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금관가야

금관가야

다른 표기 언어 金官加耶

요약 기원 전후 시기부터 532년까지 경상남도 김해를 중심으로 존속했던 고대국가. 금관가야라는 명칭은 〈삼국유사〉 5가야조에 인용된 〈본조사략〉에 보이고 있으나, 〈삼국지〉 위지동이전에는 구야국으로, 왜인전에는 구야한국으로, 〈삼국사기〉에는 금관국으로 되어 있다. 〈가락국기〉에 의하면 시조는 수로왕이라 한다. 낙동강 하구 요지에 있어 한 때 번창했으나 532년 왕 김구해가 신라에 항복함으로써 멸망했다. 금관가야 왕실의 후손은 신라의 진골귀족으로 편입되어 신김씨계를 형성했다.

기원 전후 시기부터 532년까지 경상남도 김해를 중심으로 존속했다. 금관가야라는 명칭은 〈삼국유사〉 5가야조에 인용된 〈본조사략 本朝史略〉에 보이고 있으나, 〈삼국지 三國志〉 위지동이전에는 구야국(狗邪國)이라 칭해지고 있으며, 왜인전(倭人傳)에는 구야한국(狗邪韓國)으로, 그리고 〈삼국사기〉에는 금관국이라고 나온다.

가야
가야

〈삼국유사〉에 인용된 〈가락국기〉에 의하면 그 시조는 수로왕이라 한다. 금관가야는 낙동강 하구에 위치하고 있어 교역의 중심지로 좋은 조건을 가졌을 뿐 아니라 강 유역이므로 농업이 발달했다. 이에 힘힙어 전기가야연맹의 맹주국으로서 면모를 과시하면서 일찍이 높은 수준의 문화를 이룩할 수 있었다. 그러나 4세기에 들면서 한반도의 국제적 세력판도가 크게 변하면서 이웃의 신라와 백제의 쟁탈 대상으로 전락했다.

그후 친신라적 노선을 택하여 간신히 그 면모를 유지해오다가 532년(법흥왕 19)에 왕 김구해(金仇亥)가 왕비와 세 아들을 데리고 신라에 항복함으로써 완전히 멸망했다. 금관가야 왕실의 후손은 신라의 진골귀족으로 편입되어 신김씨계(新金氏系)를 형성했다. 즉 구해왕의 아들 무력은 백제와의 싸움에서 큰 공을 세워 벼슬이 각간까지 올랐다. 바로 이 무력이 유명한 김유신의 할아버지이다.→ 가야, 6가야