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26743A - 전자식 도어록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도어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743A
KR20050026743A KR1020030062364A KR20030062364A KR20050026743A KR 20050026743 A KR20050026743 A KR 20050026743A KR 1020030062364 A KR1020030062364 A KR 1020030062364A KR 20030062364 A KR20030062364 A KR 20030062364A KR 20050026743 A KR20050026743 A KR 20050026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member
rotational force
force transmission
lock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주현
Original Assignee
박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한 filed Critical 박영한
Priority to KR1020030062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6743A/ko
Publication of KR2005002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74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식 도어록장치를 해체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하면서 도어를 자동으로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자식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일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록킹부재, 및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록킹부재를 출몰시키고 중심부에 하우징의 전,후면으로 개방된 관통홀이 형성된 록킹부재 작동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며 배터리가 내장되는 내부 몸체;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며,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키패드가 전면에 장착된 외부 몸체; 내부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록킹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 내부 몸체에 내장되어 제어회로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 구동하는 구동모터; 내부 몸체에 내장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 및 감속기와 치합되고 록킹부재 작동구와 축 결합되어, 감속기의 회전력을 록킹부재 작동구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식 도어록장치{Door lock apparatus of electronic type}
본 발명은 전자식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기계식 도어록장치를 해체시키지 않고 그대로 활용하면서 도어를 자동으로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된 전자식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내를 출입하기 위한 도어에는 외부인이 무단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록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도어록장치에는 기계식 도어록장치와 전자식 도어록장치가 있으며 이들은 별도의 독립된 장치로서 단순히 도어의 개폐나 보안에 관한 기능만을 수행한다.
전술한 기계식 도어록장치는 도어의 내,외부에서 레버 또는 열쇠 등을 이용하여 록킹 및 록킹해제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식 도어록장치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열쇠를 항상 지니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열쇠를 분실하는 경우에는 도어의 개방이 어렵고, 타인이 쉽게 도어를 개방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계식 도어록장치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열쇠 등이 필요치 않은 전자식 도어록장치를 설치하여 널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자식 도어록장치는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키패드(Keypad), 지문 인식기, 카드 리더기(Card Reader) 등을 이용해 출입자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처럼, 전자식 도어록장치는 출입자 인증과정이 전기, 전자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기계식 도어록장치에 비해 높은 보안성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종래의 전자식 도어록장치에 대한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19541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 공개특허에 개시된 종래의 전자식 도어록장치는, 도어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키뭉치(110)와, 키뭉치(110)와 연계하여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몸체(120)와, 키뭉치(110)와 연계하여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며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40)가 장착된 외부 몸체(130), 및 내부 몸체(120)와 외부 몸체(13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122)(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키뭉치(110)의 내부에는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렛치볼트(114)와,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록킹부재(116), 및 록킹부재(116)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150)가 설치된다.
한편, 렛치볼트(114)는 록킹부재(116)와는 무관하게 내,외부 몸체(120)(13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122)(132)의 회전에 의해 작동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전자식 도어록장치의 경우 몇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먼저, 설치하고자 하는 도어에 기존 기계식 도어록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도어의 일부를 천공하여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그만큼 작업시간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치하고자 하는 도어에 기존 기계식 도어록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크기가 다르면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설치하고자 하는 전자식 도어록장치의 크기가 기존 기계식 도어록장치보다 큰 경우에는 설치공간을 확장함으로써 설치가 가능하나, 설치하고자 하는 도어록장치의 크기가 기존 기계식 도어록장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설치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설치하고자 하는 도어에 기존 기계식 도어록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기존 도어록장치를 완전히 해체하고 그 자리에 설치하게 되므로, 해체한 기존 도어록장치는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할 수밖에 없어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전자식 도어록장치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식 도어록장치를 해체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하면서 도어를 자동으로 록킹하거나 록킹상태를 해제하도록 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자식 도어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장치는, 도어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일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록킹부재, 및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록킹부재를 출몰시키고 중심부에 하우징의 전,후면으로 개방된 관통홀이 형성된 록킹부재 작동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며 배터리가 내장된 내부 몸체;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며,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키패드가 전면에 장착된 외부 몸체; 내부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록킹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 내부 몸체에 내장되어 제어회로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 구동하는 구동모터; 내부 몸체에 내장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 및 감속기와 치합되고 록킹부재 작동구와 축 결합되어, 감속기의 회전력을 록킹부재 작동구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장치는, 도어(2)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며 도어(2)를 록킹하거나 록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록킹부재(102)와 렛치볼트(104)가 출몰 가능하게 내장된 록킹본체(100)와, 도어(2)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몸체(200)와, 도어(2)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된 외부 몸체(300), 및 내부 몸체(200)와 외부 몸체(3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렛치볼트(104)를 출몰시키는 손잡이(400)(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록킹본체(100)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01)과, 하우징(101) 내에 일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2)를 록킹시키거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는 록킹부재(102)와, 하우징(1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록킹부재(102)를 전,후진시키는 록킹부재 작동구(103)와, 하우징(101) 내에 일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2)의 록킹상태를 유지시키는 렛치볼트(104), 및 하우징(1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렛치볼트(104)를 전,후진시키는 렛치볼트 작동구(105)로 구성된다.
이 때, 록킹부재(102)의 단부는 하우징(10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문틀의 내측에 형성된 제1빗장홈(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도어(2)를 록킹하며, 렛치볼트(104) 역시 단부가 하우징(10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문틀의 내측에 형성된 제2빗장홈(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도어(2)의 닫힌 상태를 유지시킨다.
록킹부재 작동구(103)의 중심부에는 하우징(101)의 전,후면으로 개방되며 후술할 회전력 전달부(204)의 회전력 전달축(2042)이 축 결합되는 전달축 관통홀(1031)이 형성되며, 이 전달축 관통홀(1031)의 내측에는 회전력 전달축(2042) 단부에 형성된 헛돎 방지홈(2045)과 맞물려 회전력 전달축(2042)의 헛돎을 방지하는 한 쌍의 헛돎 방지돌기(1032)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록킹부재 작동구(103)의 측부에는 록킹부재(102)를 전후진시키고자 할 때 록킹부재(102)의 후단부 일측에 형성된 제1걸림홈(1021)에 삽입되는 제1걸림돌부(1033)가 일체로 연장된다.
따라서, 록킹부재 작동구(103)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걸림돌부(1033)가 제1걸림홈(1021)의 후방벽을 가압하여 록킹부재(102)를 후진시키므로, 록킹부재(102)의 단부가 문틀의 제1빗장홈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도어(2)의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반대로, 도어(2)의 록킹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록킹부재 작동구(103)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걸림돌부(1033)가 제1걸림홈(1021)의 전방벽을 가압하여 록킹부재(102)를 전진시키므로, 록킹부재(102)의 단부가 하우징(10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제1빗장홈에 삽입됨에 따라 도어(2)가 록킹된다.
한편, 렛치볼트 작동구(105)의 중심부에는 후술할 손잡이(400)(400′)의 작동축(401)(401′)을 서로 연결하여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축(403)이 관통되는 사각의 연동축 관통홀(1051)이 형성된다.
그리고, 렛치볼트 작동구(105)의 일측에는 렛치볼트(104)를 후진시키고자 할 때 렛치볼트(104)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2걸림홈(1041)에 걸리는 제2걸림돌부(1052)가 일체로 돌출되며, 타측에는 제1스프링(106)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후방으로 가압되는 피가압돌부(1053)가 일체로 돌출된다.
따라서, 도어(2)를 개방하지 않을 때에는 제1스프링(106)의 탄성력에 의해 피가압돌부(1053)가 후방으로 가압되어 항상 후방측에 위치되며, 이와 반대로 제2걸림돌부(1052)는 항상 전방측에 위치되므로, 렛치볼트(104)는 후방의 제2스프링(107)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렛치볼트(104)의 단부는 하우징(10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문틀의 제2빗장홈에 삽입됨에 따라 도어(2)의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반면, 도어(2)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고 도어(2)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400)(400′)를 회전시키면 렛치볼트 작동구(105)는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걸림돌부(1052)가 제2걸림홈(1041)의 후방벽을 후방으로 가압하므로, 렛치볼트(104)는 후진하게 되고, 렛치볼트(104)의 단부는 제2빗장홈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2)를 잡아당기기만 하면 도어(2)는 열린다.
전술한 내부 몸체(200)는, 도 1과 도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록킹부재(10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201)와, 제어회로부(201)의 제어에 의해 정역 구동하는 구동모터(202)와, 구동모터(202)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203)와, 감속기(203)와 치합되고 록킹부재 작동구(103)와 축 결합되어 감속기(203)의 회전력을 록킹부재 작동구(103)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204), 및 구동모터(202)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205)가 내장된다.
이 때, 구동모터(202) 및 감속기(203)는 내부 몸체(200)의 내측 배면에 지지구(206)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지지구(206)는 구동모터(202) 및 감속기(203)가 고정되는 고정패널(2061)과, 고정패널(2061)을 내부 몸체(200)의 내측 배면에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2062)로 구성된다.
그리고, 감속기(203)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피니언(2031)(2032)(2033)(2034)으로 구성되되, 구동모터(202)의 구동축(2021)에 축 결합되는 구동풀리(2022) 측으로부터 회전력 전달부(204) 측으로 가면서 직경이 커지는 순서로 치합되므로 회전력 전달부(204)로 전달되는 구동모터(202)의 회전력이 충분히 감속된다.
회전력 전달부(204)는, 감속기(203)의 출력측 피니언(2034)과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력 전달기어(2041)와, 일단부는 회전력 전달기어(2041)의 중심에 장착되고 타단부는 록킹부재 작동구(103)의 전달축 관통홀(1031)에 축 결합되는 회전력 전달축(2042), 및 회전력 전달기어(2041)의 가장자리로부터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2043)(2043′)로 구성된다.
이 때, 회전력 전달기어(204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감속기(203)의 출력측 피니언(2034)과 맞물리는 기어니(2044)는 연장부(2043)(2043′)를 기준으로 한 쪽에만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력 전달기어(2041)는 연장부(2043)(2043′) 사이에 형성된 기어니(2044)의 범위 내에서만 감속기(203)의 출력측 피니언(2034)과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회전력 전달축(2042)은 제어회로부(201)와 후술할 외부 몸체(300)의 키패드(3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선이 통과되도록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력 전달축(2042)의 타단부에는 록킹부재 작동구(103)의 헛돎 방지돌기(1032)와 맞물림으로써 회전력 전달축(2042)의 헛돎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헛돎 방지홈(2045)이 이격 형성되고, 회전력 전달축(2042)의 일단부 소정위치에는 내부의 신호선을 외부로 드레인하기 위한 신호선 관통홀(2046)이 형성된다.
배터리(205)는 내,외부 몸체(200)(300)에 구비되는 각 기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 내부 몸체(200)의 상측 전면부에 형성된 배터리홈(207)에 삽입되며, 이 배터리홈(207)은 배터리커버(208)에 의해 차폐된다.
한편, 회전력 전달기어(2041)의 상방에는 회전력 전달기어(2041) 회전시 연장부(2043)(2043′)를 각각 감지하여 구동모터(202)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회로부(201)로 신호를 전달하는 한 쌍의 감지센서(209)(209′)가 좌우로 이격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력 전달기어(2041)가 감속기(203)의 출력측 피니언(2034)과 맞물려 회전할 때, 회전력 전달기어(2041)의 기어니(2044) 일단부가 출력측 피니언(2034)과 맞물리게 되면 타측 감지센서(209′)가 타측 연장부(2043′)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므로 구동모터(202)는 정지하게 되며, 마찬가지로 기어니(2044)의 타단부가 출력측 피니언(2043)과 맞물리게 되면 일측 감지센서(209)가 일측 연장부(2043)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어 구동모터(202)는 정지한다.
그리고, 내부 몸체(200)의 전면부에는 실내에서 록킹부재(102)를 전,후진시켜 도어를 록킹하거나 록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록/언록(Lock/Unlock)키(210)가 설치된다.
또한, 내부 몸체(200)의 상단부에는 외부에서의 키입력을 차단하여 도어(2)를 열 수 없게 하는 세이프티(Safety)키(211)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세이프티키(211)는 온/오프(On/Off)를 통해 외부에서의 키입력을 차단하거나 차단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한편, 내부 몸체(200)의 하측 전면부와 배면부에는 후술할 손잡이(400)의 작동축(401)과 연동축(403)의 일단이 관통되는 관통홀(212)(213)이 각각 형성된다.
전술한 외부 몸체(300)는, 도 1,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에 외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301)가 장착되고, 하측 전면부에 후술할 손잡이(400′)의 작동축(401′)과 연동축(403)의 타단이 관통되는 관통홀(302)(303)이 각각 형성된다.
이 때, 키패드(301)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3011)와, 비밀번호 설정시 숫자키(3011)로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제어회로부(201)에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완료를 알려주기 위한 기능과 외출시 도어(2)를 잠그는 기능을 위한 설정키(3012)와, 비밀번호 조작의 시작과 종료를 알려주기 위한 시작/종료키(3013), 및 초인종 기능을 위한 벨키(3014) 등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손잡이(400)(4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몸체(200)와 외부 몸체(300)의 전면부에 형성된 관통홀(212)(30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연동축(403)의 양단이 각각 삽입 결합되는 고정홈(401a)이 각각 형성된 작동축(401)(401′)과, 작동축(401)(401′)의 타단에 장착되어 손으로 파지하도록 된 파지부(402)(402′)로 구성된다.
이 때, 연동축(403)의 단면은 렛치볼트 작동구(105)의 연동축 관통홀(1051)의 형상에 대응되게 사각으로 형성되며, 작동축(401)(401′)의 고정홈(401a) 역시 사각의 단면형상을 갖는다.
한편, 미설명부호 304는 외부 몸체(300)의 키패드(301)를 차폐하는 커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장치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도어를 록킹시킨 상태에서 외출한 후 귀가하면, 먼저 외부 몸체(300)의 전면에 장착된 키패드(301)의 시작/종료키(3013)를 누르고, 숫자키(3011)를 이용해 비밀번호를 입력한 다음, 시작/종료키(3013)를 다시 한번 눌러주게 된다.
이 때, 비밀번호가 제어회로부(201)에 미리 입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게 되면 제어회로부(201)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202)가 작동하게 되며, 이 구동모터(202)의 회전력은 감속기(203)에서 충분히 감속된 후, 회전력 전달부(204)를 통해 록킹부재 작동구(103)로 전달된다.
이처럼 구동모터(202)의 구동력이 록킹부재 작동구(103)로 전달되면, 록킹부재 작동구(103)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걸림돌부(1033)가 제1걸림홈(1021)의 후방벽을 가압하여 록킹부재(102)를 후진시킴으로써 록킹부재(102)의 단부가 문틀의 제1빗장홈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도어(2)의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 회전력 전달부(204)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력 전달기어(2041)의 가장자리에 연장된 연장부(2043)(2043′)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한 후 감지센서(209)(209′)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회로부(201)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202)가 정지되며, 그에 따라 회전력 전달부(204)의 회전이 정지됨에 따라 록킹부재(102)는 일정거리 후진된 상태에서 후진을 정지하게 된다.
그런데, 키패드(301)를 통해 입력한 비밀번호가 제어회로부(201)에 미리 입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회로부(201)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202)가 구동하지 않으므로 도어(2)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한편, 키패드(301)를 통해 입력한 비밀번호가 제어회로부(201)에 미리 입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여 도어(2)의 록킹상태가 해제된 후, 사용자가 외부 몸체(300)에 장착된 손잡이(400′)를 회전시키면, 렛치볼트 작동구(105)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걸림돌부(1052)가 제2걸림홈(1041)의 후방벽을 후방으로 가압하므로, 렛치볼트(104)는 후진하게 되고, 렛치볼트(104)의 단부는 제2빗장홈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2)를 잡아당기기만 하면 도어(2)가 열린다.
그리고, 사용자가 옥내에 있는 상태에서 도어(2)의 록킹상태를 계속해서 해제시켜 놓으려면 록/언록키(210)를 조작하면 되고, 도어(2)가 잠겨진 상태에서 세이프티키(211)를 온시켜두면 다른 사람이 옥외에서 키패드(301)를 조작하여 도어(2)를 열려고 해도 록킹부재(102)가 작동하지 않게 되며, 도어(2)가 잠겨진 상태에서 세이프티키(211)를 오프시켜두면 다른 사람이 옥외에서 키패드(301)를 조작하여 도어(2)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전자식 도어록장치에 따르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식 도어록장치를 해체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하면서 도어를 자동으로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하여,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본체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몸체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몸체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몸체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몸체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몸체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식 도어록장치 100 : 록킹본체
101 : 하우징 102 : 록킹부재
103 : 록킹부재 작동구 104 : 렛치볼트
105 : 렛치볼트 작동구 200 : 내부 몸체
201 : 제어회로부 202 : 구동모터
203 : 감속기 204 : 회전력 전달부
205 : 배터리 206 : 지지구
207 : 배터리홈 208 : 배터리커버
209, 209′: 감지센서 300 : 외부 몸체
301 : 키패드 400, 400′: 손잡이

Claims (5)

  1. 도어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일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록킹하거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록킹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록킹부재를 출몰시키고 중심부에 상기 하우징의 전,후면으로 개방된 관통홀이 형성된 록킹부재 작동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며 배터리가 내장된 내부 몸체;
    상기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며,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키패드가 전면에 장착된 외부 몸체;
    상기 내부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록킹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
    상기 내부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제어회로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내부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와 치합되고 상기 록킹부재 작동구와 축 결합되어, 상기 감속기의 회전력을 상기 록킹부재 작동구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상기 감속기의 출력측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력 전달기어; 및
    일단부는 상기 회전력 전달기어의 중심에 장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록킹부재 작동구의 관통홀에 축 결합되는 회전력 전달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축은 상기 키패드와 상기 제어회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선이 관통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기어의 가장자리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의 연장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 전달기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감속기와 맞물리는 기어니는 상기 연장부를 기준으로 한 쪽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몸체 내에서 상기 회전력 전달기어의 상방에 좌우 이격 설치되어, 상기 회전력 전달기어의 회전시 상기 연장부를 각각 감지하며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회로부로 전송하는 한 쌍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장치.
KR1020030062364A 2003-09-06 2003-09-06 전자식 도어록장치 Ceased KR20050026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364A KR20050026743A (ko) 2003-09-06 2003-09-06 전자식 도어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364A KR20050026743A (ko) 2003-09-06 2003-09-06 전자식 도어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743A true KR20050026743A (ko) 2005-03-16

Family

ID=3738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364A Ceased KR20050026743A (ko) 2003-09-06 2003-09-06 전자식 도어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67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6955A (en) Door latch/lock control
US6216502B1 (en) Keyless locking system
CN115199147A (zh) 改进的门锁
KR100543831B1 (ko)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KR100415054B1 (ko) 감속기어 조합체가 구비된 도어록 장치
KR20050026743A (ko) 전자식 도어록장치
JP2005139853A (ja) 電子式ドアロック装置
KR20050026744A (ko) 비상용 전자식 도어록장치
KR20050026745A (ko) 도난사고 방지형 전자식 도어록장치
KR20100067217A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0574687B1 (ko)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키뭉치
KR200334303Y1 (ko) 수동 및 전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KR200224925Y1 (ko) 자동잠금기능과 침입탐지 경보기능을 가진 도어잠금장치
KR20110058032A (ko)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KR200374168Y1 (ko) 디지털 도어록의 전동 모티스
JP2005139854A (ja) 非常用電子式ドアロック装置
JP2005139855A (ja) 盗難事故防止型電子式ドアロック装置
JP3751097B2 (ja) 電気錠及び電気錠に使用する箱錠操作装置
CN115045564B (zh) 一种电子球形房门锁
JP3219824U (ja) 扉開閉装置
KR200247077Y1 (ko) 감속기어 조합체가 구비된 도어록 장치
KR100574688B1 (ko) 전자식 도어록 장치
KR200292162Y1 (ko) 디지털 도어 록킹장치의 실내측 레버 무부하 회전장치
KR100448080B1 (ko)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KR100469556B1 (ko)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3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