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701592A - 흡입기 (an inhaler) - Google Patents

흡입기 (an inha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1592A
KR19980701592A KR1019970704984A KR19970704984A KR19980701592A KR 19980701592 A KR19980701592 A KR 19980701592A KR 1019970704984 A KR1019970704984 A KR 1019970704984A KR 19970704984 A KR19970704984 A KR 19970704984A KR 19980701592 A KR19980701592 A KR 19980701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haler
tubular body
flow passage
user
tubul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0480B1 (ko
Inventor
에릭 켈트만 (KELDMANN Erik)
존 라이푸르 (REIPUR John)
Original Assignee
켈트만 에릭
디렉트-할러 아/에스 (Direct-Haler A/S)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켈트만 에릭, 디렉트-할러 아/에스 (Direct-Haler A/S) filed Critical 켈트만 에릭
Publication of KR19980701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48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61M16/0493Mouthpiece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tube from damage caused by the patient's teeth, e.g. bite b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61M2205/6063Optical identification systems
    • A61M2205/6081Colour c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Wet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공기흐름통로를 한정하는 관상 몸체로 이루어지는 흡입기로서, 단일 복용분량의 흡입가능한 활성 미립물질이 상기 공기흐름통로내에 배치되며, 제거가능한 캡과 같은 밀폐수단에 의해서 주위 대기에 대해 밀폐 또는 밀봉된다. 관상 몸체의 마우스피스단부로부터 흐름통로의 전체구간중 대부분을 따라서 연장하는 흐름통로의 단면은 7 - 35㎟이며, 예컨데 대략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기는 1회만 사용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흡입기의 관상 몸체는 음료 빨대와 유사하게 일정 길이의 간단한 관일 수 있다.

Description

흡입기
본 발명은 내부에 공기 흐름통로를 한정하는 관상 몸체로 이루어지는 형태의 흡입기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가지는 여러 가지의 흡입기가 알려져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번호. 4524,709, 4,907,583 및 국제출원 번호 WO 90/07351은, 흡입기가 사용될 때, 1회 복용분의 미립활성물을 공기 흐름통로로 공급하는 복용수단(dosing means)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흡입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방출통로의 배출단부는, 흡입기가 사용자의 입술사이에 위치하는 동안의 마우스피스 또는 노즐로 정의된다. 이러한 알려진 흡입기는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흡입기가 사용될 때 마다 상기 복용수단이 작동해야 하므로 사용이 간편하지 않다. 더욱이, 이러한 공지의 장치는 호주머니나 여성의 핸드백에 휴대하기에는 비교적 무겁고 부피 또한 크다.
미립자 혹은 가루물질이 사용자의 입술사이의 위치한 마우스피스나 노즐을 통해 흡입되는 경우에, 흡입되는 공기흐름내에 부유하는 활성물의 상당부분이 사용자의 폐에 도달하지 못하고, 삼켜지거나 또는 사용자의 구강내의 점액질막과 충돌한다. 이는 활성물질의 상당부분이 손실된다는 것 뿐 아니라, 구강의 점액질막과 접촉하게 되거나 위에 도달한 활성물이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일으킬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독일의 오펜레궁스리프트 번호 2815039에 게재된 바와 같이, 사용할 때에 사용자의 혀를 따라서 구강내부로 연장하는 마우스피스를 사용하므로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흡입기나 마우스피스의 바깥단부에 연결되는 분무장치와 같은 것들로부터,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유체흐름이 환자의 구강내로 직접 향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유체흐름을 환자의 목이나 기관지 같은 구강내의 요구되는 위치로 바로 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방법과 낮은 비용으로 생산됨에도 불구하고 매우 효율적인 흡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흡입기는, 내부에 공기 흐름통로를 한정하고, 상기 공기 흐름통로내에 배치된 흡입가능한 활성 미립물질의 1회 복용량만을 포함하는 관상 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1회 복용량은 사용전에 사용장에 의해 제거 또는 개방되는 밀폐수단에 의해 주위공기로부터 밀봉 또는 밀폐되어 있으며, 흡입기는 단지 1회만 사용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흡입기가 사용되어야 할 때는, 밀폐수단은 제거 또는 개방되어야 하며, 그 후에 공기 흐름물질내에 위치한 활성물질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환자 혹은 사용자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흡입기의 공기 흐름통로에는, 흐름통로의 내부벽 표면부상에 활성물질의 막 형성 또는 활성물질의 침전을 조장하는 어떠한 비틀린 부분도 없다. 흡입기가 1회용인 경우에는 이러한 막의 형성은 더욱 더 억제된다. 따라서 1회용 흡입기가 복수사용을 위한 흡입기보다 훨씬 더 위생적이다.
상기 밀폐수단은, 관상 몸체의 대향단부에 제거가능하게 배치되는 캡, 막 또는 호일과 같이, 어떠한 적절한 형태일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이러한 밀폐수단은, 공기 흐름통로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축상으로 공간을 가져서, 그 사이에 활성물질이 배치될 수 있는 제거, 천공 또는 파열가능한 막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밀폐수단은, 흡입기가 사용될 때까지는 주위대기로부터 활성물질의 1회 복용량을 밀봉할 수 있고, 사용전에 사용자나 환자에 의해 제거 또는 개방된 수 있는 어떠한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공기 흐름통로를 한정하는 관상 몸체와 흡입가능한 활성 미립물질을 흐름통로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흡입기로서, 관상 몸체의 자유 마우스피스 단부로부터 흐름통로의 전체 길이중 주요부분을 따라서 연장하는 흐름통로 부분 길이를 따라서 잰 흐름통로의 단면 면적이 75㎟를 초과하지 않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흡입기가 환자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 활성물질의 1회 복용량이 공급수단의 작동에 의해 흐름통로내로 공급된다. 입술사이에 마우스피스 단부를 삽입하고 흡입기내에 한정된 공기 흐름통로를 통해 공기를 강하게 흡입함므로서, 환자는 활성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공기 흐름통로 내부부분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의 공기 속도는 상대적으로 높다. 이러한 높은 공기속도는 미립 활성물질 1회 복용량의 분무화학 공기흐름내 잘 분산된 물질의 부유화를 촉진시킨다.
또한, 흡입기가 공기 흐름통로내에 배치된 단 1회 복용량을 가지고 상기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오직 1회용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관상 몸체의 자유 마우스피스 단부로부터 흐름통로의 전체 길이중 주요부분을 따라서 연장하는 흐름통로 부분 길이를 따라서 잰 흐름통로의 단면 면적이 75㎟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높은 공기 흐름율을 얻기위해서는, 상기 흐름통로의 단면적이 70㎟이 넘지 않는 것이 좋으며, 50㎟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최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흐름통로의 단면적이 7 - 35㎟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이다.
1회분의 활성물질을 흐름통로내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은, 활성미립물질이 몇회분을 포함하는 교체가능한 카트리지 혹은 1회분을 포함하는 작은 앰풀(ampule)의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면, 어떠한 공지의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흡입기가 단지 1회 또는 수회정도 사용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물질공급 수단은 흡입기의 하나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질공급 수단은 공기흐름통로를 한정하는 관상 몸체내에 제한된 격실 혹은 포켓을 포함하는 1회분 또는 몇회분의 복용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격실을 포함하는 각각의 복용분은, 예컨데 각, 부분에서 관상 몸체의 외부면에 안쪽으로 직접 압력을 가하므로서, 천공되거나 파열될 수 있는 필름, 막 또는 벽부분에 의해서, 흐름통로의 인접한 부분으로 부터 분리된다.
흐름통로 또는 흐름통로 섹션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혹은 원형과 같은 어떠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흐름통로 혹은 흐름통로 섹션의 단면적은 길이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흐름통로 혹은 흐름통로 섹선의 단면적은, 흐름통로의 마우스피스 대향단부에서 보다 마우스피스 단부에서 더 작을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흐름통로 또는 흐름통로 섹션은, 전체 길이를 통해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아주 간단한 실시예에서의 흡입기는 음료의 스트로우(straw)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흡입기의 관상 몸체와 그 관내에 한정된 공기 흐름통로는 어떤 적당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흐름통로는 적당한 직선형, 지그재그형, 모서리가 있는형, 곡선형 또는 이러한 형의 어떠한 조합형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흐름통로는 곡선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흐름통로는 한쌍 내지는 그 이상의 본질적인 직선 부분과 그 사이의 곡선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흡입기 관상 몸체는 사용자에 이해 변화될 수 없는 영구적이고 밀 정해진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관상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구부릴 수 있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관상 몸체의 형태가 개인 사용자의 구강의 형태에 맞게 적응될 수 있다. 구부릴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는 관상 몸체의 벽은 변형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구부릴 수 있는 부분의 유연성은 외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주름이 있는 관상 몸체의 구부릴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하므로서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주름의 저부에는, 개별 사용자가 자기에게 적당한 굴곡을 얻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색깔, 숫자, 문자 혹은 다른 종류의 표시와 같은 부호가 제공될 수 있다. 환자 혹은 사용자가 개인 자신의 구강에 맞는 관상 몸체의 형태를 결정하게 되면, 가시적인 부호 조합을 읽고 기억할 수 있다. 개인 자신의 부호조합을 알고 있으면, 동일한 타입의 흡입기를 다음에 사용하는 경우에 관 흡입기 몸체의 구부릴 수 있는 부분을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공기 흐름통로를 통하는 공기 흐름 내에서의 미립활성물질의 분산을 촉진하기 위해, 흡입기는 흐름통로의 종축 주위에서 공기의 회전운동을 가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예컨데, 흐름통로를 한정하는 관상 몸체의 벽면부분상에 형성된 나선형 홈이나 리브(rib), 또는, 공기흐름통로내에 중앙으로 배치된 회전부여수단일 수 있다.
흡입기의 관상 몸체는, 사용시 사용자의 치아로부터 사용자 구강내의 어떤 요구되는 부분으로 연장하는 어떠한 적당한 길이의 마우스피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마우스피스 부분의 길이와 형태를 적절하게 선택하므로서, 공기 흐름통로의 내부 단부가, 미립 활성물질에 의해 치료되어야 하는 구강내의 어떤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되거나, 그 부분으로 직접 향할 수 있다. 활성물질이 흡입되어야 하는 장소가 환자 혹은 사용자의 폐나 기관지인 경우에는, 예컨데, 활성물질이 천식질환 완화용 약제인 경우에는, 관상 몸체의 마우스피스부분은 사용중에 사용자의 치아로부터 사용자 혀의 뿌리 근방 위치로 연장하기에 적당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마우스피스는 적절한 형태를 하므로서, 공기 흐름통로의 내부 단부가 환자 혹은 사용자의 목이나 기관지 입구로 향하게 된다. 그에 의해, 공기 흐름통로에 제공되거나 그 속에 위치하는 1회분의 활성물질 전부가 목표지역에 도달하게 됨을 확실히 보장하게 된다.
흡입기가 사용자 혹은 환자의 구강내에 올바르게 위치하도록 하기위해, 흡입기는 사용자의 위턱 치아에 맞물리는 관상 몸체의 외부표면상에 형성된 맞물림 피스(bite piece)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피스는 관상 몸체의 일체적인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맞물림 피스의 형태는 개별적인 사용자의 치아에 맞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비교적 비싸고 개인적으로 형성된 맞물림 피스는 흡입기 관상 몸체 위에 제거가능하게 탑재되므로서, 관상 몸체가 버려질 때 맞물림피스는 버려지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다. 이런 제거가능하게 탑재되는 맞물림 피스는 1회 또는 수회용으로 설계된 관상 몸체와 연결되어 사용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맞물림피스는 의치 세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그러한 의치 세트가 사용자의 구강에 대한 관상 몸체의 위치선정용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의치가 개개인 사용자에게 맞게 제작된 경우에는 맞물림 피스도 개별적인 형태를 할 수 있다. 흡입기의 관상 몸체는 고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수축된 보관상태로 부터 사용할 때의 신장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관상 몸체 길이의 주요부분을 따라 있는 외주상의 주름을 구비한 관상 몸체를 제공 하므로서, 관상 몸체의 종방향 신장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가능성은, 포개어끼우는 식으로 연결된 관 부분으로 구성하므로서, 수축과 신장된 위치사이에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활성물질 1회분을 외부대기로 부터 밀봉하기 위한 밀폐수단 및 그런 1회분을 흡입기의 공기 흐름통로 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는, 관상 몸체가 수축된 보관상태로부터 사용할 때의 신장된 상태로 이동할 때, 자동적으로 개방되거나 작동하게 할 수 있다.
큰입자의 활성물질 또는 파열되거나 제거된 밀폐수단과 같은 큰입자의 외부 물질이 환자에게 흡입되는 위험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의 입자를 거르기 위해 흐름통로내에 배치되는 거름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름수단은 예컨데, 흐름통로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흡입되는 1회분 활성물질의 하류부분에 배치되는 체나 스크린 같은 것이다. 또한, 밀폐수단이 제거가능한 밀폐캡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캡은 탄성줄이나 탄성띠에 이해 관상 몸체에 일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부가하여, 관상 몸체의 자유 말단부는 서로에 대하여 휠수 있어서, 자유 말단부를 아주 인접하게 위치시키고, 한쌍의 중간에 형성되고 일체적인 밀폐캡과 같은, 통상의 제거가능한 밀폐수단에 의해 밀폐된다. 더욱이, 적어도 하나의 캡부재가 투명성 재료로 제작되거나, 관상 몸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환자나 사용자가, 관상 몸체가 1회분의 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환자나 사용자는, 분무화된 상태에서 흐름통로내에 있는 활성물질을 부유시키기에 충분히 강한 공기흐름을 얻기 위해, 공기흐름통로를 통해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러나, 소아나 실질적으로 감소된 폐활량을 가지고 있는 성인의 경우는 공기흐름통로를 통해 충분한 공기흐름을 발생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흡입기는 흐름통로를 통한 강제된 공기흐름을 제공하기 위한 강제흐름 발생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발생수단은 압축된 공기를 발생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강제흐름 발생수단은 관상 몸체의 공기입력단부 혹은 방출단부상에 탑재되는 압축성 벌브(bulb)로 구성될 수 있다. 흐름발생수단은 환자의 흡입과 동시에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는 반드시 사용자의 구강내로 삽입되어야하는 것은 아니며, 마우스피스라는 용어도 반드시 그것이 사용자의 입속으로 삽입되어야함을 나타내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한다. 따라서, 한쪽 단부 내지 관상 물체의 마우스피스단부는 환자나 사용자의 콧구멍속으로 삽입되게 설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흡입기는 한 쌍의 관상 몸체, 그를 연결해주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쪽 단부 내지 관상 몸체 한쌍의 마우스피스 단부는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므로서, 상기 단부가 사용자 혹은 환자의 콧구멍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타입의 흡입기의 사용을 위한 물질공급수단을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 공급수단은 단일 복용분의 미립 활성물질만을 포함하는 관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용분량은 사용적에 사용자에 의해 개방 또는 제거될 수 있는 밀폐수단에 의해서 주위공기에 대해 밀폐 또는 밀봉되어 있으며, 관구간의 한 쪽 단부는 흡입기의 공기 흐름통로와 연결가능하거나, 그 내부로 삽입가능하다. 활성물질용 캡슐을 형성하는 관구간은, 예컨데, 외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름에 기인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구간은 관의 대향단부에서 제거가능한 밀폐캡에 의해 밀폐된다. 관구관의 자유단부는 함께 휠수 있고, 공통의 밀폐부재 혹은 서로 연결된 밀폐캡에 이해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더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흡입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흡입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흡입기의 사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흡입기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흡입기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6은 도 5에 도시된 흡입기의 사용방법을 보여준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흡입기의 굴절부분에 굴절(bending)부호가 제공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흡입기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흡입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을 따르는 흡입기의 제 6 실시예를 위한 마우스피스를 보여준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마우스피스가 사용자의 구강내에 위치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흐름통로에, 분리된 활성물질의 복용분량을 제공하기 위한 두 개의 다른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에 활성물질의 복용분량을 제공하기 위한 제 3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흡입기의 사용을 위한 마우스피스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에 활성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17은 도 15도 16에 도시된 흡입기의 기능을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을 따르는 흡입기의 제 7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을 따르는 흡입기의 제 8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흡입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다.
도 21은 1회분량의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캡슐을 보여준다.
도 22는 도 21의 캡슐이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와 관련하여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 가를 보여준다.
도 23은 흡입기의 제 9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4는 제 10 실시예로서, 관형태 흡입기의 대향단부가 공통 밀폐캡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도 1은 흡입기 10을 보여준다. 제조업자로부터 운반되어온 경우, 흡입기는 직선형이고 얇은벽을 가지는 관상 몸체 11을 포함하며, 관상 몸체 11은 굴절가능한부분, 12 및 관상 몸체 11의 대향 개방단부를 밀폐하는 제거가능한 캡 13을 구비한다. 흡입기의 공기흐름통로를 한정하는 관상 몸체의 내부구멍(bore)에는, 스테로이드, Β2-아고니스트, 안티콜리네르기카(anticholinergica) 또는 다른 의약물질같은, 미립자 혹은 가루 활성물질의 1회복용분량이 포함되어 있다. 관상 몸체 11은 원형단면을 가지고, 관상 몸체의 길이를 따라서 실제적으로 균일한 내부직경과 벽두께를 가지므로, 음료 스트로우와 유사하다. 영역 12는 굴절가능하게 하기위한 외주의 주름을 구비할 수 있다. 관상 몸체 11은, 예컨데,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의 압축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관상 몸체의 내부직경은 4 내지 8mm의 범위내, 예컨데 5 - 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상 몸체 11의 재료에 정전기의 가능성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단일 복용분량의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흡입기 10은 오직 1회용이며, 그 후에 흡입기는 버려진다. 적당히 작은 수의 이러한 타입의 일회용 흡입기가, 예컨데 담배와 유사하게, 함께 포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호주머니나 여성의 핸드백속에서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휴대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타입의 흡입기가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나 환자는 그속에 포함된 미립 활성물질을 분해하기 위해 흡입기를 흔든다. 굴절가능부 12가 휘어지고, 그에 의해 활성물질 S 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가능부 12의 주름홈(corrugation trough)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에 캡 13이 도 1b에서와 같이 제거된다. 그러면 흡입기 10은 사용할 준비가 되었으며, 관상 몸체의 긴 직선 단부가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나 환자의 구강 14내로 삽입될 것이다. 관상 몸체 11은 휘어있으므로, 섹션 12의 주름홈내에 포함된 활성물질 S이 관상 몸체로부터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흡입기의 내부 단부는 환자의 혀뿌리 근처에 위치한다. 환자가 관상 몸체 11내에 한정된 공기흐름통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 미립활성 물질 S는 섹션 12의 주름홈 으로부터 빠져나와, 환자의 폐로 흡입되는 공기내에서 부유하게 된다. 환자가 어린 아이거나 충분히 강한 흡입이 불가능한 다른 어떠한 이유가 있는 경우, 압축성 벌브 15 또는 관상 몸체 11을 통해 강제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이 도 1d에서와 같이 관상 몸체의 바깥 단부상에 탑재된다. 부유된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공기흐름은 환자의 흡입과 동시에 구강 14내로 흡입된다. 도 2에서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에 비해 약간병형된 형태이다. 따라서, 도 2에서의 관상 몸체 11은, 관상 몸체 11내에 한정된 공기흐름통로를 통해 흠입되는 공기흐름에 회전이동을 가할 수 있는, 나선상으로 연장하는 주름을 구비한다. 관상 몸체 1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캡 13은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어서, 사용자가 1회분의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흡입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외주로 연장하는 주름을 구비한 굴절가능부 12뿐 아니라, 주름이 없이 관상 몸체의 대향단부에 있는 굴절가능부 17도 구비하는 실시예 10을 보여준다. 실제로, 관상 몸체 11의 재료 및 벽두께는 관상 몸체의 일정부분이 요구되는 형태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선택된다. 도 5에 도시된 흡입기는 도 4의 그것과 대응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관상 몸체의 대향단부에 굴절가능부 1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두 섹션 12는 모두 외주로 연장하는 주름을 가진다는 것이 유일한 차이점이다.
의식이 그다지 좋지 않은 몇몇의 환자에게는, 도 1 2, 4 및 도 5에 도시된 흡입기를 구강 14내 즉각 바람직하게 위치시키기 어렵다. 그러므로, 도 5에서와 같은 타입의 치아블록 18 또는 맞물림 피스내로 흡입기를 삽입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도 5d는 맞물림 피스 18의 단부를 도시하며, 도 5e는 맞물림 피스의 종방향 단면도 이다. 맞물림 피스 18은, 종방향으로 진행하고, 도 5d의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그 내부에 관상 몸체 11가 넉넉하게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채널(channel)이나 슬롯 19을 포함한다. 홈 또는 그루브(groove) 20 및 21은 맞물림 피맞물림 피스 18의 상부 바깥면에 한정되며, 홈 22는 맞물림 피스의 하부 바깥면에 한정된다. 맞물림 피스 또는 치아블록 18은, 요구되는 형태로 구부러져 있고 밀폐캡 13이 전술한 것과 같이 제거된, 관상 몸체 11상에 탑재되는 경우에, 관상 몸체 11 및 맞물림 피스 18로 구성된 흡입기 조립품이 사용자의 입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환자의 상부 입술 23과 상부 치아 24가 홈 20 및 21에 각각 위치하고, 사용자의 하부 입술 25는 맞물림 피스 또는 치아블록 18의 홈 22에 위치하도록, 맞물림 피스 또는 치아블록 18을 위치시키므로서, 관상 몸체 11이 사용자의 구강 14내에 아주 정확하게 위치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관상 몸체 11의 내부단부는, 관상 몸체의 내부 개방단부가 사용자 혹은 환자의 목 26 근처에 위치하고, 목 26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관상 몸체 11내에 한정된 공기흐름통로를 통해 공기를 강하게 흡입하는 때에, 관상 몸체내에 포함된 활성물질의 거의 대부분이 환자의 폐로 전달될 수 있다. 관상 몸체 11의 내부단부는, 흡입기에 포함된 활성물질에 의해 치료되어야 하는 구강내의 어떠한 표면부를 향할 수 있다.
관상 몸체 11의 개방된 내부단부가 도 6에서와 같이 환자 내지는 사용자의 목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또는, 구강 14내에서 치료되어야 하는 어떠한 다른 표면부로 향하게 하기위해서는, 관상 몸체 11의 내부단부의 형태가 개개인의 사용자에게 맞추어져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관상 몸체의 내부단부가, 외주로 연장하는 주름이 제공된 굴절가능부 12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특정 환자나 사용자의 구강에 맞는 만곡부와 곡률이, 기억되어 있는 부호로 표현된다. 도 7은 이러한 부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에 표시된 것과 같이, 굴절가능부 12에 있는 인접하는 외주의 주름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외주 홈에 각각 또는 한칸 건너서 숫자가 매겨진다. 사용자에 의해 기억된 숫자부호는 윗방향으로 접한 홈부분중 어느 것이 완전히 개방되어야라고 어느것이 개방되어서는 안되는 지를 표시해준다.
다른 방법으로는,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홈은 다른 색깔을 칠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여러 홈에 다른 색깔들이 인가될 수 있다. 숫자부호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색깔부호에 의해서도 개별적인 환자나 사용자 각각에 적합한 곡률과 만곡부가 표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흡입기 10은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형태이다. 그러나, 도 8에서의 관상 몸체 11의 내부단부는 흡입기가 제조될 때 만들어지는 영구적인 만곡부 27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흡입기와 유사하게, 관상 몸체 11은 관상 몸체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나선형 주름 16을 포함한다.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나선형 주름은 관상 몸체 11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회전운동을 가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도 1, 2, 4, 5 및 도 8에 도시된 어떠한 실시예에서의 관상몸체 11는 예를들면 사출성형, 배출성형 또는 압출성형에 의해서 만들어 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주름은 연속적인 제조단계중에 관상 몸체 11의 벽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8에서 도시된 관상 몸체 11은, 선택적으로, 종이, 판지 또는 다른 섬유질의 판재료와 같은 판상 재료의 띠를, 인접 가장자리부를 상호 중복되게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한다. 그러면 이러한 가장자리 부분은 상호 연결되거나 밀봉되며, 그에 의해 나선형으로 연장하는 주름16이 형성된다. 1회분의 활성물질이 관상 몸체내에 배치되는 경우에, 넉넉하게 맞추어진 캡 13을 관상 몸체 11의 대향단부상에 용이하게 탑재하기 위해, 도 1, 2, 4, 5 및 도 8에 도시된 관상 몸체 11은 도8c의 점선 28로 표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절단된다.
도 8에서의 관상 몸체 11은 도 5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맞물림 피스 또는 치아블록 18의 채널 내지는 슬롯 19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 후에, 굴절가능부 12가 적절한 형태를 갖추고 캡 13이 제거되면, 도 9에서 도시되고, 도 6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환자의 입속에 흡입기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흡입기를 위한 관상 몸체 29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 10b, 10c 및 eh 10d는 각각 종방향 단면도, 상부 평면도, 단부를 나타내는 도면, 선 D-D를 따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관상 몸체 29는, 관상 몸체의 길이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단면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기흐름통로를 한정한다. 관상 몸체 29의 외부단부(도 10의 왼쪽 끝)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맞물림 피스 혹은 치아블록 18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것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맞물림 블록이 관상 몸체 29와 일체로 형성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관상 몸체 29는 관상 몸체 29의 외부단부의 상부 바깥면에 형성되는 홈 또는 그루브 20 및 21을 가진다. 이러한 홈 20 및 21은 각각 환자 혹은 사용자의 윗입술 23과 상부치아 24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아랫 입술 25를 수용하기 위해, 관상 몸체 29의 하부 바깥표면에 홈 22가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관상 몸체 29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압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지며, 단지 1회용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1회분의 활성 미립 또는 가루물질은 공기흐름통로 30내에 배치될 것이며, 공기흐름통로의 개방단부는 찢어질 수 있는 필름이나 호일과 같은, 제거가능한 밀봉 또는 밀폐수단에 의해 밀폐되거나 밀봉될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도 10에 도시된 관상 몸체 29는, 흡입기가 사용될 경우에 , 복용량의 가루 혹은 미립활성물질을 공기흐름통로 30내로 공급하기 위한 1회복용량 공급장치와 협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 관상 몸체 29는 수회 사용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샘플은 개개 사용자에게 적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12 및 도 13은, 분리된 1회 복용분량 공급장치 31을 구비하는 관상 몸체 29의 외부 단부 또는 맞물림 피스를 도시하고 있다. 1회 복용분량 공급장치 31은 관상 몸체 29의 공기흐름통로 30내로 삽입될 수 있는 짧은 관영역 32을 포함한다. 도 12에서는, 1회 복용분량 공급장치 31가 하우징 34내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된 원판 33을 포함한다. 원판 33은 원형으로 배치한 복수의 캡슐 35을 포함한다. 원판 33내의 캡슐 35는 연속적으로 사용위치의 색인이 되어 있다. 하우징 34 부품의 작동에 의해, 이 위치에 있는 캡슐 35의 대향단부 36는 절단되고, 이에 의해 캡슐의 나머지 관형태의 부분은 관영역 32를 경유하여 공기흐름통로 30와 연결된다. 절단된 캡슐에 포함되어 있는 1회분의 활성물질은,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환자의 구강내로 관상 몸체 29가 삽입될 때, 흡입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1회 복용분량 공급장치 31도 도 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13에서는 캡슐운반 원판이,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캡슐을 운반하는 띠 37로 대치되어 있다. 다른 점에서 보면, 도 13에서의 1회 복용분량 공급장치 31는 도 12의 공급장치와 실제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한다. 절단된 캡슐단부 36 또는 다른 외부물질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해, 미립활성물질은 통과시키고, 캡슐단부 36은 통과하지 않게 하는 체 또는 격자(grid)가 도 12 및 도 13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공기흐름통로 30내에 배치된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관상 몸체 29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흡입기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흡입기는 단일 복용분의 미립 또는 가루의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캡슐 또는 작은 용기 39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4a는 흡입기의 단부를 도시하며, 도 14b는 흡입기의 측면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캡슐 39는, 공기흐름통로 30의 바깥단부내로 삽입될 수 있는, 관 스터브(tube stub) 또는 관영역 32을 포함하며, 이는 캡슐 39가 교체가능함을 의미한다. 흡입기를 사용할 때, 공기가 캡슐을 통하여 공기흐름통로 30내부로 흐르게 하기 위해, 캡슐 39의 밀폐수단(도시되지 않음)은 제거되거나 파열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밀폐수단은 관 스터브 32를 밀폐하기 위한 제거가능한 켑 또는 필름 및 캡슐 39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제거가능한 필름이나 호일, 또는 캡슐의 제거가능한 벽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상 몸체는 수회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캡슐 혹은 용기 39는 1회 사용되면 폐기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관상 몸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a, 15b 및 15c는 각각, 단부를 나타내는 도면, 종방향 단면도 및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c는 도 15a, 15b에 비해 더 크게 도시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한다. 공기흐름통로 30에 부가하여, 도 15에 도시된 관상 몸체 29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처음부터 끝까지 진행하는 상부 및 하부 공기통로 40 및 41을 포함한다. 관상 몸체 29가 사용될 때 및 그 속에 부유된 활성물질을 포함한 공기흐름이 공기흐름통로 30을 통하여 흡입될 때, 보조 공기(false air)의 흐름이 동시에 공기통로 40 및 41을 통해 흡입된다. 이러한 보조공기의 흐름은 활성물질이 부유되어 있는 공기흐름을 둘러싸므로서, 부유된 활성물질을 요구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활성물질의 손실을 감소시킨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관상 몸체 29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타입으로서, 관 스터브 32에 의해 관상 몸체 29상에 교체가능하게 탑재되는 용기 혹은 캡슐 39를 포함하는 흡입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캡슐 39는 공기통로 40 및 41의 입력 개구부를 밀폐하지 않는 형태를 가진다. 도 16a는 흡입기의 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b는 흡입기의 측면도와 부분단면도이다. 공기통로 40 및 41을 통한 주변의 공기 흐름을 제외하고는, 도 16에 도시된 흡입기는 도 14 및 도 15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게 작동하고 동일한 기능을 한다.
도 17은 환자 혹은 사용자의 구강내로 삽입되어 있는 도 16에 도시된 흡입기의 내부 단부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환자가 흡입기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 그 속에 부유되는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공기 흐름 42는, 활성물질을 전혀 가지지 않거나 몇몇의 활성물질 입자만을 가지는 주위공기(화살표 43 및 44로 표시)의 흐름에 의해 포위된다. 이런 포위하는 공기흐름을 활성물질의 실제적인 손실없이 부유된 활성물질을 환자의 폐로 운송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도 18은 관상 몸체 29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a는 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b는 관상 몸체 29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18c는 C-C선의 원쪽에서 본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서의 관상 몸체 29는, C-C선의 원쪽에서 본 도 15b에 도시된 관상 몸체의 바깥단부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간단한 변형이다. 그러나, 도 18a에서 가장 잘 도시되듯이, 공기 흐름통로 30의 바깥단부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 혹은 그루브 45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되는 관상 몸체 29는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캡슐 혹은 용기 39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캡슐 39의 관 스터브 32는 채널 혹은 그루브 45내에 수용될 수 있고, 채널 혹은 그루브의 축방향 길이는 캡슐 39의 관영역 또는 관 스터브 32의 길이와 일치할 수 있다.
도 19에는 도 1의 실시예와 대응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관상몸체 11은 굴절가능부 12에 부가하여, 주름이 없는 직선 관영역 47에 의해 굴절가능부 12와 분리되어 있는 제 2의 유사한 굴절가능부 46를 가진다. 관상 몸체 11은 1회분의 활성물질 S를 포함하며, 흡입기 10가 사용될 때에는, 영역 12 및 46은 도 19b 및 1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굴절되어, 영역 12, 47 및 46은 S자 형상을 하게 된다. 활성물질 S는 주로 굴절가능한 관영역 12의 내부 주름홈에 수용된다. 제거가능한 밀폐캡 13이 도 19c에 도시한 것처럼, 관상 몸체 11의 대향단부로 부터 제거되고,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상 몸체가 사용자의 구강내부로 삽입될 것이다. 도 2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머리를 기울인다고 하더라도, 활성물질 S는 굴절가능부 12의 내부 주름홈내에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혹은 환자가 관상 몸체 11의 공기흐름통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때에는, 흐르는 공기의 속도로 인해 정압력 (static pressure)의 강하가 야기되어, 활성물질 S는 주름홈으로부터 빠져나와 공기흐름에 실리고 공기흐름내에서 효율적으로 분산된다.
도 1, 2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흡입기의 길이가 짧아진다면, 단일 복용분량의 활성물질 S를 위한 폐기가능한 용기 혹은 캡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형태의 용기나 캡슐은 도 21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거가능한 캡 13 또는 제거 가능하거나 파열가능한 다른 어떠한 밀폐수단에 의해 대향단부들이 밀폐될 것이다. 관형태의 캡슐은 전술한 것과 같은 외주의 주름을 구비하는 중앙의 굴절가능부분 49을 가질 수도 있다. 관형태의 용기나 캡슐은 도 10 내지 도 18에 도시된 관상 몸체 29중 어떠한 것과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22는 용기 혹은 캡슐 48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관상 몸체 29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관형태의 캡슐 48이 사용되는, 도 21b에서와 같이 굴절되어서, 활성물질 S가 굴절가능부 49내에 집결되고, 주로 굴절가능부내에 한정된 내부 주름홈안에 수용된다. 밀폐캡 13이 제거되고,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캡슐 48의 한쪽 단부가 관상 몸체 29의 공기흐름통로 30의 바깥 단부내로 삽입된다. 그러면 흡입기는 전술한 방법대로 사용될 준비가 된 상태이다. 캡슐 48로부터 활성물질 S가 흡입되고 난후에는, 캡슐은 폐기되고 새로운 캡슐이 다음 흡입을 위해 사용된다.
도 23은 많은 환상 주름이 있는 영역 12를 구비하는 흡입기를 도시한다. 도 23a 및 23b는 각각 사용전의 직선형태 흡입기와 사용준비가 된 굴절된 흡입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름은 축방향 단면의 형태가 실질적으로 톱니형태인 타입이다. 따라서, 주름의 골(valley) 50과 산(peak) 51은 비교적 뾰족하다.
도 24의 실시예에서는, 관상 흡입기가, 흡입기의 자유단부들이 아주 근접하게 되는 위치로 굴절되어 있으며, 활성물질을 포함한 흡입기는 흡입기의 두 자유단부를 모두 밀폐하는 단일 밀폐부재 52에 의해 이러한 위치로 유지된다. 이러한 밀폐부재는 예를 들면,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된 한 쌍의 밀폐캡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밀폐캡들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관상 흡입기의 두 대향단부가 흡입기의 사용전에 개방되는 것을 보장하여 준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도면에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다양한 변용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시된 어떤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은 도시된 하나 내지는 그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떠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체나 격자(grid) 38 또는 큰 입자를 거르기 위한 다른 종류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어떠한 관상 몸체도 보조의 또는 포위하는 공기를 위한 분리된 통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관상 몸체의 어떠한 실시예도, 도 1d에 도시된 압축성 벌브 15 내지는 압축공기를 제공하기위한 다른 어떠한 종류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35)

  1. 공기흐름통로를 한정하는 관상 몸체(11)를 포함하는 흡입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통로내에 배치되는 단일 복용분량의 활성이고 흡입가능한 미립 물질(S)만을 포함하고, 상기 복용분량은 사용전에 사용자에 의해 제거 또는 개방되어야 하는 밀폐수단(13)에 의해 주변의 대기에 대해서 밀폐 또는 밀봉되며, 상기 흡입기는 단지 한 번만 사용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 공기흐름통로(30)를 한정하는 관상 몸체 (11,29) 및 활성이고 흡입가능한 미립물질을 상기 흐름통로(30)내로 공급하는 수단(31,39,48)을 구비하는 흡입기에 있어서,
    상기 관상 몸체(30)의 자유 마우스피스 단부로부터 상기 흐름통로의 전체 길이중 대부분을 따라서 연장하는 흐름통로 부분의 길이를 따르는, 상기 흐름통로의 단면적이 75㎟ 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몸체의 자유 마우스피스 단부로부터 상기 흐름통로의 전체 길이중 대부분을 따라서 연장하는 흐름통로 부분의 길이를 따르는, 상기 흐름통로의 단면 면적이 75㎟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통로 영역(39)의 단면적이 70㎟을 초과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5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통로로 영역(39)의 단면적이 7 - 35㎟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는 단지 단일 또는 수회 복용분량의 상기 활성물질(S)을 포함하며, 단지 1회 또는 수회 사용되도록 설계된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통로(39) 또는 흐름통로 영역은 실질적으로 원형단면을 가지며, 상기 흐름통로의 내부직경은 상기 영역의 길이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는 음료 스트로우(빨대)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는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통로는 곡선영역(27)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몸체는 굴절가능 영역(12, 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몸체(11)의 상기 굴절가능 영역(12, 17)은 주위로 연장하는 주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의 저부(bottom)는, 개개인의 사용자에게 적당한 굴절정도를 구하는 것을 도와주는 부호(cod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는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통로를 통하는 공기흐름에, 상기 흐름통로의 종축주위로의 회전이동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16)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몸체(11, 29)는 마우스피스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피스 영역은 사용할 때 사용자의 치아(24)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사용자의 혀뿌리 근처에 위치하게 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부 턱 치아와 맞물리기 위해 상기 관상몸체(11, 29)의 외부표면상에 형성된 맞물림 피스(bite piece, 18)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피스(18)은 상기 관상 몸체(11)상에 제거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피스(18)는 개별적인 사용자의 상기 치아(24)에 적합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는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몸체는 수축된 보관상태로 부터 사용할 때의 신장된 상태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몸체에는 그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서 주위의 주름이 제공되므로서, 상기 관상 몸체의 종방향 신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몸체는 포개어 끼우는 식으로 결합되는 관상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중 어는 하나의 항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의 입자를 거르기 위해 상기 흐름통로(30)내에 배치되는 거름수단(38)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수단은 상기 흐름통로(30)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체(sieve) 또는 스크린(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3.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22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관상 몸체(11)의 대향단부들에 제거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캡부재(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4. 제 10 항 내지 제 23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몸체(11)의 자유 단부들은 매우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자유 단부들은 공통의 제거가능한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캡부재 또는 밀폐부재(13)는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몸체(11, 29)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통로를 통해 강제공기의 흐름을 제공하는 강제흐름 발생수단(15)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흐름 발생수단은 상기 관상 몸체(11)의 공기유입 단부 상에 설치되는 압축성 벌브(bulb, 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몸체의 한쪽단부 또는 마우스피스 단부가 사용자의 콧구멍속으로 삽입될 수 있게 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는 한 쌍의 관상 몸체 및 그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관상 몸체의 한쪽 단부 또는 마우스피스 단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므로서, 상기 단부들이 사용자의 콧구멍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31. 제 2 항 내지 제 30 항중 어느 하나의 의한 흡입기아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물질공급수단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단지 단일 복용분량의 미립 활성물질(S)을 함유하는 관구간(4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용분량은 사용전에 사용자에 의해 제거 또는 개방될 수 있는 밀폐수단(13)에 의해서 주위 대기에 대하여 밀폐 또는 밀봉되어 있으며, 상기 관구간의 한 쪽 단부는 상기 흡입기의 공기흐름통로(30)와 연결가능하거나 상기 통로내로 삽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공급수단.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관구간(48)은 적어도 하나의 굴절가능영역(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공급수단.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가능영역은, 인접하고 주위로 연장하는 복수의 주름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공급수단.
  34.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관구간(48)의 대향 단부들을 밀폐하는 한 쌍의 제거가능한 밀폐캡(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공급수단.
  35.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관구간(48)의 자유 단부들은 매우 근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자유 단부들은 제거가능한 공통의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공급수단.
KR1019970704984A 1995-01-23 1996-01-22 흡입기 Expired - Lifetime KR100390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8295 1995-01-23
DK82/95 1995-01-23
DK0082/95 1995-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592A true KR19980701592A (ko) 1998-05-15
KR100390480B1 KR100390480B1 (ko) 2003-10-04

Family

ID=8089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984A Expired - Lifetime KR100390480B1 (ko) 1995-01-23 1996-01-22 흡입기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EP (1) EP0805696B1 (ko)
JP (2) JPH10512478A (ko)
KR (1) KR100390480B1 (ko)
CN (1) CN1111433C (ko)
AT (1) ATE190512T1 (ko)
AU (1) AU693306B2 (ko)
BR (1) BR9606838A (ko)
CA (1) CA2210717C (ko)
CZ (1) CZ294305B6 (ko)
DE (1) DE69607143T2 (ko)
DK (1) DK0805696T3 (ko)
EA (1) EA000052B1 (ko)
ES (1) ES2145421T3 (ko)
FI (1) FI114447B (ko)
GR (1) GR3033542T3 (ko)
HU (1) HU221840B1 (ko)
NO (1) NO314571B1 (ko)
NZ (1) NZ298384A (ko)
PL (1) PL179487B1 (ko)
PT (1) PT805696E (ko)
SK (1) SK284044B6 (ko)
TR (1) TR199700669T1 (ko)
UA (1) UA35643C2 (ko)
WO (1) WO1996022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700422D0 (sv) * 1997-02-07 1997-02-07 Astra Ab Single dose inhaler II
AU771799B2 (en) * 1997-02-07 2004-04-01 Astra Aktiebolag Single dose inhaler II
AU730843B2 (en) 1997-05-27 2001-03-15 Direct-Haler A/S Inhaler for powdered medicaments
DE19814324C1 (de) * 1998-03-31 2000-01-20 Georg Mates Einweginhalator zum Inhalieren von flüchtigen Wirkstoffen
UA73924C2 (en) 1998-10-09 2005-10-17 Nektar Therapeutics Device for delivering active agent formulation to lungs of human patient
ES2600357T3 (es) 1999-03-03 2017-02-08 Optinose As Dispositivo de administración nasal
US9006175B2 (en) 1999-06-29 2015-04-14 Mannkind Corporation Potentiation of glucose elimination
US6606992B1 (en) 1999-06-30 2003-08-19 Nektar Therapeutics Systems and methods for aerosolizing pharmaceutical formulations
US7464706B2 (en) 1999-07-23 2008-12-16 Mannkind Corporation Unit dose cartridge and dry powder inhaler
CA2379137C (en) * 1999-07-23 2007-01-23 Pharmaceutical Discovery Corporation Unit dose capsules and dry powder inhaler
US7305986B1 (en) 1999-07-23 2007-12-11 Mannkind Corporation Unit dose capsules for use in a dry powder inhaler
WO2002078774A1 (en) * 2001-03-28 2002-10-10 Direct-Haler A/S Compliance system for drug delivery
CA2465266C (en) * 2001-11-22 2009-10-06 Raul Goldemann Inhalation device for dry powder controlled by inspiration
ATE385193T1 (de) 2002-03-20 2008-02-15 Mannkind Corp Inhalationsgerät
US7185651B2 (en) 2002-06-18 2007-03-06 Nektar Therapeutics Flow regulator for aerosol drug delivery and methods
GB0215270D0 (en) 2002-07-02 2002-08-14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311570D0 (en) 2003-05-20 2003-06-25 Optinose As Delivery device and method
WO2004105844A1 (ja) * 2003-05-28 2004-12-09 Hitachi Ltd. 吸入式投薬器
US20060231096A1 (en) * 2003-06-11 2006-10-19 Hitachi, Ltd. Inhalation type medication apparatus
EP1488819A1 (en) 2003-06-16 2004-12-22 Rijksuniversiteit te Groningen Dry powder inhaler and method for pulmonary inhalation of dry powder
GB0319119D0 (en) 2003-08-14 2003-09-17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GB0320171D0 (en) 2003-08-28 2003-10-01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ES2644717T3 (es) * 2003-10-21 2017-11-30 Direct-Haler A/S Inhalador
CA2575692C (en) 2004-08-20 2014-10-14 Mannkind Corporation Catalysis of diketopiperazine synthesis
KR20150039211A (ko) 2004-08-23 2015-04-09 맨카인드 코포레이션 약물 전달용 디케토피페라진염, 디케토모르포린염 또는 디케토디옥산염
GB0420513D0 (en) 2004-09-15 2004-10-2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GB0503738D0 (en) 2005-02-23 2005-03-3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US20090136505A1 (en) 2005-02-23 2009-05-28 Johanna Bentz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Active Agents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WO2007033372A2 (en) 2005-09-14 2007-03-22 Mannkind Corporation Method of drug formulation based on increasing the affinity of crystalline microparticle surfaces for active agents
EP1984049A1 (en) 2006-01-19 2008-10-29 Optinose AS Nasal administration
GB0602980D0 (en) 2006-02-14 2006-03-29 Optinose As Delivery device and method
MX360812B (es) 2006-02-22 2018-11-16 Mannkind Corp Un método para mejorar las propiedades farmacéuticas de micropartículas que contienen dicetopiperazina y un agente activo.
GB0604444D0 (en) 2006-03-06 2006-04-12 Optinose As Nasal devices
GB0605799D0 (en) 2006-03-23 2006-05-03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US7918222B2 (en) * 2006-05-30 2011-04-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by using negative oral pressure to a patient
GB2438834A (en) 2006-06-08 2007-12-12 Optinose As Intranasal protein administration
GB2440316A (en) 2006-07-25 2008-01-30 Optinose As Nasal inhaler with scrubber
GB0623731D0 (en)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Delivery device
GB0623728D0 (en)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Delivery devices
GB0623732D0 (en) 2006-11-28 2007-01-10 Optinose As Powder delivery devices
GB2448183A (en) 2007-04-05 2008-10-08 Optinose As Nasal powder delivery device
GB2448193A (en) 2007-04-05 2008-10-08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
GB0719299D0 (en) 2007-10-03 2007-11-14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MX395141B (es) 2008-06-13 2025-03-24 Mannkind Corp Inhalador de polvo y sistema para suministro de farmaco.
US8485180B2 (en) 2008-06-13 2013-07-16 Mannkind Corporation Dry powder drug delivery system
CA2728523C (en) 2008-06-20 2020-03-10 Mannkind Corporation An interactive apparatus and method for real-time profiling of inhalation efforts
TWI532497B (zh) 2008-08-11 2016-05-11 曼凱公司 超快起作用胰島素之用途
AU2009329522B9 (en) * 2008-12-19 2012-12-06 Novartis Ag Mouthpiece for an inhaler
CN102264421B (zh) 2008-12-23 2014-02-1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气雾剂药物输送的方法和包括台阶式吹口的装置
US8314106B2 (en) 2008-12-29 2012-11-20 Mannkind Corporation Substituted diketopiperazine analogs for use as drug delivery agents
CA2754595C (en) 2009-03-11 2017-06-27 Mannkind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resistance of an inhaler
TWI547487B (zh) 2009-06-12 2016-09-01 曼凱公司 具限定比表面積之二酮基哌微粒子
JP5784622B2 (ja) 2009-11-03 2015-09-24 マンカインド コーポレ−ション 吸入活動をシミュレート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2711884B (zh) * 2009-12-04 2014-07-1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包括用于气雾药物输送的可调节带台阶的管嘴的装置和方法
GB201015371D0 (en) 2010-09-14 2010-10-27 Optinose As Nasal delivery
US9949923B2 (en) 2011-03-15 2018-04-24 Optinose As Nasal delivery
RU2569776C2 (ru) 2011-04-01 2015-11-27 Маннкайнд Корпорейшн Блистерная упаковка дл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картриджей
WO2012174472A1 (en) 2011-06-17 2012-12-20 Mannkind Corporation High capacity diketopiperazine microparticles
AU2012328885B2 (en) 2011-10-24 2017-08-31 Mannkind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pain
DK2817053T3 (en) 2012-02-24 2018-08-13 Optinose As NATIONAL SUBMISSION DEVICES
ES2847152T3 (es) 2012-02-24 2021-08-02 Optinose As Dispositivos de administración nasal
US10076614B2 (en) 2012-02-24 2018-09-18 Optinose As Nasal delivery devices
BR112015000529B1 (pt) 2012-07-12 2022-01-11 Mannkind Corporation Inalador de pó seco
EP2903608B1 (en) 2012-10-03 2019-08-28 Proponent Biotech GmbH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ropionic acid for use in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WO2014066856A1 (en) 2012-10-26 2014-05-01 Mannkind Corporation Inhalable influenza vaccine compositions and methods
DK2961426T3 (da) 2013-02-26 2019-12-02 Baxalta GmbH Behandling af sygdomme i centralnervesystemet ved intranasal indgivelse af immunoglobulin g
ES2928365T3 (es) 2013-03-15 2022-11-17 Mannkind Corp Composiciones de dicetopiperazina microcristalina, métodos de preparación y uso del mismo
US11554229B2 (en) 2013-03-26 2023-01-17 OptiNose Inc. Nasal administration
USD761951S1 (en) 2013-05-23 2016-07-19 Optinose As Nosepiece unit
MX375448B (es) 2013-07-18 2025-03-06 Mannkind Corp Composiciones farmacéuticas en polvo seco estables al calor y métodos.
JP2016530930A (ja) 2013-08-05 2016-10-06 マンカインド コーポレイション 通気装置及び方法
US10307464B2 (en) 2014-03-28 2019-06-04 Mannkind Corporation Use of ultrarapid acting insulin
US10561806B2 (en) 2014-10-02 2020-02-18 Mannkind Corporation Mouthpiece cover for an inhaler
CA2966797C (en) 2014-11-19 2023-06-27 Optinose As A nosepiece for delivering substance to a nasal cavity of a subject
DE102015211931B4 (de) * 2015-06-26 2017-02-09 Pari Gmbh Mundstück für eine Inhaliervorrichtung
ES2899212T3 (es) * 2016-02-04 2022-03-10 Propel Air Biopharma Llc Dispositivo de administración de medicamento
JP7360392B2 (ja) * 2018-03-26 2023-10-1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渦カプセル空洞を備えた吸入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3732A (en) * 1949-01-28 1950-04-11 Wyeth Corp Inhalator
US4148308A (en) * 1977-05-31 1979-04-10 Sayer William J Mouthpiece with a tongue retractor
US4265236A (en) * 1980-03-31 1981-05-05 Pacella Angelo M Portable inhalator device
CA1329526C (en) * 1987-08-20 1994-05-17 Hiroshi Ikura Powdery medicine applicator device
GB8914223D0 (en) * 1989-06-21 1989-08-09 Fisons Plc Medicament container
EP0558879B1 (en) * 1992-03-04 1997-05-14 Astra Aktiebolag Disposable inhaler
GB2270293A (en) * 1992-09-05 1994-03-09 Medix Ltd Drug dispen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10717A1 (en) 1996-08-01
ATE190512T1 (de) 2000-04-15
EA000052B1 (ru) 1998-04-30
KR100390480B1 (ko) 2003-10-04
DK0805696T3 (da) 2000-06-05
NO973371L (no) 1997-07-22
NO973371D0 (no) 1997-07-22
DE69607143T2 (de) 2000-11-16
SK93897A3 (en) 1998-02-04
NO314571B1 (no) 2003-04-14
EP0805696A1 (en) 1997-11-12
FI973079A0 (fi) 1997-07-22
AU4385896A (en) 1996-08-14
WO1996022802A1 (en) 1996-08-01
EP0805696B1 (en) 2000-03-15
CN1111433C (zh) 2003-06-18
FI973079L (fi) 1997-09-22
TR199700669T1 (xx) 1998-02-21
GR3033542T3 (en) 2000-09-29
CN1169117A (zh) 1997-12-31
DE69607143D1 (de) 2000-04-20
NZ298384A (en) 1998-07-28
PL321495A1 (en) 1997-12-08
JPH10512478A (ja) 1998-12-02
ES2145421T3 (es) 2000-07-01
SK284044B6 (sk) 2004-08-03
UA35643C2 (uk) 2001-04-16
MX9705502A (es) 1998-07-31
HUP9900352A3 (en) 1999-11-29
HUP9900352A2 (hu) 1999-05-28
CZ294305B6 (cs) 2004-11-10
FI114447B (fi) 2004-10-29
EA199700134A1 (ru) 1997-12-30
BR9606838A (pt) 1999-11-30
PT805696E (pt) 2000-08-31
PL179487B1 (pl) 2000-09-29
JP2006026436A (ja) 2006-02-02
AU693306B2 (en) 1998-06-25
HU221840B1 (hu) 2003-02-28
CZ210397A3 (en) 1997-12-17
CA2210717C (en) 2001-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1592A (ko) 흡입기 (an inhaler)
US5797392A (en) Inhaler
AU730843B2 (en) Inhaler for powdered medicaments
US5203323A (en) Metered dose inhaler spacer device and associated cleaning brush
US4846168A (en) Inhaler
US5239991A (en) Disposable powder medicament inhalation device with peel-off cover
US5575281A (en) Medicated package
KR100491814B1 (ko) 흡입기
JP2927506B2 (ja) 使い捨て医薬吸入器具
CN107106795A (zh) 单剂量粉末吸入器及其生产方法
MXPA97005502A (en) An inha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6072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