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98460A - 전송 회로, 초음파 프로브 및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송 회로, 초음파 프로브 및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460A
KR20120098460A KR1020120018565A KR20120018565A KR20120098460A KR 20120098460 A KR20120098460 A KR 20120098460A KR 1020120018565 A KR1020120018565 A KR 1020120018565A KR 20120018565 A KR20120018565 A KR 20120018565A KR 20120098460 A KR20120098460 A KR 20120098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ircuit
output
transmission circuit
da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 아메미야
브루노 하이더
나레쉬 케사반 라오
크리쉬나쿠마르 선다레산
토마스 할보스로드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20098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46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6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 H03M1/0617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 H03M1/0675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using redundancy
    • H03M1/0678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using redundancy using additional components or elements, e.g. dummy components
    • H03M1/068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using redundancy using additional components or elements, e.g. dummy components the original and additional components or elements being complementary to each other, e.g. CMOS
    • H03M1/0682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using redundancy using additional components or elements, e.g. dummy components the original and additional components or elements being complementary to each other, e.g. CMOS using a differential network structure, i.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groun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03M1/74Simultaneous conversion
    • H03M1/742Simultaneous conversion using current sources as quantisation value generators
    • H03M1/745Simultaneous conversion using current sources as quantisation value generators with weighted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와 함께 사용을 위한 전송 회로가 제공된다. 전송 회로는 초음파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해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구동 전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고전압 전류 DAC와, 사전 결정된 타이밍으로 고전압 전류 DAC에 고전압 전류 DAC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파형 발생기를 포함한다. 제어 신호는 원하는 크기를 갖는 구동 전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송 회로, 초음파 프로브 및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TRANSMISSION CIRCUIT, 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초음파 트랜스듀서, 전송 회로를 구비한 초음파 프로브 및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는 장치 메인 본체에 접속된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피험자 내에 초음파를 전송하고, 초음파 프로브를 통해 그 에코를 수신하여 피험자 내에 초음파 이미지를 생성한다. 초음파 프로브는 압전 세라믹과 같은 압전 재료로 구성된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구비한다.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초음파의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전송 회로에 의해 구동된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2004-358133호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2008-68014호 참조). 전송 회로는 일반적으로 장치 주 본체 내에 제공된다.
현재, 초음파 프로브 내의 전송 회로의 제공의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전송 회로가 초음파 프로브 내에 제공될 때, 이는 더 소형이 될 필요가 있다. 초음파 프로브는 조작자에 의해 파지되기 때문에, 초음파 프로브 내에 제공된 전송 회로는 또한 장치 주 본체 내의 그 제공의 경우보다 전력 소비에 기인하여 열의 발생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회로의 크기 및 열의 발생에 기인하여 통상의 전송 회로가 초음파 프로브 내에 제공되는 것이 곤란하다. 예를 들어, 상보형 트랜지스터 및 그룹 클램프 회로를 사용하는 JP 200358133호에 설명된 전송 회로는, 전력 소비가 코딩된 펄스를 생성할 때 크기 때문에 열의 발생에 문제점을 제시한다. 전송 회로로서 클래스-A 증폭기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클래스-A 증폭기는 피드백 회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회로의 크기가 문제가 된다. 또한, 고속 피드백 회로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크고 열의 발생이 문제가 된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일 양태의 발명은 초음파의 전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구동 전류를 출력하는 고전압 전류 디지털 DAC와, 고전압 전류 DAC로부터 원하는 크기를 갖는 구동 전류를 출력하기 위해 사전 결정된 타이밍으로 고전압 전류 DAC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파형 발생기를 포함하는 전송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초음파의 전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구동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미러 회로와, 원하는 크기를 갖는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를 전류 미러 회로에 출력하는 전류 DAC와, 사전 결정된 타이밍으로 전류 DAC로부터 원하는 크기를 갖는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를 전류 DAC에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파형 발생기를 포함하고, 전송 회로는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갖는 초음파 프로브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내용을 참조하는 하나 또는 다른 양태의 발명에 따른 전송 회로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다른 양태의 발명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를 포함하는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양태의 발명에 따르면, 통상의 전송 회로보다 더 회로 소형화를 성취하고 열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전압 전류 DAC 및 파형 발생기를 구비하는 전송 회로가 초음파 프로브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는 다른 양태의 발명에 따르면, 통상의 전송 회로보다 더 회로 소형화를 성취하고 열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류 미러 회로, 전류 DAC 및 파형 발생기를 구비하는 전송 회로가 초음파 프로브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의 실시예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의 전송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송 회로에 이용된 파형 발생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송 회로에 이용된 고전압 전류 DAC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는 고전압 전류 DAC를 구성하는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파형 발생기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와 고전압 전류 DAC로부터 출력된 구동 전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전송 회로에 이용된 고전압 전류 DAC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에 이용된 전송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전송 회로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회로 다이어그램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이용된 전류 미러 회로의 회로 다이어그램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전송 회로에 이용되는 전류 DAC의 출력 전압 및 그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전압 ±HV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에 이용된 전송 회로를 도시하고, 전류 미러 회로 및 이미터 팔로워(emitter follower) 회로의 회로 다이어그램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에 이용된 전송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스케일 제어 회로를 갖는 전송 회로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먼저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장치 메인 본체(101) 및 장치 메인 본체(101)에 접속된 초음파 프로브(102)를 갖는다. 초음파 프로브(102)는 케이블(103)을 경유하여 장치 메인 본체(101)에 접속된다.
초음파 프로브(102)는 초음파의 전송/수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초음파 트랜스듀서(104)(도 2 및 도 4 참조)를 구비한다[그러나, 단지 하나의 초음파 트랜스듀서(104)만이 도 2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음]. 초음파 프로브(102)는 초음파 트랜스듀서(104)를 구동하는 전송 회로(1)를 또한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초음파 프로브(102)는 그 내부의 초음파 트랜스듀서(104)에 의해 수신된 초음파 에코 신호를 입력하고 지연 추가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수신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전송 회로(1)가 설명될 것이다. 전송 회로(1)는 케이블(103)을 경유하여 장치 메인 본체(101)의 제어기(105)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 트랜스듀서(104)의 구동 전류를 출력한다. 제어기(105)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초음파 전송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회로(1)는 파형 발생기(2) 및 고전압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3)를 구비한다.
고전압 전류 DAC(3)는 초음파 트랜스듀서(104)에 결합된 출력 라인(O)에 접속되고 초음파 트랜스듀서(104)의 구동 전류(I)를 출력 라인(O)에 출력한다. 고전압 전류 DAC(3)의 수는 전송에 동시에 사용된 최대 수의 초음파 트랜스듀서(104)와 동일한 수(복수)이다. 그러나, 하나의 초음파 트랜스듀서(104)에 대한 단지 하나의 고전압 전류 DAC(3)만이 여기에 도시되어 있다. 고전압 전류 DAC(3)는 고전압 전류 DAC의 실시예의 일 예이다.
파형 발생기(2)는 사전 결정된 타이밍으로 고전압 전류 DAC(3)에 원하는 구동 전류(I)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파형 발생기(2)는 파형 발생기의 실시예의 일 예이다. 파형 발생기(2)의 수는 고전압 전류 DAC(3)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고전압 전류 DAC(3)에 대한 단지 하나의 파형 발생기(2)가 여기에 도시되어 있다.
부수적으로, 파형 발생기(2)의 RAM(22)(이하에 설명될 도 3 참조)이 복수의 고전압 전류 DAC(3)에 공통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파형 발생기(2)의 판독 제어기(21)(이하에 설명될 도 3 참조)의 수는 고전압 전류 DAC(3)의 수와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발생기(2)는 판독 제어기(21) 및 임의 접근 메모리(RAM)(22)를 갖는다. 구동 전류(I)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는 RAM(22)에 저장된다. 구동 전류(I)의 크기는 제어기(105)로부터 출력된다. RAM(22)은 메모리의 일 예이다.
판독 제어기(21)는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타이밍을 갖고 RAM(22)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따라서, 원하는 크기를 갖는 구동 전류(I)에 대응하는 디지털 제어 신호가 RAM(22)으로부터 출력되고 고전압 전류 DAC(3)에 입력된다.
고전압 전류 DAC(3)는 파형 발생기(2)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고 이를 구동 전류(I)로서 출력 라인(O)에 출력한다. 고전압 전류 DAC(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31)를 갖는다. 본 예에서, 전류 미러 회로(31)는 포지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31A) 및 네거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31B)를 포함한다.
포지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31A)는 포지티브 전압(+HV)에 접속되고 포지티브 구동 전류(I)를 출력 라인(O)에 출력한다. 반면, 네거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31B)는 네거티브 전압(-HV)에 접속되고 네거티브 구동 전류(I)를 출력 라인(O)에 출력한다. 부수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전압(±HV)의 크기는 RAM(22)의 출력 및 초음파 프로브(102)의 임피던스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다.
포지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31A)는 한 쌍의 트랜지스터(M1, M2)를 포함하고, 반면 네거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31B)는 한 쌍의 트랜지스터(M3, M4)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M1, M3)는 제 1 트랜지스터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일 예이다. 트랜지스터(M2, M4)는 제 2 트랜지스터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일 예이다.
트랜지스터(M1, M2)는 p-채널형 MOS-FET이고, 트랜지스터(M3, M4)는 n-채널형 MOS-FET이다. 이들 트랜지스터(M1 내지 M4)는 파괴 전압이 높은 (예를 들어, 10 내지 100 V) MOS-FET이다. 부수적으로, 용어 "고전압"은 각각의 트랜지스터(M1 내지 M4)가 파괴 전압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부수적으로, 포지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31A)에서, 트랜지스터(M1)측을 통해 흐르는 전류와 트랜지스터(M2)[이하에 설명될 트랜지스터(M2α 내지 M2ε)에 대응함]측을 통해 흐르는 전류 사이의 비(ra)는 사전 결정된 비로 설정된다. 반면에, 네거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31B)에서, 트랜지스터(M3)측을 통해 흐르는 전류와 트랜지스터(M4)[이하에 설명될 트랜지스터(M4α 내지 M4ε)에 대응함]측을 통해 흐르는 전류 사이의 비(rb)는 사전 결정된 비로 설정된다. 비(ra) 및 비(rb)는 동일하다.
트랜지스터(M1, M2) 중에서, 복수의 트랜지스터(M2)가 병렬로 제공된다. 본 예에서, 트랜지스터(M2α, M2β, M2γ, M2δ, M2ε)가 트랜지스터(M2)로서 제공된다. 트랜지스터(M3, M4) 중에서, 복수의 트랜지스터(M4)가 병렬로 제공된다. 본 예에서, 트랜지스터(M4α, M4β, M4γ, M4δ, M4ε)가 트랜지스터(M4)로서 제공된다.
트랜지스터(M1) 및 트랜지스터(M2α 내지 M2ε)에서, 그 소스측은 포지티브 전압(+HV)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와 트랜지스터(M2α 내지 M2ε)의 게이트는 서로 접속된다.
다른 한편으로, 트랜지스터(M3) 및 트랜지스터(M4α 내지 M4ε)에서, 그 소스측은 네거티브 전압(-HV)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와 각각의 트랜지스터(M4α 내지 M4ε)의 게이트는 서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측은 제 1 전류 소스(CS1)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M3)의 드레인측은 제 2 전류 소스(CS2)에 접속된다. 다른 한편으로, 트랜지스터(M2α 내지 M2ε) 및 트랜지스터(M4α 내지 M4ε)의 드레인측은 각각 출력 라인(O)에 접속된다.
스위치(SW2α, SW2β, SW2γ, SW2δ, SW2ε)는 트랜지스터(M2α 내지 M2ε)의 드레인측과 출력 라인(O) 사이에 각각 제공된다. 스위치(SW4α, SW4β, SW4γ, SW4δ, SW4ε)는 트랜지스터(M4α 내지 M4ε)의 드레인측과 출력 라인(O) 사이에 각각 제공된다. 스위치(SW2α 내지 SW2ε) 및 스위치(SW4α 내지 SW4ε)는 파형 발생기(2)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비트의 제어 신호를 갖고 각각 입력되고, 이에 의해 스위치의 온 및 오프가 제어된다.
각각의 스위치(SW2α 내지 SW2ε)가 오프일 때, 트랜지스터(M2α 내지 M2ε)의 드레인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각각의 스위치(SW2α 내지 SW2ε)가 온일 때, 트랜지스터(M2α 내지 M2ε)의 드레인 전류가 흐른다. 스위치(SW2α 내지 SW2ε)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전체를 턴온하는 것은 구동 전류(I)가 출력 라인(O)을 통해 흐를 수 있게 한다. 또한, 각각의 스위치(SW4α 내지 SW4ε)가 오프일 때, 트랜지스터(M4α 내지 M4ε)의 드레인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각각의 스위치(SW4α 내지 SW4ε)가 온일 때, 트랜지스터(M4α 내지 M4ε)의 드레인 전류가 흐른다. 스위치(SW4α 내지 SW4ε)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전체를 턴온하는 것은 구동 전류(I)가 출력 라인(O)을 통해 흐를 수 있게 한다.
출력 라인(O)을 통해 흐르는 구동 전류(I)의 크기는 스위치(SW2α 내지 SW2ε 및 SW4α 내지 SW4ε)의 임의의 하나가 턴온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트랜지스터(M2α 내지 M2ε)의 드레인 전류는 크기가 상이하다. 각각의 트랜지스터(M2α 내지 M2ε)는 원하는 구동 전류가 흐르는 이러한 영역을 차지한다. 트랜지스터(M2ε)(도 5에 간단화되고 원으로 지시됨, 다른 트랜지스터는 이와 유사함)의 드레인 전류의 크기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인 것으로 가정되면, 예를 들어 각각 트랜지스터(M2δ)의 드레인 전류의 크기는 2i가 되고, 트랜지스터(M2γ)의 드레인 전류의 크기는 4i가 되고, 트랜지스터(M2β)의 드레인 전류의 크기는 8i이고, 트랜지스터(M2α)의 드레인 전류의 크기는 16i가 된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M4α 내지 M4ε)의 드레인 전류는 또한 크기가 상이하다. 각각의 트랜지스터(M4α 내지 M4ε)의 영역은 원하는 구동 전류가 흐르는 이러한 영역을 차지한다. 트랜지스터(M4ε)의 드레인 전류의 크기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인 것으로 가정되면, 예를 들어 각각 트랜지스터(M4δ)의 드레인 전류의 크기는 -2i가 되고, 트랜지스터(M4γ)의 드레인 전류의 크기는 -4i가 되고, 트랜지스터(M4β)의 드레인 전류의 크기는 -8i이고, 트랜지스터(M4α)의 드레인 전류의 크기는 -16i가 된다.
파형 발생기(2)로부터 출력된 구동 전류(I)(드레인 전류)와 제어 신호 사이의 관계의 일 예가 도 6에 기초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스위치(SW2α 내지 SW2ε)에 입력된 5 비트의 제어 신호와 이들의 대응 구동 전류(I)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6에서, "0"이 입력된 스위치(SW2)는 턴오프되고, "1"이 입력된 스위치(SW2)가 턴온된다. 예를 들어, "0"이 스위치(SW2α)에 입력되고, "0"이 스위치(SW2β)에 입력되고, "0"이 스위치(SW2γ)에 입력되고, "0"이 스위치(SW2δ)에 입력되고, "1"이 스위치(SW2ε)에 입력될 때, 구동 전류는 i가 된다. "0"이 스위치(SW2α)에 입력되고, "0"이 스위치(SW2β)에 입력되고, "0"이 스위치(SW2γ)에 입력되고, "1"이 스위치(SW2δ)에 입력되고, "0"이 스위치(SW2ε)에 입력될 때, 구동 전류는 2i가 된다. "0"이 스위치(SW2α)에 입력되고, "0"이 스위치(SW2β)에 입력되고, "0"이 스위치(SW2γ)에 입력되고, "1"이 스위치(SW2δ)에 입력되고, "1"이 스위치(SW2ε)에 입력될 때, 구동 전류는 3i가 된다. 따라서, 스위치(SW2α 내지 SW2ε)의 턴온 및 턴오프는 0 내지 31i의 전류가 구동 전류(I)로서 얻어지도록 제어된다.
마찬가지로, 5-비트 제어 신호가 스위치(SW4α 내지 SW4ε)에도 입력되어 이들의 온 및 오프가 제어되게 된다. 따라서, 0 내지 - 31i의 전류가 구동 전류(I)로서 얻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 31i 내지 31i의 전류가 원하는 구동 전류(I)로서 얻어진다.
부수적으로, 도 4에서, 고전압 전류 DAC(3)는 간단화된다.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31)는 예를 들어 캐스케이드 전류 미러 회로일 수 있다. 스위치(SW2α 내지 SW2ε) 및 스위치(SW4α 내지 SW4ε)는 MOS-FET이다. 더욱이, 전압 파괴에 대해 디바이스를 보호하기 위한 부가의 회로(도시 생략)가 고전압 전류 DAC(3)에 필요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31)를 갖는 고전압 전류 DAC(3) 및 파형 발생기(2)를 포함하는 전류 회로(1)는 통상의 전송 회로보다 소형화를 성취하고 열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송 회로(1)는 초음파 프로브(102)에 제공될 수 있다.
다음, 제 1 실시예의 변형예가 도 7에 기초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SW2α 내지 SW2ε)는 각각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와 트랜지스터(M2α 내지 M2ε)의 게이트 사이에 제공된다. 스위치(SW2 내지 SW2ε)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전체는 상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턴온되어, 구동 전류(I)가 출력 라인(O)을 통해 흐르게 된다. 구동 전류(I)의 크기는 스위치(SW2α 내지 SW2ε) 중 임의의 하나가 턴온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스위치(SW4α 내지 SW4ε)는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와 트랜지스터(M4α 내지 M4ε)의 게이트 사이에 제공된다. 스위치(SW4α 내지 SW4ε)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전체는 상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턴온되어, 구동 전류(I)가 출력 라인(O)을 통해 흐르게 된다. 구동 전류(I)의 크기는 스위치(SW4α 내지 SW4ε) 중 임의의 하나가 턴온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가 다음에 도 8 및 도 9에 기초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제 1 실시예에서의 것들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송 회로(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발생기(2), 전류 DAC(51) 및 전류 미러 회로(52)를 구비한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의 전송 회로(50)는 또한 초음파 프로브(102)(도 1 참조)에 제공된다. 전류 DAC(51) 및 전류 미러 회로(52)의 수는 전송에 동시에 사용된 초음파 트랜스듀서(104)의 최대 수와 각각 동일한 수(복수)이다. 그러나 하나의 초음파 트랜스듀서(104)에 대한 단지 하나의 고전압 전류 DAC(3)가 여기에 도시된다.
여기서, 전류 미러 회로(52)는 이하에 설명될 포지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52A) 및 네거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52B)를 포함한다. 이들 포지티브측 및 네거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52A, 52B)의 수는 전송에 동시에 사용된 초음파 트랜스듀서(104)의 최대 수와 동일한 수가 된다.
전류 미러 회로(52)는 출력 라인(O)에 접속되고 구동 전류(I)를 출력 라인(O)에 출력한다. 전류 DAC(51)는 원하는 구동 전류(I)에 대응하는 전류(id)를 전류 미러 회로(52)에 출력한다. 또한, 파형 발생기(2)는 본 실시예에서 전류 DAC(51)에 전류(id)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전류 DAC(51)는 전류 DAC의 실시예의 일 예이다. 전류 미러 회로(52)는 전류 미러 회로의 실시예의 일 예이다.
파형 발생기(2)의 RAM(22)(도 2 참조)은 원하는 크기를 갖는 구동 전류(I)에 대응하는 전류(id)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전류 DAC(51)는 파형 발생기(2)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고, 전류(id)로서 이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류 DAC(51)는 한 쌍의 트랜지스터를 갖는 전류 미러 회로를 포함하고, 그에 입력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전류(id)를 출력한다. 전류 DAC(51)는 저전압 전류 DAC이다. 여기서, 용어 "저전압"은 전류 DAC(51)를 구성하는 전류 미러 회로의 트랜지스터(도시 생략)가 파괴 전압이 낮은(예를 들어, 3 내지 5 V) 것을 의미한다.
본 예에서, 전류 미러 회로(52)는 포지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52A) 및 네거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52B)를 포함한다. 포지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52A)는 포지티브 전압(+HV)에 접속되고 포지티브 구동 전류(I)를 출력 라인(O)에 출력한다. 반면, 네거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52B)는 네거티브 전압(-HV)에 접속되고 네거티브 구동 전류(I)를 출력 라인(O)에 출력한다. 포지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52A)는 포지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의 실시예의 일 예이다. 네거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52B)는 네거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의 실시예의 일 예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52A)는 한 쌍의 트랜지스터(M5, M6)를 포함하고, 네거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52B)는 한 쌍의 트랜지스터(M7, M8)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M5, M6)는 p-채널형 MOS-FET이고, 트랜지스터(M7, M8)는 n-채널형 MOS-FET이다. 이들 트랜지스터(M5 내지 M8)는 파괴 전압이 높은(예를 들어, 10 내지 100 V) MOS-FET이다. 부수적으로, 용어 "고전압"은 트랜지스터(M5 내지 M8)가 파괴 전압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트랜지스터(M5, M6)에서, 그 소스측은 포지티브 전압(+HV)에 접속되고, 이들의 게이트는 서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5)의 드레인측은 전류 DAC(51)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M6)의 드레인측은 출력 라인(O)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7, M8)에서, 그 소스측은 네거티브 전압(-HV)에 접속되고, 이들의 게이트는 서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7)의 드레인측은 전류 DAC(51)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M8)의 드레인측은 출력 라인(O)에 접속된다.
각각의 포지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52A) 및 네거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52B)는 전류 DAC(51)로부터 출력 라인(O)으로 입력된 전류(id)의 크기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I)를 출력한다. 본 예에서도, 원하는 크기를 갖는 전류는 구동 전류(I)로서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류 미러 회로(52), 전류 DAC(51) 및 파형 발생기(2)를 구비하는 전송 회로(50)는 또한 통상의 전송 회로보다 더 회로 소형화를 성취하고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열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전송 회로(50)는 초음파 프로브(102)에 제공될 수 있다.
다음, 제 2 실시예의 변형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변형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DAC(51)로부터 출력된 전류(id)의 스케일을 조정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스케일 제어 회로(53)가 전류 DAC(51)에 접속된다. 본 변형예에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전압(±HV)의 크기는 스케일 제어 회로(53)에 의한 스케일의 제어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다.
스케일의 크기는 전류 DAC(51)의 도 11에 도시된 출력 전압(vd)의 절대값이 출력 전압(vd)의 파형에서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전압(±HV)의 각각보다 커지는 부분을 갖는 이러한 방식으로 스케일 제어 회로(53)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고조파 성분이 출력 전압(vd)의 파형에 포함되기 때문에, 고조파 모드에서 초음파의 전송이 가능화된다.
스케일 제어 회로(53)는 포지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52A)에 대한 전류 DAC(51)의 출력 전류(id)의 스케일 및 네거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52B)에 대한 전류 DAC(51)의 출력 전류(id)의 스케일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지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52A)의 트랜지스터측(M5) 상의 전류와 트랜지스터(M6)측 상의 전류 사이의 비(ra)와 네거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52B)의 트랜지스터(M7)측 상의 전류와 트랜지스터(M8)측 상의 전류 사이의 비(rb) 사이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스케일 제어 회로(53)는 포지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52)에 대한 출력 전류(id)의 스케일 및 네거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52B)에 대한 출력 전류(id)의 스케일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이에 의해 비(ra)와 비(rb) 사이의 에러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3 실시예)
다음, 제 3 실시예가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각각의 실시예에서의 것들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송 회로(50)에서, 전류 미러 회로(5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티브측 저전압 전류 미러 회로(52C) 및 네거티브측 저전압 전류 미러 회로(52D)를 갖는다. 전송 회로(50)는 제 1 전압 보호 회로(54), 제 2 전압 보호(공통-게이트) 회로(55), 제 3 전압 보호 회로(56) 및 제 4 전압 보호 회로(57)를 갖는다. 포지티브측 저전압 전류 미러 회로(52C)는 포지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의 실시예의 일 예이다. 네거티브측 저전압 전류 미러 회로(52D)는 네거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의 실시예의 일 예이다. 각각의 전압 보호 회로(54 내지 57)는 전압 보호 회로의 실시예의 일 예이다.
포지티브측 저전압 전류 미러 회로(52C)는 한 쌍의 트랜지스터(M9, M10)를 포함하고, 네거티브측 저전압 전류 미러 회로(52D)는 한 쌍의 트랜지스터(M11, M12)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M9, M10)는 p-채널형 MOS-FET이고, 트랜지스터(M11, M12)는 n-채널형 MOS-FET이다. 이들 트랜지스터(M9 내지 M12)는 파괴 전압이 낮은(예를 들어, 3 내지 5V) MOS-FET이다. 부수적으로, 용어 "저전압"은 트랜지스터(M9 내지 M12)는 파괴 전압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트랜지스터(M13)로 구성된 제 1 전압 보호 회로(54)는 트랜지스터(M9)의 드레인측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13)는 n-채널형 MOS-FET이고, 그 드레인측은 트랜지스터(M9)의 드레인측에 접속되고 소스측은 전류 DAC(51)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13)의 게이트는 포지티브 바이어스 전압(L Vias +)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14)로 구성된 제 2 전압 보호 회로(55)는 트랜지스터(M10)의 드레인측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14)는 p-채널형 MOS-FET이고, 그 소스측은 트랜지스터(M10)의 드레인측에 접속되고 드레인측은 출력 라인(O)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14)의 게이트는 포지티브 바이어스 전압(H Vias +)에 접속된다. 부수적으로, H Vias + > L Vias +이다.
트랜지스터(M15)로 구성된 제 3 전압 보호 회로(56)는 트랜지스터(M11)의 드레인측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15)는 p-채널형 MOS-FET이고, 그 드레인측은 트랜지스터(M11)의 드레인측에 접속되고 소스측은 DAC(51)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15)의 게이트는 네거티브 바이어스 전압(H Vias -)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16)로 구성된 제 4 전압 보호 회로(57)는 트랜지스터(M12)의 드레인측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16)는 n-채널형 MOS-FET이고, 그 소스측은 트랜지스터(M12)의 드레인측에 접속되고 드레인측은 출력 라인(O)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16)의 게이트는 네거티브 바이어스 전압(L Vias -)에 접속된다. 부수적으로, L Vias - > H Vias +이다.
트랜지스터(M13 내지 M16)는 파괴 전압이 높은(예를 들어, 10 내지 100 V) MOS-FET이다. 트랜지스터(M13 내지 M16)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내지 제 4 전압 보호 회로(54 내지 57)는 전압에 기인하는 파괴로부터 트랜지스터(M9 내지 M12)를 보호한다. 각각의 제 1 내지 제 4 전압 보호 회로(54 내지 57)가 본 발명의 보호 회로의 실시예의 일 예이다.
부수적으로, 쌍극 트랜지스터가 MOS-FET 대신에 트랜지스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송 회로(50)에서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일 제어 회로(53)는 전류 DAC(51)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전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전송 회로 2: 파형 발생기
3: 고압 전류 DAC 21: 판독 제어기
22: RAM 31: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
50: 전송 회로 51: 전류 DAC
52: 전류 미러 회로 53: 스케일 제어 회로
54 내지 57: 전압 보호 회로 100: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
101: 장치 메인 본체 102: 초음파 프로브
103: 케이블 104: 초음파 트랜스듀서
105: 제어기 I: 구동 전류
O: 출력 라인 M1, M2, M3, M4: 트랜지스터
M2α 내지 M2ε: 트랜지스터 M4α 내지 M4ε: 트랜지스터
SW2α 내지 SW2ε: 스위치 SW4α 내지 SW4ε: 스위치

Claims (19)

  1.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송 회로에 있어서,
    초음파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구동 전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고전압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와,
    상기 고전압 전류 DAC로부터 원하는 크기를 갖는 상기 구동 전류를 출력하기 위해 사전 결정된 타이밍으로 상기 고전압 전류 DAC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파형 발생기를 포함하는
    전송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전류 DAC는 상기 파형 발생기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구동 전류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전류 DAC는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를 포함하고, 전류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 라인으로 흐르는
    전송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 라인 각각 사이에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턴온 및 턴오프되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로부터 상기 출력 라인으로 흐르는 상기 전류를 제어하는
    전송 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및 제 2 트랜지스터는 서로 접속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회로는 제 1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제 2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턴온 및 턴오프되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로부터 상기 출력 라인으로 흐르는 상기 전류를 제어하는
    전송 회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는
    포지티브 전압에 접속되고 포지티브 구동 전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포지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와,
    네거티브 전압에 접속된 네거티브측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를 포함하는
    전송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고전압 전류 DAC 및 복수의 파형 발생기를 포함하는
    전송 회로.
  8.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송 회로에 있어서,
    초음파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구동 전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류 미러 회로와,
    원하는 크기를 갖는 상기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전류 미러 회로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와,
    사전 결정된 타이밍으로 상기 전류 DAC에 상기 전류 DAC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파형 발생기 -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원하는 크기를 갖는 상기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전송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미러 회로는 한 쌍의 트랜지스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트랜지스터의 제 1 트랜지스터는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접속된 출력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한 쌍의 트랜지스터의 제 2 트랜지스터는 전류 DAC에 접속되는
    전송 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미러 회로는 고전압 전류 미러 회로를 포함하는
    전송 회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미러 회로는 저전압 전류 미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회로는 상기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전압에 의해 발생된 파괴로부터 상기 저전압 전류 미러 회로의 트랜지스터를 보호하도록 구성된 전류 보호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전송 회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DAC는 저전압 전류 DAC를 포함하는
    전송 회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DAC의 출력 전류의 스케일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스케일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전송 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미러 회로는
    포지티브 전압에 접속되고 포지티브 구동 전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포지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와,
    네거티브 전압에 접속되고 네거티브 구동 전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네거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일 제어 회로는 상기 포지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에 대한 상기 전류 DAC의 출력 전류의 스케일 및 상기 네거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에 대한 상기 전류 DAC의 출력 전류의 스케일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회로.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미러 회로는
    포지티브 전압에 접속되고 포지티브 구동 전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포지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와,
    네거티브 전압에 접속되고 네거티브 구동 전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네거티브측 전류 미러 회로를 포함하는
    전송 회로.
  16. 제 8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류 미러 회로, 복수의 전류 DAC 및 복수의 파형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전송 회로.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발생기는
    복수의 구동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와,
    초음파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타이밍으로 상기 제어 신호로서 상기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판독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송 회로.
  18.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전송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회로는
    초음파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상기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구동 전류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류 미러 회로와,
    원하는 크기를 갖는 상기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전류 미러 회로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와,
    사전 결정된 타이밍으로 상기 전류 DAC에 상기 전류 DAC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파형 발생기 -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원하는 크기를 갖는 상기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19. 제 18 항에 따른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포함하는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
KR1020120018565A 2011-02-25 2012-02-23 전송 회로, 초음파 프로브 및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 Ceased KR201200984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35,675 US8451155B2 (en) 2011-02-25 2011-02-25 Transmission circuit, 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image display apparatus
US13/035,675 2011-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460A true KR20120098460A (ko) 2012-09-05

Family

ID=4671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565A Ceased KR20120098460A (ko) 2011-02-25 2012-02-23 전송 회로, 초음파 프로브 및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51155B2 (ko)
JP (1) JP5878035B2 (ko)
KR (1) KR20120098460A (ko)
CN (1) CN1026815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1155B2 (en) * 2011-02-25 2013-05-28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mission circuit, 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image display apparatus
US8836560B2 (en) * 2012-12-05 2014-09-16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Digital to analog converters with adjustable output resolution
US9439625B2 (en) * 2013-02-28 2016-09-13 General Electric Company Delta delay approach for ultrasound beamforming on an ASIC
KR101478920B1 (ko) * 2013-08-22 2015-01-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탐침을 구비한 다기능 측정 및 파형발생 장치
DE102013219141A1 (de) * 2013-09-24 2015-03-26 Robert Bosch Gmbh Interlock-Schaltkreis zur Absicherung eines elektrischen Bordnetzes
GB2542523B (en) * 2014-05-30 2020-12-30 Flir Systems Transmission signal shaping systems and methods
US10458956B2 (en) * 2015-01-14 2019-10-29 Hitachi, Ltd. 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diagnosis device provided with same
JPWO2017056355A1 (ja) * 2015-09-29 2018-08-02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超音波撮像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超音波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
CA3030011A1 (en) 2016-07-19 2018-01-25 Shifamed Holdings, Llc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JP7221210B2 (ja) 2017-03-30 2023-02-13 ヌベラ・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医療用ツール位置決めデバイス、システム、ならびに使用法および製造法
US20180374413A1 (en) * 2017-06-21 2018-1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driver
WO2020041716A1 (en) 2018-08-23 2020-02-27 Shifamed Holdings, Llc Medical tool position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EP3880285B1 (en) 2018-11-13 2024-02-21 NuVera Medical, Inc. Medical tool positioning devices
JP7467189B2 (ja) * 2020-03-24 2024-04-15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送信回路及び超音波診断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1830A (en) * 1996-02-12 1999-01-19 Advanced Micro Devices, In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and dynamic current mirror structure to simplify on-chip wave shaping
KR20050007658A (ko) * 2003-07-11 2005-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전력/고집적 소스 드라이버 및 그를 구비한 전류형 능동구동 유기 el장치
US20060264747A1 (en) * 2003-08-25 2006-11-23 Steven Freeman Transmit apodization control for microbeamformers
US7443327B2 (en) * 2006-05-30 2008-10-28 Rohm Co., Ltd. Current-output type digital-to-analog converter
US20080264171A1 (en) * 2007-04-26 2008-10-30 General Electric Company Reconfigurable array with multi-level transmitters
KR20090087988A (ko) * 2008-02-14 2009-08-19 이타칩스 주식회사 저전압 cmos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회로
WO2010101104A1 (ja) * 2009-03-04 2010-09-10 株式会社 日立メディコ 超音波送受信回路、超音波診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2688B1 (en) * 2000-12-18 2002-10-08 Marvell International, Ltd. Direct drive programmable high speed power digital-to-analog converter
JP2003290228A (ja) 2002-03-29 2003-10-14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2次元アレイ超音波探触子の駆動方法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
JP2004358133A (ja) 2003-06-09 2004-12-24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超音波振動子駆動回路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
US20060058655A1 (en) * 2004-08-24 2006-03-16 Sonosite, Inc. Ultrasonic transducer having a thin wire interface
JP2007060194A (ja) 2005-08-24 2007-03-08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Adコンバータ、ad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adコンバータの接続方法
JP4249167B2 (ja) 2005-08-29 2009-04-02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キャリア周波数除去機能付きad変換回路
JP4886443B2 (ja) 2006-09-14 2012-02-29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超音波振動子駆動回路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
JP4886447B2 (ja) 2006-09-15 2012-02-29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超音波振動子駆動回路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
JP4946572B2 (ja) * 2007-03-30 2012-06-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集積回路装置
CN101632984B (zh) 2008-07-24 2014-09-17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电压产生电路及超声波诊断装置
JP2010042146A (ja) 2008-08-13 2010-02-25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超音波撮像装置
WO2010101105A1 (ja) * 2009-03-04 2010-09-10 株式会社 日立メディコ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探触子、超音波診断方法
JP2011004998A (ja) 2009-06-26 2011-01-13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超音波振動子駆動回路及び超音波診断装置
US8451155B2 (en) * 2011-02-25 2013-05-28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mission circuit, 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image displ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1830A (en) * 1996-02-12 1999-01-19 Advanced Micro Devices, In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and dynamic current mirror structure to simplify on-chip wave shaping
KR20050007658A (ko) * 2003-07-11 2005-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전력/고집적 소스 드라이버 및 그를 구비한 전류형 능동구동 유기 el장치
US20060264747A1 (en) * 2003-08-25 2006-11-23 Steven Freeman Transmit apodization control for microbeamformers
US7443327B2 (en) * 2006-05-30 2008-10-28 Rohm Co., Ltd. Current-output type digital-to-analog converter
US20080264171A1 (en) * 2007-04-26 2008-10-30 General Electric Company Reconfigurable array with multi-level transmitters
KR20090087988A (ko) * 2008-02-14 2009-08-19 이타칩스 주식회사 저전압 cmos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회로
WO2010101104A1 (ja) * 2009-03-04 2010-09-10 株式会社 日立メディコ 超音波送受信回路、超音波診断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RE40971 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81590A (zh) 2012-09-19
JP5878035B2 (ja) 2016-03-08
CN102681590B (zh) 2016-03-16
JP2012176235A (ja) 2012-09-13
US8451155B2 (en) 2013-05-28
US20120218135A1 (en) 2012-08-30
US20130099950A9 (en)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8460A (ko) 전송 회로, 초음파 프로브 및 초음파 이미지 표시 장치
US7977820B2 (en) Ultrasound transmit pulse generator
JP5337523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1476119B1 (ko) 다입력 연산 증폭회로, 그것을 사용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장치의 구동회로
JP2012176235A5 (ko)
US20110175942A1 (en) Gamma Reference Voltage Output Circuit of Source Driver
US20100331703A1 (en) Ultrasound transducer drive circuit and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JP7556780B2 (ja) 信号レベル変換回路、駆動回路、表示ドライバ及び表示装置
WO2011058956A1 (ja) 超音波診断装置
TWI543524B (zh) 伽瑪運算放大器電路、源極驅動器與消除電壓偏移之方法
US8648627B1 (en) Programmable ultrasound transmit beamforme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JP2006078731A (ja) 階調電圧生成回路及び階調電圧生成方法
KR20190074418A (ko) 데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484440B2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探触子
KR20130117034A (ko) 차동위상 구동기
US9172390B2 (en) Driving voltage generator and digital to analog converter
US8198922B1 (en) Programmable ultrasound transmit beamforme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TWI437528B (zh) 源極驅動器
JP2001245881A (ja) 超音波診断装置用送信回路
JP2011019757A (ja) 超音波診断装置
JP4680555B2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その半導体集積回路
TWI469515B (zh) 驅動電路及輸出緩衝器
US8184030B2 (en) Source driver not including any P-type digital-to-analog converter
JP2010063047A (ja) D級増幅器
JP2011061262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