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101261A - 유리의 측면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의 측면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261A
KR20080101261A KR1020070047784A KR20070047784A KR20080101261A KR 20080101261 A KR20080101261 A KR 20080101261A KR 1020070047784 A KR1020070047784 A KR 1020070047784A KR 20070047784 A KR20070047784 A KR 20070047784A KR 20080101261 A KR20080101261 A KR 20080101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grinding
tempered glass
glass
thin temper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재홍
Original Assignee
(주)조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방 filed Critical (주)조방
Priority to KR1020070047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1261A/ko
Publication of KR20080101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26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2Equipment for exact control of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t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의 측면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박판 강화유리를 적층·정렬한 후, 연삭장치로 이송하면, 두 대의 다이아몬드숫돌이 상호 엇갈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적층된 유리의 외주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연삭되도록 함으로써 가공속도의 향상으로 생산성이 증대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이송모터(110)와 결합된 이송스크루(120)에 의해 제 1 · 2 이송트레이(130, 140)가 전 · 후진하도록 구성된 이송장치(100)와; 상기 이송장치(100)의 일측에 형성되되, 박판 강화유리(1)가 수직으로 적층 · 정렬되도록 고정구(210)와 정렬구(220)로 구성된 제 1정렬장치(200)와; 상기 이송장치(100)의 타측에 형성되되, 박판 강화유리(1)가 수직으로 적층 · 정렬되도록 고정구(310)와 정렬구(320)로 구성된 제 2정렬장치(300)와; 상기 이송장치(100)의 중앙부 일측에 설치되되, X-Y-Z축 세 방향으로 각각 제어되는 X·Y·Z축 유닛(410, 420, 430)과 다이아몬드숫돌(440)로 구성된 제 1연삭장치(400)와; 상기 이송장치(100)의 중앙부 타측에 설치되되, X-Y-Z축 세 방향으로 각각 제어되는 X·Y·Z축 유닛(510, 520, 530)과 다이아몬드숫돌(540)로 구성된 제 2연삭장치(500)로 구성되어, 제 1·2정렬장치(200, 300)에 의해 정렬된 박판 강화유리(1)가 이송장치(100)를 통해 이송되어 제 1·2연삭장치(400, 500)에 의해 측면이 자동으로 연삭 가공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박판 강화유리를 순차적으로 적층·정렬한 후, 이송장치를 통해 제 1·2연삭장치로 이송시키면, 연삭장치에 구비된 두 대의 다이아몬드숫돌이 상호 엇갈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적층된 유리의 외주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박판 강화유리의 연삭속도가 향상됨에 따라 박판 강화유리의 전체적인 제작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유리 측면가공장치, 측면가공, 수치제어, 연삭장치, 이송장치, 정렬장치

Description

유리의 측면가공장치 { The glass processing apparatus }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면도
도 4a·4b·4c는 본 발명 정렬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연삭되는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박판 강화유리 100: 이송장치
110: 이송모터 120: 이송스크루
121: 이송레일 130: 제 1이송트레이
131, 141: 안착발 132, 142: 클램프
133, 143: 승강실린더 140: 제 2이송트레이
200: 제 1정렬장치 210, 310: 고정구
211, 311: 고정실린더 220, 320: 정렬구
221, 321: 정렬실린더 300: 제 2정렬장치
400: 제 1연삭장치 410, 510: X축 유닛
420, 520: Y축 유닛 430, 530: Z축 유닛
440, 540: 다이아몬드숫돌 441, 541: 연삭모터
500: 제 2연삭장치
본 발명은 유리의 측면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박판 강화유리를 적층·정렬한 후, 연삭장치로 이송하면, 두 대의 다이아몬드숫돌이 상호 엇갈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적층된 유리의 외주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연삭되도록 함으로써 가공속도의 향상으로 생산성이 증대되도록 한 유리의 측면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유리가공장치는 평면 유리의 외주면을 연삭하기 위한 것으로, 원판 유리를 워터젯 등의 가공수단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절단가공하게 되는바, 상기 1차 절단가공 후에는 그 가공된 면에 헤어크랙 등이 발생하게 되어 그 면을 2차로 연삭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2차적으로 가공되는 유리가공장치의 경우, 대부분 편심캠을 이용하여 연삭기를 구동하는바, 이러한 종래의 유리가공장치는 연삭기의 회전 시 진동이 발 생하게 되어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완성된 제품의 품질과 내구성이 저하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출원인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713793호의 구성을 살펴보면, 회전테이블 상에 박판 강화유리를 진공척에 의해 흡착고정시킨 후, 회전테이블을 90°회전시켜 정렬을 완료한 다음 90°더 회전시켜 박판 강화유리의 외주면 연삭을 완료하며, 그 후 90°더 회전시켜서 상 · 하부 모서리를 면취함으로써 박판 강화유리를 자동으로 연속 가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종래의 가공장치는 입력된 수치제어를 통해 어떠한 곡선이 형성된 유리도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으나, 측면을 단순히 평면의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유리를 한 장씩 가공해야 함으로써 가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유리가공의 전체적인 공정 중 유리 측면 연삭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단히 많아 유리가공 전체공정의 효율이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로 인해 유리의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박판 강화유리를 순차적으로 적층·정렬한 후, 이송장치를 통해 제 1·2연삭장치로 이송시키면, 연삭장치에 구비된 두 대의 다이아몬드숫돌이 상호 엇갈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적층된 유리의 외주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공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박판 강화유리의 연삭속도가 향상됨에 따라 박판 강화유리의 전체적인 제작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리의 측면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박판 강화유리를 적층·정렬한 후, 연삭장치로 이송하면, 두 대의 다이아몬드숫돌이 상호 엇갈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적층된 유리의 외주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연삭되도록 함으로써 가공속도의 향상으로 생산성이 증대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이송모터(110)와 결합된 이송스크루(120)에 의해 제 1 · 2 이송트레이(130, 140)가 전 · 후진하도록 구성된 이송장치(100)와; 상기 이송장치(100)의 일측에 형성되되, 박판 강화유리(1)가 수직으로 적층 · 정렬되도록 고정구(210)와 정렬구(220)로 구성된 제 1정렬장치(200)와; 상기 이송장치(100)의 타측에 형성되되, 박판 강화유리(1)가 수직으로 적층 · 정렬되도록 고정구(310)와 정렬구(320)로 구성된 제 2정렬장치(300)와; 상기 이송장치(100)의 중앙부 일측에 설치되되, X-Y-Z축 세 방향으로 각각 제어되는 X·Y·Z축 유닛(410, 420, 430)과 다이아몬드숫돌(440)로 구성된 제 1연삭장치(400)와; 상기 이송장치(100)의 중앙부 타측에 설치되되, X-Y-Z축 세 방향으로 각각 제어되는 X·Y·Z축 유닛(510, 520, 530)과 다이아몬드숫돌(540)로 구성된 제 2연삭장 치(500)로 구성되어, 제 1·2정렬장치(200, 300)에 의해 정렬된 박판 강화유리(1)가 이송장치(100)를 통해 이송되어 제 1·2연삭장치(400, 500)에 의해 측면이 자동으로 연삭 가공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도면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배면도이고, 도 4a·4b·4c는 본 발명 정렬장치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연삭되는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 상부로 이송장치(100)가 설치되고, 이송장치(100)의 양 끝단으로는 박판 강화유리(1)를 정렬시키도록 구성된 제 1·2 정렬장치(200, 300)가 구비되며, 이송장치(100)의 중앙 양측으로는 제 1·2연삭장치(400, 500)가 설치되어 박판 강화유리(1)의 측면을 연삭하도록 구성된다.
우선, 이송장치(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베이스 상부의 일측에 이송모터(110)를 설치하되, 이송모터(110)의 모터축에는 이송스크루(120)를 설치하여, 이송모터(110)의 정·역회전에 따라 이송스크루(120) 또한 정·역회전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송스크루(120)의 양측으로는 이송레일(121)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제 1·2 이송트레이(130, 140)의 안착발(131, 141)과 결합되어 제 1·2이 송트레이(130, 140)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스크루(120)와 이송레일(121)의 상부로는 제 1·2 이송트레이(130, 140)가 설치되는바, 이송모터(110)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 1·2 이송트레이(130, 140)가 정확하게 이송 및 정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2 이송트레이(130, 140)의 상부로는 승강실린더(133, 143)를 통해 승강하는 클램프(132, 142)가 구비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고정구(210, 310)와 정렬구(220, 320)를 통해 박판 강화유리(1)의 정렬이 완료되면, 적층된 박판 강화유리(1)를 클램프(132, 142)를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송장치(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정렬장치(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 1정렬장치(200)는 상기 제 1이송트레이(130)의 상부로 박판 강화유리(1)를 정렬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제 1정렬장치(200)에 공급된 박판 강화유리(1)를 고정구(210)와 정렬구(220)로 각각 정렬하도록 구성되는바, 우선, 고정구(210)는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 금속구로, 배면에 형성된 고정실린더(211)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면, 고정구(210)의 내부로 박판 강화유리(1)가 내재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렬구(220)는 그 형태가 평판 형태로 형성된 금속구로, 배면에 형성된 정렬실린더(221)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면, 상기 고정구(210)의 내부로 박판 강화유리(1)의 3면이 밀착되면서 정확히 정렬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이송장치(10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정렬장치(300)는 상기 제 1정렬장치(200)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제 2이송트레이(140)의 상부로 박판 강화유리(1)를 정렬시키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정렬장치(300)는 고정구(310)와 정렬구(320)로 구성되는바, 'ㄷ'자 형태로 형성된 고정구(310)의 배면으로는 고정실린더(311)가 형성되고, 평판 형태로 형성된 정렬구(320)의 배면으로는 정렬실린더(221)가 구비되어 고정구(310)와 정렬구(320)의 작동에 의해 박판 강화유리(1)가 제 2이송트레이(140) 상에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장치(100)의 중앙부 양측에 설치되는 제 1연삭장치(400)와 제 2연삭장치(5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제 1연삭장치(400)는, X-Y-Z축으로 수치제어되는 X·Y·Z축 유닛(410, 420, 430)과 다이아몬드숫돌(440)로 구성되는바, 박판 강화유리(1)가 정렬된 이송트레이(130, 140)가 이송장치(10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면, X·Y·Z축 유닛(410, 420, 430)에 설치된 모터와 이송스크루에 의해 다이아몬드숫돌(440)이 박판 강화유리(1)의 일측 장변 모서리부로 접근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 후, X·Y축 유닛(410, 420)이 박판 강화유리(1)의 외주면을 따라 진행하는바, 진행방향이 박판 강화유리(1)의 장변과 단변을 순차적으로 연삭하는 'ㄴ'자 형태로 진행되며, Z축 유닛(430)에 의해 승강하면서 적층된 박판 강화유리(1)의 측면을 연삭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연삭장치(40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제 1연삭장치(400)와 연동하도록 구성된 제 2연삭장치(500)는, X-Y-Z축으로 수치제어되는 X·Y·Z축 유닛(510, 520, 530)과 다이아몬드숫돌(540)로 구성되는바, 박판 강화유리(1)가 정렬된 이송트레이(130, 140)가 이송장치(10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면, X·Y·Z축 유닛(510, 520, 530)이 작동하여 다이아몬드숫돌(540)이 박판 강화유리(1)의 타측 장변 모서리부로 접근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런 다음, X·Y축 유닛(510, 520)이 박판 강화유리(1)의 외주면을 따라 진행하는바, 진행방향이 박판 강화유리(1)의 장변과 단변을 순차적으로 연삭하는 'ㄱ'자 형태로 진행되며, Z축 유닛(530)에 의해 승강하면서 적층된 박판 강화유리(1)의 측면을 연삭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2연삭장치(400, 500)에 구비된 다이아몬드숫돌(440, 540)은 연삭모터(441, 54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제 1·2연삭장치(400, 500)에 의해 박판 강화유리(1)가 가공되는 형태를 살펴보면, 직사각형태로 형성된 박판 강화유리(1)의 장변 모서리부로부터 연삭이 개시되는바, 제 1·2연삭장치(400, 500)의 연삭 개시위치는 서로 대각선 형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개시되어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제 1·2연삭장치(400, 500)에 의해 연삭되는 형태는 장변 모서 리로부터 연삭이 시작되어 상호 엇갈리는 형태로 연삭이 진행되다가 단변 모서리부에서 연삭이 완료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제 1·2연삭장치(400, 500)의 연삭되는 힘이 상호 상쇄되어 클램프(132, 142)만으로 지지되는 박판 강화유리(1)의 적층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 및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베이스 상에 이송모터(110)와 이송스크루(120)를 설치하고, 이송스크루(120)의 양측으로 이송레일(121)을 설치한 후, 이송스크루(120)와 이송레일(121)을 따라 전·후진하도록 제 1·2이송트레이(130, 140)를 설치하고, 제 1·2이송트레이(130, 140)의 상부에 클램프(132, 142)를 설치한다.
그런 다음, 이송장치(100)의 양단에 제 1·2정렬장치(200, 300)를 설치하는바, 이송스크루(120)를 기준으로 일측으로는 고정실린더(211, 311)가 구비된 고정구(210, 310)가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정렬실린더(221, 321)가 구비된 정렬구(220, 320)를 설치한다.
그 후, 이송장치(100)의 중앙 양측에 X·Y·Z축 유닛(410, 420, 430, 510, 520, 530)으로 구성된 제 1·2연삭장치(400, 500)를 설치하는바, Z축 유닛(430, 530)으로는 연삭모터(441, 541)와 결합된 다이아몬드숫돌(440, 540)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립 및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제 1이송트레 이(130)의 상부로 박판 강화유리(1)를 적층하면, 제 1정렬장치(200)의 고정구(210)와 정렬구(220)에 의해 박판 강화유리(1)가 정렬되며, 이후 클램프(132)가 하강하여 박판 강화유리(1)가 고정되게 된다.
그런 다음, 이송모터(110)가 회전되면 이송스크루(120)를 통해 이송레일(121) 상에 안착된 제 1·2이송트레이(130, 140)가 이송되는바, 제 1이송트레이(130)는 이송장치(100)의 중앙, 즉, 제 1·2연삭장치(400, 50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제 2이송트레이(140)는 제 2정렬장치(300)가 설치된 위치로 이송된다.
제 1이송트레이(130)에 의해 이송된 박판 강화유리(1)는 제 1·2연삭장치(400, 500)에 의해 연삭되는바, X·Y·Z축 유닛(410, 420, 430, 510, 520, 530)이 수치제어 방식에 의해 자동 이송됨과 동시에 회전하는 다이아몬드숫돌(440, 540)에 의해 박판 강화유리(1)의 외주면이 연삭되도록 구성된다.
그와 동시에 제 2이송트레이(140)의 상부로는 박판 강화유리(1)가 로딩되면, 제 2정렬장치(300)의 고정구(310)와 정렬구(320)에 의해 박판 강화유리(1)가 정렬되며, 이후 클램프(142)가 하강하여 박판 강화유리(1)가 고정되도록 작동된다.
상기 제 1·2연삭장치(400, 500)에 의해 제 1이송트레이(130) 상부의 박판 강화유리(1)의 연삭이 완료되면, 이송모터(110)와 이송스크루(120)의 역회전에 의해 제 1·2이송트레이(130, 140)가 후진하게 되며, 제 1이송트레이(130)의 연삭이 완료된 박판 강화유리(1)는 제 1정렬장치(200)의 위치로 이송되고, 제 2이송트레이(140)에 적층된 박판 강화유리(1)는 제 1·2연삭장치(400, 5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제 2이송트레이(140)에 적층된 박판 강화유리(1)가 연삭될 동안, 제 1이송트레이(130) 상에 적층된 연삭이 완료된 박판 강화유리(1)는 언로딩되고, 그에 새로운 박판 강화유리(1)가 로딩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박판 강화유리(1)의 측면이 자동으로 연삭됨은 물론, 다수의 박판 강화유리(1), 예를 들어 100여 장의 박판 강화유리(1)가 한꺼번에 신속하게 가공될 수 있는 작동과정을 갖는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면, 제 1연삭장치(400) 혹은 제 2연삭장치(500)가 고장 등으로 인해 가동되지 못할 경우에는, 제 1·2연삭장치(400, 500)의 사이에 인덱스 모터와 그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설치하여, 박판 강화유리(1)를 180°회전시킴으로써 하나의 연삭장치를 사용치 못하여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제 2연삭장치(500)가 사용되지 못할 경우에는 제 1연삭장치(400) 만으로 이송된 박판 강화유리(1)의 일측 장변과 단변을 가공한 후, 180°회전시킨 다음 타측 장변과 단변을 순차 가공하도록 구성되는바, 이러한 구성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박판 강화유리를 순차적으로 적층·정렬한 후, 이송장치를 통해 제 1·2연삭장치로 이송시키면, 연삭장치에 구비된 두 대의 다이아몬드숫돌이 상호 엇갈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적층된 유리의 외주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박판 강화유리의 연삭속도가 향상됨에 따라 박판 강화유리의 전체적인 제작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유리의 측면가공장치에 있어서,
    이송모터(110)와 결합된 이송스크루(120)에 의해 제 1 · 2 이송트레이(130, 140)가 전 · 후진하도록 구성된 이송장치(100)와;
    상기 이송장치(100)의 일측에 형성되되, 박판 강화유리(1)가 수직으로 적층 · 정렬되도록 고정구(210)와 정렬구(220)로 구성된 제 1정렬장치(200)와;
    상기 이송장치(100)의 타측에 형성되되, 박판 강화유리(1)가 수직으로 적층 · 정렬되도록 고정구(310)와 정렬구(320)로 구성된 제 2정렬장치(300)와;
    상기 이송장치(100)의 중앙부 일측에 설치되되, X-Y-Z축 세 방향으로 각각 제어되는 X·Y·Z축 유닛(410, 420, 430)과 다이아몬드숫돌(440)로 구성된 제 1연삭장치(400)와;
    상기 이송장치(100)의 중앙부 타측에 설치되되, X-Y-Z축 세 방향으로 각각 제어되는 X·Y·Z축 유닛(510, 520, 530)과 다이아몬드숫돌(540)로 구성된 제 2연삭장치(500)로 구성되어, 제 1·2정렬장치(200, 300)에 의해 정렬된 박판 강화유리(1)가 이송장치(100)를 통해 이송되어 제 1·2연삭장치(400, 500)에 의해 측면이 자동으로 연삭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의 측면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2 이송트레이(130, 140)의 상부로는 승강실린더(133, 143)를 통해 승강하는 클램프(132, 142)가 구비되어 있어서, 제 1·2정렬장치(200, 300)를 통해 정렬된 박판 강화유리(1)를 클램프(132, 142)를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의 측면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2연삭장치(400, 500)에 구비된 다이아몬드숫돌(440, 540)은, 직사각형태로 형성된 박판 강화유리(1)의 마주보는 대각선 장변 모서리부로부터 연삭이 개시되어, 상호 엇갈리는 형태로 진행된 후, 마주보는 단변 모서리부에서 연삭이 완료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연삭되는 힘이 상호 상쇄되어 클램프(132, 142)만으로 지지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의 측면가공장치.
KR1020070047784A 2007-05-16 2007-05-16 유리의 측면가공장치 Ceased KR20080101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84A KR20080101261A (ko) 2007-05-16 2007-05-16 유리의 측면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84A KR20080101261A (ko) 2007-05-16 2007-05-16 유리의 측면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261A true KR20080101261A (ko) 2008-11-21

Family

ID=4028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784A Ceased KR20080101261A (ko) 2007-05-16 2007-05-16 유리의 측면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1261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3046A (zh) * 2013-04-22 2013-07-24 义乌琳多饰品有限公司 双工位水钻全自动磨抛加工机中的对接与下料装置
CN103341802A (zh) * 2013-07-10 2013-10-09 陈哲 全自动水钻磨抛机
CN103707167A (zh) * 2013-12-20 2014-04-09 上海日进机床有限公司 用于显示设备中的玻璃面板加工机
KR101389924B1 (ko) * 2013-01-16 2014-04-29 박효중 평판 글라스의 에지면 연마장치
CN103921190A (zh) * 2014-04-25 2014-07-16 杭州天帮机械有限公司 超薄玻璃加工生产线
KR20150144534A (ko) 2014-06-17 2015-12-28 주식회사 라미넥스 열을 이용한 유리 면취(모서리가공)장비 및 면취방법
CN103465128B (zh) * 2013-04-22 2016-01-13 义乌琳多饰品有限公司 七工位水钻全自动磨抛机中的水平对接装置
KR101675819B1 (ko) 2015-07-02 2016-11-16 스카이다이아몬드 주식회사 경질박판 외주부 가공장치
US9957188B2 (en) 2012-08-01 2018-05-01 Laminex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dge of glass by using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er
CN111890170A (zh) * 2019-05-06 2020-11-06 重庆惠立铭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铝合金生产用打磨装置
CN113070772A (zh) * 2021-04-19 2021-07-06 安徽晶晶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可收集废渣的玻璃磨边装置及其实施方法
KR20230061833A (ko) 2021-10-29 2023-05-09 신비앤텍 주식회사 커버 글래스 레이저 가공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7188B2 (en) 2012-08-01 2018-05-01 Laminex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dge of glass by using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er
KR101389924B1 (ko) * 2013-01-16 2014-04-29 박효중 평판 글라스의 에지면 연마장치
CN103213046A (zh) * 2013-04-22 2013-07-24 义乌琳多饰品有限公司 双工位水钻全自动磨抛加工机中的对接与下料装置
CN103213046B (zh) * 2013-04-22 2016-01-13 义乌琳多饰品有限公司 双工位水钻全自动磨抛加工机中的对接与下料装置
CN103465128B (zh) * 2013-04-22 2016-01-13 义乌琳多饰品有限公司 七工位水钻全自动磨抛机中的水平对接装置
CN103341802A (zh) * 2013-07-10 2013-10-09 陈哲 全自动水钻磨抛机
CN103707167A (zh) * 2013-12-20 2014-04-09 上海日进机床有限公司 用于显示设备中的玻璃面板加工机
CN103921190A (zh) * 2014-04-25 2014-07-16 杭州天帮机械有限公司 超薄玻璃加工生产线
KR20150144534A (ko) 2014-06-17 2015-12-28 주식회사 라미넥스 열을 이용한 유리 면취(모서리가공)장비 및 면취방법
KR101675819B1 (ko) 2015-07-02 2016-11-16 스카이다이아몬드 주식회사 경질박판 외주부 가공장치
CN111890170A (zh) * 2019-05-06 2020-11-06 重庆惠立铭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铝合金生产用打磨装置
CN113070772A (zh) * 2021-04-19 2021-07-06 安徽晶晶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可收集废渣的玻璃磨边装置及其实施方法
KR20230061833A (ko) 2021-10-29 2023-05-09 신비앤텍 주식회사 커버 글래스 레이저 가공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1261A (ko) 유리의 측면가공장치
KR20180005504A (ko) 석재 양두 절단 장치
JP5856245B2 (ja) インゴットブロックの複合面取り加工装置および面取り加工方法
KR100713793B1 (ko) 유리가공장치
KR20130092401A (ko) 웨이퍼의 모따기 장치
JP5112703B2 (ja) ウェーハ面取り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80065903A (ko) 연삭 장치
KR100990444B1 (ko) 디스플레이 윈도우용 박판유리의 연마장치 및 연마공정 시스템
KR20160035323A (ko) 석재 쌍방향 가공 장치
CN110815455A (zh) 一种竹板材倒角抛光的装置
JP2009297882A (ja) 加工装置
JP4008854B2 (ja) 高平面度加工方法
KR100702255B1 (ko) 표시창용 박판유리의 연삭장치
JPH0952727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KR20110016759A (ko) 박판유리 면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어셈블리
CN211388230U (zh) 打磨切割装置
CN212794504U (zh) 一种多工位球面滚子外径超精研机
TWI794104B (zh) 玻璃板加工裝置
JPH0790453B2 (ja) 板状体の研削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4205227A (ja) 基板の両面研削装置
EP3581331B1 (en) Set of discs for grinding the edges of glass plates
JP2000176805A (ja) 半導体ウェーハの面取り装置
JP3729742B2 (ja) 端縁加工装置及び端縁加工方法
CN106141823A (zh) 一种圆片刀具双工位磨削加工装置
KR20050096618A (ko) 손톱깍기 날의 자동 연마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8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