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691B1 - Bed Type Furniture Having Electronic Treatment Unit - Google Patents
Bed Type Furniture Having Electronic Treatment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2691B1 KR102322691B1 KR1020140193777A KR20140193777A KR102322691B1 KR 102322691 B1 KR102322691 B1 KR 102322691B1 KR 1020140193777 A KR1020140193777 A KR 1020140193777A KR 20140193777 A KR20140193777 A KR 20140193777A KR 102322691 B1 KR102322691 B1 KR 1023226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unit
- treatment unit
- type furniture
- electric treat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or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치료유닛을 포함하는 침대형 가구는,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는 복수 개의 도자를 포함하는 도자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치료유닛, 하부에 상기 전동치료유닛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면이 형성된 제1프레임 및 상기 전동치료유닛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The bed-type furniture including the electric treat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treatment unit including a ceramic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ceramics for pressing the user's body,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electric therapy unit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lower part, , a first frame having a surface supporting the user's body on the upper portion and a driving unit for drawing in or withdrawing the electric treatment unit into the receiving sp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침대형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전동치료유닛을 포함하는 침대형 가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ed-type furni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bed-type furniture including an electric treatment unit that can be drawn in and out.
최근에는 환자는 물론, 일반인을 대상으로도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전동치료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치료기는 마사지 기능뿐 아니라 온열치료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날이 갈수록 그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Recently, electric therapy devices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and prevention, not only for patients but also for the general public. Such an electric therapy machine includes various functions such as heat treatment as well as massage function, and the function is expanding day by day.
그리고 일반적으로 전동치료기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기 위한 도자, 온열발생기 등 다양한 장치가 구비된다.And in general, the electric therapy device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lie down, and various devices such as a ceramics and a heat generator for pressing the user's body are provided therein.
이와 같이 전동치료기의 내부에는 다양한 장치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신체를 접촉했을 때 이물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전동치료기의 경우 숙면을 취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수면 시 일반적인 침대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즉 대부분의 사용자가 치료를 위해서는 전동치료기를 사용하고, 수면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침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As described above, since various devices are provided inside the electric therapy machin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feels a foreign body when the body is in contact.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electric therapy device, it is not easy to get a good night's sleep, so the user tends to prefer a general bed when sleeping. That is, most users use an electric therapy device for treatment and use a general bed for sleep.
다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전동치료기와 침대가 동시에 구비되어야 하나, 이들은 적어도 사용자의 신체 면적보다는 넓은 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공간이 심하게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is case, the electric therapy and the bed should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but since they have a larger area than at least the user's body area, there is a problem in that space is severely wast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치료유닛을 포함하는 침대형 가구는 효과적인 치료 및 안락한 수면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bed-type furniture including the electric treat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effective treatment and comfortable sleep at the same time.
그리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And it has a purpose to make efficient use of spac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치료유닛을 포함하는 침대형 가구는,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는 복수 개의 도자를 포함하는 도자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치료유닛, 하부에 상기 전동치료유닛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면이 형성된 제1프레임 및 상기 전동치료유닛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The bed-type furniture including the electric treat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treatment unit including a ceramic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ceramics for pressing the user's body,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electric therapy unit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lower part, , a first frame having a surface supporting the user's body on the upper portion and a driving unit for drawing in or withdrawing the electric treatment unit into the receiving space.
그리고 상기 전동치료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일측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된 제2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제2프레임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2프레임이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되는 가이드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제2프레임의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유닛을 가이드하는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And the electric treatment unit is provide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rame formed to be retractable and withdrawable to the open side of the receiving space,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guide the retraction and withdrawal of the second frame and a guide unit that is positioned in the receiving space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rame is drawn out to the maximum and is formed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guide unit includes an extension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second frame and the It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extension and includes a sliding part mov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first frame, and a rail for guiding the guide un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frame.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의 내벽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제1회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각 대향면은 상기 제1회전롤러의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And the first frame includes a first rotating roller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frame to rotatably contact the guide unit, and each opposing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s the first It may be spaced apart at interval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rotary roller.
그리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제2회전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otating roller provided in the sliding part to rotatably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first frame.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제2프레임의 하부로 연장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 구비된 제3회전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unit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and a third rotating roller provided at an end of the support portion.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전동치료유닛에 연결되는 이송바, 상기 이송바를 선형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transfer bar connected to the electric treatment unit, an actuator for linearly driving the transfer bar.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복수 개의 신축바가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전동치료유닛 사이에 서로 링크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신축바 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전동치료유닛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전동치료유닛을 이송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telescopic bars are linked to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electric treatment uni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electric treatment unit by rot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telescopic bars By adjusting the electric treatment unit can be transferred.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치료유닛을 포함하는 침대형 가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bed-type furniture including the electric treat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하나의 가구만으로 효과적인 전동치료 기능 및 안락한 수면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only one piece of furniture can provide an effective electric therapy function and a comfortable sleep function at the same time.
둘째, 전동치료유닛이 구비되는 제2프레임이 제1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공간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second frame provided with the electric treatment un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first fra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inimize the waste of space.
셋째, 수면 시 전동치료유닛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동치료유닛의 각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지속적인 마모가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since there is no need to use the electric treatment unit during sleep,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inuous wear and tear by the user's body even when each device of the electric treatment unit is not used.
넷째, 사용자가 전동치료 기능 및 수면 기능을 번갈아 이용 시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minimize movement when using the electric therapy function and the sleep function alternately.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제2프레임이 인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제2프레임 상에 전동치료유닛 및 커버시트가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제2프레임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가이드유닛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제2프레임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가이드유닛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가이드유닛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가이드유닛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가이드유닛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구동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구동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구동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all appearance of a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frame is drawn out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treatment unit and the cover sheet are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in detail the shape of the guide unit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guide unit in detail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guide unit in detail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guide unit in detail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guide unit in detail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driving unit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driving unit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driving unit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n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1)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제2프레임(200)이 인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all appearance of a b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1)는 제1프레임(100)과, 전동치료유닛과,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1)는 상기 전동치료유닛이 구비되는 제2프레임(200)을 더 포함한다.1 and 2, the bed-
상기 제1프레임(100)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면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면의 하부에는 전동치료유닛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05)이 형성된다.The
즉 상기 제1프레임(100)은 사용자가 신체를 눕힐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프레임(100) 상에는 사용자에게 쿠션을 제공하는 매트(110)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프레임(100) 상에는 매트(11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제1프레임(100) 자체가 사용자가 직접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상기 제2프레임(200)은 상기 수용공간(105)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전동치료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05)의 개방된 일측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즉 상기 제2프레임(200) 역시 상기 제1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신체를 눕힐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상기 제2프레임(200) 상에는 커버시트(210)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That is, the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프레임(100) 상에 커버시트(210)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프레임(200) 상에 매트(11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상기 제2프레임(200) 상에는 매트(110) 또는 커버시트(210)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프레임(200)은 상기 제1프레임(100)의 수용공간(105) 내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105)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프레임(100)의 면적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프레임(200)이 상기 제1프레임(100)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본 실시예의 침대형 가구(1)는 상기 제1프레임(100)의 부피만큼만 공간을 점유하게 되므로 공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사용자가 제2프레임(200)의 전동치료 기능 및 제1프레임(100)의 수면 기능을 번갈아 이용할 경우,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alternately uses the electric treatment function of the
한편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전동치료유닛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unit is a component for drawing or withdrawing the electric treatment unit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제2프레임(200) 상에 전동치료유닛(220) 및 커버시트(210)가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200)에는 전동치료유닛(220)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동치료유닛(220)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해 커버시트(210)가 구비되며, 상기 전동치료유닛(220)은 상기 커버시트(210)에 둘러싸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3, the
상기 전동치료유닛(2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는 복수 개의 도자(223)를 포함하는 도자모듈(2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200)에 구비된다.The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동치료유닛(220) 상에 지지폼(228)이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폼(228)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도자모듈(222)이 삽입되는 삽입홈(229)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29)은 상기 도자모듈(222)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자모듈(222)은 구동모듈(225)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21)에 형성된 가이드(224)를 따라 상하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폼(228)의 삽입홈(229)의 경로 상으로 이동하며 지지폼(228) 상에 누워 있는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만, 이와 달리 상기 도자모듈(222)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1)가 생략된 형태로 상기 제1프레임(200)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ore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자모듈(222)에 구비된 복수 개의 도자(223)는 내부에 온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열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자(223) 외측에도 별도의 발열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또한 상기 제2프레임(200)에는 상기 전동치료유닛(220)이 제2프레임(2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지지바가 구비되며, 또한 제2프레임(200)의 하부에는 상기 제2프레임(20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복수의 이동바퀴(202)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프레임(200)은 전술한 제1프레임(100)의 수용공간(105)에 용이하게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프레임(200)과 상기 전동치료유닛(220)은, 구동유닛(205)에 의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자동식으로 상기 제1프레임(100)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구동유닛(205)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컨베이어, 기어드 모터, 체인, 타이밍벨트, 리니어 액추에이터, 링크 타입 등 상기 제2프레임(200)과 상기 전동치료유닛을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상기 이동바퀴(202)가 전동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중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와, 링크 타입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205)는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전동치료유닛은 수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일정 거리까지만 수동으로 이동되고, 나머지 거리는 자동으로 이동되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동치료유닛이 자동으로 구동되는 경우, 리모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And the driving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전동치료유닛에는 압력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전동치료유닛은 상기 압력센서가 기준치 이상의 압력을 감지할 경우 자동으로 인입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As another method, the electric treatment unit is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and the electric treatment unit may be automatically drawn in when the pressure sensor detects a pressure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한편 제2프레임(200)의 하부에는, 상기 제2프레임(200)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23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유닛(230)은 상기 제2프레임(200)의 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이드유닛(23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a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제2프레임(200)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가이드유닛(230)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평면도이다.4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유닛(230)은 제2프레임(200)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유닛(230)은 상기 제2프레임(200)이 상기 제1프레임(100)의 수용공간(105) 내로 용이하게 인입되거나, 수용공간(105)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4 and 5 ,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유닛(230)은 연장부(232)와, 슬라이딩부(23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제2회전롤러(235)를 더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연장부(232)는 상기 제2프레임(200)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부(234)는 상기 연장부(232)의 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벽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2회전롤러(235)는 상기 슬라이딩부(234)에 구비되고,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딩부(234)가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회전롤러(235)는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딩부(234)가 비틀림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2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And the second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프레임(100)은,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벽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유닛(230)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제1회전롤러(107)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롤러(107)는 상기 제2회전롤러(235)와 함께 가이드유닛(230)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며, 상기 가이드유닛(230)의 이동 경로를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롤러(107)와 제2회전롤러(235)는 지면으로부터 이격 거리가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편 상기 제1프레임(100)과 상기 제2프레임(200)의 각 대향면은 상기 제1회전롤러(107)의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프레임(100)과 상기 제2프레임(200)의 각 대향면 사이의 간격(d)이 상기 제1회전롤러(107)의 폭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1회전롤러(107)에 의해 상기 제2프레임(200)의 이동이 방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유닛(230)은, 상기 제2프레임(200)이 상기 수용공간(105)으로부터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105) 내에 위치되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종래의 슬라이딩형 가구의 경우, 이동되는 구성요소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를 위한 레일 등이 외부로 노출되었으며, 이는 미관을 크게 해치는 요소가 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liding-type furniture, rails for guid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components are drawn out, which not only greatly impairs the aesthetics, but also may cause injury to the user.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유닛(230)은 상기 제2프레임(20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2프레임(200)이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도 상기 수용공간(105) 내에 위치되므로,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게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Contrary to this, in this embodiment, the
뿐만 아니라, 상기 제2프레임(200)의 측면 부분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수납함 또는 별도의 추가 구성요소를 설치할 수도 있어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ide portion of the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를 위해, 상기 제1프레임(100)에는 상기 가이드유닛(230)의 최대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nd although not shown, for this purpose, of course, a stopper for limiting the maximum movement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제2프레임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6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가이드유닛(330)의 형태가 제1실시예와 다르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components are formed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the shape of th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유닛(330)은 상기 제2프레임(2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유닛(330)을 가이드하는 레일(307)이 구비된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즉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유닛(330)이 상기 제2프레임(200)의 하부에 구비되므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프레임(200)의 측면을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가이드유닛(330)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의 가이드유닛(330)은 지지부(332, 334)와, 제3회전롤러(33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 the
상기 지지부(332, 334)는 상기 제2프레임(200)의 하부로 연장되며, 특히 하측으로 연장된 제1지지부(332)와, 상기 제1지지부(332)로부터 절곡되어 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지지부(334)를 포함한다.The
그리고 상기 제3회전롤러(335)는 상기 제2지지부(334)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프레임(200)을 원활히 이송시킬 수 있다.And the third
이때 상기 레일(307)은, 상기 제3회전롤러(335)가 접촉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3회전롤러(335)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308)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가이드유닛(430)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가이드유닛(430)을 비롯한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레일(407)의 형태가 제2실시예와 다소 다르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8 ,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components including th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407)은 상기 제3회전롤러(435)가 접촉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3회전롤러(435)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408)와, 상기 가이드부(408)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3회전롤러(435)의 후면을 감싸는 이탈방지부(409)를 포함한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이탈방지부(409)에 의해 상기 제3회전롤러(435)가 이동 시 상기 레일(407)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프레임(200)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third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가이드유닛(530)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는 전술한 제3실시예와 가이드유닛(530)을 비롯한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레일(507)의 형태가 제3실시예와 다소 다르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8 ,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components including th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507)은 상기 제3회전롤러(535)가 접촉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3회전롤러(535)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508)와, 상기 가이드부(508)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3회전롤러(535)의 후면을 감싸는 이탈방지부(509)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가이드부(508) 및 상기 이탈방지부(509)의 내측에는 이격공간(S)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508) 및 상기 이탈방지부(509)는 상기 제1프레임(100)으로부터 보다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 간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어 상기 제2프레임(200)의 측면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가이드유닛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guide unit in detail in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는 전술한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이드유닛 및 레일(607)을 가지는 것이 동일하나, 그 구체적인 형태가 각 실시예와 다르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0, the bed-type furnitur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guide unit an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제1지지부(632)만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3회전롤러(635)는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unit includes only the
그리고 레일(607)의 경우, 상기 제2프레임(200)의 하측으로 연장된 하부연장부(608)와, 상기 제3회전롤러(635)에 접촉되는 가이드부(609)를 포함한다.And the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제3회전롤러(635)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guide un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third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구동유닛(340)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프레임(200) 및 전동치료유닛을 이송시키는 구동유닛(340)이 리니어 액추에이터 타입으로 형성된다.In the case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1 , the driving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유닛(340)은, 상기 제2프레임(200)에 연결되는 이송바(344)와, 상기 이송바(344)를 선형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342)를 포함한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342)는 상기 이송바(344)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프레임(200)은 제1프레임(100)으로부터 자동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액추에이터(342)를 작동시키는 작동버튼이 상기 제1프레임(100) 또는 상기 제2프레임(2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버튼의 구동 방식 역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an operation button for operating the
예를 들어 상기 작동버튼은, 사용자가 상기 작동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상기 액추에이터(342)를 구동시키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한 번의 누름 입력만으로 상기 액추에이터(342)가 자동으로 상기 제2프레임(200)을 인입 및 인출시키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operation button may be in the form of driving the
또한 상기 제2프레임(200)에는 상기 제2프레임(200)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전방의 장애물 등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센서가 장애물을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액추에이터(342)는 구동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구동유닛(440)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프레임(200) 및 전동치료유닛을 이송시키는 구동유닛(440)이 링크 타입으로 형성된다.In the case of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2, the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유닛(440)은 복수 개의 신축바(441)가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상기 제2프레임(200) 사이에 서로 링크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신축바(441) 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100)과 상기 제2프레임(2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2프레임(200)을 이송시키게 된다.Specifically, the driving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신축바(441)는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에 각각 1점의 연결구(442a, 442b)에 의해 연결되고, 이에 따라 각 신축부(441) 사이의 힌지(444)를 회전시켜 상기 제1프레임(100)과 상기 제2프레임(2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1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가구에 있어서, 구동유닛(540)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7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프레임(200) 및 전동치료유닛을 이송시키는 구동유닛(540)이 링크 타입으로 형성된다.In the case of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3 , the driving
구체적으로 상기 신축바(541)는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에 각각 2점의 연결구(542a, 542b)에 의해 연결되고, 이에 따라 각 신축부(541) 사이의 힌지(544)를 회전시켜 상기 제1프레임(100)과 상기 제2프레임(2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그리고 본 실시예 및 전술한 제7실시예의 경우, 상기 구동유닛(440, 540)는 수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구동모터 등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 및 힌지를 구동하는 자동 구동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n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nd the seven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driving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nation rather than limitation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침대형 가구 100: 제1프레임
105: 수용공간 107: 제1회전롤러
110: 매트 200: 제2프레임
202: 이동바퀴 205: 구동유닛
210: 커버시트 220: 전동치료유닛
221: 베이스 플레이트 222: 도자모듈
223: 도자 224: 가이드
225: 구동모듈 230: 가이드유닛
232: 연장부 234: 슬라이딩부
235: 제2회전롤러1: bed type furniture 100: first frame
105: accommodation space 107: first rotary roller
110: Matt 200: second frame
202: moving wheel 205: drive unit
210: cover sheet 220: electric treatment unit
221: base plate 222: ceramic module
223: ceramic 224: guide
225: drive module 230: guide unit
232: extension 234: sliding part
235: second rotary roller
Claims (7)
하부에 상기 전동치료유닛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면이 형성된 제1프레임; 및
상기 전동치료유닛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동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치료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일측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된 제2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제2프레임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2프레임이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되는 가이드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제2프레임의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유닛을 가이드하는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의 내벽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제1회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제2회전롤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롤러와 상기 제2회전롤러는 지면으로부터 이격 거리가 상이하게 배치되는 침대형 가구.an electric therapy unit including a ceramic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ceramics for pressing the user's body;
A first frame in which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electric treatment unit is accommodate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and a surface for supporting the user's body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a driving unit for drawing in or withdrawing the electric treatment unit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includes,
The electric treatment unit is provided,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rame formed to be drawn in and out of the open side of the receiving space,
A guide uni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to guide the drawing in and out of the second frame, and to be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rame is withdrawn to the maximum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guide unit is
an extension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second frame; and
a sliding part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extension part and mov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first frame;
includes,
A rail for guiding the guide unit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frame,
The first frame is
A first rotating roller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frame and rotatably in contact with the guide unit,
The guide unit i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rotary roller provided in the sliding portion to rotatably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first frame,
The first rotary roller and the second rotary roller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in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bed-type furniture.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각 대향면은 상기 제1회전롤러의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된 침대형 가구.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distanc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rotating roller.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제2프레임의 하부로 연장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 구비된 제3회전롤러;
를 포함하는 침대형 가구.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unit is
a support portion extending downward of the second frame; and
a third rotating roller provided at an end of the support part;
bed type furniture including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전동치료유닛에 연결되는 이송바;
상기 이송바를 선형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침대형 가구.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 unit is
a transfer bar connected to the electric treatment unit;
an actuator for linearly driving the transfer bar;
bed type furniture including
상기 구동유닛은,
복수 개의 신축바가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전동치료유닛 사이에 서로 링크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신축바 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전동치료유닛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전동치료유닛을 이송시키는 침대형 가구.7. The method of claim 6,
The drive unit is
A plurality of telescopic bars are provided to be linked to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electric treatment unit, and a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electric treatment unit is adjusted by rot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telescopic bars, the electric Bed type furniture for transporting treatment units.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3777A KR102322691B1 (en) | 2014-12-30 | 2014-12-30 | Bed Type Furniture Having Electronic Treatment Unit |
CN201520079441.5U CN204483596U (en) | 2014-12-30 | 2015-02-04 | Comprise the bedroom bed-type furniture of electronic treatment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3777A KR102322691B1 (en) | 2014-12-30 | 2014-12-30 | Bed Type Furniture Having Electronic Treatment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3264A KR20160083264A (en) | 2016-07-12 |
KR102322691B1 true KR102322691B1 (en) | 2021-11-08 |
Family
ID=5356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3777A Active KR102322691B1 (en) | 2014-12-30 | 2014-12-30 | Bed Type Furniture Having Electronic Treatment Uni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2691B1 (en) |
CN (1) | CN204483596U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7222A (en) | 2022-08-23 | 2024-03-04 | (주)자모네 | Functional beds |
KR20240174993A (en) * | 2023-06-08 | 2024-12-18 |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 Storage Type Massage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42888A (en) * | 2020-01-22 | 2021-07-23 | 麒盛科技股份有限公司 | Self-heating electric bed |
KR102775517B1 (en) * | 2022-06-09 | 2025-03-06 | 주식회사 세라젬 | Sofa type massaging apparatus |
KR102821682B1 (en) * | 2023-06-08 | 2025-06-20 |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 Retractable storage massage apparatus |
CN222841212U (en) * | 2023-06-08 | 2025-05-09 | 保迪弗兰德有限公司 | Storage type massage device capable of being led out |
KR102830417B1 (en) * | 2024-03-27 | 2025-07-04 |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 Retractable massage apparatu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37080Y2 (en) * | 1992-03-12 | 1997-05-28 |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 Drawer structure |
KR200212407Y1 (en) * | 2000-07-26 | 2001-02-15 | 김명하 | A bedstead |
JP2004016720A (en) * | 2002-06-20 | 2004-01-22 | Arai Tekko:Kk | Vertically movable storage device |
KR100677983B1 (en) * | 2005-11-23 | 2007-0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reezer Drawer Draw-Out Structure |
KR101206967B1 (en) * | 2011-04-18 | 2012-11-30 | 주식회사 세라젬 | Thermotherapy Be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7140U (en) * | 1991-07-16 | 1993-02-02 | 株式会社ダイドー | Rotating closet |
KR20090123029A (en) | 2008-05-27 | 2009-12-02 |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 Bed Type Thermal Therapy |
-
2014
- 2014-12-30 KR KR1020140193777A patent/KR102322691B1/en active Active
-
2015
- 2015-02-04 CN CN201520079441.5U patent/CN204483596U/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37080Y2 (en) * | 1992-03-12 | 1997-05-28 |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 Drawer structure |
KR200212407Y1 (en) * | 2000-07-26 | 2001-02-15 | 김명하 | A bedstead |
JP2004016720A (en) * | 2002-06-20 | 2004-01-22 | Arai Tekko:Kk | Vertically movable storage device |
KR100677983B1 (en) * | 2005-11-23 | 2007-0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reezer Drawer Draw-Out Structure |
KR101206967B1 (en) * | 2011-04-18 | 2012-11-30 | 주식회사 세라젬 | Thermotherapy Bed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7222A (en) | 2022-08-23 | 2024-03-04 | (주)자모네 | Functional beds |
KR20240174993A (en) * | 2023-06-08 | 2024-12-18 |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 Storage Type Massage Apparatus |
KR102824425B1 (en) * | 2023-06-08 | 2025-06-25 |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 Storage Type Massage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3264A (en) | 2016-07-12 |
CN204483596U (en) | 2015-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2691B1 (en) | Bed Type Furniture Having Electronic Treatment Unit | |
CN105982804B (en) | Automatic sliding-type massage machine | |
WO2010010388A3 (en) | Drive mechanism for rotating sleep surface transfer system | |
GB2374332B (en) | Conveying apparatus incorporating raisable rollers | |
WO2007061474A3 (en) | Extendible conveyor | |
CN104047526B (en) | Shower doors sealing system | |
CN203915280U (en) | A kind of electric Stryker frame | |
GB0408980D0 (en) | Apparatus at a carding machine wherein at least one stationery segment is associated with a roller | |
KR200200022Y1 (en) | An acupressure and thermotherapy bed | |
CN109223327A (en) | A kind of bed transport for facilitating user to translate transhipment | |
CN108743062A (en) | Medical transport pushing bed | |
CN202761574U (en) | Turn-over hidden type guardrail | |
JP3613613B2 (en) | Transfer assistance device | |
CN213111054U (en) | Blanking conveying device | |
SI1447515T1 (en) | Roll-up door with slidable shaft | |
CN214882482U (en) | Folding machine | |
KR200189469Y1 (en) | A physical therapy equipment | |
CN209172733U (en) | A kind of emergency cot with conveyer belt | |
CN208217855U (en) | A kind of Medicine box clamping row's case structure | |
CN203676625U (en) | Protective mechanism for adjustable bed tool | |
TW576192U (en) | Roller bar structure device for massage bed | |
CN203915298U (en) | Can a sick bed of lying | |
ITGE20010007U1 (en) | APPARATUS FOR PHYSIOLOGICAL TREATMENTS. | |
KR20120049680A (en) | Moving up and down apparatus for a hyperthermo-therapeutic apparatus | |
KR20130030644A (en) | Moving device for a hyper thermo-therapeuti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