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34971A - 자기 유도에 의해 가열가능한 복합 캡슐형 베이스를 갖는스테인레스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자기 유도에 의해 가열가능한 복합 캡슐형 베이스를 갖는스테인레스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971A
KR20020034971A KR1020010068210A KR20010068210A KR20020034971A KR 20020034971 A KR20020034971 A KR 20020034971A KR 1020010068210 A KR1020010068210 A KR 1020010068210A KR 20010068210 A KR20010068210 A KR 20010068210A KR 20020034971 A KR20020034971 A KR 20020034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additional
caps
cookware
me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2867B1 (ko
Inventor
월터 카르토씨
Original Assignee
월터 카르토씨
이녹시아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터 카르토씨, 이녹시아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월터 카르토씨
Publication of KR2002003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86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캡슐형 베이스를 갖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10; 10A)는, 통상의 스테인레스 캡(20)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금속 캡(24; 24, 28)을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캡(20, 24; 20, 24, 28)은 높은 자기 투과성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추가 캡(24)은 통상의 캡(20)에 대해 연결되고, 다른 추가의 캡(28)은 각각 통상의 캡(20)에 최소한 근접하는 추가 캡(24)에 대해 연결되고, 추가의 캡(24, 28)을 서로에 대해 그리고 통상의 캡(20)에 영구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22; 22, 26)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자기 유도에 의해 가열가능한 복합 캡슐형 베이스를 갖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STAINLESS STEEL COOKING UTENSIL WITH COMPOSITE CAPSULAR BASE HEATABLE BY MAGNETIC INDUCTION}
본 발명은 소위 "캡슐형" 베이스가 구비된 스테인레스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가열가능한 형태의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레스 조리기구가 처음 출현한 이래, 통상의 조리기구에 비해 각종 장점을 제공하고 있지만, 열원에 놓일 때, 전체 베이스에 걸쳐 충분하게 균일한 열 분포를 이루지 못하여, 베이스 내측 온도는 다른 영역과 비교해서, 열원과 직접 접촉하는 베이스의 영역이 상당히 높다는 결점을 명백히 나타내고 있다.
이 결점을 피하기 위해서 조리기구의 베이스를 양호한 열전도성의 금속(실제, 알루미늄 또는 구리)의 층으로 표면을 덮는 시도가 있었다. 이는 이탈리아 출원 IT-A-965732 에 개시된 과정에 의해 간단하고, 실제로 저렴한 방법으로 달성되고 있다. 이 과정은 기본적으로, 실제 조리기구 베이스의 외면에 양호한 열전도성 금속(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의 적절한 두께와 직경의 원형 플레이트를 중앙에 위치시키는 단계, 플레이트의 융융점에 근접하지만 그 이하 온도로 결합부를 가열하는 단계, 및 이 방법으로 얻어진 조리기구 베이스의 구성 부품 사이에 영구적 접속이 얻어지도록 결합부를 적정한 압력(바람직하게는 충격압력)으로 인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해결안은 조리기구 전체 베이스에 걸쳐 양호한 열 분포를 달성하지만, 얼마 후 알루미늄 또는 구리층의 외면이 불쾌한 외관을 나타내는 결점을 가지며, 이 또한 장시간 지루한 청소 작업에 의해서만 본래 외관이 회복된다.
이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전도성 물질 중 하나는 아니지만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의 박층 또는 "캡(cap)" 에 양호한 열전도성 금속의 외층을 완전하게 덮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 층이 매우 얇기 때문에, 열전달과 열분포를 상당히 방해하지는 못한다.
이런 형태의 조리기구는, 양호한 열전도성 물질의 층이 실제 조리기구의 스테인레스 베이스와 상기 외측 스테인레스 "캡" 사이를 완전히 에워싼다는 점에서 캡슐형 베이스 조리기구로 알려져 있다.
간단하고 실용적인 방법으로 이런 형태의 조리기구를 제조하기 위해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조리기구의 캡슐형 베이스의 각종 요소를 완전히 상호 접착시키는 과정은, 압력 가열에 의한 이탈리아 출원 IT-A-965732에 개시되어 있다. 후자 과정에는 얇은 스테인레스 시이트의 캡을 상기 알루미늄판 중앙에 위치시키는 단계, 금속판의 융융점에 근접하지만 그 이하의 온도로 결합부를 가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얼마 전 조리기구에 높은 자기 투과성 금속(특히 스테인레스 형태)의 베이스를 구비하고 적절한 자기장(자기 유도에 의해 발생하는 가열)을 유발할 수 있는 장치 위에 이 조리기구를 위치함으로써 음식물 조리에 상당한 에너지 절약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었다.
따라서, 높은 자기 투과성의 스테인레스 시이트(조리기구를 제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테인레스는 낮은 자기 투과성을 갖는 것에 주목할 것이다)로부터 얻어진 외측 캡을 그 베이스에 간단히 사용함으로써, 자기 유도에 의해 가열할 수 있는 캡슐형 베이스를 구비한 조리기구를 제조하는 것이 시도되었고, 이들조리기구는 통상적인 열원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심각한 결점을 생산된 조리기구가 높은 자기 투과성 스테인레스(예컨대 AISI 430)의 캡 제조 동안 상당한 비틀림 또는 뒤틀림(warping)의 결점을 경험하고, 이는 조리기구 사용시 반복된 가열의 결과로서, 캡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범위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런 형태의 공지된 조리기구의 결점을 나타내지 않고 자기 유도에 의해 가열할 수 있는, 캡슐형 베이스를 구비한 스테인레스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은, 캡슐형 베이스를 갖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베이스는 통상의 스테인레스 캡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금속 캡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캡은 높은 자기 투과성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추가 캡은 통상의 캡에 대해 연결되고, 다른 추가의 캡은 최소한 통상의 캡에 근접하는 추가 캡에 대해 연결되고, 추가의 캡을 서로에 대해 그리고 통상의 캡에 영구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스테인레스 조리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하나 이상의 추가의 캡 중 적어도 하나가 높은 자기 투과성의 스테인레스로 형성되는 조리기구는, 자기 유도에 의해 가열가능한 공지된 조리기구의 전술한 결점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 점에서, 높은 자기 투과성 스테인레스 층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캡은 컵 형상이기 때문에 캡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캡에 긴밀하게 연결되며, 조리기구의 장시간 사용후에도 조리기구 베이스는 그 사용을 절충하거나 자기유도에 의한 가열 효율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범위까지 인식할 수 있는 비틀림 또는 뒤틀림이 나타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캡(높은 자기 투과성 금속으로 이루어짐)을 제외하곤, 수 개의 추가 캡을 구비하는 경우, 나머지 추가 캡은 구리, 은 또는 티타늄 등과 같은 높은 자기 투과성 금속이 아닌 금속, 또는 통상의 조리기구용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편리하게 자기 유도에 의한 높은 열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서, 높은 자기 투과성의 추가 캡을 최외측에 형성한다. 그러나, 통상의 캡과 같이 최내측 캡을 높은 자기 투과성 금속으로 형성하는 반면, 최외측 캡을 낮은 자기 투과성 금속으로 형성하는 반대 상황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외관상 이유 또는 더 균일한 열 분포를 바로 얻기 위해서, 최외측 캡을 구리나 은, 또는 티타늄(실제 조리기구에 이루어지고, 공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조리기구에 사용되는 낮은 자기 투과성의 스테인레스 보다 용이하게 부식하는 높은 자기 투과성 스테인레스 보다 상당히 큰 내식성을 가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자의 경우 무게와 높은 자기 유도 가열 효율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낮은 자기 투과성 금속의 최외측 캡은 편리하게 가능한 최소 두께를 가질 수 있다.
DE-C-2258795 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과정이 본 발명의 조리기구를 형성하기 위해 추가의 캡을 종래 캡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캡의 금속은 전술한 제조 과정에 의해 캡이 이음되지 않으므로, 캡 사이의 전술한 고정 수단은 두 개의캡을 서로 이음하도록 두 캡의 용융점 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는 금속의 상대적 층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리기구의 캡슐형 베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간단한 납땜으로 각종 캡을 서로 이음할 수 있으므로 공지된 압력 가열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에 주목할 것이다. 이 경우, 인접 캡 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는 물질의 매개층은 납땜 물질(용접 합금) 자체이다.
하부 물질을 투시하도록, 최외측 추가 캡(하나 이상의 추가 캡이 될 수 있음)은 미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관통 개구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 또한 주목할 것이다. 높은 자기 투과성 금속의 캡으로 제조되면, 이들 관통 개구는 유도 열 효율을 상당히 불리하지 않은 위치와 치수를 갖는 것이 편리하다. 최외측 캡 아래 물질이 캡 물질과 유사한 외관을 갖고 상기 방법이 캡슐형 베이스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어도, 상기 관통 노치, 개구 또는 구멍의 윤곽을 따라 형성하는 약간 중공형태의 가시선(visible line)(절개에 의한 선과 유사)에 의해 미적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이들 관통 개구는 동일한 평면 형상과 치수이지만, 외측 캡에 사용된 시이트와 상이한 금속 스트립으로 채워질 수 있고, 이는 특별한 장식 효과(결정된 제조업자의 생산과 차별화하는 기능을 또한 수행함)가 얻어지도록 한다.
추가 캡은 일 평면에 놓이는 원형 외측 가장자리를 통상적으로 갖는다. 그러나, 전체가 원형이지만, 이 가장자리는 원주와 상이하게 상기 평면에서 출현하는 형태, 예컨대 사인꼴,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또는 혼합파의 규칙 또는 불규칙한 파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최외측 추가 캡은 통상의 캡으로 완전히 덮을 수 있고 또는 그 외측 가장자리가 노출되어 보이도록 한다. 최내측 추가 캡에 대한 다른 추가 캡에도 적용될 수 있다. 모든 또는 일부의 캡의 외측 가장자리가 보이면, 캡의 외측면 가시 접선방향 평면은 연결선에 강조된 계단 또는 언더컷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거칠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청소를 더욱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주어진 일부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하게 된다. 본원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리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리기구의 우측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과 유사한 것으로서, 두 개의 추가 캡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조리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캡의 비원형의 가시적인 외측 가장자리를 갖는 도 1 및 도 2의 다른 조리기구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리기구12 : 조리부
14 : 베이스16 : 측벽
18 : 금속층20, 24, 28 : 캡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기구(10)는 조리기구를 제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스테인레스의 실제 조리부(12)로 구성되고, 실제 조리부(12)는 베이스(14) 및 측벽(16)을 갖고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기구(10)는 실제 조리부(12)의 스테인레스 베이스(14) 뿐 아니라, 양호한 열전도성 금속층(18)을 구비하는 복합 캡슐형 베이스를 나타내며, 이 층(18)은 베이스(14)와 조리기구용 통상의 스테인레스로 형성된 통상의 외측 캡(20)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종래 조리기구의 캡슐형 베이스와 비교해서, 조리기구(10)의 캡슐형 베이스에는 통상적인 캡(20)의 금속과, 높은 자기 투과성 형태의 통상적인 캡(24)의 금속 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는 추가의 금속층(22)이 존재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그 사이가 금속층(22)으로 채워진 두 개의 캡(20)(24)은 (낮은 자기 투과성의) 조리기구용 통상의 스테인레스와 높은 자기 투과성의 스테인레스의 캡으로 각각 제조되고, 금속층(22)은 편리하게 알루미늄이 될 수 있다.
압력 가열식(통상의 캡 뿐만 아니라 추가의 캡에 적합함)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조리기구(10)의 복합 캡슐형 베이스가 얻어질 수 있다. 간단한 땜질에 의해 조리기구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대안이 있고, 이 경우 금속층(22)은 납땜 금속 자체가 된다.
도 3의 실시예(10A)(조리기구(10)와 같거나 유사한 요소가 동일 참조번호에 의해 지시됨)는 제2 추가 캡(28)을 구비하고 있다. 조리기구(10A)의 복합 캡슐형 베이스가 압력 가열식의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는 가정하에서, 두 개의 추가 캡의 구성 금속의 용융점을 초과하지 않는 용융점을 갖는 금속(26)의 층에 의해 제2 추가 캡(28)이 제1 추가 캡(24)에 이음되어 있다.
자기 유도 가열 효율의 차원에서 최외측 추가 캡(28)은 높은 자기 투과성 금속이거나, 또는 추가의 캡(28)(24)은 이 금속(예컨대 높은 자기 투과성 AISI 430 스테인레스)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은 자기 투과성 스테인레스는 조리기구용 통상의 스테인레스보다 내식성이 작으므로, 즉 최외측 추가 캡은 부식성 큰 금속(예컨대, 조리기구용 통상의 스테인레스, 또는 내부식성으로 알려진 티타늄)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보호되는) 최내측 추가 캡은 높은 자기 투과성 금속(특히 이 특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으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구로 형성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특별한 외관 또는 컬러가 주어지는 경우에도 이런 해결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구리, 티타늄, 놋쇠, 니켈 또는 은 등의 최외측 추가 캡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높은 열전도성의 금속은, 캡슐형 베이스의 전체 외면에 걸쳐 열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장점이 있다. 높은 자기 유도 열효율의 조리기구를 얻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높은 자기 투과성 금속의 추가 캡을 구비하는, 특히 이들 추가의 캡을 매우 얇게 형성함으로써, 조리기구를 형성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으므로, 두 개,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높은 자기 투과성 캡을 갖는 캡슐형 베이스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여러 금속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은 높은 자기 투과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예비 성형 복합 플레이트(preformed composite plate)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캡이 제조될 수 있다.
최외측 추가 캡(예컨대 도 1의 캡(24) 및 도 2의 캡(28))은 다양한 형태의 노치, 개구 또는 관통공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미 기술하였고, 추가 캡이 상이하면(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조리기구 베이스의 외면에 장식적 구조 또는 모티프(motif)를 유발할 수 있는 하부 금속이 노출된다. 이들 후자는, 예컨대 최외측 추가 캡이 스테인레스이고 하부 금속이 구리 또는 놋쇠와 같이 확실히 다른 색깔의 금속일 경우 특히 명백하다.
도 4 및 도 5의 조리기구(도 1 및 도 2의 조리기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가 동일 참조번호로 지시됨)는, 각종 캡의 외측 가장자리가 원형과 다른 형태를 갖는 사실이 유일한 차이이다. 이 형태는 전체가 원형의 폐쇄 라인을 이루고, 상상과 가능성에 의해 제한되는 각종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슐형 베이스는 통상의 스테인레스 캡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금속 캡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캡은 높은 자기투과성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추가 캡은 통상의 캡에 대해 연결되고, 다른 추가의 캡은 각각 통상의 캡에 최소한 근접하는 추가 캡에 대해 연결되고, 상기 추가의 캡을 서로에 대해 그리고 통상의 캡에 영구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높은 자기 투과성 스테인레스의 캡 제조 동안 비틀림 또는 뒤틀림의 결점을 제거하여 자기 유도에 의해 가열가능한 조리기구를 제공한다.

Claims (12)

  1. 캡슐형 베이스를 갖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10; 10A)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베이스는 통상의 스테인레스 캡(20)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금속 캡(24; 24, 28)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캡(20, 24; 20, 24, 28)은 높은 자기 투과성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추가 캡(24)은 통상의 캡(20)에 대해 연결되고, 다른 추가의 캡(28)은 각각 통상의 캡(20)에 최소한 근접하는 추가 캡(24)에 대해 연결되고, 상기 추가의 캡(24, 28)을 서로에 대해 그리고 통상의 캡(20)에 영구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22; 22, 2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측 추가 캡(24; 28)은 높은 자기 투과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측 추가 캡(24; 28)은 높은 내식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높은 자기 투과성 금속의 상기 추가 캡(24) 또는 추가 캡(24, 28)은 적절한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캡슐형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압력 가열 과정이 사용되지만, 이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영구적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게 하는 금속으로 캡이 이루어지며, 상기 캡(20, 24; 20, 24, 28)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두 개의 인접 캡 사이에 개재되고 상대적 캡의 금속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는 금속층(22; 22, 2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납땜 과정이 캡슐형 베이스 형성에 사용되면, 상기 캡을 서로 영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납땜 물질 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캡은 여러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예비 성형 복합 시이트(preformed composite sheet)로부터 형성되며, 이들 층 중 적어도 하나는 높은 자기 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측 추가 캡(24; 28)은 관통 개구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별개 캡(24, 20; 28, 24, 20)의 외측 가장자리의 형태는, 볼 수 있다면, 원주로부터 편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캡(24, 20; 28, 24, 20)의 가시적인 외측 가장자리는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파동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캡은 최내측 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완전히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캡의 전부 또는 일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볼 수 있다면, 이들 캡의 가시적인 외측면의 접선방향 평면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조리기구.
KR1020010068210A 2000-11-02 2001-11-02 자기 유도에 의해 가열가능한 복합 캡슐형 베이스를 갖는스테인레스 조리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0812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00A002372 2000-11-02
IT2000MI002372A IT1319079B1 (it) 2000-11-02 2000-11-02 Recipiente di cottura di acciaio inossidabile con fondo capsularecomposto riscaldabile per induzione magnetic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971A true KR20020034971A (ko) 2002-05-09
KR100812867B1 KR100812867B1 (ko) 2008-03-11

Family

ID=1144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2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2867B1 (ko) 2000-11-02 2001-11-02 자기 유도에 의해 가열가능한 복합 캡슐형 베이스를 갖는스테인레스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576876B2 (ko)
EP (1) EP1203553B1 (ko)
KR (1) KR100812867B1 (ko)
AT (1) ATE259185T1 (ko)
BR (1) BR0105847B1 (ko)
DE (1) DE60101987T2 (ko)
ES (1) ES2211715T3 (ko)
IT (1) IT1319079B1 (ko)
TR (1) TR200400539T4 (ko)
ZA (1) ZA20010862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129B1 (ko) * 2022-05-03 2022-09-26 이정한 인덕션 기능을 갖는 황동 재질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88351A1 (en) * 2002-06-03 2003-12-11 Xinhui Rixing Stainless Steel Product Company Limited Application of an alloy in kitchen utensil products
US20050040171A1 (en) * 2003-08-20 2005-02-24 P.T. Maspion Multi clad cookware
US7157675B2 (en) * 2004-04-28 2007-01-02 Imura International U.S.A. In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ntrolled heatable objects
US7926418B2 (en) * 2004-10-07 2011-04-19 All-Clad Metalcrafters Llc Griddle plate having a vacuum bonded cook surface
US7980171B2 (en) * 2004-10-07 2011-07-19 All-Clad Metalcrafters Llc Vacuum cooking or warming appliance
US20090152276A1 (en) * 2004-10-07 2009-06-18 All-Clad Metalcrafters Llc Griddle Plate and Cookware Having a Vacuum Bonded, High Conductivity, Low Density Carbon Foam Core Plate
GB2424358B (en) * 2005-03-23 2008-07-30 David Anthony Alfille Temperature-controlled container for foodstuffs
FR2903564B1 (fr) * 2006-07-06 2011-07-01 Seb Sa Plaque de cuisson permettant la detection de la temperature d'un article culinaire
FR2903290B1 (fr) * 2006-07-06 2010-12-10 Seb Sa Article culinaire permettant la detection de sa temperature par une plaque de cuisson
DE202006013682U1 (de) * 2006-09-06 2008-01-24 Boehm, Hans-Georg, Dr. Spiegelei-Bratpfanne
US7913372B2 (en) * 2006-12-21 2011-03-29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imited Insulated cooking vessel
AU2008200214B2 (en) * 2007-01-24 2013-03-28 Lico (Hk) Manufacturing Ltd Baking Pan
US20090065498A1 (en) * 2007-09-07 2009-03-12 Bose Corporation Induction cookware
US8796598B2 (en) * 2007-09-07 2014-08-05 Bose Corporation Induction cookware
US20100147832A1 (en) * 2008-12-16 2010-06-17 Barker Iii Charles R Induction cookware identifying
FR2946514A1 (fr) * 2009-06-10 2010-12-17 Michel Serge Renzi Planche de cuisson,utilisation et ensemble de planches de cuisson
EP2371248B1 (en) 2010-03-31 2012-12-12 Castey Dominguez, Ramon Kitchen utensil adapted for induction cooking
US8602248B2 (en) 2011-03-02 2013-12-10 Bose Corporation Cooking utensil
CA2938249C (en) * 2015-08-14 2020-01-07 Tianyu Import & Export Trading Ltd. Automatic constant temperature cookware utensil and combined structure with electro-magnetic heating device
CN208425883U (zh) * 2015-08-14 2019-01-25 肇庆市天宇进出口贸易有限公司 一种自动恒温锅具
CN108814244A (zh) * 2018-06-04 2018-11-16 长春中际互频科技有限公司 一种电饭煲组件和电饭煲
KR102453302B1 (ko) * 2022-02-25 2022-10-12 주식회사 웰치 인덕션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41421B (it) * 1971-07-08 1973-03-01 Cartossi W Spa Procedimento per l applicazione di un sottofondo di alluminio o di le ga d alluminio al fondo di un reci piente di acciaio inossidabile
US4167606A (en) * 1976-11-22 1979-09-11 Clad Metals, Inc. Multiple member clad metal products
DE2900671A1 (de) * 1978-01-26 1979-08-02 Amc Int Alfa Metalcraft Corp Gefaess aus rostfreiem stahl mit einem waerme ausstrahlenden boden
NO152483C (no) * 1982-12-14 1985-10-09 Ardal Og Sunndal Verk Kokekar av rustfritt staal for alle typer oppvarmingskilder
US4705727A (en) * 1985-10-11 1987-11-10 Pfizer Inc. Composite material for induction heating
DE3634841A1 (de) * 1986-10-13 1988-04-14 Fissler Gmbh Kochgeschirr
IT230700Y1 (it) * 1993-11-04 1999-06-09 Cartossi Srl Fondo capsulare per recipiente di cottura,lateralmente recante elementi grafici
DE4412944A1 (de) * 1994-04-15 1995-10-19 Vesta Ag & Co Ohg Topfförmiges Gar- und/oder Kochgerät
EP0677263B1 (de) * 1994-04-15 1997-08-13 Fissler Gmbh Gar- und/oder Kochgerät, welches für eine bodenseitige Zuführung von Wärmeenergie durch Wärmeleitung oder durch elektromagnetische Induktion eingerichtet ist
DE19500250A1 (de) * 1995-01-05 1996-07-11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Induktionsherdgeeignetes Kochgefäß
KR0164671B1 (ko) * 1995-07-13 1998-12-01 권원선 스테인레스제 조리용구 및 그 제조방법
DE19601491A1 (de) * 1996-01-17 1997-07-24 Merten & Storck Gmbh & Co Emailliertes Kochgeschir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129B1 (ko) * 2022-05-03 2022-09-26 이정한 인덕션 기능을 갖는 황동 재질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0400539T4 (tr) 2004-04-21
ITMI20002372A1 (it) 2002-05-02
EP1203553A2 (en) 2002-05-08
ATE259185T1 (de) 2004-02-15
ZA200108624B (en) 2002-06-20
EP1203553B1 (en) 2004-02-11
DE60101987D1 (de) 2004-03-18
KR100812867B1 (ko) 2008-03-11
DE60101987T2 (de) 2004-07-15
IT1319079B1 (it) 2003-09-23
ES2211715T3 (es) 2004-07-16
US6576876B2 (en) 2003-06-10
EP1203553A3 (en) 2002-07-17
BR0105847B1 (pt) 2009-05-05
BR0105847A (pt) 2002-07-02
US20020092428A1 (en) 200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4971A (ko) 자기 유도에 의해 가열가능한 복합 캡슐형 베이스를 갖는스테인레스 조리기구
DK2503927T3 (en) COOKING CONTAINER IS APPROPRIATE indu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3168831U (zh) 烹饪用具
WO2007085133A1 (fr) Ustensile de cuisson à fond composit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KR20030070732A (ko) 다중바닥을 구비한 주방용기와 그 제조방법
SK16394A3 (en) Method of forming of the pot for cooking from stainless steel with decorative base
KR100381820B1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ES2271863T3 (es) Dispositivo de coccion cuya base comprende una pieza ornamental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correspondiente.
JP3225240B2 (ja) 電磁誘導加熱を利用した加熱保温プレート及び電磁誘導加熱調理用容器
JP2004173737A (ja) 電磁調理用器具
KR20050053550A (ko) 주방용기
KR0164671B1 (ko) 스테인레스제 조리용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5877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0659733B1 (ko)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JPH08327074A (ja) システムキッチン
KR200361673Y1 (ko) 주방용기
EP3189755B1 (en) Composite braze welding and induction heating-type cooking tool
KR200253634Y1 (ko) 3중 바닥 주방기구
KR200389255Y1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용기의 발열판
KR200250339Y1 (ko) 조리용 남비
EP1559353A1 (en) Method for making a unit for cooking foods and food cooking unit
KR20000018564U (ko) 세라믹 조리용기
JPH03250577A (ja) 電磁調理器用鍋類及びその製造法
JP2002059505A (ja) クラッド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71345B1 (ko) 전자유도가열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8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11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