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66524B1 -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524B1
KR101166524B1 KR1020120025673A KR20120025673A KR101166524B1 KR 101166524 B1 KR101166524 B1 KR 101166524B1 KR 1020120025673 A KR1020120025673 A KR 1020120025673A KR 20120025673 A KR20120025673 A KR 20120025673A KR 101166524 B1 KR101166524 B1 KR 101166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wiper
wiper blade
protrusion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병
고경호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524B1/ko
Priority to US13/717,087 priority patent/US8627540B2/en
Priority to CN2013100200319A priority patent/CN103303260A/zh
Priority to DE102013200955A priority patent/DE102013200955A1/de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58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 B60S1/58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including wi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2001/4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characterised by the arm or connecting part mounted on the arm presenting a shaped opening for bearing the pivot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는, 차량의 유리를 닦기 위한 와이퍼 립을 구비하고, 그 와이퍼 립을 지지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 부재의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을 양 측벽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비원형 단면부가 구비된 회전축을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상기 비원형 단면부에 대응하는 개방부가 구비된 수용 홈부;를 포함한 막대 형태의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리테이너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리테이너와 분리 또는 결합되는 위치를 지시하는 인덱스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Wiper apparatus enhancing separation function of wiper blade}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퍼 블레이드와 리테이너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어(rear) 글라스에는 그 글라스의 경사각도에 따라 리어 와이퍼의 설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통상 세단이라 불리는 노치 백(notch back) 스타일의 승용차의 리어 글라스에는 리어 와이퍼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SUV(sports utility vehicle)등과 같은 해치 백(hatch back) 스타일의 차량의 리어 글라스에는 리어 와이퍼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이것은 차량의 스타일에 따라 그 차량의 주행 중에 리어 글라스(rear glass)에 음압이 발생하여 먼지 등이 그 리어 글라스에 쌓이기 쉽게 때문이다.
이와 같이 차량의 리어 글라스에 리어 와이퍼가 장착된 차량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리어 와이퍼는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와이퍼 장치의 구조에 대한 일 예가 등록특허 제0800581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와이퍼 장치(1)는 와이퍼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암 헤드(2) 및 그 암 헤드(2)에 결합된 리테이너(3)와 그 리테이너(3)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 와이퍼 블레이드(4)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4)는 소모성 부품으로써 글라스에 의해 마모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새로운 부품으로 교환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4)는 상기 리테이너(3)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위치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4)에 비원형 단면의 회전축(5)이 구비되고, 리테이너(3)에는 상기 회전축(5)을 수용하는 일측이 개방된 원형 홈부(6)가 구비된다. 상기 원형 홈부(6)는 상기 회전축(5)과 일정한 각도에서만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5)의 비원형 단면이 상기 원형 홈부(6)의 개방된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4)와 상기 리테이너(3)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와이퍼 장치(1)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5)의 비원형 단면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와이퍼 블레이드(4)를 교환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4)를 상기 리테이너(3)에 대해 상대회전시켜 가면서 직감적으로 상기 회전축(5)의 비원형 단면부를 찾아내야 하므로 와이퍼 블레이드(4)의 교환 작업이 불편하다. 또한, 이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4)의 분리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무리하게 힘을 가하여 와이퍼 블레이드(4)를 리테이너(3)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종종 와이퍼 블레이드(4) 또는 리테이너(3)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퍼 블레이드와 리테이너의 결합 또는 분리 위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는, 차량의 유리를 닦기 위한 와이퍼 립을 구비하고, 그 와이퍼 립을 지지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 부재의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을 양 측벽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비원형 단면부가 구비된 회전축을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상기 비원형 단면부에 대응하는 개방부가 구비된 수용 홈부;를 포함한 막대 형태의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리테이너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리테이너와 분리 또는 결합되는 위치를 지시하는 인덱스 수단을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인덱스 수단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회전축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의 내측 벽으로부터 돌출된 외팔보 형상의 돌기부; 및
상기 리테이너의 전방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리테이너에 대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와 상기 리테이너의 분리 및 조립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하도록 하는 감지부;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는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덱스 수단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회전축 상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축 돌기부; 및
상기 리테이너의 수용 홈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축 돌기부를 수용한 채 일정한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그 축 돌기부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와 상기 리테이너의 분리 및 조립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하도록 하는 축 돌기부 수용홈;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덱스 수단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회전축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의 양쪽 내측 벽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브리지부; 및
상기 리테이너의 전방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리테이너에 대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브리지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와 상기 리테이너의 분리 및 조립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하도록 하는 접촉부;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장치는 사용자가 와이퍼 블레이드와 리테이너의 분리 및 결합 위치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블레이드와 리테이너의 조립 또는 분리시 와이퍼 블레이드 또는 리테이너가 예기치 않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와이퍼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와이퍼 장치의 조립 구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와 리테이너의 분리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주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에서 블레이드와 리테이너의 분리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주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에서 리테이너의 주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와 리테이너의 분리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주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하여 3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아래에서 순차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와 리테이너의 분리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주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11, 이하 "와이퍼 장치"라 함)는 와이퍼 블레이드(20)와 리테이너(3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는 와이퍼 립(22)과 레버 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립(22)은 일반적으로 고무와 같이 유연성이 양호한 소재로 제조된다. 상기 와이퍼 립(22)은 차량에 장착된 유리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채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유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즉, 상기 와이퍼 립(22)은 차량의 유리를 닦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버 부재(24)는 상기 와이퍼 립(22)을 글라스에 견고하게 지지 되도록 하는 부재이며, 상기 와이퍼 립(22)을 유리 표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버 부재(24)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레버 부재(24) 중 중앙에 배치된 레버 부재(24)를 주 레버라 한다. 상기 주 레버의 중앙부에는 리테이너(30)와 레버 부재(24)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된다. 즉, 상기 주 레버에는 관통공(26)이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26)은 상기 주 레버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6)의 양 측벽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회전축(28)이 마련된다. 즉, 상기 회전축(28)은 상기 레버 부재(24)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회전축(28)은 상기 레버 부재(24)와 일체로 성형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상기 레버 부재(24)에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8)은 비원형 단면부(29)가 구비된다. 상기 비원형 단면부(29)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후술하는 리테이너(30)와 일정한 위치에서만 조립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동 중에 와이퍼 블레이드(20)가 리테이너(30)로부터 예기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상기 리테이너(30)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리테이너(30)의 일단부는 암 헤드에 결합된다. 상기 리테이너(30)의 타단부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결합한다.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회전축(28)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부(32)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 홈부(32)는 상기 회전축에 마련된 비원형 단면부(29)에 대응하는 개방부(34)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의 결합 또는 분리 작업시 사용자가 그 결합 또는 분리 위치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와이퍼 장치(11)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상기 리테이너(30)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상기 리테이너(30)와 분리 또는 결합되는 위치를 지시하는 인덱스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인덱스 수단은 돌기부(282)와 감지부(352)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부(282)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에 마련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부(282)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의 회전축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돌기부(282)는 상기 관통공(26)의 내측 벽으로부터 돌출된 외팔보 형상의 돌기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돌기부(282)는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감지부(352)는 상기 리테이너(30)의 전방 단부에 마련된다. 상기 감지부(352)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상기 리테이너(30)에 대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부(282)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의 분리 및 조립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하도록 한다. 즉, 상기 감지부(352)가 상기 돌기부(282)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의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덱스 수단의 작용 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돌기부(282)와 상기 감지부(352)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보여준다. 즉, 도 4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가 자연스럽게 결합된다. 도 4의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의 결합 또는 분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를 배치한 다음, 상기 회전축(28)을 상기 수용 홈부(32)에 끼워 넣은 후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시키면 와이퍼 블레이드(20)와 리테이너(30)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20)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를 상기 리테이너(30)에 대해 회전시켜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만든다. 도 4에 도시된 상태는 상기 감지부(352)가 상기 돌기부(282)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쉽게 결합 또는 분리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를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에서 블레이드와 리테이너의 분리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주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에서 리테이너의 주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12, 이하 "와이퍼 장치"라 함)는, 와이퍼 블레이드(20)와 리테이너(3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는 와이퍼 립(22)과 레버 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립(22)은 일반적으로 고무와 같이 유연성이 양호한 소재로 제조된다. 상기 와이퍼 립(22)은 차량에 장착된 유리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채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유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즉, 상기 와이퍼 립(22)은 차량의 유리를 닦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버 부재(24)는 상기 와이퍼 립(22)을 유리에 견고하게 지지 되도록 하는 부재이며, 상기 와이퍼 립(22)을 유리 표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버 부재(24)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레버 부재(24) 중 중앙에 배치된 레버 부재(24)를 주 레버라 한다. 상기 주 레버의 중앙부에는 리테이너(30)와 레버 부재(24)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된다. 즉, 상기 주 레버에는 관통공(26)이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26)은 상기 주 레버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6)의 양 측벽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회전축(28)이 마련된다. 즉, 상기 회전축(28)은 상기 레버 부재(24)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회전축(28)은 상기 레버 부재(24)와 일체로 성형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상기 레버 부재(24)에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8)은 비원형 단면부(29)가 구비된다. 상기 비원형 단면부(29)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후술하는 리테이너(30)와 일정한 위치에서만 조립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동 중에 와이퍼 블레이드(20)가 리테이너(30)로부터 예기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상기 리테이너(30)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리테이너(30)의 일단부는 암 헤드에 결합된다. 상기 리테이너(30)의 타단부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결합한다.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회전축(28)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부(32)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 홈부(32)는 상기 회전축에 마련된 비원형 단면부(29)에 대응하는 개방부(34)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의 결합 또는 분리 작업시 사용자가 그 결합 또는 분리 위치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와이퍼 장치(12)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상기 리테이너(30)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상기 리테이너(30)와 분리 또는 결합되는 위치를 지시하는 인덱스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인덱스 수단은 축 돌기부(284)와 축 돌기부 수용홈(354)을 포함한다.
상기 축 돌기부(284)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에 마련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축 돌기부(284)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의 회전축(28) 상에 구비된다. 상기 축 돌기부(284)는 상기 회전축(28)으로부터 그 회전축(28)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축 돌기부 수용홈(354)은 상기 리테이너(30)의 수용 홈부(32)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상기 축 돌기부 수용홈(354)은, 상기 축 돌기부(284)를 수용한 채 일정한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축 돌기부 수용홈(354)은 상기 축 돌기부(284)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의 분리 및 조립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즉, 상기 축 돌기부 수용홈(354) 내에서 상기 축 돌기부(284)가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축 돌기부(284)가 상기 축 돌기부 수용홈(354)의 일측벽, 즉, 감지벽(356)에 접촉된 경우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상기 리테이너(3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 돌기부 수용홈(354)의 감지벽(356)에서 상기 축 돌기부(284)가 이격된 경우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는 상기 리테이너(3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도 8은 축 돌기부(284)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도 9는 상기 축 돌기부 수용홈(354)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덱스 수단의 작용 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축 돌기부(284)와 상기 감지벽(356)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보여준다. 즉, 도 7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가 자연스럽게 결합 또는 분리된다. 도 7의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의 결합 또는 분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를 배치한 다음, 상기 회전축(28)을 상기 수용 홈부(32)에 끼워 넣은 후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시키면 와이퍼 블레이드(20)와 리테이너(30)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20)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를 상기 리테이너(30)에 대해 회전시켜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만든다. 도 7에 도시된 상태는 상기 감지벽(356)이 상기 축 돌기부(284)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쉽게 결합 또는 분리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축 돌기부(284)는 상기 회전축(28) 상에 구비되므로 상기 회전축(28)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제공한다. 따라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12)는 와이퍼 블레이드(20)와 리테이너(30)의 분리 및 결합 위치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키는 작용뿐만 아니라 와이퍼 블레이드(20)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작용도 제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와 리테이너의 분리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주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13, 이하 "와이퍼 장치"라 함)는 와이퍼 블레이드(20)와 리테이너(3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는 와이퍼 립(22)과 레버 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립(22)은 일반적으로 고무와 같이 유연성이 양호한 소재로 제조된다. 상기 와이퍼 립(22)은 차량에 장착된 유리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채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유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즉, 상기 와이퍼 립(22)은 차량의 유리를 닦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버 부재(24)는 상기 와이퍼 립(22)을 유리에 견고하게 지지 되도록 하는 부재이며, 상기 와이퍼 립(22)을 유리 표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버 부재(24)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레버 부재(24) 중 중앙에 배치된 레버 부재(24)를 주 레버라 한다. 상기 주 레버의 중앙부에는 리테이너(30)와 레버 부재(24)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된다. 즉, 상기 주 레버에는 관통공(26)이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26)은 상기 주 레버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6)의 양 측벽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회전축(28)이 마련된다. 즉, 상기 회전축(28)은 상기 레버 부재(24)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회전축(28)은 상기 레버 부재(24)와 일체로 성형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상기 레버 부재(24)에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8)은 비원형 단면부(29)가 구비된다. 상기 비원형 단면부(29)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후술하는 리테이너(30)와 일정한 위치에서만 조립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동 중에 와이퍼 블레이드(20)가 리테이너(30)로부터 예기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상기 리테이너(30)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리테이너(30)의 일단부는 암 헤드에 결합된다. 상기 리테이너(30)의 타단부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결합한다. 상기 리테이너(30)는 상기 회전축(28)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부(32)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 홈부(32)는 상기 회전축에 마련된 비원형 단면부(29)에 대응하는 개방부(34)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의 결합 또는 분리 작업시 사용자가 그 결합 또는 분리 위치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와이퍼 장치(13)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상기 리테이너(30)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상기 리테이너(30)와 분리 또는 결합되는 위치를 지시하는 인덱스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인덱스 수단은 브리지부(286)와 접촉부(362)를 포함한다.
상기 브리지부(286)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에 마련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브리지부(286)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의 회전축(28)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브리지부(286)는 상기 관통공(26)의 양쪽 내측 벽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362)는 상기 리테이너(30)의 전방 단부에 마련된다. 상기 접촉부(362)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상기 리테이너(30)에 대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브리지부(286)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의 분리 및 조립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접촉부(362)가 상기 브리지부(286)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의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덱스 수단의 작용 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브리지부(286)와 상기 접촉부(362)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보여준다. 즉, 도 11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가 자연스럽게 결합된다. 도 11의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의 결합 또는 분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상태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기 리테이너(30)를 배치한 다음, 상기 회전축(28)을 상기 수용 홈부(32)에 끼워 넣은 후 도 10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시키면 와이퍼 블레이드(20)와 리테이너(30)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20)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를 상기 리테이너(30)에 대해 회전시켜 도 11에 도시된 상태로 만든다. 도 11에 도시된 상태는 상기 접촉부(362)가 상기 브리지부(286)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쉽게 결합 또는 분리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장치는, 사용자가 와이퍼 블레이드와 리테이너의 분리 및 결합 위치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블레이드와 리테이너의 조립 또는 분리시 와이퍼 블레이드 또는 리테이너가 예기치 않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1, 12, 13 : 와이퍼 장치 20 : 와이퍼 블레이드
22 : 와이퍼 립 24 : 레버 부재
26 : 관통공 28 : 회전축
29 : 비원형 단면부 30 : 리테이너
32 : 수용 홈부 34 : 개방부
282 : 돌기부 284 : 축 돌기부
286 : 브리지부 352 : 감지부
354 : 축 돌기부 수용홈 356 : 감지벽
362 : 접촉부

Claims (5)

  1. 차량의 유리를 닦기 위한 와이퍼 립을 구비하고, 그 와이퍼 립을 지지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 부재의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을 양 측벽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비원형 단면부가 구비된 회전축을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축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상기 비원형 단면부에 대응하는 개방부가 구비된 수용 홈부;를 포함한 막대 형태의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리테이너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리테이너와 분리 또는 결합되는 위치를 지시하는 인덱스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수단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회전축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의 내측 벽으로부터 돌출된 외팔보 형상의 돌기부; 및
    상기 리테이너의 전방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리테이너에 대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와 상기 리테이너의 분리 및 조립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하도록 하는 감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수단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회전축 상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축 돌기부; 및
    상기 리테이너의 수용 홈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축 돌기부를 수용한 채 일정한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그 축 돌기부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와 상기 리테이너의 분리 및 조립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하도록 하는 축 돌기부 수용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수단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회전축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의 양쪽 내측 벽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브리지부; 및
    상기 리테이너의 전방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기 리테이너에 대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브리지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와 상기 리테이너의 분리 및 조립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하도록 하는 접촉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
KR1020120025673A 2012-03-13 2012-03-13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 Active KR101166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673A KR101166524B1 (ko) 2012-03-13 2012-03-13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
US13/717,087 US8627540B2 (en) 2012-03-13 2012-12-17 Wiper device improving separation function of wiper blade
CN2013100200319A CN103303260A (zh) 2012-03-13 2013-01-18 雨刮装置
DE102013200955A DE102013200955A1 (de) 2012-03-13 2013-01-22 Scheibenwischervorrichtung mit verbesserter Trennungsfunktion eines Wischerblat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673A KR101166524B1 (ko) 2012-03-13 2012-03-13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524B1 true KR101166524B1 (ko) 2012-07-19

Family

ID=46717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673A Active KR101166524B1 (ko) 2012-03-13 2012-03-13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27540B2 (ko)
KR (1) KR101166524B1 (ko)
CN (1) CN103303260A (ko)
DE (1) DE1020132009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363B1 (ko) 2013-01-24 2013-03-19 동양기전 주식회사 오조립 방지 구조가 구비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5444B2 (ja) * 2012-10-24 2017-08-02 アスモ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パ
FR3014057B1 (fr) * 2013-12-03 2017-03-31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connexion bras-balai, balai d'essuie-glace et ensemble d'essuyage
FR3014056B1 (fr) * 2013-12-03 2017-03-31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connexion bras-balai, balai d'essuie-glace et ensemble d'essuyage
KR101484764B1 (ko) * 2014-03-21 2015-01-20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JP6443225B2 (ja) * 2015-05-29 2018-12-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リヤワイパ装置
CN115195667A (zh) * 2021-04-08 2022-10-18 泰祥汽车配件(深圳)有限公司 用于雨刮臂的保持件、雨刮器组件及汽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384A (ja) 2001-08-10 2003-02-26 Ichikoh Ind Ltd 車両用ワイパー
JP2004010047A (ja) 2003-09-01 2004-01-15 Asmo Co Ltd 車両用ワイパ装置
JP2005001538A (ja) 2003-06-12 2005-01-06 Nippon Wiper Blade Co Ltd ワイパーブレード用の結合部材
JP2005075050A (ja) 2003-08-28 2005-03-24 Jidosha Denki Kogyo Co Ltd 車両用ワイパ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6044A (en) * 1968-02-05 1971-04-27 Sev Marchal Means for attaching the arm of a windshield wiper to the blade support thereof
US6594854B1 (en) * 1999-04-06 2003-07-22 Asmo Co., Ltd. Wiper device having wiper blade easily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wiper arm
FR2838693B1 (fr) * 2002-04-22 2004-09-17 Valeo Systemes Dessuyage Agencement de fixation d'une monture de balai d'essuie glace sur un bras
KR100500581B1 (ko) 2003-02-20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에서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DE10329566B4 (de) * 2003-06-30 2016-06-02 Robert Bosch Gmbh Wischarm für einen Scheibenwischer
KR100586056B1 (ko) * 2005-10-27 2006-06-07 주식회사 캄코 와이퍼 암의 연결장치
FR2916714B1 (fr) * 2007-05-31 2009-07-31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liaison comportant des moyens de limitation du retournement
KR101232968B1 (ko) 2010-09-08 2013-02-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384A (ja) 2001-08-10 2003-02-26 Ichikoh Ind Ltd 車両用ワイパー
JP2005001538A (ja) 2003-06-12 2005-01-06 Nippon Wiper Blade Co Ltd ワイパーブレード用の結合部材
JP2005075050A (ja) 2003-08-28 2005-03-24 Jidosha Denki Kogyo Co Ltd 車両用ワイパ
JP2004010047A (ja) 2003-09-01 2004-01-15 Asmo Co Ltd 車両用ワイパ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363B1 (ko) 2013-01-24 2013-03-19 동양기전 주식회사 오조립 방지 구조가 구비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US9090231B2 (en) 2013-01-24 2015-07-28 Dongyang Mechatronics Corp. Wiper blade apparatus including fool-proof assembly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39354A1 (en) 2013-09-19
DE102013200955A1 (de) 2013-09-19
US8627540B2 (en) 2014-01-14
CN103303260A (zh) 201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524B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기능이 개선된 와이퍼 장치
EP2468588B1 (en) Wiper blade assembly structure
CN102917923B (zh) 挡风玻璃刮水器装置
JP4038798B2 (ja) 車両用ワイパ
WO2007049923A1 (en) Coupling apparatus of wiper arm
JP6348334B2 (ja) ワイパブレードの連結構造
KR101245363B1 (ko) 오조립 방지 구조가 구비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US9738260B2 (en) Wiper blade apparatus for vehicle with improved assemblability
KR200437875Y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
EP3398822A1 (en) Wiper blade adapter assembly
JP2010076503A (ja) ワイパアーム
CN104925029B (zh) 雨刷的改进结构
KR20080003851U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
KR101211096B1 (ko) 와이퍼 장치
JP6377156B2 (ja) ガラスワイパ装置
JP6620071B2 (ja) ワイパブレード
KR20090001292U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
CN101506010B (zh) 刮水臂组合件
US11247640B2 (en) Wiper apparatus having arrangement structure between wiper arm tip and vertebra
KR101339164B1 (ko)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CN214351567U (zh) 铁路货车轮对除锈机、轴身除锈机构及刷轴结构
KR100715304B1 (ko) 와이퍼 연결장치
KR100893194B1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KR100681177B1 (ko) 차량용 리어 와이퍼
KR200456783Y1 (ko) 와이퍼 클램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