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01906A - 자가발전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자가발전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1906A
KR20120101906A KR1020110020013A KR20110020013A KR20120101906A KR 20120101906 A KR20120101906 A KR 20120101906A KR 1020110020013 A KR1020110020013 A KR 1020110020013A KR 20110020013 A KR20110020013 A KR 20110020013A KR 20120101906 A KR20120101906 A KR 20120101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chassis frame
trajectory
boarding unit
s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은석
Original Assignee
윤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은석 filed Critical 윤은석
Priority to KR102011002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1906A/ko
Publication of KR20120101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90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발전 놀이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소정형태의 공중궤도; 이 공중궤도에 현수되고, 자가발전수단을 구비하여 공중궤도를 따라 스스로 주행하는 탑승유닛; 이 탑승유닛을 공중궤도에 주행가능하게 매달아 지지하고, 자가발전수단에 의해 발생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주행수단을 구비하는 행거유닛;을 포함한다. 탑승유닛은, 섀시프레임과, 이 섀시프레임에 장착되는 좌석과, 탑승자를 좌석에 고정시켜 주는 안전벨트 및 섀시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한다. 탑승유닛의 전방에는 프로펠러가 구비되고, 그 양측에는 날개가 구비된다. 자가발전수단은 섀시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크랭크페달과, 이 크랭크페달에 연결되는 감속기와, 섀시프레임에 장착되어 감속기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로 이루어진다. 주행수단은, 상하로 이격되어 공중궤도를 양자간에 삽입하는 주행풀리 및 지지풀리와, 자가발전수단과 접속되어 주행풀리를 구동시키는 주행모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공중궤도에 안전하게 매달린 상태로 탑승자 스스로가 주행하기 때문에 누구나 제한없이 즐길 수 있음은 물론이고 마치 탑승자가 자신의 힘으로 하늘을 날아가는 듯한 만족감과 스릴을 만끽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가발전 놀이기구{Amusement device using nonutility generation}
본 발명은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중궤도에 현수되어 있는 탑승유닛의 페달을 탑승자가 직접 밟아 회전시켜서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얻음으로써 탑승유닛을 타고 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된 자가발전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유원시설(遊園施設) 내에는 이용자들이 재미를 만끽하면서 즐거운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각종의 놀이기구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놀이기구는 흥미위주의 단순한 것에서부터 적잖은 공포와 짜릿한 스릴(thrill)을 맛볼 수 있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예전에는 놀이기구의 이용자가 주로 어린이나 청소년층에 편중되어 재미위주의 단순한 놀이기구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나, 근래에는 이용자가 모든 연령층으로 확대되면서 복잡한 일상에서의 스트레스(stress)를 해소할 수 있도록 조금은 격하고 짜릿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놀이기구들이 출현하여 젊은층에 크게 각광받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예를 들어 회전목마와 같은 놀이기구는 누구나 안전하게 즐길 수는 있지만, 놀이패턴이 너무나 단조로워 쉽게 싫증을 느끼고 흥미를 잃어버리기 쉽다. 이에 반해, 롤러코스터(roller coaster)와 같은 놀이기구는 급격한 상승과 하강 등으로 짜릿한 전율을 유발하여 스트레스 해소에 일조하는 등 많은 기대와 흥미를 선사하기는 하지만, 그만큼 위험요소도 많아 이용에 제약이 따르고 안전을 담보하기도 어렵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많은 놀이기구들이 제공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기는 하나, 각 놀이기구마다 그 특성에 따라서 흥미가 반감된다던지 또는 이용제한이나 안정성 등에서 불리한 측면을 내포하고 있어 가족이나 친구, 연인이 함께 즐기는 것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대부분의 놀이기구들이 별도의 외부동력을 사용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크고, 그에 따라 이용요금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또한, 놀이기구의 이용도중 예기치 못한 정전이나 단선 등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 이용자들이 극도의 불안과 공포를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누구나 제한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 많을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자가발전 놀이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외부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이용자가 직접 필요동력을 발생시키면서 놀이기구를 즐길 수 있는 자가발전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자신의 힘으로 하늘을 나는 듯한 기분을 만끽할 수 있는 자가발전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자가발전 놀이기구는, 다수의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소정형태의 공중궤도; 이 공중궤도에 현수되고, 자가발전수단을 구비하여 공중궤도를 따라 스스로 주행하는 탑승유닛; 이 탑승유닛을 공중궤도에 주행가능하게 매달아 지지하고, 자가발전수단에 의해 발생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주행수단을 구비하는 행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탑승유닛은, 섀시프레임과, 이 섀시프레임에 장착되는 좌석과, 탑승자를 좌석에 고정시켜 주는 안전벨트 및 섀시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섀시프레임의 양측에는 날개가 각각 구비되어, 마치 하늘을 나는 듯한 느낌이 들게 한다.
또한, 탑승유닛의 전방에 자가발전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더 장착하여 실제로 비행하는 듯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행거유닛의 상단부에 예컨대 구름장식을 부착하면 보다 강한 비행기분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를 지켜보는 이들에게 강한 호기심과 타 보고 싶은 욕망을 유발할 수 있다.
공중궤도는 단순한 루프형태에서부터 상하좌우로 굴곡을 주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자가발전수단은, 섀시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크랭크페달(crank pedal)과, 이 크랭크페달에 연결되는 감속기와, 섀시프레임에 장착되어 감속기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주행수단은, 상하로 이격되어 공중궤도를 양자간에 삽입하는 주행풀리 및 지지풀리와, 자가발전수단과 접속되어 주행풀리를 구동시키는 주행모터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은, 기둥을 고정하기 위한 기초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기초베이스상에 공중궤도를 따라 형성되는 채널(channel)을 구비하여 예컨대 채널에 물을 채워줌으로써 탑승자가 보다 짜릿한 기분을 느끼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자가발전 놀이기구에 의하면, 종래의 롤러코스터 등과 같이 급격한 상승과 하강이 없으면서도 공중궤도에 안전하게 매달린 상태로 탑승자 스스로가 주행하기 때문에 누구나 제한없이 즐길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당한 호기심과 흥미를 느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족이나 친구, 연인 등이 함께 즐길 수 있다.
더욱이, 자가발전으로 구동되는 프로펠러와 더불어 날개와 구름장식이 함께 어우려져 있는 바, 마치 탑승자가 자신의 힘으로 하늘을 날아가는 듯한 만족감과 스릴을 만끽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외부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이용자가 직접 페달을 밟아 필요동력을 발생시키면서 주행하므로 전력소모가 전혀 없고, 이에 따라 이용요금을 크게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부가적으로 운동효과까지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놀이기구의 안전성과 신뢰성 향상 및 흥미유발과 코스트다운 등에 크게 기여하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가발전 놀이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자가발전 놀이기구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도 1의 자가발전 놀이기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가발전 놀이기구의 탑승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가발전 놀이기구의 탑승유닛이 공중궤도에 현수된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가발전 놀이기구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가발전 놀이기구의 주행수단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자가발전 놀이기구는, 기초베이스(10)와, 이 기초베이스(10) 위에 지지되는 공중궤도(20)와, 이 공중궤도(20)에 매달려서 공중궤도(20)를 따라 스스로 주행하는 탑승유닛(30) 및 이 탑승유닛(30)을 공중궤도(20)에 주행가능하게 매달아 지지하는 행거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초베이스(10)는 예컨대 콘크리트나 빔(beam),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의해 견고한 구조물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지상에 적정높이로 구축될 수도 있고, 지중에 매립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초베이스(10)는 공중궤도(20)의 형태에 따라 대응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한쪽에는 탑승유닛(30)에 대한 이용자의 승강을 위해 플랫홈(11)을 갖는다. 이 때, 기초베이스(10)의 플랫홈(11)이 일정한 높이를 갖는 경우, 계단(12)이 함께 구비됨은 물론이다.
기초베이스(10)는 단순한 구조물로만 구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공중궤도(20)를 따라서 채널(13)을 대응되게 갖는다. 이러한 채널(13)에는 놀이기구 이용자의 흥미를 증진시키고, 적당한 스릴을 느낄 수 있는 보조수단, 예를 들어 물을 충전하여 도랑이나 연못 같은 느낌이 들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는 공중궤도(20)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마치 물 위를 날아가는 기분을 느낄 수 있어 보다 짜릿한 흥미를 만끽할 수 있다.
공중궤도(20)는 다수의 기둥(21)을 통해 기초베이스(10) 상에 적당한 높이로 지지된다. 즉, 기초베이스(10)에 다수의 크고 작은 기둥(21)을 적절히 배치하고, 이들 기둥(21)의 둘레에 위치하도록 여러 개의 서포트프레임(22)을 이용하여 기둥(21)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 공중궤도(20)는 단순한 루프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중간에 상하좌우로 적당한 굴곡을 형성하여 탑승유닛(30)이 보다 역동적인 주행을 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흥미를 높일 수도 있다.
이러한 공중궤도(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금속파이프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I빔 형태의 레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탑승유닛(3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섀시프레임(31)과, 이 섀시프레임(31) 상에 장착되는 좌석(32)과, 탑승자를 좌석(32)에 고정시켜주기 위한 안전벨트(33)와, 좌석(32)에 앉은 탑승자가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4) 및 탑승자가 필요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가발전수단을 구비한다.
섀시프레임(31)은 좌석(32)이 탑재되는 바디프레임(31a)과, 이 바디프레임(31a)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경사진 파이프상의 서브프레임(31b) 및 서브프레임(31b)의 선단에 구비되고 손잡이(34)가 설치되는 원통형의 헤드프레임(31c)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바디프레임(31a)과 서브프레임(31b) 사이에는 후술한 크랭크페달(37)이 장착되는 페달하우징(31d)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섀시프레임(31)의 헤드프레임(31c) 전방에는 프로펠러(35)가 구비되고, 섀시프레임(31)의 양측에는 날개(36)가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프로펠러(35)와 날개(36)는 탑승자가 하늘을 날아가는 듯한 기분을 더욱 강하게 느킬 수 있게 함은 물론, 놀이기구를 즐기고 싶은 욕구와 호기심을 유발한다.
프로펠러(35)는 헤드프레임(31c)의 내부에 구동모터(35a)를 구비하여 회전하고, 구동모터(35a)는 서브프레임(31b)의 내부를 통해서 후술한 자가발전수단의 발전기(3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탑승유닛(30)의 주행에 따라 회전한다.
한편, 자가발전수단은 섀시프레임(31)의 페달하우징(31d)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크랭크페달(37)과, 페달하우징(31d) 내부에 설치되어 크랭크페달(37)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38) 및 바디프레임(31a)의 내부에서 감속기(38)와 연결 설치되어 탑승자에 의한 크랭크페달(37)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39)로 이루어진다.
행거유닛(40)은 탑승유닛(30)의 섀시프레임(31)을 공중궤도(20)에 현수하기 위한 행거프레임(41)과, 이 행거프레임(41)의 상단에 구비되어 공중궤도(20)에 주행가능하게 결합되는 주행수단(42)으로 구성된다.
행거프레임(41)은 2단굴절 형태로 구성되어 하단이 바디프레임(31a)의 후단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탑승유닛(30)의 좌석(32)은 그 등받이(32a)가 행거프레임(41)에 안정되게 지지된다.
주행수단(42)은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를 위해서 상하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양자간에 공중궤도(20)를 삽입하는 주행풀리(43) 및 지지풀리(44)와, 주행풀리(43)를 구동시키는 주행모터(45)로 구성되고, 이들 주행 및 지지풀리(43)(44)와 주행모터(45)는 하우징(46)에 내장된다.
주행모터(45)는 행거프레임(41)의 내부를 통해서 자가발전수단의 발전기(3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탑승자에 의한 크랭크페달(37)의 회전으로 발생된 전력으로 구동된다.
한편, 행거프레임(41)의 상단부에는 바람직하기로 구름모양으로 형성된 구름장식(50)이 탑승유닛(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름장식(50)은 전술한 프로펠러(35)나 날개(36)와 어우러져 탑승자의 비행 기분을 더욱 고조시켜 줄 수 있으며, 햇빛을 적절히 가려주는 차양기능도 겸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가발전 놀이기구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베이스(10)의 플랫홈(11)을 통해 탑승유닛(30)의 좌석(32)에 착석한 후, 안전벨트(33)를 착용하여 신체를 좌석(32)에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헤드프레임(31c)에 설치된 손잡이(34)를 단단히 잡고, 양 발로 크랭크페달(37)를 밟아 회전시킨다.
그러면, 크랭크페달(37)의 회전력이 감속기(38)를 통해 발전기(39)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발전기(39)에서 전력이 생성된다. 발전기(39)에서 생성된 전력은 행거유닛(40)의 주행모터(45)와 프로펠러(35)의 구동모터(35a)에 각각 공급된다.
발전기(39)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주행모터(45)에 의해 주행풀리(43)가 공중궤도(20) 상에서 회전하게 됨으로써 탑승유닛(30)이 공중궤도(20)에 매달린 상태로 공중궤도(20)를 따라 주행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자신의 힘으로 마치 하늘을 나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게 되는데, 이 때 탑승유닛(30)의 헤드프레임(31c) 전방에 구비된 프로펠러(35)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바, 예컨대 자전거를 타고 하늘을 날아가는 것 같은 짜릿한 스릴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비행 기분은 탑승유닛(30)의 양측에 구비된 날개(36)와, 행거프레임(41)에 구비된 구름장식(50)에 의해 더욱더 증진되어 강한 흥미를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초프레임(10)의 채널(13)에 물이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탑승자가 물 위의 하늘을 자전거로 날아가는 듯한 색다른 기분과 함께 적당한 스릴을 함께 경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초프레임(10)이나 공중궤도(20)의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탑승유닛(30)의 형태 또한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0: 기초베이스 11: 플랫홈
13: 채널 20: 공중궤도
21: 기둥 30: 탑승유닛
31: 섀시프레임 32: 좌석
33: 안전벨트 34: 손잡이
35: 프로펠러 35a: 구동모터
36: 날개 37: 크랭크페달
38: 감속기 39: 발전기
40: 행거유닛 42: 주행수단
43: 주행풀리 44; 지지풀리
45: 주행모터 50: 구름장식

Claims (8)

  1. 다수의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소정형태의 공중궤도;
    상기 공중궤도에 현수되고, 자가발전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공중궤도를 따라 스스로 주행하는 탑승유닛;
    상기 탑승유닛을 상기 공중궤도에 주행가능하게 매달아 지지하고, 상기 자가발전수단에 의해 발생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주행수단을 구비하는 행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놀이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승유닛은,
    섀시프레임과, 상기 섀시프레임에 장착되는 좌석과, 탑승자를 상기 좌석에 고정시켜 주는 안전벨트 및 상기 섀시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놀이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가발전수단은,
    상기 섀시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크랭크페달과, 상기 크랭크페달에 연결되는 감속기와, 상기 섀시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감속기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놀이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섀시프레임의 양측에 날개가 각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놀이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수단은,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공중궤도를 양자간에 삽입하는 주행풀리 및 지지풀리와, 상기 자가발전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주행풀리를 구동시키는 주행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놀이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승유닛의 전방에 장착되는 프로펠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가 상기 자가발전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놀이기구.
  7. 청구항 1,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유닛의 상단부에 상기 탑승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부착되는 구름장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놀이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을 고정하기 위한 기초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초베이스는 상기 공중궤도를 따라 형성되어 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놀이기구.
KR1020110020013A 2011-03-07 2011-03-07 자가발전 놀이기구 Ceased KR20120101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13A KR20120101906A (ko) 2011-03-07 2011-03-07 자가발전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13A KR20120101906A (ko) 2011-03-07 2011-03-07 자가발전 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906A true KR20120101906A (ko) 2012-09-17

Family

ID=4711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013A Ceased KR20120101906A (ko) 2011-03-07 2011-03-07 자가발전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19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547B1 (ko) * 2018-08-10 2019-11-25 길승환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
WO2023018322A1 (en) * 2021-08-10 2023-02-16 Lgk Grupa, Sia A zipline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 of a zipline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547B1 (ko) * 2018-08-10 2019-11-25 길승환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
WO2023018322A1 (en) * 2021-08-10 2023-02-16 Lgk Grupa, Sia A zipline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 of a zipline system
LV15711A (lv) * 2021-08-10 2023-02-20 Lgk Grupa, Sia Sistēma braucienam pa trosi un metode sistēmas braucienam pa trosi vadība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069B1 (ko) 승용 가능한 놀이기구용 대형 2족 보행 로봇과 그를 이용한 놀이공원 시스템
US4159113A (en) Child recreation structure
US9393496B2 (en) Human flying apparatus
RU2719696C2 (ru) Консольные горки
CA2867514C (en) Amusement and leisure slide
JP3205443U (ja) 乗物遊具
CN204745629U (zh) 悬挂式过山车互动类黑暗乘骑设备
KR20120101906A (ko) 자가발전 놀이기구
KR20170001405A (ko) 팔 다리 복합 운동이 가능한 놀이터 적용 안전 유희 구조물
CN109395404B (zh) 一种自倾式木马
CN207898966U (zh) 一种单立环室内高速过山车
CN205549539U (zh) 眼镜蛇滑梯
US20150133227A1 (en) Convertible backyard carnival
CN110255456B (zh) 一种可爬坡和转弯的代步机
CN210751249U (zh) 一种多功能大游乐设备的攀爬架结构
CN2776499Y (zh) 一种轨道游艺机
CN207667138U (zh) 一种人体过山车
CN207980406U (zh) 一种穿过凹坑的游艺设备
CN212187780U (zh) 观景游乐设施综合平台
CN206896801U (zh) 一种正反冲的激流勇进游乐设备
KR102832108B1 (ko) 복합 전망타워
CN204601600U (zh) 超级玛丽滑道
CN214971707U (zh) 一种新型儿童游乐设备
JPH04361777A (ja) 水上娯楽用乗物
CN2404570Y (zh) 一种滚动与滑动相结合的游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71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208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