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64802A - 감압 정련로 - Google Patents

감압 정련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802A
KR20000064802A KR1019980707723A KR19980707723A KR20000064802A KR 20000064802 A KR20000064802 A KR 20000064802A KR 1019980707723 A KR1019980707723 A KR 1019980707723A KR 19980707723 A KR19980707723 A KR 19980707723A KR 20000064802 A KR20000064802 A KR 20000064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flange
vacuum
refining
disaster preven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2470B1 (ko
Inventor
켄스케 시모무라
타다시 이모토
마유미 오키모리
가쿠 오가와
토모아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데라카도 료우지
니폰 스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라카도 료우지, 니폰 스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데라카도 료우지
Publication of KR2000006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47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10Handling in a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50Tilting mechanisms for conver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9/00General processes of refining or remelting of metals; Apparatus for electroslag or arc remelting of metals
    • C22B9/04Refining by applying a vacu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6/00Metallurgical apparatus
    • Y10S266/903Safety shiel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Furnace Detail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실링 커버를 로 입구를 씌우도록 장착하고, 로 본체측의 진공 플랜지와 밀착시켜서 감압 정련을 실시하는 정련로에 있어서, 플랜지 커버를 사용하지 않고 금속이나 슬래그가 진공 플랜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정련로(1)의 외중면 중에서 로 입구(9)에서부터 로 직선형 몸통부에 이르는 경사부(8) 또는 그 아래의 직선형 몸통부에 진공 플랜지(10)를 설치한다. 정련로(1)의 외주면의 로 입구(9)와 진공 플랜지(10)와의 사이에, 최외주면이 실링 커버(4)의 하단 내주면보다 내측에 그리고 대기 정련용 집진후드 하단 내주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방재용 더미 플랜지(1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감압 정련로
전환로 등의 정련로에 감압 장치를 접속해서 감압 정련을 하는 것은 예를들어 특개소 57-82418호 공보, 특개소 58-163549호 공보, 실개소 60-156164호 공보, 특개소 58-181829호 공보, 특개소 58-207311호 공보, 특개평 2-30591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듯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기술이다. 그 중에서도 정련로에 감압 장치를 접속하는 진공 실링 방법에 대해서는 특개평 2-305916호 공보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즉, 상기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정련 장치는 경동 가능한 로 본체와, 진공 장치에 접속되는 덕트를 구비하고, 로 본체 상부에 착탈 가능한 후드를 조합해서 이루어진다. 로 본체는 그 바닥부에 가스 취입용(吹入用) 구멍을 구비한 베셀(vessel)과, 베셀 정상부에 플랜지 결합에 의해 부착된 콘(conical part)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플랜지는 베셀측 또는 콘측의 적어도 일부가 확대된 직경을 가지며, 후드의 플랜지에 이것을 일주하는 링 모양의 개스킷을 설치해서, 후드를 로 본체 상에 올려놓았을 때 후드의 플랜지와 로 본체의 플랜지 사이에 기밀 실링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밀 실링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진공을 유지하는 기밀 실링용 개스킷에 상대하는 베셀 내지 콘에 설치한 로 본체측 플랜지 상에 개스킷의 탄성변형능력 이상의 금속이나 슬래그 등이 부착되거나 올려놓여지면, 건전한 진공 실링은 실현되지 않는다. 정련로의 로 본체에는 로 내에서 직접 비산된 금속이나 슬래그, 또는 대기 집진 후드, 진공로 커버, 기타 장치에 한 번 부착되었다가 낙하된 금속이나 슬래그가 부착되거나 올려놓여지기 쉽다. 건전한 진공 실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금속이나 슬래그의 진공 플랜지에의 부착, 탑재를 피해야 한다.
그래서, 그 대책으로서, 종래 기술에서는 도 5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들어 특개소 57-82418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진공 처리시 이외에는 로 입구(25) 및 출강구(出鋼口;taphole)(26)를 각각 기밀 실링하는 로 입구 플랜지(21) 및 출강구 플랜지(23)에 플랜지 커버(22, 24)를 씌우도록 하고 있다. 플랜지 커버(22, 24)가 걸쳐져 있으면, 금속이나 슬래그가 플랜지(21, 23)에 부착되지 않아 감압 정련을 위한 감압 실링의 건전성이 보장된다. 그리고, 대기압 하에서의 통상의 블로잉의 종료와 동시에 도 5B 에서와 같이 로 입구 커버(27)와, 감압 장치(32)가 연결되어 있는 출강구 커버(29)를 통해 감압 정련과 탈(脫)가스에 제공된다.
도 5B 에 있어서, (28)은 배기관, (30)은 냉각기, (31)은 먼지 분리기, (33)은 불활성 가스 취입용 노즐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정련로에서는, 진공 정련과 대기 정련의 전환 또는 대기 시마다 플랜지 커버(22, 24)를 탈착할 필요가 있어, 기중기 등을 이용한 작업 노력의 증가와 생산 시간의 연장을 초래한다. 또, 이러한 조업 시간의 연장은 생산 능력을 저해시킬 뿐만 아니라, 고온의 용융 금속을 정련로 내에 홀딩하는 시간의 증가로 인한 라이닝 내화물의 손실 증가를 야기한다. 그리고, 정련로를 경동시킬 때에 플랜지 커버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기능도 필요해지고, 신뢰성, 정비성 면에서도 과제를 가지고 있다.
본발명은 착탈 가능한 실링 커버를 로 입구를 덮도록 장착해서 밀폐 공간을 형성해서 용융 금속의 감압 정련을 하는 진공 전환로, 진공 AOD로 등의 경동(傾動:tilting) 가능한 감압 정련로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경사부에 출강홀을 구비하지 않은 감압 정련로에, 본발명에 따른 방재용 더미 플랜지를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경사부에 출강홀을 구비한 감압 정련로에, 본발명에 따른 방재용 더미 플랜지를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은 도 1 과 도 2 의 양방의 방재용 더미플랜지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방재용 더미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감압 정련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는 착탈 가능한 플랜지 커버를 설치한, 종래의 감압 정련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련로의 외주면 중에서 로 입구에서부터 로 직선형 몸통부에 이르는 콘(즉, 경사부) 또는 그 아래의 직선형 몸통부에 설치한 진공 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로 입구를 덮어씌우기 위한 후드(즉, 실링 커버)의 하측에 설치한 개스킷(즉, 실링재)을 밀착시켜서, 해당 정련로 내를 진공 또는 감압용 밀폐 공간으로 만들어 용융 금속의 정련을 수행하는 감압 정련로에 있어서, 상기 정련로의 외주면 중 상기 로 입구와 상기 진공 플랜지와의 사이에, 그 최(最)외주면이 상기 실링 커버의 하단 내주면보다 내측에 그리고 대기정련용 집진후드의 하단 내주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방재용 더미 플랜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정련로이다.
본발명의 감압 정련로는, 정련로의 외주면 중에서 로 입구와 진공 플랜지와의 사이에 설치된 출강홀 하단보다 상기 진공 플랜지의 설치 위치에 가까운 범위에 방재용 더미 플랜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정련로의 종단면에 있어서, 진공 플랜지의 최외주점과 로 입구의 최외주점을 잇는 직선과, 방재용 더미 플랜지의 최내주점과 최외주점을 잇는 직선이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정련로의 종단면에 있어서, 진공 플랜지의 최외주점과 출강홀의 최돌출점을 잇는 직선과, 방재용 더미 플랜지의 최내주점과 최외주점을 잇는 직선이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에 의해, 종래에 사용되고 있던 진공 플랜지의 특별한 보호 커버가 필요없어지고, 착탈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고, 또 감압 정련 전의 진공 플랜지의 청소 시간이 대폭으로 단축되어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본발명에 따른 방재용 더미 플랜지를 고정 설치한 감압 정련로의 일예를 도 1에 도시한다. 로본체(1)와 실링 커버(4) 간의 건전한 진공 실링을 유지하려면, 진공 플랜지(10)의 상측에 금속이나 슬래그 등의 이물질이 존재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로 입구(9)로부터 비산되는 금속이나 슬래그, 또는 대기정련용 집진후드(도시하지 않음)의 내면에 한 번 부착되었다가 낙하되는 금속이나 슬래그가 진공 플랜지(10) 상에 부착되거나 올려놓여지는 것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발명에서는 감압 정련로(1)의 경사부(8)에 실링 커버(4)의 내측 반경보다 작은 외주 반경을 가지는 방재용 더미플랜지(11)를 차폐 커버로서 고정 설치한다.
또, 감압 정련로의 경사부에 출강홀을 가지는 감압 정련로를 도 2 에 도시한다. 출강 홀(13)로부터 금속이나 슬래그가 비산되고, 또 출강 전후의 경동시에 출강홀(13)로부터 금속이나 슬래그가 적하되기 때문에, 본발명에서는 출강홀(13)과 진공 플랜지(10) 사이에 방재용 더미플랜지(11)를 설치한다.
이하, 본발명의 방재용 더미 플랜지의 설치 위치 관계에 대해 도 3 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 에서와같이, 감압 정련로(1)의 경사부에 설치된 방재용 더미 플랜지(11)의 최외주점(d)이, 로 위에 있는 대기정련용 집진후드(14)의 하단 내경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직선(X)와 경사부와의 교점(f)보다 바깥측으로 나와 있어야 한다. 또, 도 1, 도 2 에 도시한 실링 커버(4)의 착탈의 장해가 되지 않도록, 방재용 더미플랜지(11)의 반경이 실링커버(4)의 하단 내경보다 작은 것을 만족하면 충분하므로, 진공 플랜지(10)의 바로 위를 커버할 필요는 없다.
방재용 더미플랜지(11)의 돌출 정도가 클수록 금속이나 슬래그의 적하 방지 효과도 커진다. 따라서, 방재용 더미플랜지(11)의 최외주점(d)의 위치는, 도 3의 좌측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에 출강홀이 없는 경우에는, 진공 플랜지(10)의 최외주점(a)과 로 입구(9)의 최외주점(b)를 잇는 직선(Y)보다 바깥측으로 나와 있을 필요가 있다. 즉, 방재용 더미플랜지(11)의 최외주점(d)과 최내주점(e)을 잇는 직선이, 진공플랜지(10)의 최외주점(a)과 로 입구(9)의 최외주점(b)를 연결하는 직선(Y)과 교차하면 된다.
한편, 도 3의 우측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에 출강홀(13)을 가지는 경우에는, 최외주점(d1)의 위치가 진공플랜지(10)의 최외주점(a1)과 출강홀(13)의 최돌출점(c)을 잇는 직선(Z)보다 바깥측으로 나와 있을 필요가 있다. 즉, 방재용 더미플랜지(11)의 최외주점(d1)과 최내주점(e1)을 잇는 직선이 직선(Z)과 교차하면 된다.
또,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감압 정련로(1)의 원주 방향 전둘레에 원형 링모양으로 방재용 더미플랜지(1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로 입구의 형상이 비대칭형이거나 저면 취입구(3)와의 방위 관계로 원주 방향의 방위에 따라 금속이나 슬래그의 비산 정도에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비산이 심한 방위에만 부분적으로 방재용 더미플랜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대기정련을 수행하는 직립 상태에서 로 입구가 수평하지 않은 비대칭형 정련로에서는, 로 입구가 높아진 절반의 원주측에는 방재용 더미플랜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출강홀을 가지는 정련로에서는 출강홀의 하측 부근에 방재용 더미 플랜지를 설치해야 한다. 또, 도 3 에서와 같이 출강홀(13)을 가지는 측과 가지지 않는 측에서 높이가 다른, 일부 나선형 형상으로 만들 수도 있다.
방재용 더미 플랜지의 구조와 재질에 대해서는 매우 평탄하여 금속이나 슬래그가 고착되기 어려운 구조 및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볼트의 머리, 판의 이음매 등을 상면에 노출시키지 않고, 용접으로 일체 구조로 로 본체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방재용 더미 플랜지는 금속이나 슬래그가 부착되거나 올려놓여짐에 따라 상면으로부터의 편열(偏熱)을 받기 쉽고, 열변형을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충분한 판 두께를 가지는 강판을 사용하거나, 하면측을 리브를 통해 본체표면과 연결 보강해서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구조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플랜지를 수냉 구조(water-cooled structure)로 만드는 것도 바람직하다.
(실시예)
도 1 에 도시한 구조를 가지는 방재용 더미 플랜지를 구비한 감압 정련로(1)에 약 30분의 대기 정련 후에 실링 커버(4)를 장착해서 감압 정련을 실시했다.
감압 정련로(1)에는 승강 장치(5)에 의해 실링 커버(4)를 하강시켜 올려놓을 수 있고, 신축 이음(expansion joint)(6)을 접속시켜서 진공 배기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덕트(7)를 통해 로 내를 감압 배기한다. 감압 정련로(1)와 실링 커버(4) 간의 진공 실링은 감압 정련로(1)에 설치한 진공 플랜지(10)와, 실링 커버(4)의 하단(12)에 설치한 실링재 또는 패킹(도시하지 않음) 또는 개스킷(도시하지 않음)을 끼워서 밀착시킴으로써 유지된다.
실링 커버(4) 장착전에, 진공 플랜지(10) 상에 부착된 금속이나 슬래그를 청소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10 히트 평균으로 0.6분이고, 청소는 압축 공기를 내뿜는 것만으로 충분했다. 한편, 도 4 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방재용 더미 플랜지(11)를 설치하지 않은 종래의 감압 정련로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정련을 행했을 때 진공 플랜지(10) 상에 부착된 금속이나 슬래그의 청소 시간은 10 히트 평균으로 3.2분이었다. 또, 압축 공기 분사 만으로는 충분히 청소할 수 없고, 바(bar)를 이용한 수동식 제거 작업도 필요했다.
또, 도 2 에 도시한 본발명에 따른 출강홀이 있는 감압 정련로(1)에 약 30분간의 대기 정련 후에 실링커버(4)를 장착해서 감압 정련을 실시했다. 진공 플랜지(10)상에 부착된 금속이나 슬래그를 청소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10 히트 평균으로 0.8분이었다. 또, 압축 공기 분사만으로 충분히 청소할 수 있고, 바 등에 의한 박리 작업은 필요없었다. 이 정련로에서도, 방재용 더미 플랜지(11)를 설치하기 전에는 동일 방법으로 정련했을 때 진공 플랜지(10)의 청소 시간이 10 히트 평균으로 4.5분이고, 바에 의한 금속 박리 박업을 필요로 했었다.

Claims (4)

  1. 정련로의 외주면 중에서 로 입구에서부터 로 직선형 몸통부에 이르는 경사부 또는 그 아래의 직선형 몸통부에 설치한 진공 플랜지에, 착탈 가능한 로 입구부를 덮어씌우기 위한 실링 커버의 하단에 설치한 실링재를 밀착시켜서 상기 정련로 내를 진공 또는 감압용 밀폐 공간으로 만들어 용융 금속의 정련을 수행하는 감압 정련로에 있어서,
    상기 정련로의 외주면 중 상기 로 입구와 상기 진공 플랜지와의 사이에, 그 최외주면이 상기 실링 커버의 하단 내주면보다 내측에 그리고 대기정련용 집진후드의 하단 내주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방재용 더미 플랜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정련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정련로의 외주면 중에서 로 입구와 진공 플랜지와의 사이에 설치된 출강홀 하단보다 상기 진공 플랜지의 설치 위치에 가까운 범위에 방재용 더미 플랜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정련로.
  3. 제 1 또는 2 항에 있어서,
    정련로의 종단면에 있어서, 진공 플랜지의 최외주점과 로 입구의 최외주점을 잇는 직선과, 방재용 더미 플랜지의 최내주점과 최외주점을 잇는 직선이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정련로.
  4.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련로의 종단면에 있어서, 진공 플랜지의 최외주점과 출강홀의 최돌출점을 잇는 직선과, 방재용 더미 플랜지의 최내주점과 최외주점을 잇는 직선이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정련로.
KR1019980707723A 1997-02-28 1998-02-27 감압정련로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292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198 1997-02-28
JP9060198A JPH10237535A (ja) 1997-02-28 1997-02-28 減圧精錬炉
PCT/JP1998/000821 WO1998038343A1 (fr) 1997-02-28 1998-02-27 Four de fusion a pression redui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802A true KR20000064802A (ko) 2000-11-06
KR100292470B1 KR100292470B1 (ko) 2001-06-01

Family

ID=1313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7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92470B1 (ko) 1997-02-28 1998-02-27 감압정련로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62387A (ko)
EP (1) EP0921201B1 (ko)
JP (1) JPH10237535A (ko)
KR (1) KR100292470B1 (ko)
CN (1) CN1079436C (ko)
AT (1) ATE217911T1 (ko)
DE (1) DE69805488T2 (ko)
TW (1) TW434321B (ko)
WO (1) WO19980383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7006A1 (de) * 2007-12-03 2009-06-04 Sms Mevac Gmbh Vorrichtung zur sekundär- und vakuum-metallurgischen Behandlung von flüssigem Stahl
KR101252642B1 (ko) * 2008-12-30 2013-04-09 주식회사 포스코 정련로 및 이를 이용한 정련방법
CN103045793B (zh) * 2013-01-05 2015-05-06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转炉真空冶炼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2097A (en) * 1970-03-20 1972-01-04 United States Steel Corp Steel converter
US3764124A (en) * 1971-04-02 1973-10-09 Usinor Pouring vessel-caisson for treating molten metal in a regulated atmosphere
DD97567A1 (ko) * 1972-07-12 1973-05-14
US3854932A (en) * 1973-06-18 1974-12-17 Allegheny Ludlum Ind Inc Process for production of stainless steel
US4149706A (en) * 1976-03-08 1979-04-17 Hoogovens Ijmuiden, B.V. Slag shield for a steel converter
JPS5839885A (ja) * 1981-08-31 1983-03-08 Shimadzu Corp パイプライン用ゲ−トバルブ
FR2564861B1 (fr) * 1984-05-24 1989-03-10 Stein Heurtey Couvercle de poche pour le traitement d'acier liquide.
JPH0823598B2 (ja) * 1987-11-09 1996-03-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放射性物質除去装置
JPH01123198U (ko) * 1988-02-15 1989-08-22
JPH0263646A (ja) * 1988-08-31 1990-03-02 Kawasaki Steel Corp 真空鋳造装置
JP2805833B2 (ja) * 1989-05-22 1998-09-30 大同特殊鋼株式会社 精錬装置
JPH08283831A (ja) * 1995-04-10 1996-10-29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の真空精錬装置
JP3458042B2 (ja) * 1996-07-09 2003-10-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取鍋を用いる溶鋼処理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436C (zh) 2002-02-20
KR100292470B1 (ko) 2001-06-01
DE69805488T2 (de) 2002-11-21
EP0921201B1 (en) 2002-05-22
WO1998038343A1 (fr) 1998-09-03
JPH10237535A (ja) 1998-09-08
US6162387A (en) 2000-12-19
EP0921201A4 (en) 2000-05-17
DE69805488D1 (de) 2002-06-27
TW434321B (en) 2001-05-16
EP0921201A1 (en) 1999-06-09
CN1217754A (zh) 1999-05-26
ATE217911T1 (de) 200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9331B2 (en) Panelized spray-cooled furnace roof
CA1217337A (en) Safety device for ladle cover
US200300535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eel making
KR100292470B1 (ko) 감압정련로시스템
JPS6013044B2 (ja) 冶金炉のガス清浄方法及び装置
ATE200822T1 (de) Wassergekühlte pfannenhaube
US6830723B2 (en) Apparatus for treating molten metal having a sealed treatment zone
JPS61257413A (ja) 転炉排ガス処理装置の転炉炉口とスカ−ト間のシ−ル装置
JP2805833B2 (ja) 精錬装置
EP0204973B1 (en) Apparatus for sealing the skirt of a converter waste gas recovery system
JP2575403Y2 (ja) 転炉排ガス処理装置のスカート
JPH0522363Y2 (ko)
US20030080480A1 (en) Apparatus for treating molten metal having a sealed treatment zone
JPH0426437Y2 (ko)
JPS613820A (ja) 転炉排ガス処理装置のスカ−トシ−ル装置
JPH08283831A (ja) 溶融金属の真空精錬装置
RU1770376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вода конвертерных газов
JPH01252891A (ja) 溶融金属炉用密閉式フード
JPH08218114A (ja) 真空脱ガス設備用浸漬管及びその使用方法
MXPA99002940A (en) Panelized spray-cooled furnace roof
JPH08209231A (ja) 浸漬管
JPH08121968A (ja) アーク炉の炉蓋及び炉体上部構造
JPH1143712A (ja) 転炉排ガス処理設備のダスト防止装置
JPS6155192A (ja) 石炭ガス化炉の炉口部シ−ル装置
JPH10226810A (ja) 混銑車のスプラッシュ防止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03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32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