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411B1 - Devic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between external devices in mobile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Devic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between external devices in mobile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0411B1 KR100640411B1 KR1020000002105A KR20000002105A KR100640411B1 KR 100640411 B1 KR100640411 B1 KR 100640411B1 KR 1020000002105 A KR1020000002105 A KR 1020000002105A KR 20000002105 A KR20000002105 A KR 20000002105A KR 100640411 B1 KR100640411 B1 KR 1006404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wireless
- wireless terminal
- communication
- data
- external device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외부 디바이스간 데이터 송/수신 연결 장치에 있어서, 한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포트와,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포트와, 상기 통신 포트들의 데이터 교환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간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between external devices in a mobile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port connected to one external device to perform communication, and a second communication port connected to another external device to perform communicatio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data exchange of the communication ports and an interface between the external devices.
이동 무선 단말기의 통신 포트, 데이터 교환.Communication port of mobile wireless terminal, data exchang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PC간 데이터 송/수신 연결 장치가 구비되는 이동 무선 단말기의 구성도의 일 예.1 is an example of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nection device between two P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PC간 데이터 송/수신 연결 장치를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nection device between two P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무선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디바이스간의 데이터 전송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connection device of a mobile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transmission connection device between external devices.
현재 이동 무선 단말기(복합 이동 무선 단말기, 핸드폰, PDA등)에 구비되는 외부 장치 접속용 통신 포트가 복수개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복합 이동 무선 단말기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모듈과 폰(Phone) 모듈이 구비될 수가 있다. 상기 PDA 모듈과 폰 모듈의 각 통신 포트들은 그 용도가 다르다. 또한 현재 통신 포트의 종류로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와 USB(Universal Serial Bus)가 있다. UART는 송신(Tx), 수신(Rx), 데이터 송/수신 준비완료에 해당하는 캐리어 검출(Carrier Detection), 데이터 콜등의 플로우 제어(Flow Control)을 수행한다. 또한 UART는 직렬 통신을 위해서 직렬 비트 데이터를 소정 단위의 병렬 비트 데이터로 변환하며, 소정 단위의 병렬 비트 데이터를 직렬 비트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 외에도 전기적인 신호를 논리적인 신호로 변환하며 논리적인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Currently, the number of communication ports for connecting external devices provided in mobile wireless terminals (multiple mobile wireless terminals, cellular phones, PDAs, etc.) is increasing. For exampl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module and a phone module may be provided in a composite mobile wireless terminal. The communication ports of the PDA module and the phone module have different uses. Current communication ports include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and USB (Universal Serial Bus). The UART performs flow control such as carrier detection and data call corresponding to transmission (Tx), reception (Rx),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reparation completion. Also, the UART converts serial bit data into parallel bit data of a predetermined unit for serial communication, and converts parallel bit data of a predetermined unit into serial bit data. In addition, it converts electrical signals into logical signals and converts logical signals into electrical signals.
상기 USB는 속도가 빠른 직렬 통신을 지원하며, USB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은 허브(HUB)를 통하여 연결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PC는 허브를 통하여 USB를 지원하는 핸드폰, 마우스, 모뎀, 키보드등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The USB supports high speed serial communication, and devices supporting USB can be connected through a hub. For example, a PC can send / receive data with a USB-enabled mobile phone, mouse, modem, keyboard, etc. through a hub.
또한 근래의 이동 무선 단말기에는 직렬 데이터 통신 이외에 적외선 통신을 위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가 장착되고 있다. IrDA는 그 전송속도(약 4Mbps)가 상대적으로 직렬 케이블의 전송속도(115Kbps) 보다 빠르다. 따라서 IrDA가 장착된 이동 무선 단말기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 포트를 직렬 데이터 통신을 위한 한 개와 적외선 통신을 위한 다른 한 개를 가질 수가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mobile wireless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for infrared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serial data communication. IrDA's transfer rate (about 4Mbps) is relatively faster than that of serial cables (115Kbps). Thus, a mobi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n IrDA can have one communication port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and one for serial data communication and another for infrared communication.
그런데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두 개의 통신 포트를 이용하면, 서로 다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동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두 디바이스 간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해서는, 각 PC가 이동 무선 단말기와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 디바이스와 통신 케이블로 연결된 두 이동 무선 단말기간에 데이터 콜 연결(Data Call Connection)이 이루어져야만 이동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두 PC 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했다. 즉, 종래에는 이동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두 디바이스 간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해서는 두 이동 무선 단말기 사이에 데이터 콜 연결이 이루어져야 하여, 사용자의 요금 부담이 필요로 하였다.However, by using two communication ports in a mobile wireless termi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ifferent devices is possible. Conventionally, in order to transmit data between two devices using a mobile wireless terminal, each PC must be connected to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In addition, data call connection between the two mobile wireless terminals connected to each device using a communication cable was required to transmit data between the two PCs using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That is,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transmit data between two devices by using a mobile wireless terminal, a data call connection should be made between two mobile wireless terminals, and a user's fee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device that enables data transmission between different devices using a mobile wireless terminal.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콜 연결이 이루어 지지 않아도 서로 다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이동 무선 단말기의 연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device of a mobile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different devices even without a data call conne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무선 단말기의 적외선 통신 포트와 직렬 통신 포트를 이용하여 두 PC 간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이동 무선 단말기의 연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device of a mobile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two PCs using an infrared communication port and a serial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외부 디바이스간 데이터 송/수신 연결 장치가, 한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포트와,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포트와, 상기 통신 포트들의 데이터 교환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간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nection device between external devices in a mobile wireless terminal,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being connected to one external device to perform communication, and connected to another external device to perform communication.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 second communication port and data exchange between the communication ports and an interface between the external device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제1통신포트는 제1PC와 시리얼 통신을 하고 이동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제2통신포트는 제2PC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1통신포트와 제2통신포트간에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 진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provided in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performs serial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PC,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provided in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performs infrare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PC. Data exchange is performe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PC간 데이터 송/수신 연결 장치가 구비되는 이동 무선 단말기의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mobi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nection device between two P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10)는 이동 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40)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 (EEPROM)과 램(RAM) 및 플래쉬(Flash) 메모리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PC(197)와 제2PC(198)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The
표시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이동 무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 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20)는 웹브라우저등을 사용자가 불편없이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지원한다. 키입력부(130)는 복수개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10)로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한다.The
RF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승압(Up-Converting)시켜 안테나(180)를 경유하여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 무선출력한다. 또한 RF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180)를 통해 수신한 수신신호를 강압(Down-Converting)시켜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60)로 출력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60)는 RF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저대역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또한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60)는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RF부(15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6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채널 복조(Channel Demodulat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동작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해당 음성데이터를 신호 처리부(270)로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70)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압축해제 동작등을 수행하고 가청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The
신호 처리부(170)는 마이크로 부터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 및 압축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제어부(110)는 상기 음성데이터에 대하여 채널 부호(Channel Coding) 및 채널 변조 (Channel Modulating)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160), RF부(150) 및 안테나(180)를 경유하여 기 지국으로 무선출력한다.The
통신포트들(190, 195)는 제어부(110)와 접속되며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도 1에서 제1통신포트(190)는 제1PC(197)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2통신포트(195)는 제2PC(198)와 직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포트들(190, 19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교환을 수행한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PC간 데이터 송/수신 연결 장치를 도시한다. 이하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2 illustrates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nection device between two P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 is as follows.
제1PC(197)에 구비되는 제1PC 통신포트(210)와 이동무선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제1통신포트(190)는 IrDA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Baud Rate는 직렬 데이터 통신 속도로 조정될 필요가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전송속도가 느린 직렬 데이터 전송의 속도 한계 때문이다. 그리고 제1PC(197) 또는 제2PC(198)에서 상대측 PC와 연결(Connection)을 요구하는 프레임(Frame)을 보내는 경우, 제1통신포트(190)와 제2통신포트(195)가 데이터 교환을 수행한다.The first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외부 디바이스를 PC로 한정하고, 통신 포트의 개수를 두 개로 한정하는등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limiting an external device to a PC and limiting the number of communication ports to two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무선 단말기에 구비되는 통신포트들이 외부 디바이스들과 연결되고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여, 데이터 콜 연결이 이루어 지지 않아도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과 이동무선 단말기가 있으면 두 PC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communication ports provided in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are connected to external devices and perform data exchange, thereby enabling data transmission between devices without a data call connection. And with a data cable and a mobile wireless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PCs.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02105A KR100640411B1 (en) | 2000-01-18 | 2000-01-18 | Devic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between external devices in mobile wireless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02105A KR100640411B1 (en) | 2000-01-18 | 2000-01-18 | Devic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between external devices in mobile wireless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3519A KR20010073519A (en) | 2001-08-01 |
KR100640411B1 true KR100640411B1 (en) | 2006-10-31 |
Family
ID=1963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02105A KR100640411B1 (en) | 2000-01-18 | 2000-01-18 | Devic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between external devices in mobile wireless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041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8359B1 (en) * | 2003-06-26 | 2006-0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mbined data port and method of portable terminal |
KR100935657B1 (en) * | 2007-12-11 | 2010-01-07 | (주)코스페이스 | Vehicle terminal and vehicle terminal control method |
-
2000
- 2000-01-18 KR KR1020000002105A patent/KR10064041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3519A (en) | 2001-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031837B2 (en) | Assembly of a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6865401B2 (en) | Wireless radio architectures and methods therefor | |
CN110650405A (en) | Wireless earphone control system,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 |
US6526288B1 (en) | System for connecting a data communication device over wireless terminals to a communication network | |
US7209487B2 (en) | High-spee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card device for simultaneous data/voice communications | |
KR100422376B1 (en) | Card apparatus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 |
KR100640411B1 (en) | Devic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between external devices in mobile wireless terminal | |
US7162270B2 (en) | Dual communication mode wireless network transmission device | |
JPH08153075A (en) |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and ic card for communication used for its information equipment | |
KR100724871B1 (en) | Mobile phone remote control device using Bluetooth | |
KR100606717B1 (en) | Dual JRT circui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AU719863B3 (en) | Data transmission apparatus | |
CN203387578U (en) | Multifunctional Bluetooth peripheral for mobile electronic equipment | |
KR100295758B1 (en) | Method for controling data transfering speed of data service in cordless telephone | |
US20030039305A1 (en) | Modular data device | |
KR100233134B1 (en) | Smart phone and fax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that can send and receive fax data at the same time by wire and wireless | |
KR100698136B1 (en) |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H11266319A (en) |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00030918A (en) | Interface uni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9990030879A (en) | Wireless transmitter | |
KR100468580B1 (en) | A device and a operating method of connecting pstn for cellular phone | |
KR10103264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call in a combined wireless terminal | |
KR100602476B1 (en) | Device for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 |
JPH11186967A (en) | Infrared-ray communication system | |
KR20000038857A (en) | Apparatus for radio data communi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infrared 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1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