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9213A -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Google Patents
승강압형 dc-dc 컨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119213A KR20050119213A KR1020057020272A KR20057020272A KR20050119213A KR 20050119213 A KR20050119213 A KR 20050119213A KR 1020057020272 A KR1020057020272 A KR 1020057020272A KR 20057020272 A KR20057020272 A KR 20057020272A KR 20050119213 A KR20050119213 A KR 200501192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iangle wave
- voltage
- signal
- output
- gener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2—Buck-boost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4)
- 승강압부에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함으로써 소정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승강압부와;상기 출력 전압을 분압하여 얻은 전압값과 소정의 기준 전압 간의 오차를 나타내는 오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오차 신호와 제1 및 제2 삼각파 신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압부가 승압 또는 강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상기 승강압부가 강압 동작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오차 신호와 비교되는 제1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삼각파 발생 회로와;상기 승강압부가 승압 동작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오차 신호와 비교되는 제2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삼각파 발생 회로를 포함하며,상기 제1 삼각파 발생 회로는 생성된 제1 삼각파 신호와 동기화된 클록 신호를 생성하여, 그 생성된 클록 신호를 상기 제2 삼각파 발생 회로에 출력하도록 구성되고,상기 제2 삼각파 발생 회로는 입력 클록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제1 삼각파 신호와 동기화된 제2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여 그 제2 삼각파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제1 삼각파 신호의 하한 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전압(Va)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전압 발생 회로와,상기 제1 삼각파 신호의 상한 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전압(Vb)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2 전압 발생 회로와,상기 제2 삼각파 신호의 상한 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제3 전압(Vc)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3 전압 발생 회로와,상기 제1 및 제2 삼각파 신호의 각각의 전압 변화의 기울기를 설정하는 전류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류 발생 회로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1 삼각파 발생 회로는 상기 제1 전압(Va)과, 제2 전압(Vb), 및 상기 전류 발생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류로부터 상기 제1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상기 제2 삼각파 발생 회로는 상기 제3 전압(Vc), 상기 전류 발생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류, 및 상기 제1 삼각파 발생 회로로부터 출력된 클록 신호로부터 상기 제2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압 발생 회로는 대응하는 제1, 제2 및 제3 전압(Va, Vb, Vc)이 Va<Vb<Vc와 (Vb-Va)>(Vc-Vb)를 만족하도록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압(Va, Vb, Vc)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삼각파 발생 회로는 상기 제2 삼각파 신호의 전압이 상기 제3 전압(Vc)에 도달한 경우에는 제2 삼각파 신호의 전압을 저하시키고, 상기 클록 신호와 동기화하여 제2 삼각파 신호의 전압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압 발생 회로의 각각은 저항기로 소정의 전압을 분압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압(Va, Vb, Vc) 중 대응하는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삼각파 발생 회로는 상기 클록 신호를 상기 제1 삼각파 신호의 하한 전압과 동기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승강압부에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함으로써 소정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승강압부와;상기 출력 전압을 분압하여 얻은 전압값과 소정의 기준 전압 간의 오차를 나타내는 오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오차 신호와 제1 및 제2 삼각파 신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승강압부가 승압 또는 강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상기 승강압부가 강압 동작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오차 신호와 비교되는 제1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삼각파 발생 회로와;상기 승강압부가 승압 동작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오차 신호와 비교되는 제2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삼각파 발생 회로를 포함하며,상기 제2 삼각파 발생 회로는 생성된 제2 삼각파 신호와 동기화된 클록 신호를 생성하여, 그 생성된 클록 신호를 상기 제1 삼각파 발생 회로에 출력하도록 구성되고,상기 제1 삼각파 발생 회로는 입력 클록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제2 삼각파 신호와 동기화된 제1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여 그 제1 삼각파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제1 삼각파 신호의 하한 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전압(Va)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전압 발생 회로와,상기 제2 삼각파 신호의 하한 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전압(Vb)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2 전압 발생 회로와,상기 제2 삼각파 신호의 상한 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제3 전압(Vc)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3 전압 발생 회로와,상기 제1 및 제2 삼각파 신호의 각각의 전압 변화의 기울기를 설정하는 전류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류 발생 회로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1 삼각파 발생 회로는 상기 제1 전압(Va), 상기 전류 발생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류, 및 상기 제2 삼각파 발생 회로로부터 출력된 클록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상기 제2 삼각파 발생 회로는 상기 제2 전압(Vb), 제3 전압(Vc), 및 상기 전류 발생 회로로부터 출력된 전류로부터 상기 제2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압 발생 회로는 대응하는 제1, 제2 및 제3 전압(Va, Vb, Vc)이 Va<Vb<Vc와 (Vb-Va)<(Vc-Vb)를 만족하도록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압(Va, Vb, Vc)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삼각파 발생 회로는 제1 삼각파 신호의 전압이 상기 제1 전압(Va)에 도달한 경우에는 제1 삼각파 신호의 전압을 상승시키고 상기 클록 신호와 동기화하여 제1 삼각파 신호의 전압을 저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압 발생 회로의 각각은 소정의 전압을 저항기로 분압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압(Va, Vb, Vc) 중 대응하는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삼각파 발생 회로는 상기 클록 신호를 제2 삼각파 신호의 상한 전압에 동기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승강압부에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함으로써 소정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승강압부와;상기 출력 전압을 분압하여 얻은 전압값과 소정의 기준 전압 간의 오차를 나타내는 오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오차 신호와 제1 및 제2 삼각파 신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승강압부가 승압 또는 강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상기 승강압부가 강압 동작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오차 신호와 비교되는 제1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삼각파 발생 수단과;상기 승강압부가 승압 동작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오차 신호와 비교되는 제2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삼각파 발생 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제1 삼각파 발생 수단은 생성된 제1 삼각파 신호와 동기화된 클록 신호를 생성하여, 그 생성된 클록 신호를 상기 제2 삼각파 발생 수단에 출력하고,상기 제2 삼각파 발생 수단은 입력 클록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제1 삼각파 신호와 동기화된 제2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여 그 제2 삼각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인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승강압부에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함으로써 소정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승강압부와;상기 출력 전압을 분압하여 얻은 전압값과 소정의 기준 전압 간의 오차를 나타내는 오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오차 신호와 제1 및 제2 삼각파 신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승강압부가 승압 또는 강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상기 승강압부가 강압 동작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오차 신호와 비교되는 제1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삼각파 발생 수단과;상기 승강압부가 승압 동작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오차 신호와 비교되는 제2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삼각파 발생 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제2 삼각파 발생 수단은 생성된 제2 삼각파 신호와 동기화된 클록 신호를 생성하여, 그 생성된 클록 신호를 상기 제1 삼각파 발생 수단에 출력하고,상기 제1 삼각파 발생 수단은 입력 클록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제2 삼각파 신호와 동기화된 제1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여 그 제1 삼각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인 승강압형 DC-DC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123820A JP4054714B2 (ja) | 2003-04-28 | 2003-04-28 | 昇降圧型dc−dcコンバータ |
JPJP-P-2003-00123820 | 2003-04-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9213A true KR20050119213A (ko) | 2005-12-20 |
KR100713797B1 KR100713797B1 (ko) | 2007-05-04 |
Family
ID=3341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2027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3797B1 (ko) | 2003-04-28 | 2004-04-22 |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7391189B2 (ko) |
JP (1) | JP4054714B2 (ko) |
KR (1) | KR100713797B1 (ko) |
CN (1) | CN100409553C (ko) |
WO (1) | WO2004098034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9208B1 (ko) * | 2006-09-28 | 2009-05-27 |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 동기 정류형 스위칭 레귤레이터, 동기 정류형 스위칭레귤레이터의 제어 회로 및 동기 정류형 스위칭레귤레이터의 동작 제어 방법 |
KR101331721B1 (ko) * | 2006-05-05 | 2013-11-20 | 마이크렐 인코포레이티드 | 스위칭 전압 조절기 및 제어 신호 생성 방법 |
KR101367954B1 (ko) * | 2012-12-21 | 2014-02-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이의 스위칭 제어 회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57438B2 (ja) * | 2003-02-04 | 2008-03-05 | ローム株式会社 | 三角波信号の位相同期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
JP4054714B2 (ja) * | 2003-04-28 | 2008-03-05 | 株式会社リコー | 昇降圧型dc−dcコンバータ |
JP2006271182A (ja) * | 2005-02-25 | 2006-10-05 | Rohm Co Ltd | 昇降圧レギュレータ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
JP4381327B2 (ja) * | 2005-03-02 | 2009-12-09 |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Dc−dcコンバータ、dc−dcコンバータ制御装置、電源装置、電子装置及びdc−dcコンバータ制御方法 |
JP2007151340A (ja) * | 2005-11-29 | 2007-06-14 | Ricoh Co Ltd | 昇降圧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
JP4650947B2 (ja) * | 2006-03-30 | 2011-03-16 | 住友電工デバイ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電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光半導体モジュール |
JP2007288851A (ja) * | 2006-04-13 | 2007-11-01 | Ricoh Co Ltd | 最大デューティ制御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dc−dcコンバータならびに電子機器 |
JP4890940B2 (ja) | 2006-05-23 | 2012-03-07 | 株式会社リコー | 昇降圧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
JP5151258B2 (ja) * | 2006-06-15 | 2013-02-27 | 株式会社リコー | 昇圧型dc−dcコンバータ用の半導体装置及び昇圧型dc−dcコンバータ |
JP4976086B2 (ja) | 2006-09-14 | 2012-07-18 | 株式会社リコー | 昇降圧dc−dcコンバータ |
US8228175B1 (en) | 2008-04-07 | 2012-07-24 | Impinj, Inc. | RFID tag chips and tags with alternative behaviors and methods |
US8115597B1 (en) * | 2007-03-07 | 2012-02-14 | Impinj, Inc. | RFID tags with synchronous power rectifier |
JP5235526B2 (ja) * | 2007-06-26 | 2013-07-10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チョッパ型dc−dcコンバータ |
US8026707B2 (en) * | 2007-08-29 | 2011-09-27 |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 Circuit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n in-rush current |
US7888917B2 (en) * | 2008-04-23 | 2011-02-15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a substantially constant output voltage in a power source boost system |
US8326256B1 (en) | 2008-07-15 | 2012-12-04 | Impinj, Inc. | RFID tag with MOS bipolar hybrid rectifier |
JP5300410B2 (ja) * | 2008-10-24 | 2013-09-25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Dc−dcコンバータ及びこのdc−dcコンバータを備えた車両用灯具の電源装置 |
EP2189870A1 (en) * | 2008-11-25 | 2010-05-26 | St Microelectronics S.A. | A switch-mode voltage regulator |
CN101997411B (zh) * | 2009-08-28 | 2015-04-08 | 立锜科技股份有限公司 | 升降压式电源转换器的控制电路及方法 |
WO2011068091A1 (ja) | 2009-12-04 | 2011-06-09 | 日本電気株式会社 | サーバ及びフロー制御プログラム |
CN102136793B (zh) * | 2010-01-21 | 2014-12-03 | 立锜科技股份有限公司 | 频率产生器、相位交错频率同步装置及方法 |
CN102195485B (zh) * | 2010-03-18 | 2015-04-22 | 全汉企业股份有限公司 | 直流转直流转换器 |
US9711962B2 (en) | 2012-07-09 | 2017-07-18 | Davide Andrea | System and method for isolated DC to DC converter |
JP2014222969A (ja) * | 2013-05-13 | 2014-11-27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電圧変換装置 |
CN103633627A (zh) * | 2013-11-07 | 2014-03-12 |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 一种四开关Buck-Boost变换器的过压保护控制方法及控制电路 |
JP6145038B2 (ja) * | 2013-12-26 | 2017-06-07 | 株式会社東芝 | Dc−dcコンバータ、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
JP2015177613A (ja) * | 2014-03-14 | 2015-10-05 |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 昇降圧コンバータ装置 |
TW201545454A (zh) * | 2014-05-30 | 2015-12-01 | Wistron Corp | Llc諧振式電源轉換器 |
US10044354B2 (en) | 2016-07-11 | 2018-08-07 | Ricoh Company, Ltd. | I/O cell |
JP6744781B2 (ja) * | 2016-08-10 | 2020-08-19 | ローム株式会社 |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及び集積回路パッケージ |
CN106100335A (zh) * | 2016-08-15 | 2016-11-09 | 北京飞跃新能科技有限公司 | 电压变换的方法及装置 |
WO2025048252A1 (ko) * | 2023-08-28 | 2025-03-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75985A (ja) * | 1992-03-27 | 1993-10-22 | Sanyo Electric Co Ltd | ランプ波発生回路 |
US5402060A (en) * | 1993-05-13 | 1995-03-28 | Toko America, Inc. | Controller for two-switch buck-boost converter |
US5914591A (en) * | 1996-12-25 | 1999-06-22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Switching power supply |
JP3190914B2 (ja) | 1998-12-01 | 2001-07-23 | セミコンダクター・コンポーネンツ・インダストリイズ・エルエルシー | 昇降圧型dc/dcコンバータ |
JP2001086740A (ja) | 1999-09-16 | 2001-03-30 | Toshiba Corp | Dc−dcコンバータ装置 |
US6166527A (en) * | 2000-03-27 | 2000-12-26 |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maintaining high efficiency in a buck-boost switching regulator |
JP2003180072A (ja) * | 2001-08-07 | 2003-06-27 | Seiko Instruments Inc | 昇降圧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制御回路及び昇降圧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
JP4764997B2 (ja) | 2001-08-28 | 2011-09-07 | 富士電機株式会社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の制御回路 |
JP4054714B2 (ja) * | 2003-04-28 | 2008-03-05 | 株式会社リコー | 昇降圧型dc−dcコンバータ |
JP2006006004A (ja) * | 2004-06-16 | 2006-01-05 | Ricoh Co Ltd | 昇降圧型dc−dcコンバータ |
-
2003
- 2003-04-28 JP JP2003123820A patent/JP405471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04-22 KR KR1020057020272A patent/KR10071379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4-22 CN CNB2004800115404A patent/CN100409553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4-22 US US10/554,404 patent/US739118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4-22 WO PCT/JP2004/005756 patent/WO200409803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
- 2008-01-25 US US12/010,539 patent/US757003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1721B1 (ko) * | 2006-05-05 | 2013-11-20 | 마이크렐 인코포레이티드 | 스위칭 전압 조절기 및 제어 신호 생성 방법 |
KR100899208B1 (ko) * | 2006-09-28 | 2009-05-27 |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 동기 정류형 스위칭 레귤레이터, 동기 정류형 스위칭레귤레이터의 제어 회로 및 동기 정류형 스위칭레귤레이터의 동작 제어 방법 |
KR101367954B1 (ko) * | 2012-12-21 | 2014-02-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이의 스위칭 제어 회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781237A (zh) | 2006-05-31 |
JP4054714B2 (ja) | 2008-03-05 |
KR100713797B1 (ko) | 2007-05-04 |
CN100409553C (zh) | 2008-08-06 |
US7570034B2 (en) | 2009-08-04 |
US20060208718A1 (en) | 2006-09-21 |
WO2004098034A1 (en) | 2004-11-11 |
US20080211474A1 (en) | 2008-09-04 |
JP2004328964A (ja) | 2004-11-18 |
US7391189B2 (en) | 2008-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3797B1 (ko) | 승강압형 dc-dc 컨버터 | |
US7501802B2 (en) | DC-DC converting method and apparatus | |
KR101168488B1 (ko) | 충전 제어 회로 | |
US7522432B2 (en) | Switching regulator and control circuit and method used therein | |
US7368900B2 (en) | Constant voltage circuit and constant current source, amplifier, and power supply circuit using the same | |
KR101243595B1 (ko) | 다출력 전원 장치 | |
US7443147B2 (en) | DC-DC converter with step-up and step-down control capable of varying the offset voltage of the PWM triangle | |
KR100718905B1 (ko) | Dc-dc 컨버터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 |
US20080116869A1 (en) | Voltage rising/falling type switching regulat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10011576A (ja) |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 |
JP4487649B2 (ja) | 昇降圧型dc−dcコンバータの制御装置 | |
CN112821762A (zh) | 控制电路及升压电路 | |
JP2009071950A (ja) | 定電流出力制御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 |
JP2013243875A (ja)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 |
CN115378246B (zh) | 具有过冲保护的开关电源 | |
JP3757219B2 (ja) | チャージポンプ回路 | |
JP2004173386A (ja) | 制御回路、dc−dcコンバータ及び電子機器 | |
Huang et al. | Adaptive frequency control technique for enhancing transient performance of DC-DC converters | |
JP6863789B2 (ja) |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 |
JP5829089B2 (ja) | スイッチング電源の制御回路、制御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スイッチング電源および電子機器 | |
CN118487461A (zh) | 功率变换器及其斜坡信号产生器及斜坡信号产生方法 | |
JP2011055707A (ja) | 昇降圧型dc−dcコンバー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510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