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병희
손병희(孫秉熙, 1861년 4월 8일~1922년 5월 19일)는 천도교(동학)의 지도자요, 제3대 교주이자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로, 1919년 3·1 대한 독립 만세 운동 당시의 기미 민족 대표 33인의 일원이다. 본은 밀양(密陽)이고, 충청도 청주목 청원군 생이다.
손병희 孫秉熙 | |
---|---|
출생 | 1861년 4월 8일 조선 충청도 청주목 청원군 산외이면 대주리 |
사망 | 1922년 5월 19일 일제강점기 경성부 | (61세)
매장지 |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금암리 |
거주지 | 대한제국 한성부 |
국적 | 대한제국 |
민족 | 한민족(밀양 손씨) |
별칭 | 자(字)는 응구(應九) 도호(道號)는 의암(義菴) 타지로 잠시 한때 망명하던 시기 가명은 이상헌(李祥憲) |
경력 | 대한국민의회 대통령(1919년 2월 1일~1919년 3월 21일) 조선민국 임시정부 대통령(1919년 4월 10일~1919년 4월 13일) |
활동 기간 | 1882년~1921년 1월 18일 |
교파 | 동학[1] |
수행 성직 | 천도교[2] |
칭호 | 천도교 제3대 교주 |
칭호 기간 | 1897년 4월 11일[3]~1908년 1월 18일 |
직업 | 천도교(동학)의 지도자 및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 |
전임자 | 최시형 |
후임자 | 박인호 |
배우자 | 사별 초배 현풍 곽씨 부인 사별 계배 남양 홍응화 최후 삼취 신안 주옥경 |
자녀 | 손용화(셋째딸) |
부모 | 손두흥(부), 최씨 측실(모) |
친척 | 손시화(이복 서얼 여동생) 손병흠(이복 서얼 남동생) 손천민(이복 서얼 조카) 방정환(셋째사위) 최시형(이복 서얼 매제) |
상훈 |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
웹사이트 손병희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
자(字)는 응구(應九)이며, 타지로 망명하던 중에 사용한 가명은 이상헌(李祥憲)이고, 배다른 서얼 매제 최시형(동학 제2대 교주)에게 받은 도호(道號)는 의암(義菴)이다.
생애
편집천도교 |
주요 인물 |
---|
최제우 · 최시형 · 손병희 · 박인호 전봉준 |
경전 |
동경대전 · 용담유사 해월신사 법설 의암성사 법설 |
교리 |
시천주 · 사인여천 · 인내천 · 후천개벽 |
역사 |
동학 · 동학 농민 혁명 |
관련 단체 |
천도교 중앙총부 천도교 연원회 천도교유지재단 천도교청우당 |
문화유산 |
천도교 중앙대교당 · 천도교 임실교당 |
천도교 입도
편집충청도 청주목(지금의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세금 징수를 담당하는 향리였던 아버지 손의조(훗날 개명하여 손두흥)의 첩실 최씨의 소생의 아들(서자)로 태어났다. 1882년 배다른 조카 손천민의 권유로 동학에 입도했는데, 이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는 동학의 교리 때문이었다. 3년 뒤 최시형을 만나 그의 수제자가 되었다. 최시형 선생은 일부러 손병희에게 어려운 문제를 풀게 했는데, 정성껏 문제를 풀려고 애쓰는 모습을 보고 제자로 받아들였다 한다.[4]
동학농민운동 가담
편집1894년 동학농민운동 때는 북접 소속으로서 남접의 전봉준과 함께 관군에 맞서 싸웠으며, 관군과 일본군의 폭력으로 수많은 신도들이 순도(殉道, 순교)를 했다. 관군의 추격을 피해 원산 및 관서지방으로 피신한 그는 동학농민혁명실패로 무너진 동학의 재건과 포교 활동에 큰 공을 세움으로써 1897년 정신적 스승이었던 최시형 선생의 뒤를 이은 제3대 교주가 되었다. 한편 관에 자수한 최시형은 이듬해 혹세무민했다는 죄목으로 처형당함으로써 순도한다. 이후 손병희는 동학운동의 지도자만이 아닌 근대화 운동의 지도자로서의 면모를 보인다. 독립협회 인사 등 개화파 인물들과 만나서 일부는 동학에 입교시켰으며, 이들로부터 개화 사상을 받아들였다.
일본 망명
편집그러던 와중에 동학에 대한 탄압이 거세지면서 먼저 동학에 입교하여, 자신에게 포교했던 조카 손천민이 체포되어 처형당했다. 탄압을 피해 손병희 선생은 안경장수로 변장하여 중국에 피신했으나 '손병희의 망명을 받아들이지 말라'는 조선정부의 압력으로 중국에서 살 수 없었기 때문에, 1901년 일본으로 망명했다. 여기에서도 같은 망명자 신분이었던 오세창, 권동진, 박영효, 조희연 등 개화파 전직 관료들과 교류하였고, 상하이와 메이지 유신(1867년) 이후 개혁의 바람이 불고 있던 도쿄 등을 돌아보면서 인재 양성이 시급함을 깨달았다. 이에 따라 1903년부터 24명의 똑똑한 청년들을 선발하여 일본에 유학시키게 된다. 망명 중 신문 기고 등으로 내정개혁론과 근대화론을 설파하다가 1904년에는 갑진개혁운동을 일으켜, 권동진, 오세창과 더불어 진보회를 조직했다. 회원들에게 머리를 자르고 개화복을 입을 것을 명하는 등 개화 운동의 확산을 위한 단체였다.
귀국
편집1905년에는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고 1906년 일본에서 귀국했다. 동학교도 즉, 천도교 신도라면 무조건 잡아갈 정도로 천도교를 극심히 탄압하던 대한제국이 외세의 간섭으로 무기력해진 상황이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천도교 내부에서는 일진회의 송병준, 이용구와 기타 세력 간의 반목이 심해져서, 손병희는 친일 조직인 일진회 인물들에게 출교 처분을 내림으로써 이들과 결별한다.
독립운동
편집귀국 후에는 교령 자리를 박인호에게 승계하고 교육 사업(보성전문학교, 동덕여학단 인수)과 출판사업에 관심을 쏟다가, 1919년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3·1 운동을 주도했다. 기미독립선언서 낭독 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최후
편집사후
편집삼전론(三戰論)》(1902), 《명리전(明理傳)》(1903) 등이 있다.
편집이외에 <수수명실록 授受明實錄>·<도결 道訣>·<천도태원설 天道太元說>·<대종정의설 大宗正義說>·<교(敎)의 신인시대(神人時代)>·<무체법경 無體法經>·<성심신삼단 性心身三端>·<신통고 神通考>·<견성해 見性解>·<삼성과 三性科>·<삼심관 三心觀>·<극락설 極樂說>·<성범설 聖凡說>·<진심불염 眞心不染>·<후경 後經>·<십삼관법 十三觀法>·<몽중문답가>·<무하사>·<권도문>등이 있다.[7]
- 준비시대[8]
가족 관계
편집어린이 운동으로 유명한 방정환은 손병희의 사위로서 천도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방정환의 부친은 천도교 신자였으며, 방정환 자신도 1923년 천도교계 잡지에서 작가로 활동하였고,그가 어린이들에게 구연동화를 들려준 장소도 천도교 회관이었다.
같이 보기
편집참고자료
편집-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이 달의 독립 운동가 상세자료 - 손병희, 1992
- 윤명숙, 《대한영웅전 1》 (국가보훈처, 1995)
각주
편집- ↑ 1906년 4월 3일1906년 3월 10일) 이후 천도교로 개칭. (음력
- ↑ 1906년 4월 3일1906년 3월 10일) 이후. (음력
- ↑ 음력 1897년 3월 10일
- ↑ 계몽사에서 펴낸 어린이그림위인전기 손병희에 따르면, 최시형 선생은 손병희에게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는 나무처럼 꿋꿋할 것을 가르쳤다.
- ↑ “孫秉熙氏絕望”. 동아일보(네이버). 1922년 5월 19일. 2019년 4월 11일에 확인함.
- ↑ 이충호 (2019년 2월 26일). “[3·1 운동 100주년 기념 논고] 의암 손병희 선생의 생애와 사상”. 동양일보. 2019년 4월 11일에 확인함.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허수 : 문헌 해제 2. 孫秉熙, 『準備時代』 Archived 2020년 12월 1일 - 웨이백 머신 (pdf)
- ↑ <수의당 주옥경>(천도교여성회본부)
- ↑ 여성운동 선구자 주옥경 누가 기생이라 폄하하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7.05.15, 이문영, 매경프리미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