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1720B1 - 고효율 자기축열식버너 - Google Patents

고효율 자기축열식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720B1
KR100921720B1 KR1020080019959A KR20080019959A KR100921720B1 KR 100921720 B1 KR100921720 B1 KR 100921720B1 KR 1020080019959 A KR1020080019959 A KR 1020080019959A KR 20080019959 A KR20080019959 A KR 20080019959A KR 100921720 B1 KR100921720 B1 KR 100921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burner
exhaust
self
fuel inj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4942A (ko
Inventor
동상근
양제복
이은경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1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720B1/ko
Priority to US12/234,615 priority patent/US20090226853A1/en
Publication of KR2009009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7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6Preheating the combustion air o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2Arrangements of re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축열식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와 연료를 적정수준으로 배합하여 연소시키고, 연소된 고온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축적시켜 연소용 공급 공기의 예열에 이용하는 자기축열식버너의 헤드부에 결합되어, 연소용 공기 및 배기가스의 유로가 교번 작동되는 2개의 연소부를 갖는 자기축열식버너의 버너타일에 있어서, 상기 버너타일은 몸체 중앙을 관통하는 연료 분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료 분사구의 둘레에 다수의 흡/배기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흡/배기공들을 양분시켜 양분된 흡/배기공들 간의 공기 이동이 차단되도록 하는 혼입방지용 분리벽이 연료 분사구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혼입방지용 분리벽을 기준으로 양측이 각각 주연소와 배기를 교번 작동하기 위한 제1연소부 및 제2연소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2개의 연소부를 교번 작동하는 자기축열식버너의 헤드부에 버너타일을 설치함에 있어서, 2개의 연소부의 흡/배기 유동이 각각 분리되도록 하는 혼입방지용 분리벽을 설치함으로써, 화염이 안정되고, 연소 및 배기성능이 향상되어 에너지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자기축열식버너, 버너타일, 분리벽

Description

고효율 자기축열식버너{ High Efficient Self Regenerative Burner}
본 발명은 공기와 연료를 적정수준으로 배합하여 연소시키고, 연소된 고온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축적시켜 재이용하는 고효율 자기 축열식 버너(Self regenerative burn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너 등의 연소기들은 연료와 공기를 적당한 배합비로 공급하여 연소시키고, 그 연소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다른 매체물 들에 전달하여 녹이거나 온도변화를 시키고, 또한 전기나 운동에너지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소기나 버너 등은 공업로 내에서의 연소반응, 전열특성의 최적화가 구현되어야 하고, 로 내에서 고효율을 위한 최적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연소기나 버너 등은 취급이 용이하고 안전하여야 하며, 작업환경이 사람에게 해롭지 않아야 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열, 기체, 유체 및 공해물 등이 최소가 되면서도 고효율을 유지할 수 있어야만 이상적인 버너라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자기축열식버너의 버너헤드 하단부에서 주화염이 발화하 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의 자기축열식버너의 버너헤드 상단부에서 주화염이 발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자기축열식버너는 본체(60)의 양단에 한쌍의 절환 밸브(10)를 체결되도록 하는데, 상기 절환 밸브(10)는 버너의 연소를 위한 공기를 제공하며, 연소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절환 밸브(10)는 플랜지부를 통해 상호 결합하는 댐퍼(12)와 하단의 투웨이댐퍼(13)가 1조를 이루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댐퍼(12)와 투웨이댐퍼(13)의 정중앙에 교번적으로 회동하며 양쪽 관통구(14)를 개폐시키는 단면 형상이 "ㄱ"자 모양인 회전개폐구(15)가 비치되어 상기 투웨이댐퍼의 내부 관통구로 흐르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교번적으로 교환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자기축열식 버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점화봉(22)의 외부에 위치한 가스노즐관(20)에는 그 주 가스유입구(21)를 통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항상 주 가스가 교번적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가스노즐(25)의 전면에는 파일롯 가스 및 파일롯 공기에 의해 주공기 주가스의 절환에 상관없이 파일롯 불씨가 항상 불꽃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연소용 주 공기가 도1에서와 같이 하단 절환 밸브(10)의 댐퍼(12)를 통해 유입된 다.
이때 회전개폐구(15)는 도1에서와 같이 우측을 폐쇄하고, 좌측을 개방함으로써, 연소용 주 공기가 투웨이댐퍼(13)의 좌측방 관통구(14)로 유입된다.
본체(60)의 내부로 유입된 연소용 공기는 그 격벽(63)에 막히어 하단의 축열체챔버(41)를 통과하여 버너타일(56)의 공기-배기가스 유동공(55)으로 분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축열체챔버(41)는 파일롯공기 노즐관(30)의 전면부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축열체몸체부(40)를 상하부로로 구획되어 설치된다.
이렇게 분출된 연소용 공기는 노즐 출구에서 주 가스와 혼합된 후, 파일롯 공기와 파일롯 가스에 의한 파일롯화염을 점화원으로 하여 주 화염을 형성시킨다.
이때, 화염형태를 보면, 주 공기의 흐름과 주 가스가 분출되는 노즐의 형상으로 인하여 도1에 도시된 것처럼, 다소 하향된 화염을 발산하게 된다.
이때, 버너 선단부에서의 온도는 고온으로 예열된 연소용 공기 및 파일롯 화염에 의해 자동 점화 온도보다 높게 유지되어 무화염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서, 피크 온도가 감소되고 온도 분포가 매우 균일한 화염 형태가 이루어져 화염안정 조건이 필요 없는 안정된 저NOx 연소가 일어나는 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화염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는 상부의 터진 공간을 타고 축열체 챔버(41)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의 고온 배기가스는 상부에 구성된 버너타일(56)의 공기-배기가스 유동공(55)을 통과하고, 축열체챔버(41) 내부에 비치된 축열체에 열에너지를 전달하여 축적시키고, 본체(60)의 공기-배기가스 유동관(62)을 통과하여 절환 밸브(10)를 지나 배출된다.
즉, 도1에 도시된 상부 절환 밸브(10)의 투웨이댐퍼(13)의 관통구(14) 중 좌측은 막힌 상태로서, 우측의 관통구(14)를 통해 배출된다.
그 후 상기 절환 밸브(10)의 회전개폐구(15)가 90도 회전하여 개폐의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버너는 교번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그 전환된 상태가 도 2를 통해 도시되어 있는데,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절환 밸브(10)는 우측을 폐쇄하고, 하부 절환 밸브(10)는 좌측을 폐쇄하는 상태가 된다.
이 작용에 의해 연소용 공급공기는 다시 하부 절환 밸브(10)의 우측방 관통구(14)를 통해 유입된다.
물론 전술된 작동과 동일하게 연소용 공급공기는 본체의 공기-배기가스 유동관(62)을 통과하고 상부 축열체챔버(41)를 지나 버너타일(56)의 전면부로 분출되어 상부로 치우친 화염을 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자기축열식버너는 연소용 공기 및 배기가스가 버너타일(56)의 전면에 형성된 공기-배기가스 유동공(55)을 통해 흡/배기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대 흡/배기 영역이 인접 형성됨에 따라 공기 및 배기가스가 혼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처럼, 연소용 공기가 배기가스와 함께 혼입되어 배출되면, 연소성능 및 배기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자기축열식버너의 에너지효율이 저하되는 문제 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연소부를 교번 작동하는 자기축열식버너의 헤드부에 설치되는 버너타일에 혼입방지용 분리벽이 형성되도록 하여 2개의 연소부의 흡/배기 유동이 각각 분리되도록 하는 자기축열식버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기축열식버너는, 공기와 연료를 적정수준으로 배합하여 연소시키고, 연소된 고온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축적시켜 연소용 공급 공기의 예열에 이용하는 자기축열식버너의 헤드부에 결합되어, 연소용 공기 및 배기가스의 유로가 교번 작동되는 2개의 연소부를 갖는 자기축열식버너의 버너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버너타일은 몸체 중앙을 관통하는 연료 분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료 분사구의 둘레에 다수의 흡/배기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흡/배기공들을 양분시켜 양분된 흡/배기공들 간의 공기 이동이 차단되도록 하는 혼입방지용 분리벽이 연료 분사구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혼입방지용 분리벽을 기준으로 양측이 각각 주연소와 배기를 교번 작동하기 위한 제1연소부 및 제2연소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버너타일의 몸체는 내열성이 뛰어난 세라믹 재질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소부 및 제2연소부는 연료 분사구를 공유하게 되며, 각각은 4~8개의 흡/배기공들을 형성하고, 상기 흡/배기공들은 축방향 관통공과 수직방향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방향 관통공과 축방향 관통공이 상호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혼입방지용 분리벽은 연료 분사구의 둘레를 돌출시킨 원형구간과 상기 연료 분사구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돌출시킨 직선구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은 2개의 연소부를 교번 작동하는 자기축열식버너의 헤드부에 버너타일을 설치함에 있어서, 2개의 연소부의 흡/배기 유동이 각각 분리되도록 하는 혼입방지용 분리벽을 설치함으로써, 화염이 안정되고, 연소 및 배기성능이 향상되어 에너지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일헤드형 자기축열식버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축열식버너의 버너타일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버너타일(150)은 자기축열식버너의 버너헤드부에 장착되어 그 선단에서 화염을 발화시키게 된다.
상기 버너타일(150)의 몸체(151)는 내열성이 뛰어난 세라믹 재질을 이용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몸체(151)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4각형태의 블록으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연료분사구(152)의 둘레에는 다수의 흡/배기공들(154a)(15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료분사구(152)를 중심으로 흡/배기공들(154a)(155a)을 양분시켜 양분된 흡/배기공들(154a)(155a) 간의 공기 이동이 차단되도록 하는 혼입방지용 분리벽(153)이 형성된다.
상기 혼입방지용 분리벽(153)을 기준으로 분리된 양측의 흡/배기공들(154a)(155a)이 각각 주연소와 배기를 교번 작동하는 제1연소부(154) 및 제2연소부(155)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연소부(154) 및 제2연소부(155)는 연료분사구(152)를 공유하게 되며, 각각은 4~8개의 흡/배기공들(154a)(155a)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흡/배기공들(154a)(155a)은 축방향 관통공과 수직방향 관통공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방향 관통공과 축방향 관통공은 상호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혼입방지용 분리벽(153)은 연료분사구(152)의 둘레를 돌출시킨 원형구간(153a)과 상기 연료분사구(152)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돌출시킨 직선구간(153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3에서는 직선구간(153b)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연료분사구(152)의 우측에 제1연소부(154)가 위치되고, 연료분사구(152) 의 좌측에 제2연소부(155)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버너타일(150)이 장착된 자기축열식버너의 개략적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타일의 제1연소부에서 주화염이 발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 확대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기축열식버너는 본체(160)의 양단에 한 쌍의 절환 밸브(110)를 구비한다. 상기 절환 밸브(110)는 버너 내부에 연소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거나, 버너 내부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플랜지부를 통해 상호 결합하는 댐퍼(112)와 하단의 투웨이댐퍼(113)가 한조를 이루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댐퍼(112)와 투웨이댐퍼(113)의 정중앙에 교번적으로 회동하며 양쪽 관통구(114)를 개폐시키는 단면 형상이 "ㄱ"자 모양인 회전개폐구(115)가 비치되어 상기 투웨이댐퍼(113)의 내부 관통구(114)로 흐르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교번적으로 교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점화봉(122)의 외부에 위치한 가스노즐관(120)에는 가스유입구(121)를 통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항상 가스가 교번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가스는 가스노즐(125)을 통해 버너 내부에 분사되어 불꽃을 방출하게 되는데, 상기 가스의 연소를 위한 연소용 공기가 도4에서와 같이 하단 절환 밸브(110)의 댐퍼(112) 를 통해 유입된다.
이때, 하단 절환 밸브(110)의 회전개폐구(115)는 도4에서와 같이 우측을 폐쇄하고, 좌측을 개방함으로써, 연소용 주 공기가 투웨이댐퍼(113)의 좌측방 관통구(114)로 유입된다.
본체(160)의 내부로 유입된 연소용 공기는 그 격벽(163)에 막히어 하단의 축열체챔버(141)를 통과하여 버너타일(150)의 제1연소부(154)의 흡/배기공(154a)으로 분출된다.
이때, 상기 축열체챔버(141)는 파일롯공기 노즐관(130)의 전면부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축열체몸체부(140)를 상하부로 구획하여 설치된다.
이렇게 제1연소부(154)의 흡/배기공(154a)으로 분출된 연소용 공기는 연료 분사구(152)에서 분사된 가스와 혼합된 후, 점화되어 주 화염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의 화염형태는 주 공기의 흐름과 주 가스가 분출되는 노즐의 형상으로 인하여 도4에 도시된 것처럼, 다소 하향된 화염을 발산하게 된다.
이때, 버너 선단부에서의 온도는 고온으로 예열된 연소용 공기 및 파일롯 화염에 의해 자동 점화 온도보다 높게 유지되어 무화염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써, 피크 온도가 감소되고 온도 분포가 매우 균일한 화염 형태가 이루어져 화염안정 조건이 필요 없는 안정된 저NOx 연소가 일어나게 된다.
한편, 상기 주 화염이 발생되는 버너 내부에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발생된다.
이때의 배기가스는 버너타일(150)의 제1연소부(154)의 반대측 즉, 제2연소부(155)의 흡/배기공들(155a)을 통해 배기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연료분사구(152) 및 혼입방지용 분리벽(153)의 상하측에 각각 제1연소부(154)와 제2연소부(15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연소부(154)의 흡/배기공들(154a)을 통해서는 연소용 공기가 버너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있고, 제2연소부(155)의 흡/배기공들(155a)을 통해서는 배기가스가 버너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혼입방지용 분리벽(153)은 제1연소부(154)와 제2연소부(155)의 흡/배기공들(154a)(155a) 사이에 일정 높이의 벽을 형성함으로써, 연소용 공기와 배기가스가 상대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연소용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염을 안정화시켜 배기효율 및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제2연소부(155)의 흡/배기공들(155a)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축열체챔버(141) 내부에 비치된 축열체에 열에너지를 전달하여 축적시키고, 본체(160)의 공기-배기가스 유동관(162)을 통과하여 절환 밸브(110)를 지나 배출된다.
이때, 상부 절환 밸브(1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웨이댐퍼(113)의 좌측 관통구(114)가 닫히고, 우측 관통구(114)가 개방된 상태로서, 개방된 우측의 관통구(114)를 통해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환 밸브(110)의 회전개폐구(115)가 90도 회전하여 개폐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버너의 교번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 7은 본 발명의 자기축열식버너의 교번작동에 의한 흡/배기 유로 및 주화염의 연소부가 전환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너타일의 제2연소부에서 주화염이 발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부 확대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기축열식버너는 상, 하부 절환 밸브(110)의 회전개폐구(115)가 회전되어 흡/배기 유로를 전환하게 된다. 즉, 상부 절환 밸브(110)의 우측 관통구(114)가 폐쇄되고 좌측 관통구(114)가 개방되며, 하부 절환 밸브(110)의 좌측 관통구(114)가 폐쇄되고 우측 관통구(114)가 개방된 상태로 버너 운전된다.
먼저, 연소용 공기가 하부 절환 밸브(110)의 우측 관통구(114)를 통해 유입되어 본체(160)의 공기-배기가스 유동관(162)을 통과하고, 상부 축열체챔버(141)를 지나 버너타일(150)의 제2연소부(155)의 흡/배기공들(155a)을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제2연소부(155)의 흡/배기공(155a)으로 분출된 연소용 공기는 연료 분사구(152)에서 분사된 가스와 혼합된 후, 점화되어 주 화염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의 화염형태는 주 공기의 흐름과 주 가스가 분출되는 노즐의 형상으로 인하여 도6, 7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로 치우친 화염을 발하게 된다.
상기 제2연소부(155)에서의 주 화염으로 인해 발생된 버너 내의 배기가스는 도 7에서와 같이 제1연소부(154)의 흡/배기공들(154a)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제1연소부(154)의 흡/배기공들(154a)과 제2연소부(155)의 흡/배기공들(155a)은 혼입방지용 분리벽(153)에 의해 상호 분리됨으로써, 연소용 공기와 배기가스가 상대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연소부(154)의 흡/배기공들(154a)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축열체챔버(141) 내부에 비치된 축열체에 열에너지를 전달하여 축적시키고, 본체(160)의 공기-배기가스 유동관(162)을 통과하여 절환 밸브(110)를 지나 배출된다.
이때, 상부 절환 밸브(11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웨이댐퍼(113)의 우측 관통구(114)가 닫히고, 좌측 관통구(114)가 개방된 상태로서, 개방된 좌측의 관통구(114)를 통해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자기축열식버너의 버너헤드 하단부에서 주화염이 발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자기축열식버너의 버너헤드 상단부에서 주화염이 발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축열식버너의 버너타일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타일의 제1연소부에서 주화염이 발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너타일의 제2연소부에서 주화염이 발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도 6의 "B" 부 확대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상, 하부 절환밸브 112: 댐퍼
113: 투웨이 댐퍼 114: 좌, 우측 관통구
115: 회전 개폐구 120: 가스노즐관
121: 가스유입구 122: 점화봉
125: 가스노즐 130: 파일롯공기 노즐관
140: 축열체 몸체부 141: 축열체 챔버
150: 버너타일 151: 몸체
152: 연료분사구 153: 혼입방지용 분리벽
154: 제1연소부 154a: 흡/배기공
155: 제2연소부 155a: 흡/배기공
160: 본체 162: 공기-배기가스 유동관
163: 격벽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공기와 연료를 적정수준으로 배합하여 연소시키고, 연소된 고온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축적시켜 연소용 공급 공기의 예열에 이용하는 자기축열식버너의 헤드부에 결합되어, 연소용 공기 및 배기가스의 유로가 교번 작동되는 2개의 연소부를 갖는 자기축열식버너의 버너타일에 있어서,
    상기 버너타일은 몸체(151) 중앙을 관통하는 연료분사구(152)가 형성되고, 상기 연료분사구(152)의 둘레에 다수의 흡/배기공들(154a)(155a)이 형성되며, 상기 흡/배기공들(154a)(155a)을 양분시켜 양분된 흡/배기공들(154a)(155a) 간의 공기 이동이 차단되도록 하는 혼입방지용 분리벽(153)이 연료분사구(152)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혼입방지용 분리벽(153)을 기준으로 양측이 각각 주연소와 배기를 교번 작동하기 위한 제1연소부(154) 및 제2연소부(155)를 형성하되,
    상기 제1연소부(154) 및 제2연소부(155)는 연료분사구(152)를 공유하게 되며, 각각은 4~8개의 흡/배기공들(154a)(155a)을 형성하고, 상기 흡/배기공들(154a)(155a)은 축방향 관통공과 수직방향 관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방향 관통공과 축방향 관통공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자기축열식버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입방지용 분리벽(153)은 연료분사구(152)의 둘레를 돌출시킨 원형구간(153a)과 상기 연료분사구(152)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돌출시킨 직선구간(153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자기축열식버너.
KR1020080019959A 2008-03-04 2008-03-04 고효율 자기축열식버너 Active KR10092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959A KR100921720B1 (ko) 2008-03-04 2008-03-04 고효율 자기축열식버너
US12/234,615 US20090226853A1 (en) 2008-03-04 2008-09-19 High-Efficiency Self-Regenerative Bur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959A KR100921720B1 (ko) 2008-03-04 2008-03-04 고효율 자기축열식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942A KR20090094942A (ko) 2009-09-09
KR100921720B1 true KR100921720B1 (ko) 2009-10-15

Family

ID=4105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959A Active KR100921720B1 (ko) 2008-03-04 2008-03-04 고효율 자기축열식버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226853A1 (ko)
KR (1) KR100921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136B1 (ko) * 2016-06-13 2018-02-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축열식 연소 방식의 고효율 컴팩트 수증기 개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89B1 (ko) * 2009-09-10 2011-04-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풀타임 축열연소식 단일 라디안트 튜브 버너
US8783245B2 (en) * 2010-11-19 2014-07-22 General Electric Company Ventilation system for a range hood with exhaust and recirculation options
JP6448679B2 (ja) * 2017-02-20 2019-01-09 中外炉工業株式会社 リジェネバーナ装置
JP6384881B2 (ja) * 2017-02-20 2018-09-05 中外炉工業株式会社 リジェネバー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906B2 (ja) * 1992-03-10 1996-01-29 中外炉工業株式会社 蓄熱バーナ
JP2756916B2 (ja) * 1993-05-10 1998-05-25 株式会社横井機械工作所 蓄熱式燃焼装置
KR0171959B1 (ko) * 1994-10-14 1999-03-20 와다 아키히로 공업용 로, 축열 연소용 버너 및, 공업용 로의 연소방법
KR100405508B1 (ko) 1998-10-10 2004-03-24 주식회사 포스코 축열식버너를이용한저NOx형축열연소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3105A (en) * 1991-05-01 1991-12-17 Callidus Technologies Inc. Low NOx burner assemblies
JP3005110B2 (ja) * 1991-07-29 2000-01-31 靖夫 広瀬 熱回収式燃焼装置
US5284438A (en) * 1992-01-07 1994-02-08 Koch Engineering Company, Inc. Multiple purpose burner process and apparatus
US5195884A (en) * 1992-03-27 1993-03-23 John Zink Company, A Division Of Koch Engineering Company, Inc. Low NOx formation burner apparatus and methods
WO1995015462A1 (fr) * 1993-12-03 1995-06-08 Nippon Furnace Kogyo Kabushiki Kaisha Bruleur du type a regeneration et systeme echangeur de chaleur associe du type a emmagasinage
FR2718222B1 (fr) * 1994-03-29 1996-07-05 Pillard Ent Gle Chauffage Indl Perfectionnements de brûleurs à combustible gazeux à très faible émission d'oxyde d'azote.
US6007325A (en) * 1998-02-09 1999-12-28 Gas Research Institute Ultra low emissions burner
US6422858B1 (en) * 2000-09-11 2002-07-23 John Zink Company, Llc Low NOx apparatus and methods for burning liquid and gaseous fue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906B2 (ja) * 1992-03-10 1996-01-29 中外炉工業株式会社 蓄熱バーナ
JP2756916B2 (ja) * 1993-05-10 1998-05-25 株式会社横井機械工作所 蓄熱式燃焼装置
KR0171959B1 (ko) * 1994-10-14 1999-03-20 와다 아키히로 공업용 로, 축열 연소용 버너 및, 공업용 로의 연소방법
KR100405508B1 (ko) 1998-10-10 2004-03-24 주식회사 포스코 축열식버너를이용한저NOx형축열연소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136B1 (ko) * 2016-06-13 2018-02-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축열식 연소 방식의 고효율 컴팩트 수증기 개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942A (ko) 2009-09-09
US20090226853A1 (en)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4604B2 (ja) 多段制御を具現するガス燃焼バーナ
KR100921720B1 (ko) 고효율 자기축열식버너
WO2010048795A1 (zh) 顶燃式热风炉
CN211261292U (zh) 一种新型全预混热交换器
CN112113327A (zh) 一种实现浓淡燃烧的火排、燃烧器及热水器
TWI420062B (zh) 採用高溫空氣燃燒技術的反應器
JP5936400B2 (ja) 管状火炎バーナ及びラジアントチューブ式加熱装置
KR100583818B1 (ko) 단일 헤드형 자기 축열 버너
CN210511672U (zh) 一种新型低排放天然气高速烧嘴结构
CN216448157U (zh) 一种燃烧器及热水器
CN212204510U (zh) 一种燃气炉头的小负荷防干烧结构
KR100583820B1 (ko) 트윈식 라디안트 튜브 축열 버너
KR100965277B1 (ko) 공해물질 저감 및 보염 특성을 갖는 과농-희박연소 버너
JP5749856B2 (ja) ガスバーナーシステム
CN208349298U (zh) 燃烧器和燃气热水器
JP2012107825A (ja) 低NOx・低煤塵燃焼方法およびボイラ燃焼室
TWI751217B (zh) 蓄熱式燃燒器裝置
CN216693539U (zh) 一种可转换火形的燃烧器
CN113883513B (zh) 一种燃烧器及热水器
KR101074761B1 (ko) 자기축열식 버너 및 상기 버너에서의 연소용 공기와 배기가스의 유출입 제어방법
CN213599365U (zh) 低NOx排放燃气燃烧器
KR101078845B1 (ko) 풀타임 축열연소식 컴팩트 버너
KR100631110B1 (ko) 자기축열식 단일튜브 버너의 흡배기 절환장치
JP2002243112A (ja) 燃焼装置とその運用方法
KR100949414B1 (ko) 가열조리기용 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