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77408A - Stand type air conditioner with anti-dust barrier - Google Patents

Stand type air conditioner with anti-dust b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408A
KR20070077408A KR1020060007018A KR20060007018A KR20070077408A KR 20070077408 A KR20070077408 A KR 20070077408A KR 1020060007018 A KR1020060007018 A KR 1020060007018A KR 20060007018 A KR20060007018 A KR 20060007018A KR 20070077408 A KR20070077408 A KR 20070077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dust
front panel
type air
st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7408A/en
Publication of KR2007007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408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6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with gravy or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6Ultra high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 하측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전면흡입구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을 갖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dust-injection prevention barrier formed on a lower side of a front panel forming a front appearance of a stand-type air conditioner to enable opening and closing of a front inlet for inhaling external ai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20)과, 상기 전면패널(220)의 하단부 하측에 형성되어 외기를 흡입하는 전면흡입구(280)와, 상기 전면패널(220)의 후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흡입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차단 수단을 구비한다.Stand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ront panel 220 to form the front appearance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nd the front suction hole 28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220 to suck the outside air And, it is provided on the lower rear of the front panel 220 is provided with a block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ront suction port.

본 발명에 따른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을 사용하는 경우,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전면흡입구를 통하여 먼지가 유입되거나 전면흡입구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anti-dust barri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from flowing in through the front inlet or accumulating dust on the front inlet while the air conditioner is not used.

Description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을 갖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Stand type air conditioner with a panel for blocking off dust}Stand type air conditioner with a panel for blocking off dust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front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ir conditione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이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후면의 사시도.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of the front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dust prevention barri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의 좌측면도.6 is a left side view of the front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의 우측면도.7 is a right side view of the front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체 200. 전방프레임100. Main body 200. Front frame

220. 전면패널 220'. 강화유리220. Front panel 220 '. tempered glass

222. 조작부 222'. 표시창 222. Control panel 222 '. Display window

222". 조작버튼 222'''. 전장케이스 222 ". Control Buttons 222 '' '.

230. 모터 231, 231'. 피니언기어 230. Motors 231, 231 '. Pinion Gear

232, 232'.래크기어 233, 233'. 치차 232, 232 '. Rack gears 233, 233'. Gear

232a, 232'a, 232b, 232'b. 체결공 234. 연결축232a, 232'a, 232b, 232'b. Fastener 234. Connecting shaft

235.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 224'. 조작부안착홈235. Dust barrier 224 '. Control panel mounting groove

240. 측면토출구 242. 좌측토출구240. Side discharge outlet 242. Left discharge outlet

244. 우측토출구 260. 상면토출구244. Right side discharge outlet 260. Top discharge outlet

280. 전면흡입구 300. 후방프레임280. Front intake 300. Rear frame

310. 상면패널 320. 실내열교환기310. Top panel 320. Indoor heat exchanger

330. 드레인부 340. 송풍팬330. Drain section 340. Blower fan

350. 팬하우징 360. 집진필터350. Fan housing 360. Dust collecting filter

400. 토출베인 410. 좌측토출베인400. Discharge vane 410. Left discharge vane

500. 좌측면부 510. 좌측프레임500. Left side 510. Left frame

520. 좌측흡입베인 530. 좌측프리필터520. Left suction vane 530. Left prefilter

550. 우측면부 560. 우측프레임550. Right side part 560. Right frame

570. 우측흡입베인 580. 우측프리필터570. Right suction vane 580. Right prefilter

600. 베이스프레임 620. 하면필터부600. Base frame 620. Bottom filter unit

622. 하면프리필터 624. 헤파필터622. Lower surface prefilter 624. Hepa filter

626. 나노필터626. Nano Filt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 하측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전면흡입구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을 갖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a stand having a dust-injection blocking film that is formed under a front panel that forms a front appearance of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and enables opening and closing of a front inlet for inhaling outside air. It relates to a type air conditioner.

공기조화기는 보다 편안하고 쾌적한 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차량,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Air conditioners are in increasing demand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Such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maintaining indoor air in an optimal state according to a purpose, and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a space or a wall of a room such as a vehicle, an office, or a home to cool or heat a room. / Heating equipment, which constitutes a series of refrigeration cycles consisting of compressors, condensers, expansion valves and evaporators.

특히, 공기조화기는 응축기와 압축기가 장착되며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증발기가 장착되며 주로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In particular, an air conditioner is equipped with a condenser and a compressor and is mainly installed outdoors (sometimes referred to as 'outdoor' or 'heat sink'), and an indoor unit ('indoor' or installed with an evaporator and installed mainly in the room). Also referred to as 'heat absorbing side' can be divided into a separate type of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separately, and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공기조화기는 최근에 냉·난방 외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재투입하는 공기 정화기능과, 다습한 공기를 건습공기로 만들어 실내로 재투입하는 제습기능 등 여러가지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고 있 다.In addition to cooling and heating, an air conditioner has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an air purifying function that sucks and filters contaminated air in a room and re-supplies clean air into the room, and a dehumidification function that reinjects humid air into dry and dry air. Additional features are being add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중의 하나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indoor unit of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which is one of the split type air conditione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패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stand-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front panel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살펴보면, 실내기에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가 구비된다. Looking at the indoor unit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with reference to the bar shown in these figures, the indoor unit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10 forming a plurality of parts therein while forming an internal space, and forms an exterior.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조화시킨 후 실내로 토출시키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된다.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 includes a plurality of parts for inhaling and harmonizing air in the room and then discharging the air into the room.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0)이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전면패널(20)의 전면에는 미관 등을 위하여 강화유리가 부착되고 있는데, 필름층이 코팅된 브이씨엠(VCM) 강판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The front panel 20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form a front appearance. In general, the front of the front panel 20 is attached to the tempered glass for aesthetics, etc., a VMC steel sheet coated with a film layer is a typical example.

상기 전면패널(20)의 상반부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30)는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 및 주변의 환경을 표시해주는 표시부(32)와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조작버튼(34)이 구비된다. The upper half of the front panel 2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30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air conditioner. The operation unit 3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32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34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operate the air conditioner.

상기 전면패널(20)의 상반부 좌측과 우측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후방으로 경사지게 성형되는 토출부(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구비된 다. 상기 토출부(미도시)에는 토출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베인(22)이 장착된다. 상기 베인(22)은 회동하면서 토출부(미도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Discharge parts (not shown) which are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rear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half of the front panel 20. The discharge part (not shown) is equipped with vanes 22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discharge part. The vanes 22 rotate to selectively shield the discharge part (not shown).

즉, 공기조화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외부의 전원을 인가한 후 상기 조작버튼(34)을 조작하여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베인(22)이 회동하여 상기 토출부(미도시)를 개방시키게 된다. 토출부(미도시)가 개방되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는 상기 토출부(미도시)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토출되어 실내의 공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조화시키게 된다. That is, when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power to operate the air conditioner to operate the air conditioner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34, the vane 22 rotates to open the discharge part (not shown). Let's go. When the discharge part (not shown) is opened, the air harmonized inside the main body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discharge part (not shown) to harmonize the air in the room to a state desired by the user. do.

상기 베인(22)의 하측에는 측면흡입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흡입부(24)는 상기 본체(10)의 외부 즉, 실내의 측방 공기를 본체(10)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패널(20)의 하단부 하측에는 전면흡입구(40)가 구비되며, 이러한 전면흡입구(40)는 실내의 전방 공기를 본체(10)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해 구비된다. The side suction part 24 is provided below the vane 22. The side suction part 24 is provided to suck outside air of the main body 10, that is, indoor side air into the main body 10.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anel 20 is provided with a front suction opening 40, the front suction opening 40 is provided to suck the front air in the interior of the body 10.

도 2를 참조하여 본체(10)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전면패널(20)의 후측 상반부에는 전면프레임(50)이 장착된다. 상기 전면프레임(50)의 중앙부에는 상기 조작부(30)가 안착되는 조작부안착홈(52)이 후방으로 함몰되어 성형된다. Looking at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10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front frame 50 is mounted on the rear upper half of the front panel 20.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50, the operation unit seating groove 52 in which the operation unit 30 is seated is molded by being recessed to the rear.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50)의 후방에는 실내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어 상기 측면흡입부(24)와 전면흡입구(40)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의 상태로 조화시키게 된다. In addition, the rear of the front frame 50 is equipped with an in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to exchange heat with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side suction unit 24 and the front suction port 40 of the user desired air Harmonize with state.

상기 측면흡입부(24)의 내측방에는 측면흡입부(24)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측면필터(26)가 장착되며, 상기 전면흡입 구(40)의 상측에는 하면필터(42)가 장착되어 전면흡입구(4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게 된다. The inner side of the side suction part 24 is equipped with a side filter 26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of the air sucked into the body 10 through the side suction part 24, the front suction port 40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ilter 42 is mounted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front suction opening (40).

상기 하면필터(42)의 상방에는 전면필터(60)가 구비되어 본체(10)의 내부 공기를 한번 더 필터링하게 되며, 이러한 전면필터(60)의 후측에는 송풍팬(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기 유동을 강제하게 된다. The front filter 60 is provided above the bottom filter 42 to filter the internal air of the main body 10 once more, and a blower fan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filter 60. The internal air flow of the body 10 is forc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경우, 실내기의 동작 여부와 무관하게 전면흡입구(40)가 항상 개방되어 있는 까닭에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전면흡입구(40)의 전단에 먼지 등의 이물이 쌓인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indoor unit of 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intake hole 40 is not used while the air conditioner is not used because the front intake port 40 is always open regardless of whether the indoor unit is op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ccumulates in the front end of the).

또한, 위와 같이 실내기의 전면흡입구(40)에 이물이 쌓이는 경우, 2차적으로 실내 공기 오염을 초래할 수 있는 개연성이 증대되고, 이는 사용자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In addition, when foreign matters accumulate in the front suction opening 40 of the indoor unit as described above, the probability of causing indoor air pollution is increased, which has a problem that may damage the user's health.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공기조화기의 전면흡입구를 차단할 수 있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을 갖춘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when the air conditioner is not used, it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a dust input prevention barrier that can block the front inlet of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20)과, 상기 전면패널(20)의 하단부 하측에 형성되어 외기를 흡입하는 전면흡입구(280)와, 상기 전면패널(220)의 후면 하부에 설치되 어 상기 전면흡입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차단 수단을 구비한다.Stand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ront panel 220 to form the front appearance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and the front suction hole 28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20 to suck the outside air And, it is provided on the lower rear of the front panel 220 is provided with a block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ront suction po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단 수단은 상기 전면패널(220)의 후면 하부상에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로 이루어진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과, 상기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의 후면 좌우측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래크기어(232, 232')와, 상기 래크기어(232, 232')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래크기어(232, 232')의 치차와 각각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 1 및 제 2 피니언기어(231, 231')와, 상기 제 1 및 제 2 피니언기어(231, 231')의 회전축을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축(234)과, 상기 제 1 및 제 2 피니언기어(231, 231')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ust input blocking film 235 made of a rectangular panel disposed on the lower rear of the front panel 220, and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ust input blocking film 235 First and second rack gears 232 and 232 'fixedly installed at th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positioned above the rack gears 232 and 232', respectively, the rack gears 232 and 232 '. And first and second pinion gears 231 and 231 ′ disposed to mesh with the teet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ns 231 and 231 ′, respectively, and a connecting shaft 234 for coupling the rotation axes of the first and second pinion gears 231 and 231 ′ to each other. And a motor 230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enable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nion gears 231 and 231 '.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터는 상기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의 우측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좌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전면패널(220)의 후면 하부의 좌측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to the left from the right end edge of the anti-dust blocking film is fixed to the left end of the lower rear of the front panel 220.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및 제 2 래크기어 각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을 통하여 조여지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래크기어는 상기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are fastened to the dust preventing barrier by fastening means tightene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공기조 화기 실내기의 외형을 살펴보면, 실내기에는 내부 공간을 확보하면서 세로가 긴 상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내부에는 공기 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된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indoor unit is molded into a long vertical box shape while securing an internal space, and a plurality of parts for air conditioning are mounted therein.

상기 본체(100)는 본체(100)의 전반부를 지지하는 전방프레임(200)과 본체(100)의 후반부를 이루면서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프레임(300)으로 성형된다.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전방에는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성형되어 본체(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20)이 장착된다. 전면패널(220)의 전면에는 미관을 위하여 강화유리(220')가 부착되기도 한다.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to a front frame 200 supporting the first half of the main body 100 and a rear frame 300 forming a rear half of the main body 100 to form a rear exterior. The front panel 220 is mounted to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200 to form a rectangular plate shape to form the front appearance of the main body 100. Tempered glass 220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front panel 220 for aesthetic appearance.

상기 전면패널(220)의 상반부 중앙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조작하도록 조작부(222)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222)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 및 주변 환경 등이 표시되는 표시창(222')과 사용자가 직접 공기조화기를 작동하도록 다수개의 조작버튼(222")이 구비된다. An operation unit 22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half of the front panel 220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the air conditioner. The operation unit 222 is provided with a display window 222 ′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222 ″ so that the user directly operates the air conditioner.

상기 전면패널(220)의 상반부 좌측과 우측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실내의 공기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베인(400)이 장착된다. 상기 토출베인(400)은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22)를 조작하여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회동하여 본체(100) 내부의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토출베인(400)은 조화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Discharge vanes 400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ar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half of the front panel 220. The discharge vane 400 is rotat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air conditioner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222 to discharge the harmonized air inside the main body 100 to the room. As such, the discharge vane 400 guides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harmonized air.

상기 토출베인(400)은 상기 전방프레임(200)에 성형되며, 상기 토출베인(40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통로가 되는 측면토출구(240)에 장착된다. 상기 측면토출구(240)는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좌측면에 성형되는 좌측토출구(242)와 우측면에 성형되는 우측토출구(244)로 형성된 다. The discharge vane 400 is formed in the front frame 200, the discharge vane 400 is mounted to the side discharge port 240 which is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harmonized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do. The side discharge port 240 is formed of a left discharge port 242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frame 200 and a right discharge port 244 formed on the right side.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상면에는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를 상방으로 토출하게 되는 상면토출구(26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는 상기 측면토출구(240) 및 상면토출구(260)에 의해 토출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200 is provided with a top discharge port 260 for discharging the air harmoniz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upwards. Therefore, the air harmonized inside the main body 100 is discharged by the side discharge port 240 and the upper surface discharge port 260.

상기 토출베인(400)은 상기 측면토출구(24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되며, 이러한 토출베인(40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이 작동하여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고자 할 때에 회동하여 상기 측면토출구(240)를 개방시키게 된다. The discharge vane 400 selectively shields the side discharge port 240, and the discharge vane 400 discharges the harmonized air into a room by opera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00. When you want to rotate to open the side discharge port 240.

반대로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상기 토출베인(400)은 회동하여 측면토출구(240)를 차폐하여 본체(100)의 내부로 먼지 또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air conditioner is not used, the discharge vane 400 rotates to shield the side discharge port 240 so as to prevent dust or foreign matter from being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한편, 상기 전면패널(220)의 하단부 하측에는 상기 본체(100) 전방의 실내 공기를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하는 통로인 전면흡입구(280)가 성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anel 220 is formed a front suction port 280 that is a passage for sucking the indoor air in front of the main body 100 into the main body 100.

상기 전면흡입구(280)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필터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되며 공기에 포함되어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제거된다.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front suction hole 280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0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r dust contained in the air and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do.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전면패널(220)의 후면에는 후면커버(224)가 장착된다. 상기 후면커버(224)는 상기 전면패널(220)의 후면을 보호하기 위해 장착되며, 이러한 후면커버(224)의 중앙 부에는 상기 표시창(222') 및 조작버튼(222'')에 관계되는 전장부품을 탑재하는 전장케이스(222''')가 안착되는 조작부안착홈(224')이 후방으로 함몰 성형된다.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rear cover 224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front panel 220. The rear cover 224 is mounted to protec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220,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cover 224 is the overall length related to the display window 222 'and the operation button 222' ' The operation part mounting groove 224 'on which the electric component case 222' '' on which the component is mounted is recessed and molded backward.

상기 후면커버(224)의 후측에는 상기 전방프레임(200)이 장착된다. 상기 전방프레임(200)은 후면이 개구된 사각 상자 형상으로 성형되며, 양측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방으로 다소 경사지게 성형된다.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양측면에는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측면토출구(240)가 천공 형성된다. The front frame 200 is mounted to the rear side of the rear cover 224. The front frame 200 is shaped into a rectangular box shape with a rear surface open, and both sides are formed to be slightly inclined outward toward the rear. Side ejection openings 24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200 so that the air harmonized inside the main body 100 is discharged into the room.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상면에는 상기 상면토출구(260)가 천공 형성되며, 상면토출구(260)에는 상면도어(262)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면토출구(26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이러한 상면도어(26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어모터에 의해 회동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upper surface discharge port 26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200, and the upper door 262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discharge port 260 to selectively shield the upper discharge port 260. Although not shown, the top door 262 is mounted to be rotatable by receiving rotational power by a door motor.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하측에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측면흡입구(도시되지 않음)가 천공 형성된다. 즉,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좌측면 하측에는 좌측면부(500)가 형성되며, 전방프레임(200)의 우측면 하측에는 우측면부(550)가 형성된다. The lower side of the front frame 200 is formed with a perforated side suction opening (not shown)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sucked. That is, the left surface portion 500 is formed under the left side of the front frame 200, and the right surface portion 550 is formed under the right side of the front frame 200.

상기 좌측면부(500)에는 좌측면부(500)를 지지하는 좌측프레임(510)이 장착되며, 이러한 좌측프레임(510)에는 중앙부가 천공 형성되어 좌측흡입구(미도시)가 성형된다. 상기 좌측흡입구(미도시)는 상기 본체(100)의 좌측방 공기를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하게 되는 통로가 되며, 이러한 좌측흡입구(미도시)에는 좌측흡입베인(520)이 구비되어 좌측흡입구(미도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The left side part 500 is equipped with a left frame 510 supporting the left side part 500, and the left side frame 510 has a central portion formed therein to form a left suction hole (not shown). The left suction opening (not shown)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left side air of the main body 100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left suction opening (not shown) is provided with a left suction vane 520. Optionally shield the inlet (not shown).

또한, 상기 좌측흡입구(미도시)의 내측면에는 좌측프리필터(530)가 장착되어 좌측흡입구(미도시)를 통해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의 공기를 필터링하게 된다. 상기 좌측프리필터(530)에 의해 필터링되면 공기에 포함되어 흡입되는 먼지와 이물질이 필터링되어 깨끗한 공기만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상기 좌측흡입베인(520)의 하단부에는 좌측흡입베인(520)의 회동 동력을 발생시키는 좌측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어 좌측흡입베인(520)에 회동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left pre-filter 530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left suction opening (not shown) to filter the air in the room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left suction opening (not shown). When the filter is filtered by the left pre-filter 530, th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air are filtered, and only the clean air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The lower end of the left suction vane 520 is mounted with a left motor (not shown) for genera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left suction vane 520 to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to the left suction vane 520.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우측면 하측에 구비되는 우측면부(550)에는 우측프레임(560)이 장착되며, 이러한 우측프레임(560)은 중앙부가 천공 형성되어 우측흡입구(도시되지 않음)가 성형된다. 상기 우측흡입구(미도시)는 상기 본체(100)의 우측방 공기를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하게 되는 통로가 되며, 상기 우측흡입구(미도시)에는 우측흡입베인(570)이 구비되어 우측흡입구(미도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The right side frame 560 is mounted on the right side portion 550 provided below the right side of the front frame 200, and the right side frame 560 is perforated in the center thereof to form a right suction hole (not shown). The right suction port (not shown)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and the right suction port (not shown) is provided with a right suction vane 570 to the right. Optionally shield the inlet (not shown).

또한, 상기 우측흡입구(미도시)의 내측면에는 우측프리필터(580)가 장착되어 우측흡입구(미도시)를 통해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의 공기를 필터링하게 된다. 상기 우측프리필터(580)에 의해 공기가 필터링되면 공기에 포함되어 흡입되는 먼지와 이물질이 필터링되어 깨끗한 공기만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상기 우측흡입베인(570)의 하단부에는 우측흡입베인(570)의 회동 동력을 발생시키는 우측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어 우측흡입베인(570)에 회동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In addition, a right pre-filter 580 is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ight suction port (not shown) to filter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right suction port (not shown). When the air is filtered by the right pre-filter 580, th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air are filtered to suck only clean air into the main body 100. The lower end of the right suction vane 570 is equipped with a right motor (not shown) for genera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right suction vane 570 to transfer the rotational power to the right suction vane 570.

한편, 상기 전방프레임(200)에 형성되는 좌측토출구(242)에는 좌측토출베인(410)이 장착된다. 상기 좌측토출베인(410)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좌측토출구(242)를 통해 토출되는 조화된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좌측토출베인(41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토출되는 조화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left discharge vane 410 is mounted to the left discharge port 242 formed in the front frame 200. The left discharge vane 410 is rotatably mounted to guide discharge of the harmoniz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left discharge port 242.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left discharge vane 410, the user can selec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harmonized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후측에는 후방프레임(300)이 장착된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은 전면과 상면 및 하면이 개구된 사각 상자 형상으로 성형되며, 좌측면과 우측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외측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좌측면과 우측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전방프레임(200)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경사 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The rear frame 300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frame 200. The rear frame 300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box shape in which the front, top and bottom surfaces are opened, and the left and right surfaces are inclined outward toward the fron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forms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front frame 200.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개구된 상면에는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상면패널(310)이 장착되며 이러한 상면패널(310)은 전면과 하면이 개구된 사각 상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후방프레임(300)의 상면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상면패널(310)의 좌측면과 우측면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경사 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를 가지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upper surface panel 310 which shields the opened upper surface is mounted on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rear frame 300, and the upper panel 310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box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lower surfaces thereof are opened to form the rear frame 300. It will shield the top surface.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top panel 310 may be formed to have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rear frame 300.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내측 상반부에는 실내열교환기(320)가 장착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2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다수개의 원통형 파이프가 다수회 절곡되어 성형되며,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 판재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실내열교환기(320)의 내부에는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며, 실내열교환기(320)는 상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장착된다. An indoor heat exchanger 320 is mounted on the upper upper half of the rear frame 300. The indoor heat exchanger 320 is formed by bend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pipes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 plurality of times, and generally shaped into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 refrigerant, which is a working fluid, flows inside the indoor heat exchanger 320,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320 is mounted to be inclined rearward as it goes upward.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320)의 상단부는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내측 후면에 장착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형상 다시말해, 좌측방에서 볼 때 대략 " / " 형상으로 기울어지게 장착된다. 이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동되는 본체(1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실내열교환기(320)의 사이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될때 보다 많은 접촉면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That is, the upper end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320 is mounted on the inner rear of the rear frame 300, inclined forward toward the lower side, that is, mounted inclined in an approximately "/" shape when viewed from the left side. do. This is to improv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having more contact area when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100 flowing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is heat exchanged while passing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320.

상기 실내열교환기(320)의 하단부에는 드레인부(330)가 구비되며, 이러한 드레인부(33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320)의 내부에 유동되는 작동 유체인 냉매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동되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기가 열교환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부(330)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 상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응축수를 집수하게 되며, 드레인부(330)에 집수되는 응축수는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A drain portion 330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320, and the drain portion 330 is a coolant that is a working fluid flowing inside the indoor heat exchanger 320 and the downward flow upward. The internal air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to collect condensate generated as heat exchanges. The drain portion 3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 to collect condensate, and the condensate collected in the drain portion 3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상기 드레인부(330)의 하측에는 송풍부가 장착된다. 상기 송풍부는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게 되는 송풍팬(340)과 상기 송풍팬(340)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와, 송풍팬(340)을 감싸도록 성형되며, 송풍팬(340)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유동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팬하우징(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blower is mounted below the drain 330. The blower is a fan fan (not shown) for providing a rotational power of the blowing fan 340 and the blowing fan 340 to force the flow of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100 by the rotational movement, the blowing fan 340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and comprises a fan housing 350 for guiding the air flowing upward du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lowing fan 340.

상기 송풍팬(340)은 회전 운동함으로써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측방으로 토출하게 되는 다익팬이 사용되며, 이러한 송풍팬(340)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흡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송풍팬(340)의 회전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 상기 좌측흡입구(미도시)와 우측흡입구(미도시) 및 전면흡입구(280)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The blower fan 340 is a multi-wing fan that sucks the air in front of the blower fan 340 and rotates outwards, and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side the main body 100 du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lower fan 340. Done. Through the left suction port (not shown), the right suction port (not shown) and the front suction port 280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lowing fan 340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Inhale.

상기 송풍팬(340)의 외측방에는 팬하우징(350)이 구비된다. 상기 팬하우징(350)은 송풍팬(340)을 보호하면서 송풍팬(340)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흡입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팬하우징(350)은 상면이 개구된 달팽이관 형상의 선도 형상으로 성형되며, 전면 중앙부는 개구되어 공기가 흡입되도록 성형되고, 개구된 상면을 통해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실내의 공기를 상방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The outer side of the blowing fan 340 is provided with a fan housing 350. The fan housing 350 simultaneously serves to guide the air sucked du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lowing fan 340 upward while protecting the blowing fan 340. The fan housing 350 is shaped into a cochlea-shaped lead shape with an upper surface open, and the front center portion is opened to be formed to suck air, and flows upwardly the indoor air introduced from the front through the opened upper surface. .

상기 팬하우징(350)의 전면에는 집진필터(360)가 장착된다. 상기 집진필터(360)는 상기 측면흡입구(미도시)와 전면흡입구(280)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의 공기에 포함되어 흡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구비되며, 이는 상기 측면필터(530,580)와 하면필터부(62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한번 더 필터링함으로써 보다 깨끗한 공기를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시켜 실내로 토출하기 위함이다.The dust collecting filter 360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an housing 350. The dust collecting filter 360 is provided to filter dust and foreign matter sucked into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side suction holes (not shown) and the front suction holes 280, and the side filters 530 and 580. This is to filter the air filtered by the lower surface filter unit 620 once more so that clean air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0 and discharged to the room.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단부에는 베이스프레임(600)이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600)은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를 형성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600)은 상면이 개구된 대략 육각 상자 형상으로 성형되며, 소정의 내부 공간을 확보하도록 성형된다. The base frame 600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frame 300. The base frame 600 is supported while forming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The base frame 600 is shaped into a substantially hexagonal box shape with an upper surface open, and is molded to secure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상기 베이스프레임(600)의 전면은 일부분이 개구되어 상기 전면흡입구(280)가 성형되며, 상기 본체(100)의 전방 공기를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600)의 내부 공간에는 하면필터부(620)가 장착된다. 상기 하면 필터부(620)에는 상기 전면흡입구(280)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의 공기가 다수회 필터링되도록 다수개의 필터가 장착된다.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frame 600 is opened so that the front suction opening 280 is formed, and the front air of the main body 100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The lower surface filter unit 620 is moun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frame 600. The lower filter unit 620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filters so that the air in the room sucked through the front suction port 280 is filtered a plurality of times.

상기 하면필터부(620)의 하단부에는 하면프리필터(622)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100)의 전방 공기가 흡입될 때 공기 중에 포함되어 상기 전면흡입구(280)를 통해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비교적 큰 먼지 및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하면프리필터(622)의 상측에는 하면프리필터(622)에서 필터링되지 못한 비교적 미세한 먼지 및 이물질을 필터링하게 되는 헤파필터(624)가 장착된다. A lower surface prefilter 622 is mount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surface filter part 620 to be included in the air when the front air of the main body 100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front suction port 280. Hepa filter 624 to filter the relatively large dust and foreign matter is sucked, and to filter the relatively fine dust and foreign matter that is not filtered by the lower surface prefilter 622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rface prefilter 622. Is fitted.

상기 헤파필터(624)의 상측에는 헤파필터(624)를 통과하면서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의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세균 및 냄새 입자가 필터링되는 나노필터(626)가 장착된다. The nano filter 626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pa filter 624 to filter fine bacteria and odor particle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that is sucked into the body 100 while passing through the hepa filter 624.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제안하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5 to 7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anti-dust blocking film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이 설치된 전면패널(220)의 후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전면패널(220)의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5에 도시된 전면패널(220)의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anel 220 in which the dust preventing prevention film 235 is installed, FIG. 6 is a left side view of the front panel 220 shown in FIG. 5, and FIG. A right side view of the front panel 220 shown in FIG. 5 is show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220)의 상부 후면상에는 조작부(222)와 관계된 전장부품을 탑재하는 전장케이스(222''')가 나사 등과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on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20, an electrical equipment case 222 '' 'for mounting the electrical components related to the operation unit 222 is attached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전면패널(220)의 후면의 하부에는 전면흡입구(280)를 차폐할 수 있는 차단 수단이 구비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20 is provided with a blocking means for shielding the front inlet 280.

상기 차단 수단은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과,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인 모터(230), 피니언 기어(231), 및 래크기어(rack gear; 232) 등으로 이루어진다. The blocking means includes a motor 230, a pinion gear 231, and a rack gear 232, which are driving means for allow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dust input prevention barrier 235 and the dust input prevention barrier 235. ) And so on.

상기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은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로 이루어진다. 사이즈와 관련하여,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의 가로 방향의 길이는 대략 전면흡입구(280)의 가로 방향 길이와 대응하도록 설계되며, 세로 방향 길이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상에 고정 부착될 래크기어(232, 232')의 길이를 고려하여 적당한 길이를 선택하면 되지만, 래크기어(232, 232')의 길이보다는 길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dust preventing prevention film 235 is formed of a rectangular panel. In relation to the size,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anti-dust barrier 235 is designed to correspond to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front inlet 280, and the longitudinal length is fixedly attached to the anti-dust barrier 235. Although a suitable length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s of the rack gears 232 and 232 ', it may be preferable to design the cable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rack gears 232 and 232'.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의 좌우측 단부상에는 래크기어(232, 232')가 길이 방향으로 각각 설치된다.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dust input prevention barrier 235, the rack gears 232 and 232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래크기어(232, 232')는 기다란 막대형상으로 그 상면에는 톱니바퀴 형상의 소위 치차(233, 233')가 성형되어 있다. The rack gears 232 and 232 'have an elongated rod shape, and so-called gears 233 and 233' having a gear shape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래크기어(23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체결공(232a, 23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공(232a, 232b)을 통하여 조여지는 나사(S)에 의하여 래크기어(232)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의 좌측단부상에 고정된다.Fastening holes 232a and 232b are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rack gear 232, and the rack gear 232 is dust-injected by screws S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32a and 232b. It is fixed on the left end of the anti-blocking film 235.

마찬가지로, 래크기어(23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도 체결공(232'a, 23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공(232'a, 232'b)을 통하여 조여지는 나사(S)에 의하여 래크기어(232')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의 우측단부상에 고정된다.Similarly, fastening holes 232'a and 232'b are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rack gear 232 ', and the screws S are tightene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32'a and 232'b. As a result, the rack gear 232 'is fixed on the right end of the dust input prevention barrier 235.

래크기어(232)의 상방에는 래크기어(232)의 치차(233)과 맞물리는 피니언기어(231)가 위치하며, 래크기어(232')의 상방에도 래크기어(232')의 치차(233')과 맞물리는 피니언기어(231')가 위치한다. The pinion gear 231 meshes with the gear 233 of the rack gear 232 above the rack gear 232, and the rack gear 232 ′ is positioned above the rack gear 232 ′. The pinion gear 231 'meshes with the gear 233'.

한편, 모터(230)는 상기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의 우측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좌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전면패널(220)의 후면 하부의 좌측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터(230)와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미도시)는 전선 등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230)의 동작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otor 230 is fixed to the left end of the lower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220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in a state spaced to the left from the right end edge of the dust injection prevention blocking film 235. Although not shown, the motor 230 and the controller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er are interconnected by wires, etc., and the operation of the motor 23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not shown).

모터(230)의 회전축(미도시)은 피니언기어(231)의 회전축(미도시)과 축결합된다. 따라서, 모터(230)의 구동으로 모터(230)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피니언기어(231) 또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The rotating shaft (not shown) of the motor 230 is axially coupled with the rotating shaft (not shown) of the pinion gear 231. Therefore, when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230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230, the pinion gear 231 also makes a rotational movement.

가로 방향으로 길게 뻗은 봉 형상의 연결축(234)은 피니언기어(231)의 회전축과 피니언기어(231')의 회전축을 상호 연결시켜 모터(230)의 구동력이 피니언기어(231')에도 동일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The rod-shaped connecting shaft 234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terconnects the rotation shaft of the pinion gear 231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pinion gear 231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230 is equally applied to the pinion gear 231'. To be deliver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의 상하 이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dust-injection blocking film 235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이 인가되기 전에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에 의하여 전면흡입구(280)가 차폐되어 있다. First, before the power supply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applied, the front suction opening 280 is shielded by the dust input prevention blocking film 235.

이 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모터(230)에 전력을 공급하며, 전력을 공급받은 모터(230)는 하방으로 향하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In this state, when a power source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applied, the control unit (not shown) supplies power to the motor 230, the motor 230 is supplied with power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directed downward.

모터(230)의 하방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모터(230)의 회전축(미도시)이 회전하게 되면, 모터(230)의 회전축(미도시)과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기어(231) 및 피니언기어(231)와 연결축(234)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기어(231')는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When the rotating shaft (not shown) of the motor 230 is rotated by the downward rotation driving force of the motor 230, the pinion gear 231 and the pinion gear 231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not shown) of the motor 230. And the pinion gear 231 'coupled by the connecting shaft 234 are rotated downward.

피니언기어(231, 231')가 하방으로 회동하면, 피니언기어(231, 231')와 맞물려 있는 치차(233, 233')는 상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게 된다. When the pinion gears 231 and 231 'rotate downward, the gears 233 and 233' meshed with the pinion gears 231 and 231 'receive upward force.

치차(233, 233')가 상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는 것은 치차(233, 233')가 성형된 래크기어(232, 232')도 상방으로 동일한 힘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When the gears 233 and 233 'receive upward force, it means that the rack gears 232 and 232' in which the gears 233 and 233 'are molded also receive the same force upward.

래크기어(232, 232')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래크기어(232, 232')가 상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이동하면,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 또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Since the rack gears 232 and 232 'are fixed to the dust input blocking film 235, when the rack gears 232 and 232' are moved upward, the dust input blocking film 235 is moved. It also moves upwards.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전면흡입구(280)가 완전히 개방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모터(2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When the dust input prevention blocking film 235 moves upward, and the front suction opening 280 is completely opened, the controller (not shown)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230.

모터(230)의 회전 구동력이 차단되면, 피니언기어(231, 231')는 회동을 멈추고, 래크기어(232, 232')의 치차(233, 233')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 또한 그 위치에서 멈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공기조화기가 동작하는 동안, 전면흡입구(28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When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motor 230 is cut off, the pinion gears 231 and 231 'stop rotation and remain engaged with the teeth 233 and 233' of the rack gears 232 and 232 '. Therefore, the dust input prevention blocking film 235 also remains stopped at that position. As a result, the front inlet 280 remains open while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ing.

다음, 공기조화기의 공기 조화 동작을 차단하는 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모터(230)에 신호를 보내어 모터(230)를 다시 구동시킨다. 이때, 모터 (230)의 회전 구동력은 앞에서와 달리 상방으로 향하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모터(230)와 축결합된 피니언기어(231, 231')는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Next, when a signal for blocking the air condition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applied, the controller (not shown) sends a signal to the motor 230 to drive the motor 230 again. At this time,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motor 230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directed upward, unlike the above. Therefore, the pinion gears 231 and 231 'coupled to the motor 230 rotate upward.

피니언기어(231, 231')가 상방으로 회동하면, 피니언기어(231, 231')와 맞물려 있는 치차(233, 233')는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게 된다. When the pinion gears 231 and 231 'rotate upward, the gears 233 and 233' meshed with the pinion gears 231 and 231 'receive downward force.

치차(233, 233')가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는 것은 치차(233, 233')가 성형된 래크기어(232, 232')도 하방으로 동일한 힘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When the gears 233 and 233 'receive downward force, it means that the rack gears 232 and 232' in which the gears 233 and 233 'are molded also receive the same force downward.

래크기어(232, 232')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래크기어(232, 232')가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이동하면,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Since the rack gears 232 and 232 'are fixed to the dust input blocking film 235, when the rack gears 232 and 232' are moved by a downward force, the dust input blocking film 235 moves downward. Will be moved to.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전면흡입구(280)가 완전히 차폐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모터(2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When the dust input prevention blocking film 235 is moved downward and the front suction hole 280 is completely shielded, the controller (not shown)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230.

따라서,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에 의하여 전면흡입구(280)가 완전히 차폐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전면흡입구(280)에 먼지가 쌓이거나, 전면흡입구(280)를 통하여 본체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while the air conditioner is not in use, the front inlet 280 is completely shielded by the dust inlet prevention barrier, so that dust accumulates in the front inlet 280 or inside the main body through the front inlet 280. Foreign matter such as dust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예컨대, 본 발명의 모터(230)를 전면패널(220)의 좌측단부에 설치하는 대신 우측단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motor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t the right end of the front panel 220 instead of being installed at the left end of the front panel 220.

또 다른 예로, 전면패널(220)의 후면에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성형할 수도 있을 것이다. As another example, a guide part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2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ust preventing prevention film 23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특히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면흡입구를 차폐할 수 있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을 제공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input prevention barrier that can shield the front inlet of an air conditioner, particularly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이러한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을 사용하는 경우,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공기조화기의 전면흡입구를 통하여 먼지가 유입되거나 전면흡입구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using such a dust input prevention barrier,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from entering through the front inlet of the air conditioner or accumulating dust on the front inlet while the air conditioner is not used.

따라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면입흡구에 먼지 등이 쌓임으로 인하여 초래될 수 있는 실내 공기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indoor air pollution that may be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dust on the front inlet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Claims (4)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In 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상기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20)과,A front panel 220 forming a front appearance of the stand type air conditioner; 상기 전면패널(20)의 하단부 하측에 형성되어 외기를 흡입하는 전면흡입구(280)와,A front suction hole 280 formed under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20 to suck outside air; 상기 전면패널(220)의 후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흡입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차단 수단을 구비하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을 갖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Stand-typ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on the lower rear of the front panel 220 having a dust inlet prevention barrier having a block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ront in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수단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ocking means, 상기 전면패널(220)의 후면 하부상에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로 이루어진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과,Dust input blocking film 235 made of a rectangular panel disposed on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220, 상기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235)의 후면 좌우측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래크기어(232, 232')와,First and second rack gears 232 and 232 'fixedly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rear left and right ends of the dust preventing prevention film 235, 상기 래크기어(232, 232')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래크기어(232, 232')의 치차와 각각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 1 및 제 2 피니언기어(231, 231')와,First and second pinion gears 231 and 231 ′ disposed above the rack gears 232 and 232 ′ and respectively engaged with gears of the rack gears 232 and 232 ′, respectively; 상기 제 1 및 제 2 피니언기어(231, 231')의 회전축을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축(234)과,A connecting shaft 234 for coupling the rotating shafts of the first and second pinion gears 231 and 231 'to each other; 상기 제 1 및 제 2 피니언기어(231, 231')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을 갖 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And a motor 230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enabl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nion gears (231, 231 ').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모터는 상기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의 우측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좌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전면패널(220)의 후면 하부의 좌측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을 갖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The motor is a stand-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dust input prevention barrier,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to the left from the right end edge of the dust input prevention barrier is fixed to the left end of the lower rear of the front panel (220).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및 제 2 래크기어 각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상기 체결공을 통하여 조여지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래크기어는 상기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을 갖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 is a stand-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dust input prevention b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 is fixed to the dust input prevention barrier by the fastening means tighten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KR1020060007018A 2006-01-23 2006-01-23 Stand type air conditioner with anti-dust barrier Withdrawn KR200700774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018A KR20070077408A (en) 2006-01-23 2006-01-23 Stand type air conditioner with anti-dust b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018A KR20070077408A (en) 2006-01-23 2006-01-23 Stand type air conditioner with anti-dust barr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408A true KR20070077408A (en) 2007-07-26

Family

ID=3850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018A Withdrawn KR20070077408A (en) 2006-01-23 2006-01-23 Stand type air conditioner with anti-dust b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7408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24423B (en) * 2007-10-31 2010-06-02 Lg电子株式会社 Air conditioner
CN109275510A (en) * 2018-09-10 2019-01-29 淮南市润吉生态农业有限公司 A kind of layer transfer device for planting edible mushroom of stable structure
CN115046303A (en) * 2017-01-04 2022-09-13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Rack and cabinet air conditio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24423B (en) * 2007-10-31 2010-06-02 Lg电子株式会社 Air conditioner
CN115046303A (en) * 2017-01-04 2022-09-13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Rack and cabinet air conditioner
CN115046303B (en) * 2017-01-04 2023-11-28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Rack and cabinet air conditioner
CN109275510A (en) * 2018-09-10 2019-01-29 淮南市润吉生态农业有限公司 A kind of layer transfer device for planting edible mushroom of stabl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7306C (en) Integral air conditioner and its front panel
KR100727461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20050056038A1 (en)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and air guide structure thereof
KR20070077408A (en) Stand type air conditioner with anti-dust barrier
KR10074445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758951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60020708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688164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60128765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315542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190026293A (en) window-mounted air purifier
KR100788811B1 (en) Air conditioner
KR100837659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57509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105766B1 (en) Air conditioner and filter control method
KR20030045442A (en)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inlet grill of air conditioner
KR20070077240A (en) Vane driv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KR101178974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68821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162170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158125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70077242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60020591A (en) Air cleaner structure of stand type air conditioner
KR101101424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733792B1 (en) Pipe fix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