버부; 및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에 이종 네트워크 간의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을 요청하는 제1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Create Indirect Data Forwarding Tunnel Request)을 송신하고, 상기 ePDG로부터 터널링 대상 ePDG의 ePDG 주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ePDG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을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로 송신하고,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S-GW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터널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부는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의 S-GW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을 수신한 서빙 게이트웨이는 상기 터널링 대상 ePDG와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을 생성하고, 핸드오버하려는 단말을 목표로 하는 데이터를 상기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을 통해 상기 터널링 대상 ePDG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을 목표로 하는 데이터를 상기 S-GW 주소로 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부는 수신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핸드오버 유형 파라미터가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를 나타내는 값일 때 수신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가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를 나타내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링부는,
    스페어(spare) 필드가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된 비공식 확장 정보 요소(Private Extension Information Element; Private Extension IE)를 포함하는 우회 데이터 포워딩 터널 생성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장치.
KR1020110120822A 2011-11-18 2011-11-18 이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Withdrawn KR20130055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822A KR20130055194A (ko) 2011-11-18 2011-11-18 이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13/679,614 US20130128864A1 (en) 2011-11-18 2012-11-16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822A KR20130055194A (ko) 2011-11-18 2011-11-18 이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194A true KR20130055194A (ko) 2013-05-28

Family

ID=4842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822A Withdrawn KR20130055194A (ko) 2011-11-18 2011-11-18 이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28864A1 (ko)
KR (1) KR201300551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2041B2 (en) * 2012-12-13 2015-06-30 Alcatel Lucent Architecture for cellular networks
US20140269611A1 (en) * 2013-03-14 2014-09-18 T-Mobile Usa, Inc. Communication Handovers from Networks Using Unlicensed Spectrum to Circuit-Switched Networks
KR102088717B1 (ko) * 2016-04-08 2020-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접속계층 기반 액세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US10419994B2 (en) * 2016-04-08 2019-09-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Non-access stratum based access method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107333303B (zh) * 2016-04-28 2019-12-17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用户终端的网络切换方法及装置
CN107659978B (zh) * 2016-08-02 2021-05-07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用于识别无线接入点的方法与设备
KR102117098B1 (ko) 2017-01-12 2020-06-02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 네트워크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WO2018131904A1 (ko) * 2017-01-12 2018-07-19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 네트워크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WO2021218805A1 (en) * 2020-04-26 2021-11-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rect data forward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7403B2 (en) * 2002-05-03 2007-08-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rvice-based inter-system handover
US20040125770A1 (en) * 2002-12-31 2004-07-01 Pitt Randall Evans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state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CN1271823C (zh) * 2004-01-07 2006-08-23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中业务隧道的拆除方法
CA2655954C (en) * 2006-06-20 2013-06-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 for perform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199891B (zh) * 2006-12-04 2015-09-09 交互数字技术公司 无线发射/接收单元及通过其启动多波段传输的方法
CN101237672B (zh) * 2007-01-29 2012-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演进网络中建立s1信令连接的方法、装置及系统
KR100975740B1 (ko) * 2007-03-23 2010-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EP2086253B1 (en) * 2008-02-04 2011-07-06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link failure re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EP2166724A1 (en) * 2008-09-23 2010-03-24 Panasonic Corporation Optimization of handovers to untrusted non-3GPP networks
EP2194686A1 (en) * 2008-12-03 2010-06-09 Panasonic Corporation Secure tunnel establishment upon attachment or handover to an access network
EP2273820A1 (en) * 2009-06-30 2011-01-12 Panasonic Corporation Inter-VPLMN handover via a handover proxy node
JP2013524643A (ja) * 2010-04-02 2013-06-17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中継ノードを介した通信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617238B1 (en) * 2010-11-05 2015-01-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local traffic shortcut in packet-orien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28864A1 (en)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014B1 (ko) 비-3gpp 대 3gpp 네트워크 핸드오버 최적화
CN101690331B (zh) 无线通信系统中的信号发送
US8880061B2 (en) Enabling handoff for multiple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s
US8553647B2 (en) Optimization of non-optimized handoff from a first access technology to a second access technology
CN101690330B (zh) 用于切换操作中的资源管理的方法和设备
CN103987092B (zh) 切换过程中选择网络设备的方法和装置
KR20130055194A (ko) 이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20110063997A1 (en) Interworking between wimax and 3gpp networks
KR101181447B1 (ko) 이종망간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US20090207812A1 (en) Dual radio handovers beween wimax and 3gpp
US8797996B2 (en) Inter-network packet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US20160119347A1 (en) Method for Updating Identity Information about Packet Gateway, AAA Server and Packet Gateway
JP2012249288A (ja) ネットワーク・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出し可能な記録媒体
CN107005843A (zh) 一种无线通信网络中的接入方法、相关装置及系统
KR1016829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시스템 노드와 데이터 서비스 망 노드 간 연결 설정 방법
US9961045B2 (en) Service path changing method and apparatus
CN104349507B (zh) 一种切换方法和装置
KR100934086B1 (ko) 무선접속 시스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게이트웨이
KR101373354B1 (ko) 프락시 모바일 아이피 및 모바일 아이피 정보 전달 방법을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Liu et al. Heterogeneous network handover using 3GPP ANDSF
KR20150025890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