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00954A -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지문인식 방향 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지문인식 방향 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954A
KR20040000954A KR1020020035987A KR20020035987A KR20040000954A KR 20040000954 A KR20040000954 A KR 20040000954A KR 1020020035987 A KR1020020035987 A KR 1020020035987A KR 20020035987 A KR20020035987 A KR 20020035987A KR 20040000954 A KR20040000954 A KR 20040000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input
registration
key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위현
이석근
최승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5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0954A/ko
Priority to US10/607,110 priority patent/US7162059B2/en
Priority to CNB031490948A priority patent/CN100518224C/zh
Publication of KR2004000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95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8Fingerprint track pad, i.e. fingerprint sensor used as pointing device tracking the fingertip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Inpu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지문센서를 이용하여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의 입력을 대신 할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의 록킹 여부에 따라 지문 또는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해제를 하고 록킹이 않되었거나 해제되면 키 또는 지문 입력을 받아 키입력설정모드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초기확인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지문에 의한 등록모드에 있으면 동일 지문을 1회이상 입력을 하여 초기등록을 하는 처음 등록, 변경을 위하여 지문을 입력하는 등록 지문 입력, 추가등록을 위한 지문추가등록, 등록된 지문의 삭제를 위한 지문삭제를 하는 등록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지문인증모드에 있으면 동일 지문에 입력에 의해 확인을 하고 지문 인증모드가 아니면 입력된 지문에 대해 부영역의 방향성을 추출하여 추출방향값에 따라 방향키의 선택방향에 대한 신호로 출력하여 이에 따른 제어를 하는 방향처리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버턴형 방향키의 기능을 대체하는 지문입력센서에 의해 손가락을 입력하는 위치에 따라 버턴형 방향키와 동일한 기능을 하게 하므로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방향을 선택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있어 구성을 단순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지문인식 방향 선택 방법{METHOD FOR NEVIGATION KEY USING SENSOR OF FINGERPRINT IDENTIFICATION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 선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문센서를 이용하여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의 입력을 대신 할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지문인식 방향 선택 방법에 관한것이다.
현재의 이동통신단말기(이하 "휴대폰" 이라 칭함)는 양질의 벨음과 음악, 카메라 기능등의 추가에 이어 차세대 휴대폰의 기능으로 생체인식을 이용한 개인인증 휴대폰과 GPS(Global Position System)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 개인인증 휴대폰으로 지문인식을 이용한 방법은 국내 공개 특허 공보 제 1998-058342호에 개시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지문 및 정보를 기억시켜 두고 입력되는 감지된 지문이 있으면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기억된 지문과 일치되면 휴대폰의 사용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므로 불법 타인의 사용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종래 휴대폰의 사용에 있어 지문을 인증을 위하여 사용자의 엄지의 지문을 입력할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있으면서 같이 쉽게 가장 많이 조작시킬수 있는 기능키는 메뉴 선택키로 이는 상기 메뉴선택 뿐만 아니라 메뉴 항목사이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상.하 또는 좌.우의 네방향으로 된 버턴형 방향키(Nevigation)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문 인식기능과 버턴형 방향키를 같이 결합시킨 구성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 미국 특허 제 6,298,230 B1호 에서 그예를 살펴볼수 있다. 이기술은 버턴형 방향키의 작동표면상에 별도의 지문인식센서를 결합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 별도의 지문인식모듈과 방향키를 수행키 위한 모듈이 같이 실장되므로 부품수가 증가되어 많은 다양한 기능의 추가와 점점 소형화되는 휴대폰의 실장 공간의 확보에 한계가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문 입력으로 부터 사용자 인증과 상기 지문의 치우침에 따라 방향을 결정하여 기존의 버턴형 방향키의 기능을 대신 할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문센서를 이용하여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의 입력을 대신 할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의 록킹 여부에 따라 지문 또는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해제를 하고 록킹이 않되었거나 해제되면 키 또는 지문 입력을 받아 키입력설정모드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초기확인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지문에 의한 등록모드에 있으면 동일 지문을 1회이상 입력을 하여 초기등록을 하는 처음 등록, 변경을 위하여 지문을 입력하는 등록 지문 입력, 추가등록을 위한 지문추가등록, 등록된 지문의 삭제를 위한 지문삭제를 하는 등록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지문인증모드에 있으면 동일 지문에 입력에 의해 확인을 하고 지문 인증모드가 아니면 입력된 지문에 대해 부영역의 방향성을 추출하여 추출방향값에 따라 방향키의 선택방향에 대한 신호로 출력하여 이에 따른 제어를 하는 방향처리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버턴형 방향키의 기능을 대체하는 지문입력센서에 의해 손가락을 입력하는 위치에 따라 버턴형 방향키와 동일한 기능을 하게 하므로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방향을 선택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있어 구성을 단순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외형도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블록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문입력센서에서 얻은 이미지에 따른 특정 영역 추출법에 의한 처리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경 분리 추출법에 의한 지문센서의 처리예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별 추출법에 의한 지문센서의 처리예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 각도별 추출법에 의한 지문센서의 처리예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 중심법에 의한 지문센서의 처리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외형도로서,
10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지문으로 부터 지문인증기능과 방향선택기능을 동시에 감지 할수 있는 지문감지부이다.
도 2은 도 1의 내부 블록도로서, 이구성은 휴대폰의 내부 일반적인 구성으로 단, 지문감지부(10)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해 별도로 추가되어 있으며, 이는 키입력부(40)와는 별도의 기존의 버튼 형 방향키의 기능과 사용자의 지문입증을 위한 지문입력을 동시에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는 않고 있지만 도 2의 ADC(20)에 압력감지센서를 추가로 설치하여 지문의 패턴입력과 동시에입력을 센싱하도록 하여 최적의 값을 입력으로 결정하면 더욱 더 정확한 선택된 방향 값의 입력을 센싱할수 있다.
도 3a ~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지문인증과 지문감지에 의한 방향키처리 흐름도로서,
핸드폰의 전원이 온되어 초기화를 거쳐 록(Rock)이 설정되어 있으면 해제를 위해 지문 또는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동일 지문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동일 지문 또는 비밀번호의 입력으로 확인이 되면 키입력 또는 지문입력으로 부터 키입력 설정모드에 있는 가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키입력 설정모드에 있으면서 지문 메뉴가 아니면 키입력에 따른 해당처리를 하고 상기 지문 메뉴이면 지문등록으로 처음 등록인가를 확인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처음 등록이면 제1 및 제2지문을 입력하여 상호 비교하여 동일하면 해당지문에 대해 등록을 완료하고 상기 처음등록이 아니면 등록할 지문을 입력 받아 이전등록된 지문과 일치하여 같으면 지문 변경 인가를 확인하여 변경할 지문을 선택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지문변경이 아닐시 지문 추가등록 인가를 확인하여 추가등록일 때 추가 등록할 지문을 선택하며 추가등록이 아니고 지문 삭제이면 등록된 지문을 삭제하는 제5과정과,
상기 키 입력 설정모드가 아니고 지문인증모드에 있으면 입력된 지문에 대해지문인증처리를 하여 동일 지문으로 확인이 될 때 인증을 완료하며 상기 지문인증이 아니면 상기 입력된 지문에 대해 부 영역의 방향성을 추출하여 선택방향을 처리하는 제 6과정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문입력센서에서 얻은 이미지에 따른 특정 영역 추출법에 의한 처리 예시도로써,
9개의 블록으로 나눈후에 각좌, 우, 상,하의 값을 더하여 가장 근값을 선택하는 것으로 이를 하기 수식으로 나타낼수 있으며, 여기서 220*220 픽셀중에서 각각 5*5픽셀의 값을 평균을 내어 9군대 중에서 치중하여 많은 쪽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PUP=Position[10,10]+Position[110,10]+Position[100,10]
PLIFT=Position[10,10]+Position[10,110]+Position[10,200]
PDOWN=Position[10,200]+Position[110,200]+Position[200,200]
PRIGHT=Position[200,10]+Position[200,110]+Position[200,200]
(4a)는 좌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고, (4b)는 우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며, (4c)는 상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고, (4d)는 하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경 분리 추출법에 의한 지문센서의 처리예시도로써,
도 4의 방법과 유사하나 블록의 개수를 픽셀전체를 다 검사하는 방법이다. 수식은 아래와 같다.
(5a)는 좌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고, (5b)는 우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며, (5c)는 상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고, (5d)는 하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별 추출법에 의한 지문센서의 처리예시도로써,
45도 식 100픽셀을 읽어 합하여 25픽셀값 이상이 축을 선택하여 더한 값의 최고 값을 선택함으로써 좌.우 및 상.하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UP=Position[45]+Position[90]+Position[135]
PLIFT=Position[135]+Position[180]+Position[225]
PDOWN=Position[225]+Position[270]+Position[315]
PRIGHT=Position[315]+Position[0]+Position[45]
(6a)는 좌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고, (6b)는 우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며, (6c)는 상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고, (6d)는 하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 각도별 추출법에 의한 지문센서의 처리예시도로써,
15도식 100픽셀을 읽어 합하여 25픽셀 값 이상이 축을 선택하여 좌우 상하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7a)는 좌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고, (7b)는 우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며, (7c)는 상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고, (7d)는 하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 중심법에 의한 지문센서의 처리예시도로써,
25 픽셀간격으로 x,y축의 각 픽셀을 읽어 합하여 가장 큰값의 x,y값이 대각선의 4부분 중 어느 곳에 속하느냐를 보고 상하 좌우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즉, x,y의 각각의 가장 큰값을 선택하여 교차점의 위치로 상하 좌우를 분석한다.
(8a)는 좌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고, (8b)는 우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며, (8c)는 상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고, (8d)는 하측방향의 입력키에 대한 이미지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예를 도 1에서 도 8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첫째 핸드폰이 록킹(Locking)이 되어 있을시 이를 자신의 지문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해제하는 기능과, 둘째로 핸드폰에 타인의 사용을 금지하도록 자신의 지문을 등록하는 기능과, 셋째로 자신의 지문을 인증하여 타인의 사용을 막도록 하는 기능과, 넷째로 지문에 의한 방향판단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1) 록킹해제기능
핸드폰이 전원이 온상태가 되고(301), 초기화가 구현되면(303), CPU(50)는 허락된 타인이 사용을 할수 없도록 하는 록킹의 설정여부를 (305)과정에서 체킹한다. 여기서 록이 설정되어 있으면 (307)과정에서 지문 또는 비밀번호의 입력모드 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307)과정에서 비밀번호의 입력모드이면 비밀번호의 입력을 받아 기 등록된 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여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 (307)과정에서 지문입력모드이면 (309)과정에서 지문입력을 받아 (311)과정에서 지문처리를 한다. 상기 처리된 지문이 (313)과정에서 이전 등록된 지문과 동일 한지를 확인하여 일치되면이후 핸드폰은 누구나 제대로 사용할수 있는 상태로 된다.
2) 지문등록기능
상기 록킹이 해제되면 핸드폰은 어떤 기능의 키입력도 받아 들일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315)과정에서 키입력 또는 지문입력을 받아 들일수 있게 된다. (315)과정의 키 입력으로부터 (321)과정에서 키입력모드를 확인하여 여기에 있으면 지문등록을 위한 것으로 (361)과정에서 확인한다.
상기 (321)과정에서 확인결과 지문메뉴가 아니면 키입력에 따른 해당기능을 수행하고, 지문메뉴로 되어 있으면 (363)과정에서 지문등록으로 (365)과정에서 처음등록인가를 확인한다. 처음등록이면 (367),(369)와 (371),(373)과정을 거치면서 2회 정도 상태가 좋은 동일 지문을 입력받아 (375)과정에서 일치되면 (376)과정에서 처음 등록 지문으로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 지문등록 모드에서 처음등록이 아니면 (377)과정에서 지문을 입력 받아 (379)과정에서 기등록된 지문과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일치할시 (381)과정에서 지문변경인가를 확인한다.
상기 과정에서 지문변경이면 변경할 지문을 선택하고 지문변경이 아니고 (385)과정에서 지문추가등록이면(387)과정에서 추가할 지문을 선택하여 상기 한 (367)과정에서 (376)과정을 거치면서 추가 또는 변경할 지문에 대해 등록을 완료하고 대기를 한다. 그러나 상기 (385)과정에서 지문 추가등록이 아니면 (389)과정에서 지문삭제를 위한 지정인지를 확인한다. 지문삭제이면 (391)과정과 (393)과정을 거치면서 삭제할 지문을 선택하여 삭제시킨다.
3) 지문인증
(321)과정에서 키입력 설정모드가 아닐 때 (333)과정에서 지문인증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335)과정에서 지문인증처리로 (337)과정에서 지문된 입력에 대해 동록된 지문과 동일지문인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동일지문이 아닐때 (327),(329),(331)과정을 거치면서 n회 사용자의 지문을 재입력을 요구하여 지문인증을 하고 동일 지문이 아닐 때 (325)과정에서 지문인증실패를 통보한다.
4) 지문에 의한 방향선택
상기 (333)과정에서 지문인증모드가 아니면 (339)과정에서 입력된 지문의 이미지로부터 부영역의 방향성을 추출한다.
상기 (339)과정의 방향성 추출은 도 4에 서 도 8의 예시와 같은 방법에 따라 구현할수 있되, 이들 방법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다. 여기서 방향성의 추출값에 의해 (341),(345),(349),(353)과정에서 상(A),하(B), 좌(C),우(D)의 방향값을 확인하여 (343),(347),(351),(355)과정에서 방향값을 처리하고 처리결과를 표시한다. 또한 그 외 다른 방향값(E)으로 (357)과정에서 확인될 때 그에 따른 해당 기능을 처리하며, 아닐 때 (361)과정에서 에러를 경보하고 방향선택을 위한 지문의 재입력을 욕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입력센서가 장착된 휴대 전화기에서 기존의 버턴형 방향키의 기능을 대체하여 지문입력센서에 손가락을 입력하는 위치에 따라 버턴형 방향키와 동일한 기능을 하게 함으로써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부품을 통합하여 부품수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지문입력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지문 또는 키입력 설정모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지문의 입력이 있을시 사용자 본인의 지문을 인증하여 타인의 사용을 막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지문인증이 아닐시 입력된 지문에 대해 부영역의 방향성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값에 의한 방향값을 판단하여 방향처리를 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지문인식 방향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입력시 지문의 패턴과 누름의 압력과 동시에 이루워지도록 압력센서를 더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지문인식 방향 선택 방법.
  3. 지문입력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지문이 입력되어 지문입력센서의 작동이 사용자 인증모드일 때 지문이미지를 처리하여 사용자의 본인 여부를 인증하게 되는 과정과,
    상기 인증모드가 아니고 방향키 입력모드 일때 입력된 지문이미지의 부영역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된 이미지에서 일정크기의 부영역으로 분할한 후 각 방향의 이미지처리 결과에 따라 이 값을 이용하여 전체 지문 입력에 대해 지문 이미지가 어떤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된 방향을 방향키의 선택방향에 대한 신호로 출력하여 이에 따른 제어를 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지문인식 방향 선택 방법.
  4. 지문입력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록킹 여부에 따라 지문 또는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해제를 하고 록킹이 않되었거나 해제되면 키 또는 지문 입력을 받아 키입력설정모드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초기확인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지문에 의한 등록모드에 있으면 동일 지문을 1회이상 입력을 하여 초기등록을 하는 처음 등록, 변경을 위하여 지문을 입력하는 등록 지문 입력, 추가등록을 위한 지문추가등록, 등록된 지문의 삭제를 위한 지문삭제를 하는 등록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지문인증모드에 있으면 동일 지문에 입력에 의해 확인을 하고 지문 인증모드가 아니면 입력된 지문에 대해 부영역의 방향성을 추출하여 추출방향값에 따라 방향키의 선택방향에 대한 신호로 출력하여 이에 따른 제어를 하는 방향처리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지문인식 방향 선택 방법.
KR1020020035987A 2002-06-26 2002-06-26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지문인식 방향 선택 방법 Ceased KR20040000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987A KR20040000954A (ko) 2002-06-26 2002-06-26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지문인식 방향 선택 방법
US10/607,110 US7162059B2 (en) 2002-06-26 2003-06-25 Method for implementing a navigation key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fingerprint recognition
CNB031490948A CN100518224C (zh) 2002-06-26 2003-06-26 在移动通信终端中基于指纹识别来实现导航键功能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987A KR20040000954A (ko) 2002-06-26 2002-06-26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지문인식 방향 선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954A true KR20040000954A (ko) 2004-01-07

Family

ID=3419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987A Ceased KR20040000954A (ko) 2002-06-26 2002-06-26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지문인식 방향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62059B2 (ko)
KR (1) KR20040000954A (ko)
CN (1) CN100518224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2077A1 (en) * 2003-06-30 2005-01-06 Mobisol Pointing device having fingerprint image recognition function, fingerprint image recognition and pointing method, and method for providing portable terminal service using thereof
WO2006071061A1 (en) * 2004-12-29 2006-07-06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KR100780358B1 (ko) * 2007-01-12 2007-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입출력 화면의 변경 장치 및 방법
US10051177B2 (en) 2014-09-02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 of camera module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6809A (ko) * 2003-05-21 2007-03-08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지문센서내장 휴대 단말장치
US20040239648A1 (en) 2003-05-30 2004-12-02 Abdallah David S. Man-machine interface for controlling access to electronic devices
US7280677B2 (en) * 2003-10-10 2007-10-09 Authentec,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ngerprint sensor and display having selectable menu items and associated methods
JP4023469B2 (ja) * 2004-04-09 2007-12-19 村田機械株式会社 方向指示装置
US8131026B2 (en) * 2004-04-16 2012-03-06 Validity Senso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ingerprint image reconstruction
KR20060031506A (ko) * 2004-10-08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나침반을 이용한 잠금 장치 및 방법
KR100674441B1 (ko) * 2004-11-25 2007-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지문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및 방법
JP4290691B2 (ja) * 2005-11-28 2009-07-08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D545769S1 (en) * 2006-02-17 2007-07-03 Stora Enso Ab Switch
JP4767723B2 (ja) * 2006-03-03 2011-09-07 富士通株式会社 指紋認証装置、指紋認証方法、指紋認証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JP4127842B2 (ja) * 2006-06-05 2008-07-30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KR100856203B1 (ko) * 2006-06-27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1005353B (zh) * 2006-12-29 2010-06-23 北京飞天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定位和导航功能的智能密钥设备
EP1986161A1 (en) * 2007-04-27 2008-10-29 Italdata Ingegneria Dell'Idea S.p.A. Data survey device, integrated with a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CN101689244B (zh) * 2007-05-04 2015-07-22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紧凑设备的基于相机的用户输入
EP2731037B1 (en) * 2007-09-24 2019-08-07 Apple Inc.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US8600120B2 (en) 2008-01-03 2013-12-03 Apple Inc. Personal computing device control using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JP5287855B2 (ja) * 2008-06-04 2013-09-11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入力制御方法
TWI416419B (zh) * 2009-01-16 2013-11-21 Chi Mei Comm Systems Inc 導航鍵功能實現系統及方法
CN102292731A (zh) * 2009-01-30 2011-12-21 精密生物测定股份公司 受密码保护的安全设备
US8866347B2 (en) 2010-01-15 2014-10-21 Idex Asa Biometric image sensing
US8421890B2 (en) 2010-01-15 2013-04-16 Picofield Technologies, Inc. Electronic imager using an impedance sensor grid array and method of making
US8791792B2 (en) 2010-01-15 2014-07-29 Idex Asa Electronic imager using an impedance sensor grid array mounted on or about a switch and method of making
EP2596478B1 (en) * 2010-07-19 2019-09-04 Risst Ltd. Fingerprint sensors and systems incorporating fingerprint sensors
KR101684970B1 (ko) * 2010-08-18 2016-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815932B2 (ja) * 2010-10-27 2015-11-1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11165963B2 (en) 2011-06-05 2021-11-0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an application in a locked device
US8769624B2 (en) 2011-09-29 2014-07-01 Apple Inc. Access control utilizing indirect authentication
US9002322B2 (en)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KR101160681B1 (ko) 2011-10-19 2012-06-28 배경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EP2836960B1 (en) 2012-04-10 2018-09-26 Idex Asa Biometric sensing
US20130298224A1 (en) * 2012-05-03 2013-11-07 Authentec,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inger sensor having a valid authentication threshold time period and related methods
KR101710771B1 (ko) 2012-05-18 2017-02-27 애플 인크. 지문 센서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2930195B (zh) * 2012-09-26 2016-12-2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通过指纹共享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JP5958319B2 (ja) * 2012-12-13 2016-07-2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9898642B2 (en) 2013-09-09 2018-02-2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KR102201738B1 (ko) * 2014-02-05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17543A (ko) * 2014-04-10 2015-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증 관리 방법 및 장치
US9483763B2 (en) 2014-05-29 2016-11-0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ES2948641T3 (es) * 2015-02-16 2023-09-15 Huawei Tech Co Ltd Método, aparato y terminal de procesamiento de eventos de huellas dactilares
KR102475820B1 (ko) * 2015-07-07 2022-12-08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25083A (ko) * 2015-08-27 2017-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지문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5335724B (zh) * 2015-10-30 2018-12-25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基于指纹识别的窗口调整方法及装置和终端
SE1551620A1 (en) * 2015-12-10 2017-06-11 Fingerprint Cards Ab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finger movement with selection of navigation subareas
CN105791696B (zh) * 2016-04-05 2019-03-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指纹拍照方法、装置及移动终端
DK179186B1 (en) 2016-05-19 2018-01-15 Apple Inc REMOTE AUTHORIZATION TO CONTINUE WITH AN ACTION
CN106201067A (zh) * 2016-06-29 2016-12-0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触控装置、显示控制方法、显示控制装置和终端
DK179471B1 (en) 2016-09-23 2018-11-26 Apple Inc. IMAGE DATA FOR ENHANCED USER INTERACTIONS
US10530770B2 (en) 2017-06-28 2020-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ssure-based authentication
KR102185854B1 (ko) 2017-09-09 2020-12-02 애플 인크. 생체측정 인증의 구현
JP6736686B1 (ja) 2017-09-09 2020-08-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生体認証の実施
US11170085B2 (en) 2018-06-03 2021-11-09 Apple Inc.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US10656827B2 (en) 2018-06-29 2020-05-19 Synaptics Incorporated Sensor device scanning techniques to determine fast and/or slow motions
US11100349B2 (en) 2018-09-28 2021-08-24 Apple Inc. Audio assisted enrollment
US10860096B2 (en) 2018-09-28 2020-12-08 Apple Inc. Device control using gaze information
CN111404565B (zh) * 2020-03-12 2022-11-11 西安蜂语信息科技有限公司 对讲机控制方法及装置
EP4264460A1 (en) 2021-01-25 2023-10-25 Apple Inc.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US12210603B2 (en) 2021-03-04 2025-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enrolling a biometric feature
US12216754B2 (en) 2021-05-10 2025-02-0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thenticating to perform secure operatio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8930A (ja) * 1993-01-08 1995-07-04 Toshiba Corp 表面形状センサ、並びにそれを用いた個体認証装置および被起動型システム
KR970071189A (ko) * 1996-04-30 1997-11-07 김광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장치 및 방법
KR19980058342A (ko) * 1996-12-30 1998-09-25 구자홍 지문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구비한 핸드폰
JP2001155137A (ja) * 1999-11-25 2001-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型電子機器
US6298230B1 (en) * 1997-12-16 2001-10-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Radio-operated communications terminal with navigation ke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7580B1 (en) * 1996-09-30 2005-09-20 Dalton Patrick Enterprises, Inc. Pointing device with biometric sensor
ES2154034T3 (es) * 1997-11-07 2001-03-16 Swisscom Ag Procedimiento, sistema y dispositivo para la autentificacion de personas.
GB9814398D0 (en) * 1998-07-02 1998-09-02 Nokia Mobile Phones Ltd Electronic apparatus
US6853988B1 (en) * 1999-09-20 2005-02-08 Security First Corporation Cryptographic server with provisions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cryptographic systems
US6754364B1 (en) * 1999-10-28 2004-06-2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fingerprinting digital data
KR100771258B1 (ko) * 2000-05-09 2007-10-2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본인 인증 시스템과 본인 인증 방법 및 휴대 전화 장치
US6677929B2 (en) * 2001-03-21 2004-01-13 Agilent Technologies, Inc. Optical pseudo trackball controls the operation of an appliance or machine
DE10120067C1 (de) 2001-04-24 2002-06-13 Siemens Ag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JP4243675B2 (ja) * 2001-05-10 2009-03-2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無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商取引システム
US6970580B2 (en) * 2001-10-17 2005-11-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video im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8930A (ja) * 1993-01-08 1995-07-04 Toshiba Corp 表面形状センサ、並びにそれを用いた個体認証装置および被起動型システム
KR970071189A (ko) * 1996-04-30 1997-11-07 김광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장치 및 방법
KR19980058342A (ko) * 1996-12-30 1998-09-25 구자홍 지문인식을 이용한 보안기능을 구비한 핸드폰
US6298230B1 (en) * 1997-12-16 2001-10-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Radio-operated communications terminal with navigation key
JP2001155137A (ja) * 1999-11-25 2001-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型電子機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2077A1 (en) * 2003-06-30 2005-01-06 Mobisol Pointing device having fingerprint image recognition function, fingerprint image recognition and pointing method, and method for providing portable terminal service using thereof
WO2006071061A1 (en) * 2004-12-29 2006-07-06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KR100780358B1 (ko) * 2007-01-12 2007-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입출력 화면의 변경 장치 및 방법
US10051177B2 (en) 2014-09-02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 of camera module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
US10341554B2 (en) 2014-09-02 2019-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 of camera module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84425A (zh) 2004-03-24
CN100518224C (zh) 2009-07-22
US20050041841A1 (en) 2005-02-24
US7162059B2 (en)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0095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지문인식 방향 선택 방법
US965265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nger sensor having orientation based authentication and related methods
KR101574513B1 (ko) 패스워드로 디바이스 모션을 사용하는 방법
US8149089B2 (en) Method for unlocking a locked computing device and computing device thereof
US8316436B2 (en) User-defined multiple input mode authentication
KR100597152B1 (ko)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장치
EP1418486B1 (en) Fingerprint-based authentication apparatus
US9224029B2 (en) Electronic device switchable to a user-interface unlocked mode based upon a pattern of input motions and related methods
TWI507910B (zh) 基於欺騙偵測之可切換至使用者介面解鎖模式之電子裝置及相關方法
KR20100060192A (ko) 휴대 단말 장치의 방향 센서를 이용한 잠금 기능 제어 장치및 방법
US20130067566A1 (en) Device to perform authentication according to surround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US20110070864A1 (en) Secure Access to Restricted Resource
WO2007119818A1 (ja) 機能ロック解除システム、機能ロック解除方法、および機能ロック解除用プログラム
JP4826234B2 (ja) 顔認証装置、セキュリティ強度変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32746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475306B (zh) 用于移动装置的用户接口
JP2006191245A (ja) ダイヤルロック機能認証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EP3567501B1 (en) Electronic device
EP3593269B1 (en) Methods for enrolling a user and for authentication of a user of an electronic device
JP6852508B2 (ja) 携帯端末装置、その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69838B1 (ko) 다이얼식 가상 보안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장치
WO2018164630A1 (en) Methods for enrolling a user and for authentication of a user of an electronic device
KR20100066331A (ko)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한 잠금상태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장치
JP4879089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3004227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 잠금해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3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328

Appeal identifier: 2005101000385

Request date: 20050121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2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5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5041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221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528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121

Effective date: 20060328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6032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50121

Decision date: 20060328

Appeal identifier: 2005101000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